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79Y1 - 타공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타공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79Y1
KR200485879Y1 KR2020150005218U KR20150005218U KR200485879Y1 KR 200485879 Y1 KR200485879 Y1 KR 200485879Y1 KR 2020150005218 U KR2020150005218 U KR 2020150005218U KR 20150005218 U KR20150005218 U KR 20150005218U KR 200485879 Y1 KR200485879 Y1 KR 200485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utting
handle
presen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78U (ko
Inventor
박성원
김윤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진테크
Priority to KR2020150005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7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23D49/105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saw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3D59/006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removing or collect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덕트를 외부에서 절개하여 타공시에 커팅도구를 안내하고 절개된 파편을 손쉽게 수거하는 타공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는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타공가이드가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반원형 타공가이드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며 절개부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측벽의 상단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 및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공 보조 장치 {Assistant apparatus for circle cutting}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덕트를 외부에서 절개하여 타공시에 커팅도구를 안내하고 절개된 파편을 손쉽게 수거하는 타공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풍, 환기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덕트(duct)는 공기가 흐르는 경우 풍도라고도 한다.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지만, 때로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도 있다.
이러한 덕트는 반도체의 생산시설에서도 주요한 설비로 사용되고 있으며, 클린룸을 일정한 컨디션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꾸준한 관리 및 점검도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반도체 생산공정 뿐만 아니라 기체의 순환을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지니고 형성되는 덕트는 각종 생산시설 및 건축물에 두루 설치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덕트 내부의 점검 또는 보수를 위하여 외측에서 절개하여 타공하는 작업의 수행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드릴머신, 회전톱과 같은 커팅도구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덕트의 외측둘레에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절개를 하게 된다.
보통 아연철판제가 많이 쓰이는 덕트의 특성상 커팅도구로 외측에서 절개를 할 때에 절개된 부분이 덕트의 내측으로 휘어져 인입되므로 절개된 파편을 수거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날카로운 절개부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타공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커팅도구만을 사용하여 수행할 경우 절개되어 타공되는 타공부의 모양이 일정치 못하다는 단점 또한 지니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417호 '원형구멍 천공기'에서는 드릴타공시에 발생되는 파편 및 비산먼지를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를 샤프트에 결합하여 타공작업을 보조하는 장치에 대하여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드릴타공작업에 국한되어 있는 기술로 타공구가 크게 절개되는 덕트 타공시에는 적용할 수 없었고, 파편이 절개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팅도구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여 타공작업을 손쉽게하고 절개된 파편을 타공작업과 함께 바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날카로운 절개부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 타공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는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타공가이드가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반원형 타공가이드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며 절개부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측벽의 상단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 및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타공가이드는 부분적으로 직선으로 곧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타공가이드를 따라 길이계측이 가능하도록 계측눈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탑플레이트는 상하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환공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 및 손잡이의 내측공간에서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버튼의 동작에 따라 승강하는 고정쇠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에 통로를 지닌 덕트를 외측에서 절개하여 타공구를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커팅도구를 지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원형 또는 직선형의 타공가이드를 제공함으로 깔끔한 절개 타공구를 얻을 수 있고, 절개된 덕트의 파편이 덕트 내부로 들어가 유실되거나 대부분 고소에 설치되는 덕트에서 떨어지는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며, 타공작업과 동시에 파편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카로운 절개부가 작업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절개된 파편을 내측공간에서 파지할 수 있는 고정쇠를 제공함으로 덕트의 타공작업을 조력하여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환공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고정쇠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고정쇠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구성을 크게 구분하여 보면,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타공가이드(110)가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00),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반원형 타공가이드(110)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300),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210)가 구비되며 절개부(210)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기 측벽(300)의 상단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200) 및 탑플레이트(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손잡이(400)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편평한 판상의 부재이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타공가이드(110)의 끝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타공가이드(1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한변이 반원형 또는 반원형에 일정구간만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커팅도구(10)를 사용하여 덕트를 절개시 타공가이드(110)를 따라 커팅날을 이동시킴으로 깔끔한 타공구의 형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커팅도구(10)가 절개를 위하여 덕트 외측에서 이동하게 되는 경로를 타공가이드(110)의 반원형 외측둘레 또는 일정구간 직선으로 형성된 외측둘레를 사용하여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다 정밀하거나 정확한 계측을 하여 절개를 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위하여 타공가이드(110)의 반원형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끝단에 길이 계측을 할 수 있도록 인치(inch) 또는 센티미터(cm)를 표기한다.
탑플레이트(2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수평을 유지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공가이드(110)와 대응되는 위치의 변이 반원형상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있는 형상을 띄게 된다.
절개부(210)는 탑플레이트(200)의 반원형상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탑플레이트(200)의 사이 공간으로 절개된 파편이 수용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절개된 파편의 인출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환공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환공(220)은 탑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는 통공으로 그 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갑을 착용한 작업자의 손가락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다.
환공(220)은 탑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절개부(210)만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탑플레이트(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수용되는 절개 파편(20)을 인출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어,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편(20)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커팅도구(10)를 사용하여 절개 타공작업시에 절개중인 파편(20)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 내측에서 작업자의 손으로 눌러 고정해가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다.
측벽(300)은 상술하였던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탑플레이트(200)의 삼면을 연결하는 벽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타공가이드(110)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탑플레이트(200)의 절개부(210)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그 상단이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고정쇠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고정쇠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손잡이(400)는 탑플레이트(200)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조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는 손잡이(4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420)이 구비되고, 이 버튼(420)은 손잡이(400)의 내측공간에서 탄성부재(43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받고 있는 고정쇠(410)와 연결된다.
고정쇠(410)는 손잡이(400)의 내측공간에서 탄성부재(430)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있게 되는데, 버튼(420)을 작업자가 누름으로 상부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받으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버튼(420)을 누름으로 고정쇠(4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탑플레이트(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하강하게 되고 고정쇠(410)의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과 닿게된다.
버튼(420)을 누르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복귀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탑플레이트(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부터 고정쇠(410)가 제거된다.
이는 타공작업중 고정쇠(410)를 하강시켜 절개된 파편(2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절개 타공작업이 진행중 일부만 절개된 상태의 파편(20)을 고정쇠(410)를 사용하여 파지함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휘도록 하거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가 타공작업부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탑플레이트(200) 및 측벽(300)이 타공대상물인 덕트를 형성하는 재질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각각의 구성이 용접가공을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재질 및 가공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하여 타공구를 형성하기 위한 덕트의 외측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를 한손으로 파지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0)의 넓직한 아랫면이 덕트에 면접하도록 위치시킨후 커팅도구(10)를 타공가이드(110)를 따라 이동시키며 절개를 수행한다.
덕트의 절개된 틈으로 타공가이드(110)를 밀어 넣어 절개가 진행중인 덕트의 파편(20)이 베이스플레이트(100)와 탑플레이트(200)의 사이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절개작업을 진행한다.
상황에 맞게 환공(220) 또는 고정쇠(410)를 활용하여 절개된 파편(20)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보조 장치 내에서 파지하여 고정하거나 놓아가며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절개가 완료되어 덕트에서 분리된 파편(20)은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탑플레이트(2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회수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커팅도구 20 : 파편
100 : 베이스플레이트 110 : 타공가이드
200 : 탑플레이트 210 : 절개부
220 : 환공 300 : 측벽
400 : 손잡이 410 : 고정쇠
420 : 버튼 430 : 탄성부재

Claims (5)

  1. 내측에 통로를 지닌 덕트를 외측에서 절개하여 타공구를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커팅도구를 타공작업을 가이드하고 절개된 파편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날카로운 절개부에 작업자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타공 보조 장치에 있어서,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타공가이드가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반원형 타공가이드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
    얇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반원형으로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구비되며 절개부를 제외한 세 개의 변에서 상기 측벽의 상단과 결합되는 탑플레이트; 및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탑플레이트는,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편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하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환공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 및
    상기 손잡이의 내측공간에서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승강하는 고정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가이드는 부분적으로 직선으로 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보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가이드를 따라 길이계측이 가능하도록 계측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보조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5218U 2015-08-04 2015-08-04 타공 보조 장치 KR200485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18U KR200485879Y1 (ko) 2015-08-04 2015-08-04 타공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18U KR200485879Y1 (ko) 2015-08-04 2015-08-04 타공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78U KR20170000578U (ko) 2017-02-14
KR200485879Y1 true KR200485879Y1 (ko) 2018-03-08

Family

ID=5840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218U KR200485879Y1 (ko) 2015-08-04 2015-08-04 타공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7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45Y1 (ko) 2004-03-31 2004-08-21 오명환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KR200408268Y1 (ko) * 2005-11-30 2006-02-07 오명환 드릴가이드가 구비된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KR100840141B1 (ko) * 2007-02-01 2008-06-20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655A (ja) * 1995-08-28 1997-03-04 Hirotoshi Sato ごみ捨て口付ちり取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45Y1 (ko) 2004-03-31 2004-08-21 오명환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KR200408268Y1 (ko) * 2005-11-30 2006-02-07 오명환 드릴가이드가 구비된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KR100840141B1 (ko) * 2007-02-01 2008-06-20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78U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723B2 (ja) 媒体切断装置
US8365378B1 (en) Molding removal tool assembly
EP3608046B1 (en) Hole cutter with axially-elongated aperture defining multiple fulcrums
US20140271004A1 (en) Drilling safety system
US20180194019A1 (en) Shingle cutting tool
KR200485879Y1 (ko) 타공 보조 장치
EP3375276A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KR101908641B1 (ko) 포터블형 오픈함 펀칭장치
JP6941843B2 (ja) 屋根材切断装置
KR20180001926U (ko) 커팅툴
US10702957B2 (en) Cutting system
US4891887A (en) Hand held drill drive
JP3136657U (ja) 釘抜き装置
US10667666B2 (en) Device for catching debris from countertop
US1491614A (en) Fabric-cutting knife
US10105025B2 (en) Dust mitigation device for manual saw
KR200337207Y1 (ko) 커터칼
JP2019077010A (ja) 面取り工具
JP6429425B1 (ja) 容器解体器具
JP3111679U (ja) 折板屋根における屋根板の孔開け器具
JP6560048B2 (ja) 貫通孔加工装置、穿孔具及び加工済板材の製造方法
US2833036A (en) Combination sheath and tool holder for knife blade
JP2023149335A (ja) レール切断工具
JP3131133U (ja) 石綿含有屋根材の止め釘の抜き具
US850292A (en) Ice-s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