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33Y1 - 수정란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수정란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33Y1
KR200485033Y1 KR2020160002041U KR20160002041U KR200485033Y1 KR 200485033 Y1 KR200485033 Y1 KR 200485033Y1 KR 2020160002041 U KR2020160002041 U KR 2020160002041U KR 20160002041 U KR20160002041 U KR 20160002041U KR 200485033 Y1 KR200485033 Y1 KR 200485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yo
container
temperature
collec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675U (ko
Inventor
임현주
임석기
윤호백
당창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60002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3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1Apparatus for collecting seminal fluids; Artificial vagin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2Containers for animal semen, e.g. pouches or vials ; Methods or apparatus for treating or handling animal semen containers, e.g. filling or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2Containers for animal semen, e.g. pouches or vials ; Methods or apparatus for treating or handling animal semen containers, e.g. filling or closing
    • A61D19/025Containers for animal semen, e.g. pouches or vials ; Methods or apparatus for treating or handling animal semen containers, e.g. filling or closing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e.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수정란 회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는, 제1 연결부재를 통해 대상물에 관류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관류액 공급 수단; 상기 대상물로 유입된 관류액을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유입받을 수 있으며, 상기 관류액에 포함된 수정란을 채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정란 채집 수단;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 내부에 수용된 수정란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정란 회수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FERTILIZED EGG}
본 고안은, 수정란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로부터 수정란을 채집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 특히, 소(牛)의 숫컷의 경우 암컷의 수에 따라 많은 수의 자손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암컷은 일생동안 대략 6∼10두의 자손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인위적인 기술이 접목되면 암컷의 번식능력 또한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가축의 개량 및 다산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수정란 이식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숫소의 경우 숫소의 자연종부(교미)시 1회분의 정액을 채집, 희석처리하면 인공수정시의 정액 1회분을 저장한 스트로우 100∼300개를 만들 수 있고, 이 스트로우를 동결처리하여 저장시켰다가 필요시 인공수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암소의 경우 자연상태에서 비임신을 기준으로 21일에 1개의 난자가 배란되지만, 특별히 우유의 분비량이 많은 젖소, 또는 육질이나 육량 등이 우수한 한우의 암컷의 경우 한 번에 다수의 난자가 배란되게 하는 호르몬 주사를 실시하여 과배란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과배란된 난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시기에 인공수정 혹은 자연종부를 실시하여 암컷의 생식기 내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되는 수정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기간(대략 6∼9일) 이후 생식기관인 난관으로부터 착상 등 임신을 위해 자궁으로 내려오는 수정란들을 채집하여 현미경 하에서 상태를 검사한 후 다른 암컷의 소의 자궁에 이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분의 수정란은 동결처리 보관하여 필요시에 이식하게 된다.
여기서, 수정이 이루어진 수정란의 채집과 관련하여, 카테터(Catheter) 등의 관을 통해 관류액을 자궁 내로 유입시키며, 착상을 위해 자궁 내에 위치하고 있는 수정란을 관류액과 함께 체외로 배출시켜 관류액에 포함된 수정란을 채집하게 된다.
하지만, 수정란을 생산하는 공란우로부터 수정란의 채란을 위해 위치 보정에 필요한 시간 내지 관류액을 흘려보내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관류액의 온도가 수정란의 채란에 필요한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수정란과 함께 배출된 관류액이 외부 환경에 의해 필요한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정란에 온도 충격이 발생되어 수정란의 생존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없음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상물로 제공되는 관류액, 또는 대상물로부터 유출되며 수정란이 포함된 관류액이 미리 설정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되도록하여, 수정란의 온도 충격이 방지될 수 있는 수정란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정란의 채란시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수정란이 미리 설정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되어 수정란의 생존률이 증대되는 수정란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정란의 채집하는 대상물에 따라 위치 보정을 통해 용이하게 수정란의 채집이 가능한 수정란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를 통해 대상물에 관류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관류액 공급 수단; 상기 대상물로 유입된 관류액을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유입받을 수 있으며, 상기 관류액에 포함된 수정란을 채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정란 채집 수단;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 내부에 수용된 수정란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에 저장된 관류액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은, 제1 고정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고정형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공급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은, 제2 고정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고정형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채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집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제2 고정형 지지대의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는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 조절 수단은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온도 조절 수단은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1
그리고,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류액 배출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레일;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대상물로 제공되는 관류액, 또는 대상물로부터 유출되며 수정란이 포함된 관류액이 온도 조절 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되도록하여, 수정란의 온도 충격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정란의 채란시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수정란이 미리 설정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되어 수정란의 생존률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정란의 채집하는 대상물에 따라 수정란 채집 수단의 이동에 의해 위치 보정을 통해 용이하게 수정란의 채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정란을 회수하는 대상물은 다양한 생명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상물이 '소(牛)'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류액 공급 수단(100)은 관류액을 저장하고 소(800)로 관류액을 공급한다. 관류액 공급 수단(100)은 제1 고정형 지지대(110)와, 공급용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형 지지대(110)는 공급용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홀(111)이 형성되며, 공급용기(120)가 지지홀(111)에 삽입되면 공급용기(120)가 지지될 수 있다. 제1 고정형 지지대(110)는 공급용기(120)에 저장된 관류액이 중력에 의해 공급용기(120)로부터 소(8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80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형 지지대(110)는 지지대걸이(900)에 걸려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형 지지대(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형 지지대(11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급용기(120)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스틸,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강성이 확보된다면 다른 재질도 무방하다. 공급용기(120)는 제1 고정형 지지대(110)에 형성된 지지홀(111)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형 지지대(110)가 소(8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지지대걸이(900)에 걸려 있으므로, 제1 고정형 지지대(110)에 삽입된 공급용기(120)도 소(80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 그리고, 공급용기(120)는 소(800)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연결부재(510)에 연결되며, 공급용기(120)에 저장된 관류액은 공급용기(120)로부터 제1 연결부재(510)를 통해 소(800)의 자궁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510)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튜브일 수 있으며, 제1 연결부재(510)에는 제1 연결부재(5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1 밸브(51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밸브(511)가 개방되면 공급용기(120)에 저장된 관류액이 중력에 의해 제1 연결부재(510)를 통해 소(800)의 자궁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용기(120)는 제1 고정형 지지대(110)에 삽입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홀(111)에 삽입되는 측면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용기(120)의 경사부(121)가 제1 고정형 지지대(110)의 지지홀(111)에 걸리게 되므로, 공급용기(120)가 제1 고정형 지지대(110)의 하측으로 추락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공급용기(12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또는 PVC(Polyvinyl chloride)와 같은 각종의 복합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급용기(120)는 관류액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팩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용기(120)는 내부의 관류액의 상태 또는 현재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정란 채집 수단(200a)은 수정란을 채집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공급용기(120)로부터 제1 연결부재(510)를 통해 소(800)의 자궁 내부로 유입된 관류액은 착상을 위해 자궁 내에 위치하고 있는 수정란을 내포하여 수정란과 함께 체외로 유출된다. 그리고, 수정란과 함께 소(800)의 체외로 유출된 관류액은 제2 연결부재(520)를 통해 수정란 채집 수단(200a)으로 유입되며, 수정란 채집 수단(200a)에 유입된 관류액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배출된다. 즉, 수정란 채집을 위해 사용된 관류액의 대부분이 버려지며, 수정란 보호를 위해 일부의 관류액만이 수정란과 함께 수정란 채집 수단(200a)에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관류액으로부터 수정란을 채집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란 채집 수단(200a)은 튜브에 연결된 카테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정란 채집 수단(200a)은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와, 채집용기(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형 지지대(210a)는 채집용기(22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홀(211a)이 형성되며, 채집용기(220a)가 지지홀(211a)에 삽입되면 채집용기(220a)가 지지될 수 있다. 제2 고정형 지지대(210a)는 소(800)로부터 유출되는 관류액이 채집용기(220a)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800)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2 고정형 지지대(210a)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형 지지대(210a)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채집용기(220a)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스틸,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강성이 확보된다면 다른 재질도 무방하다.
채집용기(220a)는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에 형성된 지지홀(211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채집용기(220a)는 소(800)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연결부재(520)에 연결되며, 수정란이 내포된 관류액이 소(800)로부터 유출되어 채집용기(220a)에 유입된다. 여기서, 제2 연결부재(520)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튜브일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520)에는 제2 연결부재(5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2 밸브(52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밸브(521)가 개방되면 수정란이 내포된 관류액이 소(800)의 체외로 유출되어 채집용기(220a)로 이동한다.
채집용기(220a)는 용기본체(221a)와, 메쉬부재(222a)와, 개폐부재(223a)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221a)는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에 삽입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홀(211a)에 삽입되는 측면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225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221a)의 경사부(225a)가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의 지지홀(211a)에 걸리게 되므로, 용기본체(221a)가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의 하측으로 추락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용기본체(221a)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또는 PVC(Polyvinyl chloride)와 같은 각종의 복합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221a)는 수정란이 내포된 관류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컵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221a)는 내부의 관류액의 상태 또는 현재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221a)의 바닥부에는 관류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데, 메쉬부재(222a)는 수정란이 용기본체(221a)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용기본체(221a)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다. 그리고, 개폐부재(223a)는 용기본체(221a)의 바닥부에 결합되어 메쉬부재(22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정란이 포함된 관류액이 용기본체(221a)에 유입되면 관류액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용기본체(221a) 외부로 배출되고 수정란을 보호하기 위한 일부의 관류액만이 수정란과 함께 용기본체(221a)에 남게 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223a)가 용기본체(221a)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을 개방하여 관류액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용기본체(221a)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개폐부재(223a)가 개방되었을때 메쉬부재(222a)가 수정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은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에 설치될 수 있으며, 채집용기(220a)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채집용기(220a)에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은, 용기본체(221a) 내부에 수용된 수정란이 미리 결정된 온도, 예를 들어 소(800)의 체내 온도에 해당되는 대략 35℃ 이상 40℃ 이하의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용기본채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수정란이 관류액과 함께 소(800)의 체외로 유출되는 경우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면 수정란의 생존률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수정란의 생존률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본체(221a)에 유입된 관류액이 소(800)의 체내 온도 범위 내에 해당되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이를 위해,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은 용기본체(221a)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재, 예를 들어 열선을 포함하는 히팅부재로 구성되어 용기본체(221a)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은 히팅부재와, 히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용기본체(221a)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미도시)와, 온도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공급 열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용기본체(221a)의 온도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온도 조절 수단(400)은 제1 고정형 지지대(110)에 설치되며, 공급용기(12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급용기(120)에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온도 조절 수단(400)은, 공급용기(120)에 저장된 관류액을 미리 결정된 온도, 예를 들어 소(800)의 체내 온도에 해당되는 대략 35℃ 이상 40℃ 이하의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공급용기(12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에서 상술한 바와 공통되는 이유로 수정란의 생존률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공급용기(120)에 저장된 관류액이 소(800)의 체내 온도 범위 내에 해당되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2 온도 조절 수단(400)은 공급용기(120)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재, 예를 들어 열선을 포함하는 히팅부재로 구성되어 공급용기(120)에 열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2 온도 조절 수단(400)은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와 마찬가지로, 히팅부재와, 히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공급용기(1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미도시)와, 온도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공급 열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공급용기(120)의 온도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자동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류액은 소(800)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제1 고정형 지지대(110)에 지지되고 있는 공급용기(120)로부터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제1 연결부재(510)를 통해 소(800)의 체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공급용기(120)에 저장된 관류액은 제2 온도 조절 수단(400)에 의해 소(800)의 체내 온도와 유사한 온도를 가지도록 조절되므로 관류액이 소(800)의 체내에서 수정란을 내포하더라도 수정란은 온도 충격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소(800)의 자궁 내부로 유입된 관류액은 착상을 위해 자궁 내에 위치하고 있는 수정란을 내포하여 제2 연결부재(520)를 통해 수정란과 함께 체외로 유출된 후 채집용기(220a)로 유입된다. 여기서, 채집용기(220a)의 용기본체(221a)로 유입된 관류액의 일부는 배출관(530a)을 통해 용기본체(221a)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수정란은 메쉬부재(222a)에 의해 용기본체(221a)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채집용기(220a)의 용기본체(221a)로 유입된 관류액은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에 의해 소(800)의 체내 온도와 유사한 온도를 가지도록 조절되므로 관류액에 내포된 수정란은 온도 충격을 받지 않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정란 회수 장치(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채집용기(220b)가 이동형 지지대(210b)에 지지되어, 예를 들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정란 채집 수단(200b)은 이동형 지지대(210b)와, 채집용기(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집용기(220b)는 용기본체(221b)와, 메쉬부재(222b)와, 개폐부재(223b)를 포함할 수 있고, 용기본체(221b)에는 경사부(225b)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동형 지지대(210b)는 채집용기(220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홀(211b)이 형성되며, 채집용기(220b)가 지지홀(211b)에 삽입되면 채집용기(220b)가 지지될 수 있다. 이동형 지지대(210b)는 이동수단(600)에 결합되어 예를 들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수정란을 생산하는 공란우의 크기, 공란우가 있는 장소의 환경적 요소 또는 공란우의 생리적 생식적 특이성에 따라 위치보정을 위해 채집용기(220b)의 높이가 조절되어져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형 지지대(210b)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수단(600)은 레일(610)과, 이동바(6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610)은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고정형 지지대(210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바(620)는 이동형 지지대(210b)에 결합되며,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에 연결되어 레일(610)을 따라 예를 들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바(620)가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면 이동바(620)에 결합된 이동형 지지대(210b)도 이동하며, 이동형 지지대(210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는 채집용기(220b)도 이동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채집용기(220b)를 상측으로 이동시켜(도 2 참조) 공란우로부터 수정란이 내포된 관류액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수정란과 관류액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므로 온도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정란이 내포된 관류액이 채집용기(220b)로 유입되면 채집용기(220b)가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에 근접하도록 이동바(620)를 하강시킨다(도 3 참조).
관류액 배출 용기(700)는 채집용기(220b)로부터 버려지는 관류액을 모아서 배출하도록 마련되며 채집용기(220b)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관류액 배출 용기(700)는 이동수단(600)이 하강하는 경우 채집용기(220b)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채집용기(220b)가 관류액 배출 용기(700)에 삽입되면 제1 온도 조절 수단(300)으로부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채집용기(220b)의 개폐부재(223b)가 개방되는 경우 채집용기(220b)로 유입된 관류액이 관류액 배출 용기(700)로 이동하며, 관류액 배출 용기(700)에 연결된 배출관(530b)을 통해 관류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수정란 회수 장치 100 : 관류액 공급 수단
110 : 제1 고정형 지지대 111 : 지지홀
120 : 공급용기 121 : 경사부
200a, 200b : 수정란 채집 수단 210a : 제2 고정형 지지대
210b : 이동형 지지대 211a, 211b : 지지홀
220a, 220b : 채집용기 221a, 221b : 용기본체
222a, 222b : 메쉬부재 223a, 223b : 개폐부재
225a, 225b : 경사부 300 : 제1 온도 조절 수단
400 : 제2 온도 조절 수단 510 : 제1 연결부재
511 : 제1 밸브 520 : 제2 연결부재
521 : 제2 밸브 530a, 530b : 배출관
600 : 이동수단 610 : 레일
620 : 이동바 700 : 관류액 배출 용기
800 : 소 900 : 지지대걸이

Claims (10)

  1. 제1 연결부재를 통해 대상물에 관류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관류액 공급 수단;
    상기 대상물로 유입된 관류액을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유입받을 수 있으며, 상기 관류액에 포함된 수정란을 채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정란 채집 수단;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 내부에 수용된 수정란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류액 배출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정란 회수 장치.
  2. 제1 연결부재를 통해 대상물에 관류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관류액 공급 수단;
    상기 대상물로 유입된 관류액을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유입받을 수 있으며, 상기 관류액에 포함된 수정란을 채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정란 채집 수단;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 내부에 수용된 수정란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1 온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에 저장된 관류액을 미리 결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온도 조절 수단은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류액 공급 수단은,
    제1 고정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고정형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공급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은,
    제2 고정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고정형 지지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채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 메쉬부재; 및
    상기 메쉬부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제2 고정형 지지대의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는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조절 수단은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에 열을 공급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레일; 및
    상기 수정란 채집 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란 회수 장치.
KR2020160002041U 2016-04-15 2016-04-15 수정란 회수 장치 KR200485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1U KR200485033Y1 (ko) 2016-04-15 2016-04-15 수정란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41U KR200485033Y1 (ko) 2016-04-15 2016-04-15 수정란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75U KR20170003675U (ko) 2017-10-25
KR200485033Y1 true KR200485033Y1 (ko) 2017-11-23

Family

ID=6040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41U KR200485033Y1 (ko) 2016-04-15 2016-04-15 수정란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3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438A (ja) 1998-09-17 2000-04-04 Fujihira Kogyo Kk 卵子の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88863Y1 (ko) * 2000-02-02 2000-07-15 강상원 수정란 채집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6112U (ko) * 1989-01-18 1990-07-31
JP2592880Y2 (ja) * 1993-09-30 1999-03-31 富士平工業株式会社 採卵器用採卵針
KR20050056846A (ko) * 2004-07-16 2005-06-16 주식회사 에이비에스인코리아 소의 체내 수정란 이식 방법
KR101189738B1 (ko) * 2011-02-23 2012-10-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정란 직접채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438A (ja) 1998-09-17 2000-04-04 Fujihira Kogyo Kk 卵子の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88863Y1 (ko) * 2000-02-02 2000-07-15 강상원 수정란 채집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75U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326Y1 (ko) 양돈용 급이기의 급수장치
CN103179852A (zh) 改良的显微操作和储存装置以及方法
CN207411168U (zh) 一种小猪养殖用饲料定量喂养装置
KR101567284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사료량 측정장치
KR100952282B1 (ko) 축산용 급여기의 위치조절식 급수조
KR200485033Y1 (ko) 수정란 회수 장치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CN104488749A (zh) 畜类脚踏式自动喂水装置
US20150296744A1 (en) Automatic waterin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heating and circulating water
CN211544557U (zh) 一种畜牧兽医用疫苗储存装置
JP2016067807A (ja) ストロー管、並びに精液又は受精卵の凍結保存方法
KR100363110B1 (ko) 축사용 물통
CN211322589U (zh) 一种自动供水的鸡养殖用饮水装置
JP2010148401A (ja) 細胞保存容器
CN206603015U (zh) 一种仔猪养殖用饮水装置
KR20170069444A (ko) 부화 칸막이
KR20100052027A (ko) 송아지용 사료공급통
CN109526775A (zh) 一种用于畜牧养殖的自动喂养装置
RU2609905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выпойки молока и его заменителей при групповом содержании телят-молочников
CN216701452U (zh) 一种用于形成冷冻保存生物材料的油包水液滴的芯片
KR200293240Y1 (ko)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을 위한 주입장치
CN207589808U (zh) 一种畜牧饲养装置
CN216931621U (zh) 一种生物材料的冷冻保存装置
CN215774859U (zh) 一种猪舍的一体式喂食喂水装置
CN215123176U (zh) 一种热循环保温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