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78Y1 - 터치 보조구 - Google Patents

터치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78Y1
KR200486078Y1 KR2020170003803U KR20170003803U KR200486078Y1 KR 200486078 Y1 KR200486078 Y1 KR 200486078Y1 KR 2020170003803 U KR2020170003803 U KR 2020170003803U KR 20170003803 U KR20170003803 U KR 20170003803U KR 200486078 Y1 KR200486078 Y1 KR 200486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finger
contact
displa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허용기
Original Assignee
김근수
허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허용기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170003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보조구가 개시된다. 터치 보조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외표면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접촉되어 휴대 기기의 기능 작동을 제어하는 터치부재와, 터치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보조구{TOUCH ASSISTANCE DEVICE}
본 고안은 휴대 기기의 터치 타입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작동 제어를 위한 터치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줄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알람(Alarm), MP3(MPEG Audio Layer-3),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전자사전, e-book(전자책)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터치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압력을 측정하는 감압방식과, 사용자가 손으로 화면을 터치할 때 발생되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는 정전방식으로 나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때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거나 화면을 누른 상태에서 일측으로 밀어 조작하게 되므로, 화면에 지문이나 기름 또는 손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묻어 오염되거나, 화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팬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터치팬을 이용할 경우 터치감이 떨어지게 되고 사용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정전방식의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정전방식 터치팬은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이 터치팬을 이용하더라도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터치팬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화면에 땀, 지문, 기름 등의 오염물질이 묻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10-2001-000072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작동 제어 과정에서 손가락의 땀, 지문, 기름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터치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외표면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접촉되어 휴대 기기의 기능 작동을 제어하는 터치부재와, 터치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터치부재는,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표면과 표면의 내부로 복수개의 전도성 와이어부재가 삽입되는 터치 보조구.
접촉부재의 내표면에는 손가락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는 터치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기기를 파지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여 화면 작동 제어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터치부재의 표면 접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터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를 장시간 사용 과정에서도 손가락의 땀 등이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어 터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디스플레이부 터치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 보조구를 손가락에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터치 보조구의 터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의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터치 보조구를 손가락에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터치 보조구의 터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가 형성되며 외표면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2a)의 표면에 접촉되어 휴대 기기의 기능 작동을 제어하는 터치부재(10)와, 터치부재(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재(20)를 포함한다.
터치부재(10)는 바느질 등에 사용하는 골무과 유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부재(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것은,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2a)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터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2a)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는 경우, 손가락에서 발생되는 땀 등에 의해 터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터치부재(10)는 본 실시예에서 골무 형상으로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부(12a)에 접촉되는 표면이 편평면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부재(10)는 휴대 기기(12)의 디스플레이부(12a)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화면 터치 작동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부재(10)에는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표면과 표면의 내부로 복수개의 전도성 와이어부재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부재(10)는 디스플레이부(12a)의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부재(10)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바,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2a)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2a)의 터치 화면의 작동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부재(10)는 디스플레이부(12a)에 접촉되는 표면에 한정하여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터치부재(10)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부재(10)의 삽입부(11)에는 접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다.
접촉부재(20)는 외표면이 삽입부(11)의 내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삽입부(11)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을 말한다.
접촉부재(20)는 터치부재(10)의 삽입부(11)에 삽입된 상태로 외표면이 접착제(21)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터치부재(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재(20)는 터치부재(10)의 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2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접촉감을 향상시키도록 소정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재(20)는 본 실시예에서 우레탄 재질 등의 탄성부재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접촉부재(20)는 우레탄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소정의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촉부재(20)는 터치부재(10)의 내부에서 삽입부(11)의 내벽면 전체에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삽입부(11)의 내벽면의 일부분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터치 보조구(100)는, 휴대 기기(12)를 파지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2a)를 터치하여 화면 작동 제어를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2a)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터치부재(10)의 표면 접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a)의 화면 터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12)의 장시간 사용 과정에서도 손가락의 땀 등이 디스플레이부(12a)에 접촉되어 터치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디스플레이부(12a) 터치 제어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100)는, 접촉부재(20)의 내표면에는 손가락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110)가 형성된다.
돌기부(110)는 접촉부재(20)의 표면에 탄성 재질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돌기부(110)의 소정의 가압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의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보조구(300)의 접촉부재(220)는 터치부재(24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접촉부재(220)는 터치부재(240)의 내부에 점착제(221)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재(220)의 교체 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240...터치부재 11...삽입부
12...휴대 기기 12a..디스플레이부
20...접촉부재 21...접착제
22...삽입 공간 110..돌기부
221..점착제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외표면은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접촉되어 휴대 기기의 기능 작동을 제어하는 터치부재; 및
    외표면이 상기 삽입부의 내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손가락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그 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의 내표면에는 손가락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접촉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되는 표면과 표면의 내부로 복수개의 전도성 와이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터치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터치 보조구.
KR2020170003803U 2017-07-20 2017-07-20 터치 보조구 KR200486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03U KR200486078Y1 (ko) 2017-07-20 2017-07-20 터치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03U KR200486078Y1 (ko) 2017-07-20 2017-07-20 터치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78Y1 true KR200486078Y1 (ko) 2018-03-30

Family

ID=6180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03U KR200486078Y1 (ko) 2017-07-20 2017-07-20 터치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7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21A (ko) 2000-10-16 2001-01-05 남기영 손가락 착용형 스타일러스
KR20100058414A (ko) * 2008-11-24 2010-06-03 이영태 파지용 골무 및 장갑
KR200453606Y1 (ko) * 2010-11-23 2011-05-19 박정일 핑거패드
KR20120103389A (ko) * 2011-03-09 2012-09-19 박두진 터치패널용 핑거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장갑
KR20140065066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에이든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입력을 위한 터치부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21A (ko) 2000-10-16 2001-01-05 남기영 손가락 착용형 스타일러스
KR20100058414A (ko) * 2008-11-24 2010-06-03 이영태 파지용 골무 및 장갑
KR200453606Y1 (ko) * 2010-11-23 2011-05-19 박정일 핑거패드
KR20120103389A (ko) * 2011-03-09 2012-09-19 박두진 터치패널용 핑거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장갑
KR20140065066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에이든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입력을 위한 터치부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7839B2 (ja) スライド式多方向入力キー
US9665068B2 (en) Smart bracelet
US20150242007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US20140022174A1 (en) External keyboard and sheath of electronic device
KR20170045090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EP3139252B1 (en) Wearable touch control device and wearable touch control method
MY196248A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KR20150112436A (ko) 입력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20048655A (ko) 입력 장치
JP2007173111A (ja) 電子機器
TW201401118A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按鍵墊
US20170160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creen of a touch screen device
CN105407222A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终端
EP1770484A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ed in mobile terminal device
JP6005112B2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ゲームコントローラー兼用ケース
JP201104857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7638722B2 (en) Operating piece unit for switch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486078Y1 (ko) 터치 보조구
CN105808258A (zh) 复制粘贴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1071927B1 (ko) 스타일러스 펜
JP2009259062A (ja) タッチペン
JP4521427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用キーシート
US10853608B2 (en) Barcode-reading accessory for interacting with a touch interface on a mobile device
KR20120038043A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KR20170027476A (ko)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