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82Y1 - 연결부 일체형 엠바 - Google Patents

연결부 일체형 엠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82Y1
KR200485982Y1 KR2020160001436U KR20160001436U KR200485982Y1 KR 200485982 Y1 KR200485982 Y1 KR 200485982Y1 KR 2020160001436 U KR2020160001436 U KR 2020160001436U KR 20160001436 U KR20160001436 U KR 20160001436U KR 200485982 Y1 KR200485982 Y1 KR 200485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lem
pair
body part
connection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331U (ko
Inventor
배근묵
Original Assignee
배근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묵 filed Critical 배근묵
Priority to KR2020160001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8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0Connections between 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금속판을 포밍하여 형성되는 엠바가 개시된다. 이 엠바는, 바디부(1200); 및
상기 바디부(120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 내로 삽입되는 연결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200)는 일정 길이로 수평되게 연장된 제1 바닥(1210)과, 상기 제1 바닥(1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1220)과, 상기 제1 측벽(1220)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원호형 또는 포물선 형태로 곡지게 포밍된 후크부(126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400)는 제2 바닥(1410)과, 상기 제2 바닥(14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1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닥(1410)의 저면 레벨은 상기 제1 바닥(1210)의 저면 레벨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1420, 1420)간 폭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1220, 1220)간 폭보다 일부 구간에서 더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1420, 1420) 각각의 상단은 상기 후크부(1260)보다 낮은 높이로 후크부 없이 형성된 절단면(142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부 일체형 엠바{M-bar integrated with connecting part}
본 고안은 상가,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천장 공사에 이용되는 천장 패널 설치용 구조물의 연결부 일체형 엠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엠바 간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포밍된 연결부 일체형 엠바에 관한 것이다.
상가, 아파트, 빌라, 연립주택 등과 같은 공용 주택 건축물은 천장 측 콘크리트 슬라브 아래로 천장 공사가 이루어지며, 이 천장 공사에 의해, 전기 배선 또는 배관 등을 가려줄 수 있고 천장 외관을 미려하게 해주는 천장 패널이 설치된다.
통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클립(3)들을 이용해 복수개의 엠바(4)를 캐리어 채널(2)에 결합하여 천장 패널 설치용 구조물을 완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감재로서의 천장 패널을 나사못으로 엠바(4)에 고정하여 천장 패널을 설치할 수 있다. 엠클립(3)은 캐리어 채널(2)에 대하여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설치된 채 캐리어 채널(2)의 저면을 넘어 연장된 미러 대칭적인 걸음부(33)들을 구비하며, 엠바(4)는 저면(41) 및 상기 저면(41)과 직교하는 양측면(42, 42)을 구비하되 양 측면 각각의 상단에 상기 걸음부(33)에 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43, 43)를 구비한다.
이때, 엠바는 편리하게 운반하여 현장에서 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규격의 길이로 짧게 제작된다.
한편, 종래에는 현장에서 엠바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 엠바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부품을 필요로 하였다. 연결 부품은 대략 "ㄷ"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에서 각각 이웃하는 두 엠바의 걸림부들에 슬라이딩식으로 끼워져 이우하는 두 엠바 사이를 연결한다. 그러나, 별도의 연결 부품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은 공수가 많고 시공이 복잡하고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별도의 연결 부품을 추가로 생산, 운반, 관리해야 하므로 별도의 추가 비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엠바 간 연결에 필요한 연결부를 엠바에 일체화한 기술이 종래에 제안된 바 있으며, 이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21964호에 개시된다. 이 기술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15)가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엠바(10)와 일 단부 측에서 바닥면과 측면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위에 길게 절개 슬릿(33)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걸림공(35)이 형성된 제2 엠바(3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엠바(30)는 엠클립에 걸리는 후크부가 단부 측에서 좁게 눌러져 성형된 협폭 삽입부를 단부 측에 구비한다. 제1 엠바(10)와 제2 엠바(30) 결합시, 절개 슬릿(33)에 의해 제2 엠바(30) 바닥은 위로 들어 올려 지면서 제1 엠바(10)의 바닥 저부와 접하도록 삽입되는 한편 제2 엠바(30)의 협폭 삽입부가 제1 엠바(10)의 후크부 내측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또한, 제1 엠바(10)의 바닥에 형성된 걸림 돌기(15)가 제2 엠바(30)의 걸림공(35)에 걸리면서, 제1 엠바(10)와 제2 엠바(30)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기술은 천장 패널(미도시됨)과 제1 엠바(10) 및 제2 엠바(30)를 관통하는 피스로 천장 패널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 피스의 관통 위치가 전술한 걸림 돌기(15)와 걸림공(35)의 걸림 위치와 같게 되며, 이는 작업성을 크게 떨어뜨림은 물론이고 시공 자체를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엠바 간 결합시절개 슬릿(33)에 의해 들어 올려진 제2 엠바(30)의 바닥이 영구 변형될 수 있고, 특히, 피스가 제2 엠바(30)의 바닥에 제대로 체결되지 못하고 제2 엠바(30)의 바닥을 들어올리기만 할 가능성이 높아 실제 이용하기에는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0597호(2012. 11. 22.)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엠바 간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포밍되어 부품수와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엠바 간 연결부가 나사못 체결을 방해하거나 또는 나사못 체결에 의해 원치 않게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어, 천장 패널 시공을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연결부 일체형 엠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연결부 일체형 엠바는, 금속판을 포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디부(1200); 및 상기 바디부(120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 내로 삽입되는 연결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200)는 일정 길이로 수평되게 연장된 제1 바닥(1210)과, 상기 제1 바닥(1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1220)과, 상기 제1 측벽(1220)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원호형 또는 포물선 형태로 곡지게 포밍된 후크부(126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400)는 제2 바닥(1410)과, 상기 제2 바닥(14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측벽(1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닥(1410)의 저면 레벨은 상기 제1 바닥(1210)의 저면 레벨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1420, 1420)간 폭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1220, 1220)간 폭보다 일부 구간에서 더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1420, 1420) 각각의 상단은 상기 후크부(1260)보다 낮은 높이로 후크부 없이 형성된 절단면(142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절단면(142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편(1422)을 더 포함하며,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가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편(1422)은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제2 측벽(1420)의 전단(front end) 수직면에서 상기 절단면(1421)으로 경사지게 이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삽입 유도부(1423)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후크부(1260)는 상기 연결부(1400)와의 경계에 접촉 단부면(1262)을 구비하며, 일측 엠바(1000)와 타측 엠바(1000)와의 연결이 완료될 때, 일측 엠바(1000)의 상기 접촉 단부면(1262)이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바닥(1410)은 프레스에 의해 위로 눌려져 상기 제1 바닥(1210)보다 높게 함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1420, 1440) 간 폭은 프레스에 의해 안쪽으로 눌려져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1220, 1220) 간 폭보다 일정 구간에서 작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엠바들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포밍되어 부품수와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엠바들간 연결부가 나사못 체결을 방해하거나 또는 나사못 체결에 의해 원치 않게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어, 천장 패널 시공을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연결부 일체형 엠바가 구현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이점, 장점 및 효과는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추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되는 엠바들을 제1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되는 엠바들을 제2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바들을 결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바의 측면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바의 정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본 고안에 따른 엠바의 실물을 연결하는 과정을 차례로 보인 사진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고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공된다. 따라서 도면들 및 설명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바(1000)는 자체에 일체로 구비된 연결부(1400)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엠바(1000)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엠바(1000)를 천장 시공 현장에서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엠바(1000)는 금속판을 포밍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엠바(10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디부(1200)와 상기 바디부(120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200)는 일정 길이로 수평되게 연장된 바닥(1210)과 상기 바닥(1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거의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된 한 쌍의 측벽(1220)과, 상기 측벽(1220)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원호형 또는 포물선 형태로 곡지게 포밍된 후크부(1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1200)는 상기 바닥(1210)의 중앙을 따라 길게 형성된 "v" 형 직선홈(1212)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400)는, 바디부(1200)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엠바(1000)의 일측 단부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바닥(1410)과, 상기 바닥(14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된 한 쌍의 측벽(14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바닥(1410)의 중앙을 따라 길게 형성된 "v" 형 직선홈(1412)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400)는, 하나의 엠바(1000)를 이웃하는 다른 엠바(1000)에 결합할 때, 다른 엠바(1000)의 바디부(1200) 안쪽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자신의 바닥(1410) 저면 레벨이 상기 바디부(1200)의 바닥(1210) 저면 레벨보다 높게 형성되고, 자신의 양 측벽(1420, 1420) 폭이 바디부(1200)의 양 측벽 폭보다 일부 구간에서 더 좁게, 더 구체적으로는,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는 한 쌍의 측벽(1420, 1420) 상단에 상기 바디부(1200)의 후크부(1200)보다 낮은 높이로 후크부 없이 형성된 절단면(142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400)의 측벽(1420)은 바닥(1410)에서부터 절단면(1421)에 이르기까지 일정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절단면(1421)은 상기 후크부(1260)의 시작 높이와 같거나 그 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절단면(1421)에서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된 돌출편(1422)을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측벽(1420)의 전단(front end) 수직면에서 상기 절단면(1421)으로 경사지게 이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삽입 유도부(1423)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크부(1260)는 상기 연결부(1400)와의 경계에 접촉 단부면(1262)을 구비하며, 엠바를 연결할 때 하나의 엠바에 구비된 접촉 단부면(1262)이 다른 엠바에 구비된 후크부(126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1400)의 바닥(1410)은 프레스에 의해 위로 눌려져 상기 바디부(1200)의 바닥보다 위로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연결부(1400)의 바닥(1410) 저면 레벨은 상기 바디부(1200)의 저면 레벨보다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의 한 쌍의 측벽(1420) 또한 프레스에 의해 안쪽으로 눌려져 바디부(1200)의 한 쌍의 측벽(1220) 폭보다 적어도 일정 구간에서 작은 폭이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는 후크부가 절단 생략되어, 전술한 절단면(1421)과, 상기 절단면(142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편(1422)을 구비하게 된다.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를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에 삽입하여 두 엠바(1000, 1000)를 연결함에 있어서,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 바닥(141) 저면 레벨이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 바닥(1210) 저면 레벨보다 높게 위치하고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1420, 1420) 간 폭이 타측 엠바(100)의 바디부(1200)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1220, 1220) 간 폭보다 좁으며 또한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에 구비된 측벽(1420)은 상단이 후크부 없이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의 후크부(126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20)는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에 구비된 절단면(1421) 상에서 돌출된 돌출편(1422)이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 내로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진다. 한 쌍의 돌출편(1422)은 상기 후크부(1260)에 원활하게 삽입된 후 가이드되도록 서로 마주는 방향으로, 즉, 안쪽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가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일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에 구비된 접촉 단부면(1262)이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 단부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삽입 유도부(1423)는 상기 바디부(1200)에 대해 삽입이 시작되는 연결부(1400)의 전단측 높이를 상기 바디부(1200)의 높이 대비 최소화하는 한편 경사면에 의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게 하여 바디부(1200)에 대한 연결부(14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바디부(1200)의 직선홈(1212)은 천정 패널 설치시 나사못 체결 위치를 정의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0)의 직선홈(1412)과 상기 바디부(1200)의 직선홈(1212)은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를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에 삽입할 때 상호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추가로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여 엠바를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엠바(1000)를 경사지게 기울여, 그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200) 전단에 구비된 삽입 유도부(1423)를 타측 엠바(100)의 바디부(1200) 측에 경사지게 끼운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엠바(1000)와 타측 엠바(1000)가 수평이 되게 한 후,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를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1200)에 삽입한다. 이때,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의 절단면(1421)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편(1422)이 타측 앰바(1000)의 후크부(1260) 내로 가이드된다. 또한, 돌출편(1422)이 후크부(1260)의 내측 상면에 접하므로 유격 또한 없어진다. 연결부(1400)의 삽입을 더 진행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엠바(1000)의 연결부(1400) 부근에 위치한 후크부(1260)의 접촉 단부면(1262)이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와 접하고, 이에 의해, 두 엠바(1000, 1000) 간 연결이 완료된다.
1000: 엠바 1200: 바디부
1260: 후크부 1400: 연결부
1421: 절단면 1422: 돌출편
1423: 삽입 유도부

Claims (5)

  1. 금속판을 포밍하여 형성되는 엠바로서,
    바디부(1200); 및
    상기 바디부(120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타측 엠바(1000)의 바디부 내로 삽입되는 연결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200)는 일정 길이로 수평되게 연장된 제1 바닥(1210)과, 상기 제1 바닥(1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벽(1220)과, 상기 제1 측벽(1220)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해 원호형 또는 포물선 형태로 곡지게 포밍된 후크부(126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400)는 프레스에 의해 위로 눌려져 저면 레벨이 상기 제1 바닥(1210)의 저면 레벨보다 항상 높게 형성되는 제2 바닥(1410)과, 상기 제2 바닥(1410)의 양측 가장자리 전체 길이에 걸쳐 분리됨 없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측벽(1420)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1420, 1420)간 폭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1220, 1220)간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1420, 1420) 각각의 상단은 상기 후크부(1260)보다 낮은 높이로 후크부 없이 형성된 절단면(1421)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절단면(142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돌출편(1422)을 더 포함하며, 일측 엠바(1000)의 상기 연결부(1400)가 타측 엠바(1000)의 상기 바디부(12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돌출편(1422)은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연결부(1400)가 상기 바디부(1200) 내로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제2 바닥(1410)의 저면 레벨 높이와 상기 기 한 쌍의 제1 측벽(1220, 1220)간 폭은 상기 연결부(1400)가 상기 바디부(1200) 내로 삽입되기 전과 항상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00)는 상기 제2 측벽(1420)의 전단(front end) 수직면에서 상기 절단면(1421)으로 경사지게 이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삽입 유도부(14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1260)는 상기 연결부(1400)와의 경계에 접촉 단부면(1262)을 구비하며, 일측 엠바(1000)와 타측 엠바(1000)와의 연결이 완료될 때, 일측 엠바(1000)의 상기 접촉 단부면(1262)이 타측 엠바(1000)의 후크부(1260)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바.
  5. 삭제
KR2020160001436U 2016-03-17 2016-03-17 연결부 일체형 엠바 KR200485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36U KR200485982Y1 (ko) 2016-03-17 2016-03-17 연결부 일체형 엠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436U KR200485982Y1 (ko) 2016-03-17 2016-03-17 연결부 일체형 엠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31U KR20170003331U (ko) 2017-09-27
KR200485982Y1 true KR200485982Y1 (ko) 2018-03-19

Family

ID=6057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36U KR200485982Y1 (ko) 2016-03-17 2016-03-17 연결부 일체형 엠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82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597B1 (ko) 1994-10-28 1997-10-27 우덕창 그린 케이크 폐기물의 파쇄방법 및 그 장치
JPH11190092A (ja) * 1997-12-26 1999-07-13 Sanyo Industries Ltd 天井野縁の連結具
US20060283130A1 (en) * 2005-06-07 2006-12-21 William Andrews Structural members with gripping features and joining arrangements therefor
KR101221964B1 (ko) * 2011-01-20 2013-01-16 김진만 엠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31U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5446B2 (en) Mounting bracket with far side support
US7923635B2 (en) Mounting bracket with far side support
US9300119B2 (en) Universal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boxes in concrete block walls
JP2007022299A (ja) 自動車用フロアマットの固定具
CA2898911C (en) Clip for perimeter trim
KR200485982Y1 (ko) 연결부 일체형 엠바
US6715625B2 (en) Lancing as a position locator in an electrical outlet box
KR102015503B1 (ko) 엠바 브라켓
KR20120084449A (ko) 엠바 조립체
JP2012235575A (ja) プロテクタ
KR200484266Y1 (ko) 클립장치
JPH0645532Y2 (ja) 野縁の取付金具
JP2016125256A (ja) ユニットルーム構成部材に対し被取付物を取り付ける取付具および取付構造
JP5863544B2 (ja) 配線器具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の設置方法
JP2011159507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515576Y2 (ja) 竪樋控え具
KR200254300Y1 (ko) 매입등 테두리커버용 형재
JP3276348B2 (ja) 天井板取付金具
KR200486135Y1 (ko) 클립장치
US20040017084A1 (en) Pipe fitting
KR20110027465A (ko) 탄성고정형 패널
JP2006034824A (ja) 転倒防止具
KR101862014B1 (ko) 개선된 테이블 고정구
KR101883990B1 (ko) 가구용 판재 지지대
KR20180034907A (ko) 천정마감재 고정용 곡면엠바 및 이를 포함하는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