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67Y1 -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 Google Patents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67Y1
KR200485567Y1 KR2020170004821U KR20170004821U KR200485567Y1 KR 200485567 Y1 KR200485567 Y1 KR 200485567Y1 KR 2020170004821 U KR2020170004821 U KR 2020170004821U KR 20170004821 U KR20170004821 U KR 20170004821U KR 200485567 Y1 KR200485567 Y1 KR 200485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ther
bar
buoy
lo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Original Assignee
박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영 filed Critical 박수영
Priority to KR2020170004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양식장의 양식 생물이 매달린 양쪽의 어미줄을 끌어당겨 어미줄마다 고정되는 부표를 용이하게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양식장의 내부에 배치된 양쪽의 어미줄을 동시에 끌어당길 수 있고, 2 개의 어미줄을 수면 위로 끌어당길 때에 어미줄이 끌어당겨지는 방향을 안내할 수 있으며, 이미 부표가 배치된 어미줄을 수면 위로 끌어당길 때에 부표의 연결줄을 이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CONTINUITY DRIVE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FISH FARM BUOY}
본 고안은 양식장 내부의 닻줄에 연결된 한 쌍의 어미줄을 끌어당겨 부표를 매달기 위한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장은 바다나 강에 김, 어패류 등을 양식하는 장소를 말한다. 이러한 양식장에는 배가 들어가서 조업을 하거나 수상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도록 부표가 설치된다.
부표는 양식장의 경계 구역을 표시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양식장 내부에 양식되는 굴 등의 양식 생물이 양식장의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양식장 내부의 어미줄에 고정되어 양식 생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부표는 양식장 내부에 양식 생물을 매달고 있는 2 개의 어미줄 각각에 양측이 고정됨으로써, 양식 생물이 수면 아래에서 더 나아가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어미줄이란 양식장의 해저면에 고정된 닻줄과 연결되고, 일정 간격마다 부표가 매달려 해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
종래에는 양식장의 쌍줄부표를 배치하기 위해 작업자들이 선박을 타고 수작업으로 두 줄을 동시에 갈고리를 던져서 높은 지지대에 도르래를 거쳐서 원치로 잡아올려서 부표를 매단다. 그러나 종래의 부표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은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기는 했지만, 150여 미터 거리를 이동하며 수십차례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반복해야한다. 또한 양식장은 어미줄이 수십에서 수백 개 정도로 작업량이 광대하다. 즉, 양식장은 광활한 면적에 비례하여 작업량도 방대하였기 때문에 부표 설치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오직 도르래 장치에 의존한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했다.
더욱이 종래의 부표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은 어미줄에 매달린 양식 생물의 무게가 증가할 경우, 추가적인 부표를 배치하기 위해 이미 부표가 설치된 무거운 어미줄을 손수 끌어당겨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서 양식 생물은 양식 어업 초기에 부표가 어미줄에 촘촘히 배치될 경우, 촘촘히 배치된 부표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미 부표가 배치된 어미줄에 양식 생물의 무게가 증가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부표를 배치하는 작업은 양식 어업에 있어 중요한 작업으로 꼽힌다.
아울러 종래에는 부표와 양식 생물을 매달고 있는 어미줄을 끌어당기기 위해 일명 유압 사바퀴라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종래의 유압 사바퀴는 선박의 일측에 위치한 회전체가 유압에 의해 회전운동함으로써 어미줄을 끌어당겼다. 그러나 종래의 유압 사바퀴는 한 번에 단 하나의 어미줄만을 끌어당길 수밖에 없었으므로 부표의 양측 각각이 고정된 양쪽의 어미줄을 동시에 끌어당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76650호(공고일자 2016년11월16일)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58757호(공고일자 2006년03월10일)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식장의 양식 생물이 매달린 양쪽의 어미줄을 끌어당겨 어미줄마다 고정되는 부표를 용이하게 매달기 위한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프레임, 제 1 및 제 2 가이드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선박의 일측에 일부가 고정되어 수면의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한다. 제 1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연결끈에 의해 부표의 일측에 매달린 어미줄을 지지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제 2 가이드는 상기 제 1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다른 연결끈에 의해 상기 부표의 타측에 매달린 다른 어미줄을 지지하여 상기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구동부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가 상기 안내 방향에 따라 회전운동하도록 구동 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어미줄 및 상기 다른 어미줄 각각이 서로 이격되게 끌어당긴다.
제 3 가이드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가 마주보는 사이 공간에서 상기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어미줄 및 상기 다른 어미줄이 상기 안내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연결끈 및 상기 다른 연결끈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프레임은 고정축, 상단바아, 제 1 내지 제 3 연결바아를 포함한다. 고정축은 하부가 상기 선박의 바닥면과 측면에 고정된다. 상단바아는 상기 고정축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에 연장된다. 제 1 연결바아는 상기 상단바아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상단바아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를 지지하여 상기 제 1 가이드가 상기 상단바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한다. 제 2 연결바아는 상기 제 1 연결바아와 나란히 상기 상단바아의 타측에 연장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를 지지하여 상기 제 2 가이드가 상기 상단바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한다. 제 3 연결바아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연결바아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연결바아 각각에 연장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를 지지하여 상기 제 3 가이드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의 마주보는 사이 공간에서 상기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고정축은 제 1 및 제 2 플랜지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는 상기 고정축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축이 상기 선박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제 2 플랜지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축이 상기 선박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선박의 내외측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는 제 1 지지대, 제 1 사바퀴 및 제 1 회전체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대는 상기 제 1 연결바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전달 모듈이 중간에 위치하며, 양측에 제 1 회전축이 형성된다. 제 1 사바퀴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전달 모듈로부터 상기 구동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어미줄을 끌어당긴다. 제 1 회전체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사바퀴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어미줄이 상기 다른 어미줄과 이격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어미줄이 이동하는 상기 안내 방향을 유도한다.
상기 제 1 사바퀴는 제 1 원형돌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원형돌기는 상기 제 1 사바퀴의 외주연에 톱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어미줄에 연결된 상기 연결끈을 상기 안내 방향으로 밀어넘긴다.
상기 제 1 가이드는 제 1 끼임방지부를 포함한다. 제 1 끼임방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사바퀴의 일측과 타측을 감싼다.
상기 제 3 가이드는 제 3 지지대 및 제 3 회전체를 포함한다. 제 3 지지대는 상기 제 3 연결바아의 하부에 연결되고, 양측에 제 2 회전축이 형성된다. 제 3 회전체는 상기 제 3 지지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사바퀴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어미줄이 상기 다른 어미줄과 이격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어미줄이 이동하는 상기 안내 방향을 유도한다.
상기 제 3 가이드는 이격유도부를 포함한다. 이격유도부는 상기 제 3 지지대의 하부에서 상기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연결끈 및 상기 다른 연결끈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3 연결바아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연결바아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이드가 상기 상단바아 및 상기 수면 사이의 공간만큼 오르내리도록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양식장의 내부에 배치된 양쪽의 어미줄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양쪽의 어미줄 각각에 부표를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2 개의 어미줄을 수면 위로 연속해서 끌어당길 때에 제 1 내지 제 3 회전체를 제 1 내지 제 3 가이드 각각에 설치하여 어미줄이 끌어당겨지는 방향을 안내함으로써, 수면 위로 끌어당겨지는 2 개의 어미줄이 상호 엉키거나 어미줄에 연결되어 양식 생물을 매달고 있는 양성줄의 매듭이 어미줄에서 서로 밀려 뭉치는 현상을 해결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이미 부표가 배치된 어미줄을 수면 위로 연속해서 끌어당길 때에 제 3 가이드의 양쪽에 제 3 회전체를 설치하여 어미줄과 연결된 부표의 연결줄을 양쪽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어미줄에 매달린 양식 생물의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이미 부표가 배치된 어미줄에 추가적인 부표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3 연결바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3 가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제 1 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제 2 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제 3 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가 선박의 내외측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가 2 개의 어미줄을 끌어당기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양식장의 양식 생물이 매달린 양쪽의 어미줄을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어미줄마다 고정되는 부표를 용이하게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방향이란 어미줄이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양쪽의 어미줄은 양식장의 해저면에 고정된 닻줄과 연결된 줄로써, 각각의 연결끈에 의해 부표의 양측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양식 어업 초기에 이미 다수의 부표 각각이 배치된 2 개의 어미줄을 한 번에 끌어당길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프레임(100), 제 1 가이드(200), 제 2 가이드(300), 제 3 가이드(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00)은 선박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바닥면과 측면 각각에 일부가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100)은 선박에 고정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수면의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제 1 가이드(200), 제 2 가이드(300) 및 제 3 가이드(400)가 선박의 외부 공간인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고정축(110), 상단바아(120), 제 1 연결바아(130), 제 2 연결바아(140) 및 제 3 연결바아(150)를 포함한다.
고정축(110)은 프레임(100)이 선박에 고정되도록 하부가 선박의 바닥면과 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축(110)은 제 1 플랜지(111)와 제 2 플랜지(112)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111)는 고정축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고정축(110)이 선박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제 2 플랜지(112)는 제 1 플랜지(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정축(110)이 선박의 바닥면과 더불어 선박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즉, 제 1 플랜지(111) 및 제 2 플랜지(112) 각각은 선박의 바닥면과 축면 난간에 고정되어 고정축(110)을 지지함으로써, 프레임(100)의 일부가 선박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단바아(120)는 고정축(110)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축(110)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단바아(120)는 선박에 고정된 프레임(100)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선박의 일측에 위치하여 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연결바아(130)는 상단바아(120)와 수직 방향으로 상단바아(12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 1 연결바아(13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축(110)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제 1 가이드(200)가 상단바아(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연결바아(140)는 제 1 연결바아(130)와 나란히 위치하여 상단바아(120)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 2 연결바아(140) 또한 제 1 연결바아(130)와 마찬가지로, 고정축(110)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제 2 가이드(300)가 상단바아(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연결바아(150)는 제 1 연결바아(130) 및 제 2 연결바아(140)와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여 제 1 연결바아(130) 및 제 2 연결바아(140) 각각에 양측이 연장 형성된다. 제 3 연결바아(150)는 제 3 가이드(400)를 지지하여 제 3 가이드(400)가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의 마주보는 공간 사이에서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도록 연결한다. 여기서 안내 방향의 일측이란 수면 아래에 있던 어미줄이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에 의해 끌어당겨지기 전의 위치를 의미하고, 반대로 안내 방향의 타측이란 수면 아래에서부터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에 의해 끌어당겨진 어미줄이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를 통과하여 다시 수면 아래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 3 연결바아(150)는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가 마주보는 일직선상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에 제 3 가이드(40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구동부(500)에 대해 먼저 설명한 뒤, 제 1 연결바아(130) 내지 제 3 연결바아(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을 후술한다.
구동부(5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가 양쪽의 어미줄을 안내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동 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써, 작업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고정축(110)과 제 1 연결바아(1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연결바아(130), 제 2 연결바아(140) 및 제 3 연결바아(15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3 연결바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바아(130), 제 2 연결바아(140) 및 제 3 연결바아(150) 각각은 제 1 고정대(131), 제 2 고정대(141) 및 제 3 고정대(15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연결바아(130)의 일측에는 제 1 고정대(131)가 형성되고, 제 2 연결바아(140)의 일측에는 제 2 고정대(141)가 형성되며, 제 3 연결바아(150)의 양측에는 제 3 고정대(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연결바아(150)의 양측에 형성된 제 3 고정대(151)는 제 1 고정대(131) 및 제 2 고정대(141)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 및 너트 결합되어 제 3 가이드(400)가 상단바아(120) 및 수면 사이의 공간, 바람직하게는 상단바아(120) 및 어미줄 사이의 공간만큼 오르내리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가이드(200), 제 2 가이드(300) 및 제 3 가이드(400)가 위치한 지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제 1 내지 제 3 가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가이드(200), 제 2 가이드(300) 및 제 3 가이드(400) 각각은 제 1 연결바아(130), 제 2 연결바아(140) 및 제 3 연결바아(150) 각각에 연결된다. 먼저, 제 1 가이드(200)와 제 2 가이드(300)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예컨대 2 개의 어미줄 각각을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한편, 제 3 가이드(400)는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가 마주보는 사이 공간에서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양쪽의 어미줄을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가이드(200), 제 2 가이드(300) 및 제 3 가이드(4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고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제 1 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제 2 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제 3 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가이드(200)는 프레임(100)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한다. 또한 제 1 가이드(200)는 연결끈에 의해 부표의 일측에 매달린 어미줄을 지지하여 추가로 다른 부표를 배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위치한 안내 방향으로 어미줄을 끌어당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가이드(200)는 제 1 지지대(210), 제 1 사바퀴(220), 제 1 회전체(230) 및 제 1 끼임방지부(240)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대(210)는 제 1 사바퀴(220), 제 1 회전체(230) 및 제 1 끼임방지부(240)를 지지하기 위한 틀로써, 도 1에 나타낸 제 1 연결바아(130)의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지지대(210)는 도 1의 구동부(500)가 발생시키는 구동 압력을 제 1 사바퀴(220)로 전달하는 압력 전달 모듈(미도시 됨)이 중간에 위치한다. 뿐만 아니라 제 1 지지대(210)는 양측에 제 1 회전축(미도시 됨)이 형성된다.
제 1 사바퀴(220)는 제 1 지지대(210)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압력 전달 모듈(미도시 됨)로부터 구동 압력을 전달받아 안내 방향으로 회전하여 어미줄을 끌어당길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바퀴(22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 2 개의 원형톱이 맞붙은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둘레면에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사바퀴(220)는 구동 압력에 의해 안내 방향으로 회전할 때,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틈으로 어미줄이 지지되도록 하여 어미줄을 회전하는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러한 제 1 사바퀴(220)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제 1 원형돌기(221)가 형성된다. 제 1 원형돌기(221)는 단부가 무딘 톱날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원형돌기(221)는 어미줄이 제 1 사바퀴(220)를 따라 안내 방향으로 이동될 때, 어미줄에 연결된 연결끈을 안내 방향으로 밀어넘길 수 있다. 따라서 제 1 원형돌기(221)는 어미줄과 매듭지어진 연결끈이 제 1 사바퀴(220)의 안내 방향을 따라 어미줄과 함께 이동될 때, 매듭 사이 공간이 풀어져 안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회전체(230)는 2 개로 구비되어 제 1 지지대(210)의 양측 지점, 즉 제 1 사바퀴(220)의 양측 방향에 위치하고, 2 개의 제 1 회전체(230) 각각이 제 1 회전축(미도시 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 1 회전체(230)는 제 1 사바퀴(2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어미줄이 제 2 가이드(30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어미줄과 서로 이격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어미줄이 이동하는 안내 방향을 유도한다. 즉, 제 1 회전체(230)는 제 1 회전축(미도시 됨)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를테면 롤러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어미줄과의 미끄럼마찰을 회전마찰로 바꾸어, 제 1 사바퀴(2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어미줄이 안내 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제 1 끼임방지부(240)는 제 1 지지대(2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 1 사바퀴(220)의 일측과 타측을 감싼다. 즉, 제 1 끼임방지부(240)는 제 1 사바퀴(220)가 어미줄을 끌어당기는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1 사바퀴(2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어미줄이 제 1 사바퀴(220) 벗어나 제 1 가이드(200)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에라도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어미줄에 연결되어 양식 생물이 보관된 양성줄이 제 1 사바퀴(220)의 외측으로 벗어나 제 1 사바퀴(220)에 감기지 않고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어 도 6을 참조하면, 제 2 가이드(300)는 프레임(100)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한다. 또한 제 2 가이드(300)는 다른 연결끈에 의해 부표의 타측에 매달린 다른 어미줄을 지지하여 다른 어미줄을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이드(300)는 제 1 가이드(200)와 더불어 부표의 양쪽에 매달린 각각의 어미줄을 함께 끌어당길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나타낸 제 2 가이드(300)의 제 2 지지대(310), 제 2 원형돌기(321)가 포함된 제 2 사바퀴(320), 제 2 회전체(330) 및 제 2 끼임방지부(340) 각각은 도 5에 설명한 제 1 가이드(200)의 제 1 지지대(210), 제 1 사바퀴(220), 제 1 회전체(230) 및 제 1 끼임방지부(240) 각각에 대응되므로, 제 2 가이드(30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 1 가이드(2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만, 제 2 가이드(300)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양쪽의 어미줄 각각을 서로 이격되게 끌어당길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제 3 가이드(400)는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가 마주보는 사이 공간에서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가이드(400)는 양쪽의 어미줄 각각이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 각각을 통과하여 안내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뿐만 아니라 제 3 가이드(400)는 양쪽의 양쪽의 어미줄 각각에 매달린 2 개의 연결끈이 양쪽의 어미줄이 벌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 3 가이드(400)는 제 3 지지대(410), 제 3 회전체(420) 및 이격유도부(430)를 포함한다.
제 3 지지대(410)는 제 3 회전체(420)와 이격유도부(430)를 지지하기 위한 틀로써, 도 1에 나타낸 제 3 연결바아(150)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3 지지대(410)는 양측에 제 2 제 2 회전축(미도시 됨)이 형성된다.
제 3 회전체(420)는 2 개로 구비되어 제 3 지지대(410)의 양측 지점에 위치하고, 2 개의 제 3 회전체(420) 각각이 제 2 회전축(미도시 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 3 회전체(420)는 제 1 사바퀴(220) 및 제 2 사바퀴(3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양쪽의 어미줄이 서로 이격되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어미줄이 이동하는 안내 방향을 유도한다. 즉, 제 3 회전체(420)는 제 1 회전체(230)와 마찬가지로, 제 2 회전축(미도시 됨)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를테면 롤러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양쪽에 위치한 어미줄과의 미끄럼마찰을 회전마찰로 바꾸어, 제 1 사바퀴(220) 및 제 2 사바퀴(3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양쪽의 어미줄이 안내 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하게끔 할 수 있다.
이격유도부(430)는 제 3 지지대(410)의 하부에서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이격유도부(430)는 단부가 수면의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쪽의 어미줄 각각에 매달린 연결끈 및 다른 연결끈이 상호 이격되어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이격유도부(430)는 양쪽의 어미줄에 연결된 연결끈 및 다른 연결끈이 제 3 회전체(420)를 지나기 전에 제 3 가이드(400)의 아래로 밀어내림으로써, 어미줄과 부표를 연결시키는 2 개의 연결끈 각각이 제 3 회전체(420)에 걸리지 않고 양쪽의 어미줄을 따라 나란히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가 선박의 내외측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고정축(110)이 제 1 플랜지(111) 및 제 2 플랜지(112)에 의해 지지되어 선박의 내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고정축(110)은 선박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고정축(미도시 됨)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선박의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하여 제 1 플랜지(111)에 의해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고정축(미도시 됨)은 고정축(110)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양쪽의 어미줄에 추가로 다른 부표를 배치하거나 양쪽의 어미줄에 다른 부표를 추가로 배치하는 작업이 완료된 각각의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를 선박의 외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가 2 개의 어미줄을 끌어당기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르르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도 1에 나타낸 제 1 가이드(200)와 제 2 가이드(300)로 구동부(500)의 구동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520)가 구동부(500),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 각각에 연결된다. 이때 구동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는 구동 레버(51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는 구동부(500)로부터 구동 압력을 전달받은 제 1 가이드(200) 및 제 2 가이드(300) 각각에 의해 2 개의 어미줄을 화살표와 같은 안내 방향(C)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압력은 예를 들어, 선박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이 있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프레임
110 : 고정축
111 : 제 1 플랜지
112 : 제 2 플랜지
120 : 상단바아
130 : 제 1 연결바아
131 : 제 1 고정대
140 : 제 2 연결바아
141 : 제 2 고정대
150 : 제 3 연결바아
151 : 제 3 고정대
200 : 제 1 가이드
210 : 제 1 지지대
220 : 제 1 사바퀴
221 : 제 1 원형돌기
230 : 제 1 회전체
240 : 제 1 끼임방지부
300 : 제 2 가이드
310 : 제 2 지지대
320 : 제 2 사바퀴
321 : 제 2 원형돌기
330 : 제 2 회전체
340 : 제 2 끼임방지부
400 : 제 3 가이드
410 : 제 3 지지대
420 : 제 3 회전체
430 : 이격유도부
500 : 구동부
510 : 구동 레버
520 : 유압 실린더
C : 안내 방향

Claims (10)

  1. 선박의 일측에 일부가 고정되어 수면의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연결끈에 의해 부표의 일측에 매달린 어미줄을 지지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제 1 가이드;
    상기 제 1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다른 연결끈에 의해 상기 부표의 타측에 매달린 다른 어미줄을 지지하여 상기 안내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상기 제 2 가이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가 상기 안내 방향에 따라 회전운동하도록 구동 압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가 마주보는 사이 공간에서 상기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어미줄 및 상기 다른 어미줄이 상기 안내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연결끈 및 상기 다른 연결끈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제 3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는 상기 어미줄 및 상기 다른 어미줄 각각이 서로 이격되게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프레임은,
    하부가 상기 선박의 바닥면과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에 연장되는 상단바아;
    상기 상단바아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상단바아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를 지지하여 상기 제 1 가이드가 상기 상단바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제 1 연결바아;
    상기 제 1 연결바아와 나란히 상기 상단바아의 타측에 연장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를 지지하여 상기 제 2 가이드가 상기 상단바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제 2 연결바아;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연결바아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연결바아 각각에 연장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를 지지하여 상기 제 3 가이드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가이드의 마주보는 사이 공간에서 상기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제 3 연결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고정축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축이 상기 선박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1 플랜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축이 상기 선박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선박의 내외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제 1 연결바아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가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전달 모듈이 중간에 위치하며, 양측에 제 1 회전축이 형성된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압력 전달 모듈로부터 상기 구동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어미줄을 끌어당기는 제 1 사바퀴; 및
    상기 제 1 지지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사바퀴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어미줄이 상기 다른 어미줄과 이격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어미줄이 이동하는 상기 안내 방향을 유도하는 제 1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바퀴는,
    상기 제 1 사바퀴의 외주연에 톱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어미줄에 연결된 상기 연결끈을 상기 안내 방향으로 밀어넘기는 복수의 제 1 원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제 1 지지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사바퀴의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제 1 끼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는,
    상기 제 3 연결바아의 하부에 연결되고, 양측에 제 2 회전축이 형성된 제 3 지지대; 및
    상기 제 3 지지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사바퀴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어미줄이 상기 다른 어미줄과 이격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어미줄이 이동하는 상기 안내 방향을 유도하는 제 3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는,
    상기 제 3 지지대의 하부에서 상기 안내 방향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연결끈 및 상기 다른 연결끈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안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이격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결바아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연결바아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이드가 상기 상단바아 및 상기 수면 사이의 공간만큼 오르내리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KR2020170004821U 2017-09-12 2017-09-12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KR200485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21U KR200485567Y1 (ko) 2017-09-12 2017-09-12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21U KR200485567Y1 (ko) 2017-09-12 2017-09-12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67Y1 true KR200485567Y1 (ko) 2018-01-25

Family

ID=6127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21U KR200485567Y1 (ko) 2017-09-12 2017-09-12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25A (ko) 2021-07-09 2023-01-17 조호현 양식줄 리프팅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80A (ja) * 1991-07-11 1993-01-26 Sakaki Toshimitsu 定置網における垣網の取付け装置と取付け方法
JPH10295217A (ja) * 1997-04-21 1998-11-10 Kaiken:Kk 旋網の網捌き装置
KR200401495Y1 (ko) * 2005-08-22 2005-11-17 박평조 양식 수산물 충격방지 인양 롤러 장치
KR100558757B1 (ko) 1998-04-08 2006-03-10 스타토일 에이에스에이 수중의 부이 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수용을 위한선박 설치용의 모듈 장치
KR20150121833A (ko) * 2014-04-22 2015-10-30 김이수 해조류 양식용 발 철거 장치
KR101676650B1 (ko) 2015-02-13 2016-1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용 부이 및 그 이동식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80A (ja) * 1991-07-11 1993-01-26 Sakaki Toshimitsu 定置網における垣網の取付け装置と取付け方法
JPH10295217A (ja) * 1997-04-21 1998-11-10 Kaiken:Kk 旋網の網捌き装置
KR100558757B1 (ko) 1998-04-08 2006-03-10 스타토일 에이에스에이 수중의 부이 또는 이와 같은 종류의 것의 수용을 위한선박 설치용의 모듈 장치
KR200401495Y1 (ko) * 2005-08-22 2005-11-17 박평조 양식 수산물 충격방지 인양 롤러 장치
KR20150121833A (ko) * 2014-04-22 2015-10-30 김이수 해조류 양식용 발 철거 장치
KR101676650B1 (ko) 2015-02-13 2016-1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용 부이 및 그 이동식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25A (ko) 2021-07-09 2023-01-17 조호현 양식줄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3020A (ja) 水産養殖動物を海洋で飼育するための装置
US8413609B2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KR200485567Y1 (ko) 양식장 쌍줄부표 설치용 연속주행설비
KR20150095163A (ko) 해삼 채취 장치
CN110662420B (zh) 牡蛎养殖设备、方法和系统
JP4691218B2 (ja) マグロの養殖装置
CN109430103A (zh) 一种自动化家禽养殖设备
CN107736285A (zh) 一种自动起吊养捕一体装置
KR100746752B1 (ko) 주낙 연승장치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KR101648830B1 (ko) 종패 리튜빙 장치
CN104756667B (zh) 一种新型的海带收割装置
CN107568106A (zh) 禽类饲养装置及饲养方法
KR101370603B1 (ko) 오징어 자동 조상장치
KR20230021794A (ko) 자동 회전식 채낚장치
CN207754351U (zh) 一种便于收放的浮筏式养殖装置
KR0123367Y1 (ko) 명태 연승 조업 자동화장치
NO20180528A1 (no) Apparatbane for redskapsbærer
CN214316700U (zh) 一种四组艉推进器自航自升式平台
NO20170641A1 (no) Redskapsbærer for oppdrettsanlegg
KR20190115170A (ko) 양식용 발 인양기
KR20180010830A (ko) 원줄분리기
CN207604285U (zh) 一种防鸟网
KR20130058217A (ko) 넝쿨작물의 성장 안내장치 및 그 안내장치용 가동기
CN210987700U (zh) 一种贝类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