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11Y1 - 조립식 상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11Y1
KR200485311Y1 KR2020150007927U KR20150007927U KR200485311Y1 KR 200485311 Y1 KR200485311 Y1 KR 200485311Y1 KR 2020150007927 U KR2020150007927 U KR 2020150007927U KR 20150007927 U KR20150007927 U KR 20150007927U KR 200485311 Y1 KR200485311 Y1 KR 200485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inding
plate
dispos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076U (ko
Inventor
장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트리플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트리플팩(주) filed Critical 삼성트리플팩(주)
Priority to KR2020150007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1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32Details of wooden walls;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9/34Joints; Local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판들; 및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측판들의 각각을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들의 각각은: 외측 앵글; 상기 외측 앵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 앵글; 상기 내측 앵글과 상기 외측 앵글을 연결하여, 상기 외측 앵글과 상기 내측 앵글 사이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브리지; 및 상기 2개의 영역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들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되는 2개의 결속 홈들을 포함하는 조립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상자 {An assembly box}
본 고안은 조립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고 적재하기 위해 포장 상사를 사용한다. 포장 상자는 상자 내부의 내용물이 파손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목재 재질의 목판이나 종이 재질의 골판지 등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포장 상자는 전, 후, 좌, 우판의 측판과, 상판과, 하판을 결합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측판, 상판 및 하판은 못, 스테플러,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측판, 상판 및 하판이 못, 스테플러,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조립될 경우, 조립식 상자의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조립식 상자의 분리해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식 상자의 분리해체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상자를 분리해체가 용이하지 않음으로써, 분리 해체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측판, 하판 및 상판이 파손되어 재활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면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상자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조립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견고한 조립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판들; 및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측판들의 각각을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들의 각각은: 외측 앵글; 상기 외측 앵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 앵글; 상기 내측 앵글과 상기 외측 앵글을 연결하여, 상기 외측 앵글과 상기 내측 앵글 사이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브리지; 및 상기 2개의 영역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들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되는 2개의 결속 홈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 홈에 삽입된 측판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판을 상기 내측 앵글과 밀착시키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앵글은 가압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앵글, 상기 측판 및 상기 내측 앵글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앵글은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외측 체결홀을 갖고, 상기 내측 앵글은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내측 체결 홀을 갖고, 상기 측판은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측판 체결홀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체결 홀 및 상기 내측 체결 홀은 내주면에 상기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외곽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외곽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외곽 벽의 내측에 상기 외곽 벽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내곽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의 하측 및 상기 결속 부재의 하측은 상기 외곽 벽과 상기 내곽 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판은 사각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측판들은: 상기 받침판의 모서리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 후, 좌, 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들은 상기 받침판의 꼭지점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앵글 및 상기 내측 앵글은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앵글 및 상기 내측 앵글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외측 앵글로부터 상기 2개의 결속 홈들의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가압 돌기; 및 상기 내측 앵글로부터 상기 결속 홈들의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조립식 상자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상자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상자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식 상자에 가압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은 도 7의 조립식 상자에 가압 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립식 상자에 체결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결합 부재가 전판의 우측 모서리 및 우판의 전방 모서리를 결속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결속 부재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2의 결속 부재에 전판 및 우판이 각각 결속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은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결속 부재에 전판 및 우판이 각각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립식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상자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조립식 상자(10)는 사각통형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상자(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일 수 있다.
조립식 상자(10)는 받침판(100), 복수의 측판들(300) 및 결속 부재들(20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식 상자(10)는 덮개(400) 및 파레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100)은 파레트(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판(100)은 복수의 측판들(300) 및 결속 부재들(20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받침판(100)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판(100)은 원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상일 수 있다.
받침판(100)은 바닥면(110), 외곽 벽(120) 및 내곽 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10)은 조립식 상자(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지지할 수 있다. 바닥면(110)은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조립식 상자(10)는 바닥면(110)의 형상에 의해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면(110)이 사각형일 경우, 조립식 상자(10)는 사각통형일 수 있다. 또한, 바닥면(110)이 원형일 경우, 조립식 상자(10)는 원통형일 수 있다.
외곽 벽(120)은 바닥면(110)의 외곽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곽 벽(120)은 소정의 높이로 바닥면(11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란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외곽 벽(120)은 바닥면(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내곽 벽(130)은 바닥면(110)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내곽 벽(130)은 외곽 벽(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곽 벽(130)은 외곽 벽(120)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곽 벽(120)과 내곽 벽(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란 바닥면(110)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외곽 벽(120)과 내곽 벽(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측판들(300)의 하부 및 결속 부재들(200)의 하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판(300) 및 결속 부재(200)가 받침판(100)에 조립될 경우, 측판(300) 및 결속 부재(2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받침판(100)은 종이 재질의 골판지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판(100)은 목재, 금속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복수의 측판들(300)은 받침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측판들(300)은 받침판(100)의 모서리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판들(300)은 받침판(100)의 모서리 상에 배치된 전, 후, 좌, 우판(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식 상자(10)는 전방에 배치되는 전판(310), 후방에 배치되는 후판(320), 우측에 배치되는 우판(340) 및 좌측에 배치되는 좌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측판들(300)은 대략 직각을 형성할 수 있고, 서로 대향되는 측판(30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측판들(300)은 사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판들(300)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충분한 수용 공간 확보를 위한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대향되는 측판들(300)은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판(310)과 후판(320)은 크기가 동일할 수 있고, 좌판(330)과 우판(340)은 크기가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전판(310)과 좌판(330)은 크기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측판들(300)은 종이 재질의 골판지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측판들(300)은 목재 재질의 목판, 금속 재질의 금속 판 등일 수 있다.
결속 부재들(200)은 받침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속 부재들(200)은 복수의 측판들(300) 중 서로 인접하는 측판들(300)의 각각의 모서리를 결속할 수 있다.
복수의 결속 부재들(200)의 각각은 외측 앵글(211, 221, 231, 241), 외측 앵글(211, 221, 231, 24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 앵글(212, 222, 232, 242), 외측 앵글(211, 221, 231, 241)과 내측 앵글(212, 222, 232, 242)을 연결하는 브리지(213, 223, 233, 243), 2개의 결속 홈(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은 받침판(100)의 외곽으로부터 받침판(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브리지(213, 223, 233, 243)는 외측 앵글(211, 221, 231, 241)과 내측 앵글(212, 222, 232, 242) 사이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2개의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은 브리지(213, 223, 233, 24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에는 복수의 측판들(300)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모서리들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의 각각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의 각각의 폭은 상이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결속 부재들(200)은 4개일 수 있다. 즉, 결속 부재들(200)은 제1 결속 부재(210), 제2 결속 부재(220), 제3 결속 부재(230) 및 제4 결속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 부재들(200)는 받침판(100)의 전방 우측 꼭지점 상에 배치되는 제1 결속 부재(210)와, 받침판(100)의 전방 좌측 꼭지점 상에 배치되는 제2 결속 부재(220)와, 받침판(100)의 후방 우측 꼭지점 상에 배치되는 제3 결속 부재(230)와, 받침판(100)의 후방 좌측 꼭지점 상에 배치되는 제4 결속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고).
이에 따라, 제1 결속 부재(210)는 전판(310)의 우측과 우판(340)의 전방을 각각 결속하고, 제2 결속 부재(220)는 전판(310)의 좌측과 좌판(330)의 전방을 각각 결속하고, 제3 결속 부재(230)는 후판(320)의 우측과 우측의 후방을 각각 결속하고, 제4 결속 부재(240)는 후판(320)의 좌측과 좌판(330)의 후방을 각각 결속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결속 부재(200)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210)는 전판(310)의 우측과 우판(340)의 전방을 결속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210)는 제1 외측 앵글(211), 제1 내측 앵글(212), 제1 브리지(213), 제1 결속 홈(214) 및 제2 결속 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 앵글(211)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외측 앵글(211)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제1 외측 앵글(211)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앵글(212)은 제1 외측 앵글(21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 앵글(212)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1 내측 앵글(212)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외측 앵글(211)과 제1 내측 앵글(212) 사이에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측 앵글(212)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리지(213)는 제1 외측 앵글(211)과 제1 내측 앵글(21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외측 앵글(211)과 제1 내측 앵글(2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브리지(213)는 제1 외측 앵글(211)과 제1 내측 앵글(212)을 연결함으로써, 제1 브리지(213)는 제1 외측 앵글(211)과 제1 내측 앵글(212) 사이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결속 홈(214)은 제1 브리지(21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속 홈(214)에는 전판(310)의 우측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속 홈(214)에는 전판(310)의 두께(t)에 대응되는 폭(t₁)을 가질 수 있다(도 8a 참고). 제1 결속 홈(214)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2 결속 홈(215)은 제1 브리지(21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 홈(215)은 우판(340)의 전방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속 홈(215)은 우판(340)의 두께(t)에 대응되는 폭(t₂)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속 홈(215)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220)는 전판(310)의 좌측과 좌판(330)의 전방을 결속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220)는 제2 외측 앵글(221), 제2 내측 앵글(222), 제2 브리지(223), 제3 결속 홈(224) 및 제4 결속 홈(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 앵글(221)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2 외측 앵글(221)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제2 외측 앵글(221)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앵글(222)은 제2 외측 앵글(22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앵글(222)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2 내측 앵글(222)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외측 앵글(221)과 제2 내측 앵글(222) 사이에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앵글(222)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리지(223)는 제2 외측 앵글(221)과 제2 내측 앵글(22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제2 외측 앵글(221)과 제2 내측 앵글(22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브리지(223)는 제2 외측 앵글(221)과 제2 내측 앵글(222)을 연결함으로써, 제2 브리지(223)는 제2 외측 앵글(221)과 제2 내측 앵글(222)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제3 결속 홈(224)은 제2 브리지(22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속 홈(224)에는 전판(310)의 좌측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3 결속 홈(224)은 전판(31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 결속 홈(224)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4 결속 홈(225)은 제2 브리지(22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속 홈(225)은 좌판(330)의 전방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4 결속 홈(225)에는 좌판(33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4 결속 홈(225)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3 결속 부재(230)는 후판(320)의 우측과 우판(340)의 후방을 결속할 수 있다. 제3 결속 부재(230)는 제3 외측 앵글(231), 제3 내측 앵글(232), 제3 브리지(233), 제5 결속 홈(234) 및 제6 결속 홈(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3 외측 앵글(231)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측 앵글(232)은 제3 외측 앵글(23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내측 앵글(232)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3 내측 앵글(232)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외측 앵글(231)과 제3 내측 앵글(232) 사이에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내측 앵글(232)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리지(233)는 제3 외측 앵글(231)과 제3 내측 앵글(23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제3 외측 앵글(231)과 제3 내측 앵글(232)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브리지(233)는 제3 외측 앵글(231)과 제3 내측 앵글(232)을 연결함으로써, 제3 브리지(233)는 제3 외측 앵글(231)과 제3 내측 앵글(232)의 공간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5 결속 홈(234)은 제3 브리지(23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결속 홈(234)에는 후판(320)의 우측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5 결속 홈(234)은 후판(32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5 결속 홈(234)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6 결속 홈(235)은 제3 브리지(23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6 결속 홈(235)은 우판(340)의 전방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6 결속 홈(235)에는 우판(34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6 결속 홈(235)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4 결속 부재(240)는 후판(320)의 좌측과 좌판(330)의 후방을 결속할 수 있다. 제4 결속 부재(240)는 제4 외측 앵글(241), 제4 내측 앵글(242), 제4 브리지(243), 제7 결속 홈(244) 및 제8 결속 홈(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외측 앵글(241)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4 외측 앵글(241)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제4 외측 앵글(241)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내측 앵글(242)은 제4 외측 앵글(24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4 내측 앵글(242)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4 내측 앵글(242)은 대략 ㄱ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외측 앵글(241)과 제4 내측 앵글(242) 사이에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내측 앵글(242)은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브리지(243)는 제4 외측 앵글(241)과 제4 내측 앵글(242) 사이의 공간을 가로질러 제4 외측 앵글(241)과 제4 내측 앵글(242)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브리지(243)는 제4 외측 앵글(241)과 제4 내측 앵글(242)을 연결함으로써, 제4 브리지(243)는 제4 외측 앵글(241)과 제4 내측 앵글(242)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할 수 있다.
제7 결속 홈(244)은 제4 브리지(24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7 결속 홈(244)에는 후판(320)의 좌측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7 결속 홈(244)은 후판(32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7 결속 홈(244)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제8 결속 홈(245)은 제4 브리지(243)가 구획한 2개의 영역들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있다. 제8 결속 홈(245)에는 좌판(330)의 후방 모서리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제8 결속 홈(245)은 좌판(33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8 결속 홈(245)은 대략 ㄷ자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앵글(211, 221, 231, 241) 및 내측 앵글(212, 222, 232, 242)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판들(300)은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의 각각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외측 앵글(211, 221, 231, 241) 및 내측 앵글(212, 222, 232, 242)의 끝단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자가 측판들(300)을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의 각각에 슬라이딩 삽입할 때, 외측 앵글(211, 221, 231, 241) 및 내측 앵글(212, 222, 232, 242)의 끝단에 의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400)는 받침판(100), 측판들(300) 및 결속 부재들(2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400)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덮개(400)는 받침판(100)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덮개(400)는 받침판(100)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400)는 사각 형상의 받침판(100)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덮개(400)는 상측면(410) 및 상측면(410)의 외곽을 감싸는 둘레면(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면(410)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둘레면(420)은 상측면(410)의 외곽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둘레면(420)은 각각의 측판들(30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다. 덮개(400)는 종이 재질의 골판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레트(500)는 받침판(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레트(500)는 받침판(100)의 하측에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파레트(500)는 지게차의 포크(미도시)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510)을 가질 수 있다. 파레트(500)는 종이 재질의 골판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100), 결속 부재들(200) 및 측판들(3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조립자는 결속 부재들(200)의 각각을 받침판(100)의 외곽 벽(120)과 내곽 벽(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한다. 이때, 결속 부재들(200)는 받침판(100)의 각각의 꼭지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자는 제1 결속 부재(210)와 제2 결속 부재(220) 사이에 전판(310), 제3 결속 부재(230)와 제4 결속 부재(240) 사이에 후판(320), 제1 결속 부재(210)와 제3 결속 부재(230) 사이에 우판(340) 및 제2 결속 부재(220)와 제4 결속 부재(240) 사이에 좌판(330)을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다.
슬라이딩 삽입된 전, 후, 좌, 우판(340)의 각각은 받침판(100)의 외곽 벽(120)과 내곽 벽(1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식 상자에 가압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11)는 받침판(100), 측판들(300), 결속 부재들(200a) 및 가압 부재들(8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상자(11)는 덮개(400) 및 파레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부재들(800)은 결속 부재들(200a)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들(800)는 제1 결속 부재(210a)에 결합되는 제1 가압 부재(810), 제2 결속 부재(220a)에 결합되는 제2 가압 부재(820), 제3 결속 부재(230a)에 결합되는 제3 가압 부재(830) 및 제4 결속 부재(240a)에 결합되는 제4 가압 부재(8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부재들(800)는 결속 홈들(214, 215, 224, 225, 234, 235, 244, 245)의 각각에 삽입된 측판들(300)의 일부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측판들(300)의 각각을 내측 앵글(212, 222, 232, 242)과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측판들(300)은 결속 부재들(200)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가압 부재들(800)은 외주면에 나사산(미부호)을 가진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부재들(800)의 자세한 사항은 도 8a 및 도 8b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앵글(211a, 221, 231a, 241a)의 각각은 가압 부재들(800)이 관통되는 관통홀들(2110a, 2210a, 2310a, 2410a)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들(2110a, 2210a, 2310a, 2410a)은 내주면에 나사산(미부호)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은 도 7의 조립식 상자에 가압 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1 가압 부재가 제1 결속 부재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제2 가압 부재, 제3 가압부재 및 제4 가압 부재가 각각의 결속 부재에 결합되는 과정도 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제1 결속 홈(214)은 전판(310)의 두께(t)보다 큰 폭(t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판(310)의 우측 모서리가 제1 결속 홈(214)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속 홈(215)은 우판(340)의 두께(t)보다 큰 폭(t₂)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우판(340)의 전방 모서리가 제2 결속 홈(215)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속 홈(214)이 전판(310)의 두께(t보다 큰 폭(t₁)을 가짐으로써, 제1 결속 홈(214)에 삽입된 전판(3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전후방으로 움직여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속 홈(215)이 우판(340)의 두께(t)보다 큰 폭(t₂)을 가짐으로써, 제2 결속 홈(215)에 삽입된 우판(34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좌우측으로 움직여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810)는 제1 결속 부재(210a)의 제1 관통홀(211a)을 관통하여, 전판(310) 및 우판(340)을 제1 내측 앵글(212)과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판(310)과 우판(340)은 외부 충격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 부재(810)는 전판(310) 및 우판(340)을 제1 내측 앵글(212)과 밀착시킴으로써, 전판(310)과 우판(340)은 제1 결속 부재(210a)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810)은 외주면에 나사산(미부호)을 갖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 홀(211a)은 내주면에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미부호)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압 부재(810)은 전판(310), 우판(340) 및 제1 내측 앵글(212)의 밀착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립식 상자에 체결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결합부재가 전판의 우측 모서리 및 우판의 전방 모서리를 결속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12)는 받침판(100), 결속 부재들(200b), 측판(300) 및 체결 부재들(9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상자(12)는 덮개(400) 및 파레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체결 부재들(900)는 결속 부재들(200b)과 측판들(300)을 각각 체결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들(900)는 외측 앵글(211b, 221b, 231b, 241b), 내측 앵글(212b, 222b, 232b, 242b) 및 측판들(300)을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판(300)과 결속 부재(200b)는 체결 부재들(900)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들(900)는 외주면에 나사산(미부호)을 갖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들(900)은 제1 체결 부재(910), 제2 체결 부재(920), 제3 체결 부재(930) 및 제4 체결 부재(9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들(900)은 제1 결속 부재(210b), 전판(310) 및 우판(340)을 체결하는 제1 체결 부재(910)와, 제2 결속 부재(220b), 전판(310) 및 좌판(330)을 체결하는 제2 체결 부재(920)와, 제3 결속 부재(230b), 후판(320) 및 우판(340)을 체결하는 제3 체결 부재(930)와, 제4 결속 부재(240b), 후판(320) 및 우판(340)을 체결하는 제4 체결 부재(9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앵글(211, 221, 231, 241)의 각각은 체결 부재들(900)이 관통하는 외측 체결 홀들(211b, 221b, 231b, 241b)을 가질 수 있다. 내측 앵글(212, 222, 232, 242)의 각각은 체결 부재들(900)이 관통하는 내측 체결 홀들(212b, 222b, 232b, 242b)을 가질 수 있다. 측판들(300)의 각각은 체결 부재들(900)이 관통하는 측판 체결 홀들(311, 321, 331, 341)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체결 홀들(211b, 221b, 231b, 241b) 및 내측 체결 홀들(212b, 222b, 232b, 242b)은 내주면에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체결 부재(910)은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외측 체결 홀(211b)은 내주면에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체결 홀(212b)은 내주면에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체결 홀(211b, 221b, 231b, 241b), 내측 체결 홀(212b, 222b, 232b, 242b) 및 측판 체결 홀(311, 321, 331, 341)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부재(900)가 외측 체결 홀(211b, 221b, 231b, 241b), 내측 체결 홀(212b, 222b, 232b, 242b) 및 측판 체결 홀(311, 321, 331, 3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결속 부재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난 결속 부재는 후판(320)과 우판(340)이 각각 결속되는 제3 결속 부재(230c)를 나타낸 것이고, 제1, 제2 및 제4 결속 부재도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결속 부재는 제3 결속 부재(230c)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결속 부재(230c)는 제3 외측 앵글(231), 제3 내측 앵글(232), 제3 브리지(233), 제5 결속 홈(234), 제6 결속 홈(233), 제5 힌지부(236), 제6 힌지부(238), 제5 눌림 손잡이(237) 및 제6 눌림 손잡이(2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 및 제3 내측 앵글(23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외측 앵글(231)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외측 앵글(231)은 제5 및 제6 눌림 손잡이(237, 239)를 통해 가해진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은 예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제3 외측 앵글(231)은 내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측 앵글(232)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결속 홈(234) 및 제6 결속 홈(235)은 개구된 일단의 폭(t₁₁, t₂₁)이 타단의 폭(t₁₂, t₂₂, 도 15a 참고)보다 작을 수 있다.
제5 결속 홈(234)는 개구된 일단의 폭(t₁₂)이 우판(340, 도 15a 참고)의 두께(t, 도 15a 참고)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우판(340)의 후방 모서리는 제5 결속 홈(234)에 삽입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제5 결속 홈(234)은 타단의 폭(t₁₂, 도 15a 참고)이 우판(340)의 두께(t)와 대응될 수 있다.
제6 결속 홈(235)은 개구된 일단의 폭(t₂₁)이 후판(320, 도 15 a 참고)의 두께(t, 도 15a 참고)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판(320)의 우측 모서리는 제6 결속 홈(235)에 삽입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제6 결속 홈(235)은 타단의 폭(t₂₂, 도 15a 참고)이 후판(320)의 두께(t)와 대응될 수 있다.
제5 힌지부(236)와 제6 힌지부(238)는 제3 외측 앵글(231)의 모서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힌지부(236)와 제6 힌지부(238)는 제3 외측 앵글(2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힌지부(236)는 제5 결속 홈(234)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6 힌지부(238)는 제6 결속 홈(235)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눌림 손잡이(237)는 제5 힌지부(236)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립자가 제5 눌림 손잡이(237)를 누를 경우, 제5 힌지부(236)가 배치된 제3 외측 앵글(231)의 모서리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제5 눌림 손잡이(237)는 조립자가 제5 눌림 손잡이(237)를 누를 경우, 제5 결속 홈(254)의 일단의 폭(t₁₁, 도 15b 참고)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결속 홈(234)은 일단의 폭(t₁₁)이 우판(340)의 두께(t)와 대응될 수 있다.
제6 눌림 손잡이(239)는 제6 힌지부(238)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립자가 제6 눌림 손잡이(239)를 누를 경우, 제6 힌지부(238)가 배치된 제3 외측 앵글(231)의 모서리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제6 눌림 손잡이(239)는 조립자가 제6 눌림 손잡이(239)를 누를 경우, 제6 결속 홈(235)의 일단의 폭(t₂, 도 15b 참고)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6 결속 홈(235)은 일단의 폭(t₂₁)이 후판(320)의 두께(t)와 대응될 수 있다.
제5 힌지부(236), 제6 힌지부(238), 제5 눌림 손잡이(237) 및 제6 눌림 손잡이(239)를 포함하는 제3 결속 부재(230c)는 집게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2의 결속 부재에 후판 및 우판이 각각 결속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고하면, 조립자는 제5 눌림 손잡이(237)를 가압하여 제3 외측 앵글(231)의 일측 모서리가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5 결속 홈(234)은 개구된 일단의 폭(t₁₁)이 우판(340)의 두께(t)와 대응될 수 있다.
조립자는 제5 결속 홈(234)의 일단을 통해 제5 결속 홈(234)으로 우판(320)의 전방 모서리를 삽입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은 조립자가 제5 눌림 손잡이(237)의 가압을 해제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외측 앵글(231)의 일측 모서리는 우판(340)을 가압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의 일측 모서리가 우판(340)을 가압함으로써, 제3 결속 부재(230c)와 우판(34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조립자는 제6 눌림 손잡이(239)를 가압하여 제3 외측 앵글(231)의 타측 모서리가 벌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6 결속 홈(235)은 개구된 일단의 폭(t₂₁)이 후판(320)의 두께(t)와 대응될 수 있다.
조립자는 제6 결속 홈(235)의 일단을 통해 제6 결속 홈(235)으로 후판(320)의 우측 모서리를 삽입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은 조립자가 제6 눌림 손잡이(239)의 가압을 해제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외측 앵글(231)의 타측 모서리는 후판(320)을 가압할 수 있다. 제3 외측 앵글(231)의 타측 모서리가 후판(320)을 가압함으로써, 제3 결속 부재(230c)와 후판(32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상자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은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결속 부재에 후판 및 우판이 각각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난 결속 부재는 후판(320)과 우판(340)이 각각 결속되는 제3 결속 부재(230d)를 나타낸 것이고, 제1, 제2 및 제4 결속 부재도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외측 앵글로부터 상기 2개의 결속 홈들의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가압 돌기; 및 상기 내측 앵글로부터 상기 결속 홈들의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결속 부재는 제3 결속 부재(230d)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결속 부재(230d)는 제3 외측 앵글(231), 제3 내측 앵글(232), 제3 브리지(233), 제5 결속 홈(234), 제6 결속 홈(235), 제5 가압 돌기부(231c, 232c) 및 제 6 가압 돌기부(231d, 2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가압 돌기부(231c, 232c)는 제3 외측 앵글(231)로부터 제5 결속 홈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5 외측 가압 돌기(231c) 및 제3 내측 앵글(232)로부터 제5 결속 홈(234)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5 내측 가압 돌기(2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외측 가압 돌기(231c)는 제3 외측 앵글(231)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5 외측 가압 돌기(231c)는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5 내측 가압 돌기(232c)는 제3 내측 앵글(232)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5 내측 가압 돌기(232c)는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5 외측 가압 돌기들(231c)의 각각은 제5 내측 가압 돌기(232c)의 각각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가압 돌기부(231c, 232c)는 우판(340)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5 외측 가압 돌기들(231c) 중 어느 하나는 제5 내측 가압 돌기들(232c) 사이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5 외측 가압 돌기들(231c)과 제5 내측 가압 돌기들(232c)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5 가압 돌기부(231c, 232c)는 제5 결속 홈(234)에 삽입된 우판(340)을 가압함으로써, 제3 결속 부재(230d)와 우판(34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제6 가압 돌기부(231d, 232d)는 제3 외측 앵글(231)로부터 제6 결속 홈(235)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6 외측 가압 돌기(231d) 및 제3 내측 앵글(232)로부터 제6 결속 홈(235)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6 내측 가압 돌기(2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외측 가압 돌기(231d)는 제3 외측 앵글(231)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6 외측 가압 돌기(231d)는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6 내측 가압 돌기(232d)는 제3 내측 앵글(232)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6 내측 가압 돌기(232d)는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6 외측 가압 돌기들(231d)의 각각은 제6 내측 가압 돌기(232d)의 각각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6 가압 돌기부(231d, 232d)는 후판(320)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6 외측 가압 돌기들(231d) 중 어느 하나는 제6 내측 가압돌기들(232d) 사이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6 외측 가압 돌기들(231d)과 제6 내측 가압 돌기들(232d)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6 가압 돌기부(231d, 232d)는 제6 결속 홈(235)에 삽입된 후판(320)을 가압함으로써, 제3 결속 부재(230d)와 후판(320)의 결속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판(320) 및 우판(340)의 각각은 제5 가압 돌기부(231c, 232c)와 제6 가압 돌기부(231d, 232d)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판(320) 및 우판(340)은 탄성 또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골판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11, 12: 조립식 상자 100: 받침판
110: 바닥면 120: 외곽 벽
130: 내곽 벽 200: 결속 부재
210, 210a, 210b, 210c: 제1 결속 부재 211, 211a, 211b: 제1 외측 앵글
2110a: 제1 관통 홀 2110b: 제1 외측 체결 홀
212, 212b: 제1 내측 앵글 2120b: 제1 내측 체결 홀
213: 제1 브리지(213) 214: 제1 결속 홈
215: 제2 결속 홈 216: 제1 힌지부
217: 제1 눌림 손잡이 218: 제2 힌지부
219: 제2 눌림 손잡이 220,220a, 220b: 제2 결속 부재
221: 제2 외측 앵글 221a: 제2 관통 홀
221b: 제2 외측 체결 홀 222: 제2 내측 앵글
222b: 제2 내측 체결 홀 223: 제2 브리지
224: 제3 결속 홈 225: 제4 결속 홈
230, 230a, 230b, 230c, 230d: 제3 결속 부재
231: 제3 외측 앵글 231a: 제3 관통 홀
231b: 제3 외측 체결 홀 231c: 제5 외측 가압 돌기
231d: 제6 외측 가압 돌기 232: 제3 내측 앵글
232b: 제3 내측 체결 홀 232c: 제5 내측 가압 돌기
232d: 제6 내측 가압 돌기 233: 제3 브리지
234: 제5 결속 홈 235: 제6 결속 홈
240, 240a, 240b: 제4 결속 부재 241: 제4 외측 앵글
241a: 제4 관통 홀 241b: 제4 외측 체결 홀
242: 제4 내측 앵글 242b: 제4 내측 체결 홀
243: 제4 브리지 244: 제7 결속 홈
245: 제8 결속 홈 300: 측판
310: 전판 311,321,331,341: 측판 체결 홀
320: 후판 330: 좌판
340: 우판 400: 덮개
410: 상측면 420: 둘레면
500: 파레트 510: 삽입 홈

Claims (11)

  1.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판들; 및
    상기 받침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측판들의 각각을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들의 각각은:
    외측 앵글;
    상기 외측 앵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 앵글;
    상기 내측 앵글과 상기 외측 앵글을 연결하여, 상기 외측 앵글과 상기 내측 앵글 사이의 공간을 2개의 영역들로 구획하는 브리지;
    상기 2개의 영역들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들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되는 2개의 결속 홈들;
    상기 외측 앵글 상에서, 상기 결속 홈의 개구된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단의 폭을 가변시키는 눌림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 홈들의 각각은, 그의 개구된 일단의 폭이 그의 타단의 폭보다 작고,
    상기 측판의 폭은 상기 일단의 폭과 대응되고, 상기 타단의 폭보다는 작은 조립식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홈에 삽입된 측판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판을 상기 내측 앵글과 밀착시키는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앵글은 상기 가압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갖는 조립식 상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외곽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는 외곽 벽을 포함하는 조립식 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외곽 벽의 내측에 상기 외곽 벽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내곽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의 하측 및 상기 결속 부재의 하측은 상기 외곽 벽과 상기 내곽 벽 사이에 배치되는 조립식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사각 형상이고,
    상기 측판들은 상기 받침판의 모서리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전, 후, 좌, 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들은 상기 받침판의 꼭지점 상에 각각 배치되는 조립식 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앵글 및 상기 내측 앵글은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조립식 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앵글 및 상기 내측 앵글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조립식 상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외측 앵글로부터 상기 결속 홈들의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외측 가압 돌기들; 및
    상기 내측 앵글로부터 상기 결속 홈들의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내측 가압 돌기들을 포함하는 조립식 상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압 돌기들과 상기 내측 가압 돌기들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 가압 돌기들은 상기 외측 앵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가압 돌기들은 상기 내측 앵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조립식 상자.
KR2020150007927U 2015-12-03 2015-12-03 조립식 상자 KR200485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27U KR200485311Y1 (ko) 2015-12-03 2015-12-03 조립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27U KR200485311Y1 (ko) 2015-12-03 2015-12-03 조립식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76U KR20170002076U (ko) 2017-06-13
KR200485311Y1 true KR200485311Y1 (ko) 2017-12-20

Family

ID=5909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27U KR200485311Y1 (ko) 2015-12-03 2015-12-03 조립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80U (ko) 2021-08-12 2023-02-21 장정환 압축강도의 보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 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694A (ja) * 1999-09-10 2001-03-27 Nippon Light Metal Co Ltd コンテナ
KR100730698B1 (ko) 2006-12-18 2007-06-21 주식회사 영록산업 사각 고리를 이용한 조립식 상자
KR100793239B1 (ko) * 2006-05-24 2008-01-10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694A (ja) * 1999-09-10 2001-03-27 Nippon Light Metal Co Ltd コンテナ
KR100793239B1 (ko) * 2006-05-24 2008-01-10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100730698B1 (ko) 2006-12-18 2007-06-21 주식회사 영록산업 사각 고리를 이용한 조립식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80U (ko) 2021-08-12 2023-02-21 장정환 압축강도의 보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76U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6194C2 (ru) Поддо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оваров
EP1284910B1 (en) Spring loaded corner post for use with plastic film wrapping
JP2008526626A (ja) 果物および野菜の農産物を収納するための蓋付き単一材料パッケージ
JP5240251B2 (ja) 梱包材
TWI424944B (zh) 包裝外箱結構
KR200485311Y1 (ko) 조립식 상자
JP2010132334A (ja) 組立式梱包箱
JP4840080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方法
KR200429011Y1 (ko) 디아이와이 책장
JP5567111B2 (ja) 組立て用紙箱
KR101061587B1 (ko) 포장용 상자
KR20140047794A (ko) 벽체용 앵글
JP3167554U (ja) 折畳みコンテナ
US20060289331A1 (en) Carton and clip assembly for packaging and shipping a water heater or similar appliance
KR100774587B1 (ko) 포장박스 조립용 연결부재
KR20100082043A (ko) 어상자
KR101480070B1 (ko) 포장용 상자
KR200335554Y1 (ko) 포장용 상자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246980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함
KR20160132537A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200489608Y1 (ko) 조립식 상자
KR200450029Y1 (ko) 포장용 상자
KR102512859B1 (ko) 종이책장용 조립키트
JP3185021U (ja) 製本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