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15Y1 -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 Google Patents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15Y1
KR200486015Y1 KR2020170001881U KR20170001881U KR200486015Y1 KR 200486015 Y1 KR200486015 Y1 KR 200486015Y1 KR 2020170001881 U KR2020170001881 U KR 2020170001881U KR 20170001881 U KR20170001881 U KR 20170001881U KR 200486015 Y1 KR200486015 Y1 KR 200486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stage
article
present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욱
허임
Original Assignee
허욱
허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욱, 허임 filed Critical 허욱
Priority to KR2020170001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이어리를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물품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소정두께를 갖는 앞커버 및 뒷커버; 및 다이어리와의 사이이에 물품 거치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형성부재로 이루어진다. 거치부 형성부재는 절첩됨에 따라 다이어리와의 사이에 물품 거치부가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DIARY CAPABLE OF BEING ACCEPTED ARTICLE}
본 고안은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다이어리를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물품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이어리에 거치 가능한 물품으로는 핸드폰 등이 있을 수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3856호는 다이어리 겸용 손톱소제 및 화장 도구 케이스로 사용되는 물품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기술은 손톱소제 및 화장 도구 케이스와 다이어리가 각각 별도로 사용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손톱소제 및 화장 도구를 보관하는 케이스 내에 수첩의 기능을 하는 다이어리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손톱소제 및 간단한 화장을 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과 더불어 다이어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이어리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어리를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물품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다이어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소정두께를 갖는 앞커버 및 뒷커버; 다이어리와의 사이에 물품 거치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 형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치부 형성부재는, 절첩됨에 따라 다이어리와의 사이에 물품 거치부가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치부 형성부재는, 다이어리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4개의 단과 다이어리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1개의 단으로 구성되며, 제1단에는 자석이 내장되고 제4단에는 철판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 따르면, 물품이 거치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다이어리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또는 반대로 다이어리가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분이 접혀진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분이 펼쳐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분이 형성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분이 완전히 형성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물품 거치부에 핸드폰이 거치된 상태도.
본 고안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사 "포함한다" 및 그것의 활용형은 청구항 또는 설명에 나열되지 않은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앞에 복수 표현이 없는 것은 그러한 구성요소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의 사용은 어떠한 순서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들은 명칭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 관련된 여러 가지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들은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논의하기 위해 제시된 것들이다.
본 고안에서 언급되는 물품은 실질적으로 다이어리의 표지에 연결된 거치부 형성부재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이 부분은 거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두꺼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이어리는, 물품 거치부분이 뒷커버에 연결 구성된다.
본 고안의 물품 거치부분은 다이어리의 앞커버 및 뒷커버가 옆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비해서, 다이어리의 상측으로 연장 구성되며, 복수 단으로 구성되어 이들 단을 절첩함에 따라 거치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거치부 형성부재는 총 5단으로 구분 형성되며, 뒷표지에 직접 접촉되는 단의 폭이 다른 4개의 단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다른 4개의 단의 폭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4개의 단의 폭은 거치부에 물품이 거치될 때 기울어지거나 넘어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5개의 단들 사이에는 각각 절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단이 접혀 2번째 단과 3번째 단 사이에 위치하는 절첩부에 맞닿으면서 삼각형상이 형성되고, 삼각형상이 형성된 상태에서 1번째 단이 4번째 단에 맞닿으면서 다시 삼각형상이 형성되도록 절첩된다. 이때 1번째 단과 4번째 단에는 각각 자석과 철판이 내장되어 있어 밀착 고정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다이어리와 두번째 단사이에 거치부가 형성된다. 이때, 다이어리의 뒷커버에는 중앙부분에 고리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이 지지부와의 사이에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본 고안에서,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볼펜 등 필기구 꽂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 지지부가 없더라도 다이어리의 두께로 인해 핸드폰 등의 거치에는 문제가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 형성부재가 접혀진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 형성부재가 펼쳐진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가 형성되는 과정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에서 물품 거치부분이 완전히 형성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물품 거치부에 핸드폰이 거치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이어리는 소정두께를 가지며, 각각 앞부분과 뒷부분을 커버하도록 앞커버(10)와 뒷커버(20)가 구성된다.
상기 뒷커버(20)는 물품 거치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치부 형성부재(30)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 형성부재(30)는 모두 5단으로 구성되며, 편의상 가장 윗쪽부터 제1단, 제2단, 제3단, 제단 및 제5단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1단 내지 제4단(31, 33, 35, 37)은 그 폭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5단(39)은 제1단 내지 제4단(31, 33, 35, 37)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제5단(39)의 폭(d2)은 다이어리의 두께(d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 내지 제4단(31, 33, 35, 37)은 핸드폰 거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폭은 핸드폰 거치시 핸드폰의 뒤쪽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며, 핸드폰 길이의 일정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제1단 내지 제5단(31, 33, 35, 37, 39)을 형성하는 각각의 단 사이에는 절첩부(32, 34, 36, 38)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단(31)에는 그 내부에 자석(70)이내장되고, 제4단(37)에는 그 내부에 상기 자석과 반응하도록 철판(80)이 내장된다. 자석(70)과 철판(80)이 내장되는 단은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다. 또한, 자석 및 철판의 크기는 적절한 크기로 설정한다.
상기 뒷커버(20)의 중앙부분에는 물품 거치용 지지부(4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0)는 볼펜 등 필기구 꽂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지지부가 없더라도 다이어리의 두께로 인해 핸드폰 등 물품 거치에는 문제가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31) 및 제2단(33)을 각각 절첩하여 제1단(31)의 단부가 제3절첩부(36)에 맞닿으면 삼각형상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형상을 다시 절첩하면 제3단(35)이 중첩 절첩되면서 일부면이 중첩된 삼각형상이 형성되고, 제1단(31)이 제4단(37)과 맞닿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단(31) 및 제4단(37)에 각각 내장된 자석(70)과 철판(80)에 의해 제1단(31)과 제4단(37)이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단(31)과 제4단(37)이 밀착 고정되면, 제2단(33)과 지지부(40) 또는 다이어리 본체와의 사이에 일정공간을 갖는 거치부(50)가 형성되며, 여기에 핸드폰(60) 등 물품이 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60)이 거치부(50)에 거치되며, 이때 거치부(50)의 공간이 협소함으로써 비교적 길이가 긴 핸드폰(60)이 거치되더라도 핸드폰(60)의 하측 단부가 다이어리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크기에 의해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이어리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고안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고안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고안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 : 앞커버 20 : 뒷커버
30 : 거치부 형성부재
31, 33, 35, 37, 39 : 거치부 형성부재의 단
32, 34, 36, 38 : 절첩부
40 : 지지부 50 : 거치부
60 : 핸드폰 70 : 자석
80 : 철판 d1 : 다이어리 두께
d2 : 제5단의 폭

Claims (3)

  1. 다이어리에 있어서,
    소정두께를 갖는 앞커버 및 뒷커버;
    상기 뒷커버의 중앙부분에는 물품 거치용 지지부가 구성된 것,
    상기 다이어리와의 사이에 물품 거치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절첩됨에 따라 상기 다이어리와의 사이에 물품 거치부가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은 다이어리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4개의 단과 다이어리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1개의 단으로 구성되며, 제1단에는 자석이 내장되고, 제4단에는 철판이 내장되고, 제1단 내지 제4단은 그 폭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5단은 제1단 내지 제4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제5단의 폭은 다이어리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단 내지 제5단을 형성하는 각각의 단 사이에는 절첩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1단 및 제2단을 각각 절첩하여 제1단의 단부가 제3절첩부에 맞닿으면 삼각형상이 형성되면, 상기 삼각형상을 다시 절첩하여 제3단이 중첩 절첩되면서 일부면이 중첩된 삼각형상이 형성되고, 제1단이 제4단과 맞닿게 됨과 동시에 제1단 및 제4단에 각각 내장된 자석과 철판에 의해 제1단과 제4단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부 형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1881U 2017-04-14 2017-04-14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KR200486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81U KR200486015Y1 (ko) 2017-04-14 2017-04-14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81U KR200486015Y1 (ko) 2017-04-14 2017-04-14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15Y1 true KR200486015Y1 (ko) 2018-03-22

Family

ID=6180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81U KR200486015Y1 (ko) 2017-04-14 2017-04-14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1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092Y1 (ko) * 1999-07-12 2000-02-15 이정용 독서대를구비한노트
KR20110003514U (ko) * 2009-10-01 2011-04-07 오승원 탁상 겸용 휴대용 다이어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092Y1 (ko) * 1999-07-12 2000-02-15 이정용 독서대를구비한노트
KR20110003514U (ko) * 2009-10-01 2011-04-07 오승원 탁상 겸용 휴대용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D840997S1 (en) Combined support for supporting mobile phone and watch
US8757375B2 (en) Support for a tablet computer with a function of receiving bag
JP3169420U (ja) 支持枠
US20100230301A1 (en) Carrying receptacle
US20130284866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7056125A (ja) 小物類の収納ケース
US20170231347A1 (en) Card-type key holder with fold away panels
KR200486015Y1 (ko) 물품 거치가 가능한 다이어리
CN214405480U (zh) 可折叠收纳的支撑座
KR101725782B1 (ko) 거치부를 가지는 탁상용 달력
CN106579797B (zh) 一种可收展的书架
KR200475033Y1 (ko) 탁상용 달력
US20150098185A1 (en) Foldable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JP2018064988A (ja) 小物類の収納ケース
US2359100A (en) Portable article carrier
CN212545990U (zh) 一种可折叠包
USD954703S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1973692B1 (ko)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JP3116429U (ja) 組立て式パンフレットホルダー及びそれを形成するための収納ポケット部材
TWM576565U (zh) Adjustable storage structure
TW201528917A (zh) 背蓋支撐裝置
KR200452668Y1 (ko) 휴대용 단말기 지지대
JP3215157U (ja) 付箋紙セット
JP3215156U (ja) 付箋紙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