KR200486083Y1 - 통신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83Y1
KR200486083Y1 KR2020130010701U KR20130010701U KR200486083Y1 KR 200486083 Y1 KR200486083 Y1 KR 200486083Y1 KR 2020130010701 U KR2020130010701 U KR 2020130010701U KR 20130010701 U KR20130010701 U KR 20130010701U KR 200486083 Y1 KR200486083 Y1 KR 200486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tand
support portion
main body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565U (ko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10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8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스탠드를 사용하여 탁상용 및 벽걸이용으로의 겸용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대향하는 앞면과 뒷면을 가지며, 상기 뒷면에 하방으로 이격된 제1걸림부, 제2걸림부 및 제3걸림부를 구비한 본체와, 길이방향으로의 일단 부근에 걸이구멍을 갖는 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에서 만곡된 거치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뒷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용 단말기{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를 구비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탁상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통신용 단말기는 탁상용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스탠드(stand)를 가진다. 스탠드는 통신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통신용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또는 각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종래의 통신용 단말기는 벽걸이용으로의 사용을 위하여 벽걸이 브래킷(wall mount bracket)을 가진다. 벽걸이 브래킷은 통신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통신용 단말기를 벽에 걸거나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2가지의 부속품, 즉 스탠드와 벽걸이 브래킷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탁상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탁상용이나 벽걸이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2가지의 부속품, 즉 스탠드와 벽걸이 브래킷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용 단말기를 탁상용으로 사용하다가 벽걸이용으로 사용하려면, 스탠드 외에도 벽걸이 브래킷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벽걸이 브래킷을 추가적으로 갖추는데 비용 등의 부담이 발생한다. 또한, 스탠드와 벽걸이 브래킷을 모두 갖추더라도, 스탠드와 벽걸이 브래킷 중 사용하지 않는 것은 분실되지 않도록 따로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스탠드를 사용하여 탁상용 및 벽걸이용으로의 겸용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대향하는 앞면과 뒷면을 가지며, 상기 뒷면에 하방으로 이격된 제1걸림부, 제2걸림부 및 제3걸림부를 구비한 본체와, 길이방향으로의 일단 부근에 걸이구멍을 갖는 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에서 만곡된 거치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뒷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걸림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의 걸이구멍이 벽면에 면하도록 상기 제2걸림부와 상기 제3걸림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앞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하고 상기 뒷면에 대하여 둔각으로 연장하는 상부 측면을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대향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걸이구멍 부근의 상기 제1면에서 돌출하는 제1돌기를 가지며, 상기 거치부는 대향하는 상기 제1면에 이어진 제3면 및 상기 제2면에 이어진 제4면과, 상기 제4면에서 돌출하는 제2돌기와, 상기 거치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선단에서 돌출하는 제3돌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1걸림편을 자유단에 가지며,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3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2걸림편을 자유단에 가지며,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2돌기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된 제3걸림편을 자유단에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4면과 접촉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3돌기를 수용하는 제1하부구멍과, 상기 지지벽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2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제2걸림편에 걸리는 제1고정편이 구비되는 제1상부구멍을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본체의 뒷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제1돌기의 상기 제1걸림편과 걸리는 제2고정편을 가지며, 상기 제3걸림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3돌기를 수용하는 제3구멍과 상기 제3걸림편과 걸리는 제3고정편을 가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받침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부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에 의하면, 스탠드는 본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결합된다. 즉, 스탠드는 본체에 위치를 다르게 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는 제1위치로 결합되어 본체를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지지한다. 또한, 스탠드는 제2위치로 결합되어 본체를 받치며, 본체를 대신하여 벽면에 설치된 걸이못 등에 걸려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하나의 스탠드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탁상용으로의 사용과 벽걸이용으로의 사용을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벽걸이 브래킷 등의 부속품을 추가적으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부속품을 분실되지 않도록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제1위치로 결합된 통신용 단말기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스탠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가 제2위치로 결합된 통신용 단말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스탠드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본체의 앞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본체의 뒷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측",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측",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통신용 단말기의 예로서, 전화기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개념이 적용되는 통신용 단말기가 전화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스탠드 등의 부품이나 부속품을 이용하여 탁상용이나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100)는 송수화기(280)가 연결된 본체(200)와, 본체(20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탠드(300)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납작한 상자 형상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본체(200)는 대략 뒤집어진 사각뿔대 형상을 가진다. 본체(200)는 내부에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전면부와 후면부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면부와 후면부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체(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앞면(210)과 뒷면(220)을 가진다. 또, 본체(200)는 앞면(210)과 뒷면(220)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측면을 가진다. 복수의 측면은 앞면(210)과 뒷면(220) 사이에서 연장하며, 평면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곡면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은 뒷면(220)으로부터 상측으로 앞면(210)을 향해 연장하는 상부 측면(230a), 뒷면(220)으로부터 하측으로 앞면(210)을 향해 연장하는 하부 측면(230b) 및 뒷면(220)으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앞면(210)을 향해 연장하는 좌, 우 측면(230c, 230d)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측면(230a)은 하부 측면(230b)보다 앞면(210)과 뒷면(220) 사이에서의 연장되는 길이가 길다. 즉, 상부 측면(230a)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면(210)에 대하여 예각(α)으로 연장하고 뒷면(220)에 대하여 둔각(β)으로 연장한다. 즉, 본체(200)는 상부 측면(230a)을 포함하는 상부가 위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200)의 형상과 관련해서 후술하는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200)의 앞면(210)에는 조작버튼부(211), 디스플레이부(212) 및 송수화기 안착부(213) 등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200)의 뒷면(220)에는 스탠드(300)를 부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걸림부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뒷면(220)에는 하측방향으로 차례로 이격된 제1걸림부(221), 제2걸림부(222) 및 제3걸림부(223)가 구비된다(도 4 및 도 9 참조). 통신용 단말기(100)를 탁상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탠드(300)는 본체(200)의 뒷면(220)에서 한 군데, 즉 제1걸림부(221)에 결합된다. 또, 통신용 단말기(100)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스탠드(300)는 본체(200)의 뒷면(220)에서 두 군데, 즉 제2걸림부(222)와 제3걸림부(223)에 결합된다. 제1걸림부(221) 내지 제3걸림부(223)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는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탠드(3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을 가진다. 스탠드(300)는 평판 형상의 지지부(310)와, 지지부(310)에서 만곡된 거치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지지부(310)와 거치부(320)는 일체로 이루어지지만,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310)와 거치부(320) 사이에는 만곡된 부분을 두껍게 하는 보강부(340)를 구비하여 본체(200)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힘 등에 의해 거치부(320)가 지지부(310) 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310)와 거치부(320)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보강부(340)를 통해 스탠드(300)의 요구되는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300)는 거치부(320)가 만곡된 단부와 반대되는 지지부(310)의 일단에서 지지부(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받침부(330)을 가진다. 받침부(330)는, 통신용 단말기(100)를 탁상용으로 사용할 때 지면(1)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지면(1)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에 미끄럼 방지 패드(331)가 부착된다.
스탠드(300)에서 지지부(310)는, 통신용 단말기(100)를 탁상용으로 사용할 때, 본체(200)의 뒷면(220)으로부터 지면(1)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또, 지지부(310)는, 통신용 단말기(100)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때, 벽면(2)에 면하여 벽면(2)에 설치된 걸이못 등에 걸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부(310)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 부근에 관통구멍, 즉 걸이구멍(318)을 가진다. 걸이구멍(318)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1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단(타단의 가장자리)에는 거치부(320)가 만곡된다. 거치부(320)는 지지부(31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만곡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거치부(320)가 지지부(310)에 대해 수직하게 만곡된다.
지지부(3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제1면(311)과 제2면(312)을 가진다. 또, 지지부(31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의 일단 부근, 즉 걸이구멍(318) 부근에서 제1면(311)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돌기(313)를 가진다.
또한, 거치부(320)는 대향하는 제3면(321)과 제4면(322)을 가진다. 여기서, 제3면(321)은 제1면(311)에 이어진 면이고, 제4면(322)은 제2면(312)에 이어진 면이다. 또, 거치부(320)는 제4면(322)에서 돌출하는 제2돌기(323)를 가지며, 거치부(320)의 길이방향(지지부(3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선단에서 돌출하는 제3돌기(324)를 가진다(도 5 및 도 6 참조).
지지부(310)에 구비된 제1돌기(313)와 거치부(320)에 구비된 제2돌기(323)와 제3돌기(324)는 대응되는 제1걸림부(221) 내지 제3걸림부(223)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자유단(외측을 향하는 단부)에 걸림편, 예컨대 후크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예에서는, 제1돌기(313)는 제2돌기(323)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1걸림편(313a)을 가진다(도 10 참조). 또, 제2돌기(323)는 제3돌기(324)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2걸림편(323a)을 가진다. 또, 제3돌기(324)는 제2돌기(323)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된 제3걸림편(324a)을 가진다. 여기서, '돌출방향'은 직교좌표계에서 동일한 좌표축 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탠드(300)는, 탁상용 단말기(100)를 탁상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본체(200)에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결합된다. 즉, 스탠드(300)는 통신용 단말기(100)가 탁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본체(200)에 제1위치로 결합되거나(도1 내지 도 6 참조) 또는 통신용 단말기(100)가 벽걸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본체(200)에 제2위치로 결합된다(도 7 내지 도 12 참조).
스탠드(300)를 본체(200)에 제1위치로 결합하기 위해 제1걸림부(221)가 사용된다. 제1걸림부(221)는 본체(200)의 뒷면(220)에서 리세스된 부분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걸림부(2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320)의 제4면(322)과 접촉되는 지지벽(221a)을 가진다. 또, 제1걸림부(221)는 지지벽(221a)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거치부(320)의 제3돌기(324)를 수용하는 제1하부구멍(221b)을 가진다. 또, 제1걸림부(221)는 지지벽(221a)의 위쪽에 위치되며 거치부(320)의 제2돌기(323)를 수용하고 제2걸림편(323a)에 걸리는 제1고정편(221d)이 구비된 제1상부구멍(221c)을 가진다.
스탠드(300)를 본체(200)에 제1위치로 결합할 때, 거치부(320)는 제4면(322)이 제1걸림부(221)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후, 거치부(320)의 선단이 제1하부구멍(221b)의 주변에 밀착되도록 제3돌기(324)가 제1하부구멍(221b)에 끼워진다. 이후, 스탠드(300)를 본체(200) 쪽으로 밀어주면, 스탠드(300)가 거치부(320)의 선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거치부(320)의 제4면(322)이 지지벽(221a)에 밀착된다. 또, 거치부(320)의 제2돌기(323)가 제1상부구멍(221c)에 끼워지면서 제2걸림편(323a)이 제1고정편(221d)에 걸리게 되고, 지지부(310)의 제2면(312)은 뒷면(220)의 리세스된 측벽(221e)에 접촉된다.
본체(200)에 대해 제1위치로 결합된 스탠드(300)는, 거치부(320)가 제1걸림부(221)에 면접촉되고, 제2돌기(323)와 제3돌기(324)에 의해 두 군데에서 맞물려지기 때문에 지면(1)에 대해 기울어지는 본체(200)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제1위치에서, 거치부(320)에 대해 직각으로 만곡된 지지부(310)는 본체(200)의 뒷면(220)에서 수직하게 지면(1)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위와 같이, 스탠드(300)를 제1위치로 결합시켜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용 단말기(100)를 벽걸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스탠드(300)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200)의 뒷면(220)에 제2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위치에서, 지지부(310)와 거치부(320)는 지지부(310)에 구비된 걸이구멍(318)이 벽면(2)에 면하도록, 즉 지지부(310)가 벽면(2)에 거의 평행하도록 본체(200)의 뒷면(220)의 제2걸림부(222)와 제3걸림부(223)에 각각 결합된다.
실시예에서, 스탠드(300)를 제2위치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걸림부(222)는 본체(200)의 뒷면(220)에서 돌출하고 제1돌기(313)의 제1걸림편(313a)과 걸리는 제2고정편(222a)을 가진다(도 10 참조). 또한, 스탠드(300)를 제2위치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3걸림부(223)는 거치부(320)의 제3돌기(324)를 수용하는 제3구멍(223a)과 제3돌기(324)의 제3걸림편(324a)과 걸리는 제3고정편(223b)을 가진다(도 12 참조).
스탠드(300)를 본체(200)에 제2위치로 결합할 때, 스탠드(300)는 거치부(320)의 선단이 본체(200)의 뒷면(220)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10)의 제1돌기(313)가 제2걸림부(222)를 향하고, 거치부(320)의 제3돌기(324)가 제3걸림부(223)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후, 지지부(310)의 제1돌기(313)가 제2걸림부(222)의 제2고정편(222a)에 걸리도록 한 후 스탠드(300)의 아래쪽 부분을 본체(200)의 뒷면(220)으로 밀어주면 거치부(320)의 제3돌기(324)가 제3걸림부(223)의 제3구멍(223a)에 끼워지고, 제3돌기(324)의 제3걸림편(324a)이 제3고정편(223b)에 걸리게 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지지부(310)의 제1돌기(313)를 제2걸림부(222)에 끼운 후 거치부(320)의 제3돌기(324)를 제3걸림부(223)에 끼웠지만, 반대로 거치부(320)의 제3돌기(324)를 제3걸림부(223)에 끼운 후 지지부(310)의 제1돌기(313)를 제2걸림부(222)에 끼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위치에서는, 지지부(310)의 제1돌기(313) 상에 제2걸림부(222)의 돌출부분이 위치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313)의 제1걸림편(313a)에 선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제2고정편(222a)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체(200)를 스탠드(300)로부터 하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320)의 선단이 제3돌기(324)에 의해 제3걸림부(223)에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200)의 하부가 스탠드(300)로부터 들떠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위치에서는, 본체(200)는 하부가 중앙부에 비해 벽면(2)에서 더 이격되도록 기울어지기 때문에 본체(200)의 앞면(210)이 지면(1)을 향하지 않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200)의 앞면(210)을 바로 마주할 수 있어 조작버튼부(211)를 쉽게 조작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12)의 출력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수화기(280)를 송수화기 안착부(213)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본체(200)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부 측면(230a)을 포함하는 부분(상부)이 위쪽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 특히 뒷면(220) 쪽 부분이 얇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200)는, 스탠드(300)가 제2위치로 결합할 때 본체(200)의 상부 측면(230a)을 포함하는 부분이 스탠드(300)의 후방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스탠드(300)의 지지부(310)와 거치부(320)가 충분히 길지 않더라도, 즉 스탠드(300)를 소형화시키더라도 본체(200)를 벽면(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통신용 단말기 200: 본체
210: 앞면 220: 뒷면
221: 제1걸림부 221a: 지지벽
221b: 제1하부구멍 221c: 제1상부구멍
221d: 제1고정편 222: 제2걸림부
222a: 제2고정편 223: 제3걸림부
223a: 제3구멍 223b: 제3고정편
230b: 하부 측면 230a: 상부 측면
280: 송수화기 300: 스탠드
310: 지지부 311: 제1면
312: 제2면 313: 제1돌기
313a: 제1걸림편 318: 걸이구멍
320: 거치부 321: 제3면
322: 제4면 323: 제2돌기
323a: 제2걸림편 324: 제3돌기
324a: 제3걸림편 330: 받침부
331: 미끄럼 방지 패드 340: 보강부

Claims (7)

  1. 대향하는 앞면과 뒷면을 가지며, 상기 뒷면에 하방으로 이격된 제1걸림부, 제2걸림부 및 제3걸림부를 구비한 본체와,
    길이방향으로의 일단 부근에 걸이구멍을 갖는 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에서 만곡된 거치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뒷면에 제1위치 및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걸림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의 걸이구멍이 벽면에 면하도록 상기 제2걸림부와 상기 제3걸림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뒷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벽면으로부터 더 이격되게 상기 벽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측면은 상기 앞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하고 상기 뒷면에 대하여 둔각으로 연장하는
    통신용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대향하는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걸이구멍 부근의 상기 제1면에서 돌출하는 제1돌기를 가지며,
    상기 거치부는 대향하는 상기 제1면에 이어진 제3면 및 상기 제2면에 이어진 제4면과, 상기 제4면에서 돌출하는 제2돌기와, 상기 거치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선단에서 돌출하는 제3돌기를 가지는
    통신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1걸림편을 자유단에 가지며,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3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2걸림편을 자유단에 가지며, 상기 제3돌기는 상기 제2돌기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된 제3걸림편을 자유단에 가지는 통신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4면과 접촉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3돌기를 수용하는 제1하부구멍과, 상기 지지벽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2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제2걸림편에 걸리는 제1고정편이 구비되는 제1상부구멍을 가지는 통신용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본체의 뒷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제1돌기의 상기 제1걸림편과 걸리는 제2고정편을 가지며, 상기 제3걸림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기 제3돌기를 수용하는 제3구멍과 상기 제3걸림편과 걸리는 제3고정편을 가지는 통신용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받침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부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되는 통신용 단말기.
KR2020130010701U 2013-12-23 2013-12-23 통신용 단말기 KR200486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701U KR200486083Y1 (ko) 2013-12-23 2013-12-23 통신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701U KR200486083Y1 (ko) 2013-12-23 2013-12-23 통신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65U KR20150002565U (ko) 2015-07-01
KR200486083Y1 true KR200486083Y1 (ko) 2018-03-30

Family

ID=5379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701U KR200486083Y1 (ko) 2013-12-23 2013-12-23 통신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160B1 (ko) * 2019-04-19 2023-09-1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381Y1 (ko) * 1996-04-30 1999-06-15 윤종용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고정장치
JP2007123347A (ja) * 2005-10-25 2007-05-17 Mitsum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支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042Y2 (ko) * 1989-11-20 1992-11-12
JPH0720738U (ja) * 1993-09-24 1995-04-11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壁掛け兼用電話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381Y1 (ko) * 1996-04-30 1999-06-15 윤종용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고정장치
JP2007123347A (ja) * 2005-10-25 2007-05-17 Mitsum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支持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702073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65U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6960B (zh) Backstop module
US6394399B2 (en) Cable holder for attaching cables to a support structure
KR20070058452A (ko)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
CN110267568B (zh) 抽屉
US11585486B2 (en) Telescoping box support
KR200486083Y1 (ko) 통신용 단말기
US9603468B2 (en) Holding device for a bracket in a storage system
CN110430784B (zh) 用于抽屉的面板结构
CN103824517A (zh) 可挂在壁面的薄型显示器
CN110430783B (zh) 用于抽屉的面板结构
JP6437300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US7259837B2 (en) Device for releasable fastening of an accessory and accessory for such a device
RU2010153045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принадлежностей для полок
JP6625192B2 (ja) 光源ユニット
CN210297293U (zh) 壁挂式充电机
CN110471501B (zh) 扣件及具有该扣件的支撑架、显示器
US20050087668A1 (en) Hanger device and hook member for a wall-supported member
JP3115378U (ja) 掛け具及び陳列具
CN211511162U (zh) 扶手及椅子
CN218978499U (zh) 一种墙面置物展示组件
KR101107296B1 (ko) 안테나용 부착형 브라켓
CN211786120U (zh) 一种gps罗经连接固定卡扣
KR20100122593A (ko) 거치대 일체형 통신 중계기
JP2019511648A (ja) 床のための幅木装置
CN213188587U (zh) 带有顶板的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