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71Y1 -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71Y1
KR200485471Y1 KR2020170003518U KR20170003518U KR200485471Y1 KR 200485471 Y1 KR200485471 Y1 KR 200485471Y1 KR 2020170003518 U KR2020170003518 U KR 2020170003518U KR 20170003518 U KR20170003518 U KR 20170003518U KR 200485471 Y1 KR200485471 Y1 KR 200485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support
partition plates
bind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희
Original Assignee
오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희 filed Critical 오선희
Priority to KR2020170003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 볼트와 너트(bolt and nut) 또는 나사못(screw) 등과 같은 고정부재 생략으로도 구성요소 간 조립결합이 간편하고 견고할 수 있도록 한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물품을 올려놓기에 적당한 폭과 넓이를 갖되 등분분할 조합에 의한 전체부피의 가변이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상판이 일정높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을 떠받쳐 지지하되, 상기 상판과 상호 끼워 맞춤식 연계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NON BOLTING SELF-ASSEMBLY TABLE}
본 고안은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함에 있어, 볼트와 너트(bolt and nut) 또는 나사못(screw) 등과 같은 고정부재 생략으로도 구성요소 간 조립결합이 간편하고 견고할 수 있도록 한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행복을 위한 물질적 생활환경의 개선 및 창조에 대한 기대는 문화의 발생과 함께 당면하게 되어온 현실적인 과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구(furniture, 家具)는 그 인공구조물들 중 생활감각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심미적 가치를 갖는 조형예술품이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가구는 인간생활 영위의 중요한 요소로써 생활을 위한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내용을 가지고 공간과의 유기적 조화를 통해 생활의 변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현대의 가구 개념은 실용적인 공간분석을 통한 공간기능의 확대와 효율적인 디자인 방향이 요구되고 있다. 즉, 공간의 성격과 특징에 잘 부합할 뿐 아니라 공간의 사용목적에 따른 다용도성, 합리성, 쾌적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가정에서의 거실은 가족 구성원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곳이고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므로 거실공간이 규격화되고 협소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공간활용과 분해조립 및 이동보관이 용이한, 사용자 필요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주5일근무제(週五日勤務制)의 정착에 따라 여가시간을 활용한 캠핑 인구의 증가 및 외출과 여행이 잦아지는 등 외부활동을 영위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부터, 야외활동시 임의장소(야외) 어디에서라도 간편히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운반과 보관이 수월한 조립식 테이블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기서, 통상의 테이블(table, 또는 책상)은, 각종 물품이나 서류 등을 올려놓고 작업하기에 용이한 가로세로 면적을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를 떠받쳐 지지하는 복수의 측판(다리)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더해 측판의 유동방지 및 견고한 조립상태 유지를 위한 전면판과 받침판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3673호를 통해, 조립식 책상을 구성하는 측판부재 및 뒷판에 별도의 암,수연결구를 설치하여 이 암,수연결구가 서로 끼워지도록 함을 통해 측판부재와 뒷판을 매우 간단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견고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책상 조립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고, 책상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책상 사용에 따른 신뢰도가 향상되는 조립식 책상의 측판과 뒷판의 연결구조가 개시된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요부단면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는, 일정 크기의 상판(410)과, 일정 형상과 길이를 갖는 프레임체로서, 양측으로 길이방향의 삽입홈(421)이 형성된 복수의 측판부재(420) 및 양측단이 상기 측판부재(420)와 연결 고정되는 뒷판(430)으로 구성되며, 상면에 소정의 끼움공(441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421) 일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암연결구(441)와; 하부에 일정 길이의 끼움돌기(442a)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체결공(442b)이 형성되어 상기 뒷판(430)의 양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숫연결구(442)로 이루어진 조립수단(4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암연결구(441)는 측판부재(420)의 삽입홈(421) 일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삽입됨으로써 고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421)의 상,하부에 복수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설치되는 암연결구(441)는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구(443)를 사용하여 그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숫연결구(442)는 상기 뒷판(430)의 양측단 일측에 다수로 배치된 후 상기 체결공(442b)에 고정볼트(444)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테이블(400)의 조립과정은, 먼저 책상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상기와 같은 상판(410)과 측판부재(420) 및 뒷판(430) 등으로 된 상기 조립식 테이블(400)을 운반시켜 조립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측판부재(420)의 삽입홈(421)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조립수단(440)의 암연결구(441)를 밀착되게 끼워 삽입시킴으로써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뒷판(430)의 양측단에 상기 암연결구(441)와의 결합위치를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숫연결구(442)를 배치한 후 체결공(442b)에 고정볼트(444)를 체결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측판부재(420)와 뒷판(430)에 각각 숫연결구(442)와 암연결구(441)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 상기 뒷판(430)의 양단부를 측판부재(420)의 삽입홈(421)에 삽입시킨 후 하방으로 내려주면 상기 숫연결구(442)의 끼움돌기(442a)가 암연결구(441)의 끼움공(441a)에 끼워져 결합됨으로 측판부재(420)와 뒷판(430)이 일체로 결합되며, 이후 상기 측판부재(420)의 상부에 상판(410)을 올려 결합시키면 테이블(400)의 조립이 완성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설명한 바에 의거한 종래의 테이블용 프레임구조는, 조립수단(440)을 통하여 상기 뒷판(430)과 측판부재(420)의 조립이 용이토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암연결구(441)와 숫연결구(442) 및 고정구(443) 그리고 고정볼트(444) 등의 고정부속들이 함께 구비되어야만 조립의 편의성이 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조립수단(440)을 이용한 뒷판(430)과 측판부재(420)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측판부재(420)의 내면에 삽입홈(421)을 추가로 더 형성시켜야만 하는 제조공정 발생에 따라, 테이블(400)의 제작단가 상승 및 제조기간 연장의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3673호(등록일자 : 2002. 10. 1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 간 끼워 맞춤식 조립결합구조의 달성으로, 별도 고정부속의 생략 및 이를 통한 조립결합과정의 간략화로 손쉬운 분해조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부속 생략에 따른 제품 경량화 및 이를 통한 금속부품 부식의 방지로, 내구성이 오랜 기간 유지되는 제품의 수명연장 도모는 물론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테이블의 프레임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올려놓기에 적당한 폭과 넓이를 갖되 등분분할 조합에 의한 전체부피의 가변이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상판이 일정높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을 떠받쳐 지지하되, 상기 상판과 상호 끼워 맞춤식 연계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에 구비하여, 테이블 조립완성시 상기 상판의 단일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하나 또는 그 이상 복수의 합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상판은, 등분분할 조합의 구조달성을 위하여 서로 맞대응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진 한 쌍의 제1분할판, 및 제2분할판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1,2분할판에는, 테이블 조립완성시 서로 맞대응 밀착하는 밀착내면이 내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내면의 정해진 복수 부위로부터는 상기 지지판체 상부의 끼워 맞춤식 조립결합을 위한 조립홀이 각각 일정깊이 내향형성되며, 상기 조립홀은, 상끝단의 사이 간격이 크고 하끝단의 사이 간격이 협소한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태를 이룸으로써, 양측 각 내벽면은 아래로 향할수록 돌출되는 경사내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경사내면의 중앙부에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체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상판의 하면 양측부로부터 지면과 직교하는 직립상태로 배치구성되는 한편,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조립홀로 끼워 맞춤이 가능한 결속헤드가 중앙부로부터 연이어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속헤드의 양측으로는 상기 상판의 하면을 떠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측으로 단차진 거치상단이 마련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결속헤드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내면에 대응 밀착하는 경사외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외면의 중앙부로부터는, 상기 삽입홈으로의 대응삽입이 가능한 돌기편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합착부재는, 상기 제1,2분할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밀착내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미리 정한 부위에 매립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판과, 상기 제1,2분할판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상기 밀착내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매립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과 밀착될 수 있는 미리 정한 부위에 배치되고,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성을 지님으로써 상기 금속판과 접합하여 상기 제1,2분할판의 상호밀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으로 조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은,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 등과 같은 고정부속들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됨으로써, 제품의 조립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비숙련자가 아닌 남녀노소 누구라도 해당 제품을 손쉽게 분해조립함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속의 생략을 통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 절감을 통한 판매경쟁력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상판과 지지판체 상호 간 끼워 맞춤 조립결합 구조 달성에 의한 구성요소 간 조립결합성이 크게 강화됨에 따른 제품의 내구성 확보와 더불어 제품의 경량화가 달성되는 등 제품 전반에 걸친 성능향상의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테이블의 기능에 주안하여, 이동, 분리, 결합이 가능하며, 유동성이 있어 다양하고 복합적인 공간기능을 가능케 할 다목적·다각적 기능성의 제시로, 공간활용성의 향상은 물론 조립식 가구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선도해 나가는 하나의 조형예술로써 현대인의 삶을 더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 상판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 상판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A)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올려놓기에 적당한 폭과 넓이를 갖되 등분분할(等分分割) 조합에 의한 전체부피의 가변(확대/축소)이 가능한 상판(1)과, 상기 상판(1)이 일정높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를 떠받쳐 지지하되 상호 끼워 맞춤식 연계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체(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1)에 구비하여, 테이블 조립완성시 상기 상판(1)의 단일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하나 또는 그 이상 복수의 합착부재(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판(1)은, 작업에 필요한 서류 또는 도구 등과 같은 하나 또는/및 그 이상 복수의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넓은 판체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등분분할 조합의 구조달성을 위하여 서로 맞대응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진 한 쌍의 제1분할판(11) 및 제2분할판(11')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분할판(11)에는, 테이블 조립완성시 서로 맞대응 밀착하는 밀착내면(111)이 내단부를 형성하고, 그 밀착내면(111)의 정해진 복수 부위로부터는 상기 지지판체(2) 상부의 끼워 맞춤식 조립결합을 위한 조립홀(112)이 각각 일정깊이 내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홀(112)은, 상끝단의 사이 간격이 크고 하끝단의 사이 간격이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역사다리꼴 형태를 이룸으로써 양측 각 내벽면은 아래로 향할수록 돌출되는 경사내면(112-1)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경사내면(112-1)의 중앙부에는 차후 후술할 상기 지지판체(2)의 돌기편이 대응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12-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판체(2)는, 상판(1)을 떠받쳐 일정높이를 가진 상태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판(1)의 하면 양측부로부터 지면과 직교하는 직립상태로 배치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조립홀(112)로 끼워 맞춤이 가능한 결속헤드(21)가 중앙부로부터 연이어 돌출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헤드(21)의 양측으로는 상판(1)의 하면을 떠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측으로 단차진 거치상단(22)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2분할판(11)(11')의 각 하면을 상기한 거치상단(22)이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각의 제1,2분할판(11)(11')이 상호 동일선상에서 수평하며 견고한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이 가능하다.
그리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결속헤드(21)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내면(112-1)에 대응 밀착하는 경사외면(21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외면(211)의 중앙부로부터는 상기 경사내면(112-1)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삽입홈(112-11)으로의 대응삽입이 가능한 돌기편(211-1)이 역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합착부재(3)는, 테이블 조립완성시 서로 밀착조합되는 상기 제1,2분할판(11)(11')의 밀착상태 유지를 위한 접합수단으로써,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분할판(11)(11')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밀착내면(111)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미리 정한 부위에 매립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판(31)과, 상기 제1,2분할판(11)(11')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상기 밀착내면(111)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매립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31)과 밀착될 수 있는 미리 정한 부위에 배치되고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성(磁性)을 지님으로써 금속판(31)과 접합하여 제1,2분할판(11)(11')이 서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Magnet, 32)으로 조합된다. 허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금속판(31)을 자석으로 대체하는 등 위와 같은 작용효과를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을 구성하는 제1,2분할판(11) 중 어느 하나(이하 "제1분할판"이라 함)의 조립홀(112)들에 각 지지판체(2)의 상부에 형성된 결속헤드(21)를 밀착내면(111)의 외측으로부터 밀어넣어 끼워 맞춤 조립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상기 제1분할판(11)의 양측 하부에 한 쌍으로 된 복수의 지지판체(2)가 각각 직교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헤드(21)의 양측 경사외면(211) 각각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된 돌기편(211-1) 역시 상기 조립홀(112)의 양측 경사내면(112-1) 각각의 삽입홈(112-11)들에 끼워 맞춤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분할판(11)과 지지판체(2)들의 조립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하도록 함이 가능한 것이며, 이와 같은 과정에 의거 한 쌍의 지지판체(2) 상단 일측으로 상기 제1분할판(11)이 배치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판체(2)들 상단의 다른 일측으로 제2분할판(11')이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제2분할판(11')을 조립결합하게 되는바, 상기 제2분할판(11')의 밀착내면(111)이 상기 결속헤드(21)를 바라보도록 한 상태에서 제2분할판(11')을 상기 제1분할판(11) 측으로 밀어붙여 상기한 결속헤드(21)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분할판(11')의 각 조립홀(112)로 끼워 맞춤 삽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상판(1)의 단일체 조합을 위한 제2분할판(11)의 조립결합이 완료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술한 과정에 따라 제1,2분할판(11)(11')이 서로 맞대응 밀착하는 상태가 되면 합착부재(3)에 의해 상판(1)의 단일체 조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바, 자세하게는 상기 제1,2분할판(11)(11') 각 밀착내면(111)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미리 정한 부위에 매립 구비된 금속판(31)과 자석(32)이 자성에 의해 서로 부착(도 6 참조)됨으로써, 결국 제1,2분할판(11)(11')이 서로 접합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다시 말해 상기 상판(1)의 단일체 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A)의 조립과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고안에 따른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A)은, 볼트와 너트 또는 스크루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속이 필요없이도 각 구성요소 간의 조립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이며, 이로써 테이블의 조립결합시 작업공구 역시 필요없게 되어 테이블 조립의 과정이 보다 수월하고 용이하며 또한 테이블의 미사용시 손쉬운 분리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속의 생략을 통해 제품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고정부속의 신체 쓸림에 의한 상처발생 등의 위험요소 제거와 아울러 제작단가와 판매단가를 낮춰 판매경쟁력 확보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조립식 테이블, 1 : 상판, 2 : 지지판체
3 : 합착부재, 11 : 제1분할판, 11' : 제2분할판
21 : 결속헤드, 22 : 거치상단, 31 : 금속판
32 : 자석, 111 : 밀착내면, 112 : 조립홀
112-1 : 경사내면, 112-11 : 삽입홈, 211 : 경사외면
211-1 : 돌기편

Claims (5)

  1. 하나 이상의 물품을 올려놓기에 적당한 폭과 넓이를 갖되 등분분할 조합에 의한 전체부피의 가변이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상판이 일정높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을 떠받쳐 지지하되, 상기 상판과 상호 끼워 맞춤식 연계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체;및,
    상기 상판에 구비하여, 테이블 조립완성시 상기 상판의 단일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하나 또는 그 이상 복수의 합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등분분할 조합의 구조달성을 위하여 서로 맞대응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진 한 쌍의 제1분할판, 및 제2분할판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1,2분할판에는, 테이블 조립완성시 서로 맞대응 밀착하는 밀착내면이 내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착내면의 정해진 복수 부위로부터는 상기 지지판체 상부의 끼워 맞춤식 조립결합을 위한 조립홀이 각각 일정깊이 내향형성되며,
    상기 조립홀은, 상끝단의 사이 간격이 크고 하끝단의 사이 간격이 협소한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태를 이룸으로써, 양측 각 내벽면은 아래로 향할수록 돌출되는 경사내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경사내면의 중앙부에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체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상판의 하면 양측부로부터 지면과 직교하는 직립상태로 배치구성되는 한편,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조립홀로 끼워 맞춤이 가능한 결속헤드가 중앙부로부터 연이어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속헤드의 양측으로는 상기 상판의 하면을 떠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측으로 단차진 거치상단이 마련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결속헤드의 양측면에는, 상기 경사내면에 대응 밀착하는 경사외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외면의 중앙부로부터는, 상기 삽입홈으로의 대응삽입이 가능한 돌기편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부재는, 상기 제1,2분할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밀착내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미리 정한 부위에 매립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판과,
    상기 제1,2분할판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상기 밀착내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매립 구비되되, 상기 금속판과 밀착될 수 있는 미리 정한 부위에 배치되고, 금속을 끌어당기는 자성을 지님으로써 상기 금속판과 접합하여 상기 제1,2분할판의 상호밀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으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KR2020170003518U 2017-07-06 2017-07-06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KR200485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18U KR200485471Y1 (ko) 2017-07-06 2017-07-06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18U KR200485471Y1 (ko) 2017-07-06 2017-07-06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71Y1 true KR200485471Y1 (ko) 2018-01-11

Family

ID=6127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18U KR200485471Y1 (ko) 2017-07-06 2017-07-06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382B1 (ko) 2021-07-19 2022-01-11 주식회사 휴랩 내경 가압에 기인한 무볼팅 간편 조립형 다용도 실험대
KR102357261B1 (ko) * 2021-03-18 2022-02-08 김연호 조립식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673Y1 (ko) 2002-07-31 2002-10-31 송진태 조립식 책상의 측판과 뒷판의 연결구조
KR20060128499A (ko) *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에코펀 넉다운 가구
KR20130071602A (ko) * 2011-12-21 2013-07-01 김소은 쓰레기 수납용기가 장착된 책상
KR20160003192U (ko) * 2015-03-11 2016-09-22 승일 전 상판 분리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673Y1 (ko) 2002-07-31 2002-10-31 송진태 조립식 책상의 측판과 뒷판의 연결구조
KR20060128499A (ko) *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에코펀 넉다운 가구
KR20130071602A (ko) * 2011-12-21 2013-07-01 김소은 쓰레기 수납용기가 장착된 책상
KR20160003192U (ko) * 2015-03-11 2016-09-22 승일 전 상판 분리형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261B1 (ko) * 2021-03-18 2022-02-08 김연호 조립식 테이블
KR102348382B1 (ko) 2021-07-19 2022-01-11 주식회사 휴랩 내경 가압에 기인한 무볼팅 간편 조립형 다용도 실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441B (zh) 組合式傢俱
KR200485471Y1 (ko) 무볼팅 조립식 테이블
KR20140121496A (ko) 조립식 책상
KR200461772Y1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구조.
CN211459479U (zh) 一种可拆装椅子
CN202515071U (zh) 一种椅脚可拆装的椅子底架结构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200431374Y1 (ko)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CN209750488U (zh) 一种可自由配置的组合床
CN209932067U (zh) 一种全榫卯式餐椅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CN211408095U (zh) 一种可拆装榫卯插接组合式储物架
CN209943292U (zh) 家具的框架连接结构和采用框架连接结构的组合办公桌
CN209883370U (zh) 一种重心偏置的家具
CN214382305U (zh) 一种可拆卸榫卯结构木质沙发
CN215685982U (zh) 一种组合式桌椅两用家具
CN216651833U (zh) 一种可拼装家具
CN203505269U (zh) 可拆装宠物床
JP3562428B2 (ja) 学習机の机上棚
CN201838480U (zh) 一种组合式墙壁开关和插座
KR960007183Y1 (ko) 의자달린 책상
KR102089430B1 (ko) 조립식 의자
CN202867460U (zh) 一种木条椅的木条连接装置
JP2548744Y2 (ja) 平坦面を有する2つの部材の突合せ接合構造
JPH01164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