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46Y1 -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46Y1
KR200485346Y1 KR2020160005371U KR20160005371U KR200485346Y1 KR 200485346 Y1 KR200485346 Y1 KR 200485346Y1 KR 2020160005371 U KR2020160005371 U KR 2020160005371U KR 20160005371 U KR20160005371 U KR 20160005371U KR 200485346 Y1 KR200485346 Y1 KR 200485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rubber pad
adhesive
hair brush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열
Original Assignee
최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열 filed Critical 최중열
Priority to KR2020160005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2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r joined in rubber bodies, e.g. in soft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브러시의 고무패드에 빗살을 견고하게 심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정발시 빗살이 뒤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도중 빗살이 뒤로 밀리지 않고 견고히 식모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21)를 구비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일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식모공(31)을 구비하는 고무패드(30)와, 상기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에 식모되는 빗살(40)로 이루어진 헤어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의 이면에 돌출부(3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2)에 식모공(31)과 연통하는 접착홈(33)을 형성하며, 상기 빗살(40)의 후단부를 접어서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끼워서 식모하되, 상기 접착홈(33)에 접착제(50)를 충전하여 빗살(40)을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fixed structure of teeth for hair brush}
본 고안은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헤어브러시의 고무패드에 빗살을 견고하게 심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정발시 빗살이 뒤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사용도중 빗살이 뒤로 밀리지 않고 견고히 식모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브러시는 머리카락을 정발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서, 단일 소재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에 다수개의 빗살이 일렬로 형성되는 빗과는 달리 탄성재질의 고무패드에 다수개의 빗살이 식모되어 사용시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브러시 본체에 장착되므로 긴 머리카락이나 세팅된 머리카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발할 수 있도록 하고 두피에 마사지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를 형성한 하부몸체와 다수의 빗살이 배열된 상부몸체가 단순히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휴대를 간편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빗살이 배열된 상부몸체만으로 구성하거나 상부몸체와 손잡이가 형성된 하부몸체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치 아니할 때에는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 접어서 수납하여 보관하고 사용할 때에는 상부몸체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헤어브러시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헤어브러시의 빗살은 통상적으로 머리를 빗을 때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고무패드는 탄성부재(고무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헤어브러시 구조를 살펴보면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된 고무패드의 상면에 다수개의 빗살이 식모되고, 타측방에는 사용자가 머리를 정발하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어브러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71771호와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3556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어브러시에 있어서는 고무패드에 식모되는 빗살의 고정구조가 취약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정발시 빗살이 뒤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도중 빗살이 견고히 식모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로 밀리므로 인하여 머리가 제대로 빗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16-0071771호(공개일자 : 2016.06.22) 특허문헌 2 :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3556호(공개일자 : 1998.11.16)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헤어브러시의 고무패드에 빗살을 견고하게 심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빗살을 고무패드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정발시 빗살이 뒤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도중 빗살이 뒤로 밀리지 않고 견고히 식모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연하고 곱게 머리를 빗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식모공을 구비하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식모공에 식모되는 빗살로 이루어진 헤어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의 이면에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무패드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상기 고무패드의 돌출부에 다수의 식모공과 서로 연통하는 다수의 접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빗살의 후단부를 접어서 고무패드의 식모공과 접착홈에 끼워서 식모하되, 상기 고무패드의 접착홈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빗살을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접착홈의 내경은 식모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접착제는 고무패드의 접착홈과 식모공에 고이도록 충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빗살의 후단부는 돌출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한 것이다.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에 따르면, 고무패드의 식모공과 접착홈에 빗살의 후단부를 접어서 식모한 후, 고무패드의 접착홈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빗살을 고정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헤어브러시의 고무패드에 빗살을 견고하게 심어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빗살을 고무패드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발시 빗살이 뒤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도중 빗살이 뒤로 밀리지 않고 견고히 식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고 곱게 머리를 빗을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패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빗살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21)를 구비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일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식모공(31)을 구비하는 고무패드(30)와, 상기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에 식모되는 빗살(40)로 이루어진 헤어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의 이면에 돌출부(3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2)에 식모공(31)과 연통하는 접착홈(33)을 형성하며, 상기 빗살(40)의 후단부를 접어서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끼워서 식모하되, 상기 접착홈(33)에 접착제(50)를 충전하여 빗살(40)을 고정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10)는 엉클어진 머리카락을 가지런하게 정발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헤어브러시(10)는 몸체(20), 고무패드(30), 빗살(40) 및 접착제(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0)는 헤어브러시(1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20)의 일측에는 손잡이(21)가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몸체(20)의 일면에는 고무패드(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20)는 합성수지, 나무, 금속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패드(30)는 몸체(20)의 일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빗살(4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무패드(30)에는 빗살(40)이 식모되는 다수의 식모공(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무패드(30)는 탄력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무패드(30)의 이면에는 돌출부(32)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30)의 돌출부(32)에는 다수의 식모공(31)과 서로 연통하는 다수의 접착홈(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2)에 의해 고무패드(30)의 두께는 돌출부(32)의 두께만큼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에는 접착제(5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접착홈(33)이 식모공(31)과 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빗살(40)은 고무패드(30)에 형성된 다수의 식모공(31)에 각각 식모되는 것으로, 이러한 빗살(40)은 머리를 빗을 때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빗살(40)의 후단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끼워지는 접힘부(41)가 형성되고, 빗살(40)의 선단부에는 반구형의 두피보호부(4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빗살(40)의 후단부에는 접힘부(41)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접힘부(41) 사이로 공구를 끼워서 식모공(31)에 밀어 넣으면 빗살(40)의 후단부를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용이하게 식모할 수 있고, 또한 빗살(40)의 선단부에는 반구형의 두피보호부(42)가 형성되기 때문에, 정발시 두피와 부드러운 접촉이 이루어져 두피를 보호뿐만 아니라 두피의 마사지도 같이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50)는 고무패드(30)의 접착홈(33)에 충전되는 것으로, 이러한 접착제(50)는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끼워진 빗살(40)의 후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빗살(40)의 후단부를 접어서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식모한 상태에서, 상기 접착홈(33)에 접착제(50)를 충전하여 경화시키면 빗살(4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홈(33)의 내경은 식모공(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홈(33)은 식모공(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접착홈(33)에 접착제(50)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50)와의 접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제(50)는 접착홈(33)과 식모공(31)에 고이도록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50)는 접착홈(33)뿐만 아니라 식모공(31)에도 고이도록 충전되기 때문에, 상기 접착홈(33)과 식모공(31)에서 각각 빗살(40)을 2중으로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빗살(40)의 후단부는 돌출부(32)의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빗살(40)의 끝 부분이 고무패드(30)의 돌출부(32) 표면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빗살(40)의 후단부를 접어서 식모한 후, 고무패드(30)의 접착홈(33)에 접착제(50)를 충전하여 빗살(40)을 고정하기 때문에, 접착제(50)를 이용하여 헤어브러시(10)의 고무패드(30)에 빗살(40)을 견고하게 심어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50)를 이용하여 빗살(40)을 고무패드(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발시 빗살(40)이 뒤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도중 빗살(40)이 뒤로 밀리지 않고 견고히 식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고 곱게 머리를 빗을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헤어브러시 20 : 몸체
21 : 손잡이 30 : 고무패드
31 : 식모공 32 : 돌출부
33 : 접착홈 40 : 빗살
50 : 접착제

Claims (4)

  1. 손잡이(21)를 구비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일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식모공(31)을 구비하는 고무패드(30)와, 상기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에 식모되는 빗살(40)로 이루어진 헤어브러시(10)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30)의 이면에 돌출부(3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2)에 식모공(31)과 연통하는 접착홈(33)을 형성하며,
    상기 빗살(40)의 후단부를 접어서 고무패드(30)의 식모공(31)과 접착홈(33)에 끼워서 식모하되,
    상기 접착홈(33)에 접착제(50)를 충전하여 빗살(40)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홈(33)의 내경은 식모공(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50)는 접착홈(33)과 식모공(31)에 고이도록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40)의 후단부는 돌출부(32)의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KR2020160005371U 2016-09-12 2016-09-12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KR200485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71U KR200485346Y1 (ko) 2016-09-12 2016-09-12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71U KR200485346Y1 (ko) 2016-09-12 2016-09-12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46Y1 true KR200485346Y1 (ko) 2017-12-26

Family

ID=6125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71U KR200485346Y1 (ko) 2016-09-12 2016-09-12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4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556U (ko) 1997-04-17 1998-11-16 이평수 투명투시창을 구비한 헤어브러쉬
JP2005319217A (ja) * 2004-05-11 2005-11-17 Furumoto:Kk ヘアブラシ
KR200425592Y1 (ko) * 2006-06-26 2006-09-05 윤영재 머리솔용 웨이브형 빗살
KR20160071771A (ko) 2014-12-12 2016-06-22 나우인 평면빗이 내장된 헤어브러시
KR20160080197A (ko) * 2014-12-29 2016-07-07 윤준상 머리솔용 빗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556U (ko) 1997-04-17 1998-11-16 이평수 투명투시창을 구비한 헤어브러쉬
JP2005319217A (ja) * 2004-05-11 2005-11-17 Furumoto:Kk ヘアブラシ
KR200425592Y1 (ko) * 2006-06-26 2006-09-05 윤영재 머리솔용 웨이브형 빗살
KR20160071771A (ko) 2014-12-12 2016-06-22 나우인 평면빗이 내장된 헤어브러시
KR20160080197A (ko) * 2014-12-29 2016-07-07 윤준상 머리솔용 빗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351B2 (ja) 歯ブラシ
KR20170003696U (ko) 칫솔
TW201635948A (zh) 具有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用具(一)
JP2008006281A (ja) 歯ブラシの柄
JP2016512786A (ja) オーラルケア器具
KR101970282B1 (ko) 칫솔
JP7080379B2 (ja) 義歯から義歯接着剤を除去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道具を備えた口腔清掃器具
CA3026629A1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KR200485346Y1 (ko) 헤어브러시의 빗살 고정구조
KR200393316Y1 (ko) 칫솔
KR200304061Y1 (ko) 헤어브러시
KR20190011712A (ko) 칫솔
EP3387947B1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US11122882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JP3206162U (ja) 歯ブラシのヘッド
KR101551718B1 (ko) 빗자루 및 빗자루 조립 방법
JP2005270567A (ja) 歯用ブラッシング器具
JP7349324B2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KR200375693Y1 (ko) 두피경락 맛사지용 헤어브러쉬
KR200404379Y1 (ko) 치솔대가 없는 일회용 치솔
KR100350325B1 (ko) 유연한 손잡이를 갖는 칫솔
KR200446062Y1 (ko) 치간 칫솔
JPH0244742Y2 (ko)
KR200371414Y1 (ko) 거즈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