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52Y1 - 네일폼 - Google Patents

네일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52Y1
KR200484952Y1 KR2020150004197U KR20150004197U KR200484952Y1 KR 200484952 Y1 KR200484952 Y1 KR 200484952Y1 KR 2020150004197 U KR2020150004197 U KR 2020150004197U KR 20150004197 U KR20150004197 U KR 20150004197U KR 200484952 Y1 KR200484952 Y1 KR 200484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opening
nail foam
foam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025U (ko
Inventor
서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인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인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인위드
Priority to KR2020150004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5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22Finger-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일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일(nail)을 노출 시키기 위해 네일폼 본체 내부에 폐도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를 기준으로 손가락 끝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 및 개구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1 점착부; 가이드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2 점착부를 포함하며, 개구부로부터 네일폼 본체를 가로질러 외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절취선(perforated line) 및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개 이상의 옆선이 구비된, 네일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조 손톱의 형성을 위한 안정적인 토대를 제공하며, 자연 손톱에 가까운 짧은 인조 네일부터 대회용 네일까지 모든 모양의 네일 형성이 가능한 네일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네일폼{NAIL FORM}
본 고안은 네일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양의 인조 손톱 제조를 위해 안정적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네일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손톱이나 발톱을 미적으로 표현하는 네일아트(nail art)에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네일아트란 단순히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표현을 손톱에 나타내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손톱(이하 '자연손톱'이라 함)의 모양, 길이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네일아트를 위해서는 그 예비 단계로서 자연 손톱 상에 네일아트에 적합하게 형성된 인조 손톱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특히, 자연 손톱이 짧거나 부러진 경우 등에는 손톱을 연장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인조 손톱의 형성을 위해서는 인조 손톱을 만드는 토대가 되는 틀인 네일폼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일본 특개2012-29706호, 일본 특개2011-167315호 등에 이와 같은 네일폼에 관한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일폼은 자연 손톱에 부착되어 인조 손톱 제조 시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손톱에 네일폼을 부착하고, 그 상부에 아크릴 또는 젤 네일을 조형하여 인조 손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네일폼은 폼 형태의 불안정성에 의해 완성된 인조 손톱의 모양이 구겨지거나 틀어져 정확하고 일률적인 모양을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손가락 측면에서 손톱과 손가락의 연결 부위가 들뜨는 경향이 문제된다.
따라서, 손톱과 손가락 단부의 전체적인 형태에 따라 밀착됨으로써 인조 손톱의 제조를 위해 안정적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네일폼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고안의 한 측면은 인조 손톱의 제조를 위해 안정적인 토대가 되며, 다양한 모양의 인조 손톱 형성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네일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견지에 의하면, 네일(nail)을 노출시키기 위해 네일폼 본체 내부에 폐도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를 기준으로 손가락 끝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 개구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1 점착부; 및 가이드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2 점착부를 포함하며, 개구부로부터 네일폼 본체를 가로질러 외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절취선(perforated line) 및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개 이상의 옆선이 구비된, 네일폼이 제공된다.
상기 네일폼은 손가락 끝 측 측면부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손가락에 장착된 네일폼 형태를 기준으로 개구부 측의 스트레스포인트 지점에서 시작하여, 손가락을 기준선으로 하여 20 내지 60°각도로 손톱이 자라나는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옆선은 손가락을 기준선으로 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부 및 개구부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5 내지 45°의 각도로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진 꺽임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옆선은 1 mm 내지 3mm 간격으로 양 측면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옆선은 절취선(perforated line) 또는 눌림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점착부를 절취하기 위한 제1 점착부 절취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점착부의 면적이 제2 점착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로 절단되어 개구부 내부에 배치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네일폼 강화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의 손가락 끝 측 개구부 절단면 및 손가락 뿌리 측 개구부 절단면은 동일한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일폼 본체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점착층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는 네일폼 본체로부터 오각형 형태로 돌출되며, 가이드부 내부에 오발, 스퀘어, 스틸레토 및 엣지 모양의 네일 형성을 위한 가이드 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제외한 네일폼 본체의 폭은 3.5 cm 내지 7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개구부로부터 1cm 내지 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조 손톱의 형성을 위한 안정적인 토대를 제공하며, 자연 손톱에 가까운 짧은 인조 네일부터 대회용 네일까지 모든 모양의 네일 형성이 가능고, 나아가 C-커브의 형성이 용이한 네일폼이 제공된다.
도 1(a)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네일폼 본체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네일폼 강화부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네일 폼 본체 뒷면에 네일폼 강화부를 부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네일폼을 손가락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종래 기술의 네일폼을 손가락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네일폼이 손가락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이를 지지대로 하여 형성된 인조 손톱의 모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네일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네일폼은 네일(nail)을 노출시키기 위해 네일폼 본체 내부에 폐도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를 기준으로 손가락 끝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 개구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1 점착부; 및 가이드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2 점착부를 포함하며, 개구부로부터 네일폼 본체를 가로질러 외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절취선(perforated line) 및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개 이상의 옆선이 구비된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네일(nail)은 손톱 및 발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손톱에 대하여 기재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발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네일폼의 각 구성의 방향은 본 고안의 네일폼이 손가락에 장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 1(a)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네일폼의 상기 개구부는 손가락 끝 측 개구부 절단면(2a) 및 손가락 뿌리 측 개구부 절단면(2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네일폼을 도시한 것으로, 도 1(a)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네일폼은 네일(nail)을 노출시키기 위해 네일폼 본체(1) 내부에 폐도형으로 형성된 개구부(2)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손가락 끝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0), 개구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1 점착부(20) 및 가이드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2 점착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네일폼은 나아가 개구부로부터 네일폼 본체를 가로질러 외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절취선(perforated line, 40a, 40b, 40c) 및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개 이상의 옆선(50)이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는 폐도형의 모양으로 절개된 것으로, 폐도형의 모양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네일(nail)이 노출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를 기준으로 손가락 끝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0)가 손톱의 하이포니키움(하조피)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인조 손톱 모양 형성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한편, 네일폼 본체의 양 측면에는 개구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1 점착부 및 가이드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2 점착부가 형성되며, 이들 점착부는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4개의 점착부가 형성되고, 양측의 제1 점착부 쌍 및 제2 점착부 쌍이 각각 점착되어 네일폼이 고정되는 경우, 네일폼을 부착해서 고정해야 하는 부분과 부착하지 않고 모양이 잡히도록 하는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일폼이 손가락에 장착되는 경우 네일폼의 3차원적인 형태는 구체적으로 손가락 주변에서는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부착되고, 손가락과 손톱이 분리되는 지점부터는 손톱이 자라나는 방향으로 갈수록 반지름이 작아지는 일반적인 원통 형태이거나, 반지름이 동일한 원통 형태일 수 있는 등, 일반적인 네일 형태부터 대회용 네일 형태까지 다양한 인조 손톱의 형성을 위한 토대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 따라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반지름이 작아지는 비율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손가락의 굵기 등의 입체적인 형태 및 원하는 손톱의 C 커브 형태에 따라 네일폼의 형태 및 굴곡을 잡아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 돌출된 제1 점착부는 네일폼이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돌출된 제 2 점착부는 원하는 C커브에 적합한 네일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개구부로부터 네일폼 본체를 가로질러 외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절취선(perforated line)의 배치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절취선 (40a), 손가락 뿌리 측 측면부 절취선 쌍(40b),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 쌍(40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절취선은 인조 손톱이 형성된 후 인조 손톱의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네일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 쌍(40c)이 도 3(a)와 같이 손가락에 장착되는 경우 수평 기준으로 20 내지 60° 각도로 아래를 향해 형성되며, 그 시작점이 손톱과 손가락이 구분되는 부분, 즉 스트레스포인트(손톱 양끝)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 (40c)은 절취선에 맞춰 살을 누르는 역할을 하는 부분과 인조 손톱의 토대가 되는 부분이 형태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하여 네일폼 측면의 스트레스포인트 부분이 정확한 모양으로 손가락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네일폼은 손가락 끝 측 측면부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손가락에 장착된 네일폼 형태를 기준으로 개구부 측의 스트레스포인트 지점에서 시작하여, 손가락을 기준선으로 하여 20 내지 60°각도로 손톱이 자라나는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을 기준선으로 하여 30 내지 50°각도로 손톱이 자라나는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가락을 기준선으로"하는 것은 손가락을 핀 상태에서 손가락 및 이의 연장선을 기준선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취선이 형성되는 경우 스트레스포인트에서 폼이 구겨지지 않도록 하며, 점착해야 할 부분과 토대를 형성할 부분을 자연스럽게 분리시킬 수 있고, 손가락 점착면이 손가락에 잘 붙게 된다.
한편, 이때 상기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은 "절취선"인 것으로 기재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절취를 주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네일폼이 손가락에 장착되는 경우 전체적인 3차원적 구조가 손가락 및 손톱의 구조에 적합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다만 경우에 따라 절취도 수행될 수 있는 선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절취를 위한 선으로써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을 따라 3차원의 형태가 잡힐 수 있도록 선의 일부가 절단된, 예를 들어 작은 구멍이 뚫린 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절취를 위한 것이 아닌 형태로써 압력을 가하여 형성된 눌림선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돌출된 제1 점착부는 네일폼이 어떠한 손가락의 두께에 대해서도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돌출된 제2 점착부는 원하는 C커브에 적합한 네일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이들 사이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도 네일폼이 전체적으로 손가락으로부터 들뜨거나 구겨지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네일폼은 특히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개 이상의 옆선이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은 옆선(50)은 한 개 이상이 형성되어 손가락 사이즈에 맞는 선에 따라 모양을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상기 옆선은 1 mm 내지 3mm 간격으로 양 측면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옆선은 손가락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부 및 개구부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5 내지 45°의 각도로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진 꺽임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꺽임부의 각도가 5°미만인 경우에는 네일폼이 손가락에 장착되는 경우 도안 3(b)와 같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으며, 무리하게 연결하고자 할 경우, 손톱 밑 살인 하이포니키움(하조피)이 네일폼에 과도하게 닿아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 또, 상기 꺽임부의 각도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톱의 C 커브 형태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의 원통이 구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꺽임부의 각도가 5° 내지 45°의 각도로 이루어진 경우 손톱의 C 커브 형태에 따라 네일폼의 형태가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꺽임부는 자연스러운 C-커브가 만들어지도록 구상된 것이다.
상기 옆선 중 평행부는 가이드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꺽임부는 개구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개구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꺽여 손가락 뿌리 측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옆선이 형성되는 경우,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일폼이 각 개인의 손가락 두께, 모양 등에 맞도록 밀착되어 손가락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종래 네일폼이 장착된 도 3(b)의 경우에 있어서 네일폼이 벌어지는 것이 비하여 매우 안정적인 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옆선은 절취를 위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옆선에 따라 3차원의 형태가 잡힐 수 있도록 선의 일부가 절단된, 예를 들어 작은 구멍이 뚫린, 절취선(perforated line) 또는 압력을 가하여 형성된 눌림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 점착부를 용이하게 절취하기 위한 제1 점착부 절취선(40d)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네일폼은 기본적으로 제1 점착부에 의해 모양이 잡히고 손가락에 고정되기 때문에 더 쉽게 벌어질 수 있는 제1 점착부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안정적인 점착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점착부의 면적은 제2 점착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네일 폼 본체는 개구부(2)를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개구부(2)와 동일한 형태로 절단되어 개구부 내부에 배치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네일폼 강화부(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이와 같은 예시적인 네일폼 강화부(3)를 나타낸 것이다.
네일폼 강화부(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폼 본체의 가이드부 후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인조 손톱의 제조를 위한 보다 튼튼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의 손가락 끝 측 개구부 절단면(2a) 및 손가락 뿌리 측 개구부 절단면(2b)은 동일한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일폼 강화부(3)가 네일폼 본체 후면에 부착되는 경우 하이포니키움(하조피)에 접하는 부위의 네일폼 두께가 균일하게 보강되며, 손가락과 손톱이 분리되는 부분의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네일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의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것일 수 있으나, 네일폼 본체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점착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점착"은 비가역적인 접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점착 후 다시 일정한 힘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정도의 부착력을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점착층"은 점착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거나, 점착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층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때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등의 재질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재질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인조 손톱의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상기 가이드부(10)는 네일폼 본체(1)로부터 오각형 형태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오발, 스퀘어, 스틸레토 및 엣지 모양의 네일 형성을 위한 가이드 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현존하는 모든 타입의 인조 손톱 모양을 구현하기 위한 가이드 선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포물선에 의해 오발 모양의 인조 손톱의 구현이 가능하고, 가로 및 세로로 90°로 교차된 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에 의해 스퀘어 모양의 인조 손톱의 구현이 가능하며, 좁은 사선, 및 넓은 사선에 의해 각각 스틸레토 및 엣지 모양의 인조 손톱을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각형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부(10)는 엣지 모양의 가이드 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오발, 스퀘어 및 스틸레토의 가이드 선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십자 모양을 포함하여 손톱의 중앙을 네일폼 중앙과 맞출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와 함께 포물선 모양의 선을 배치하여 다양한 하이포니키움 모양에 맞추어 필요한 경우 포물선 모양을 기준으로 재단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네일폼의 크기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손가락 및 발가락의 두께를 고려할 때 상기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제외한 네일폼 본체의 폭은 3.5 cm 내지 7 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cm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로부터 1cm 내지 5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경우인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네일폼을 이용하는 경우 공지의 네일폼을 적용한 도 3(b)의 경우에 비하여 네일폼이 손가락의 전체적인 형태에 따라 부착되어 구겨짐이나 들뜸이 없으며, C-커브가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네일폼을 형성하는 재질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종이, 고분자 수지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네일폼은 아크릴 네일 및 젤 네일을 포함하는 어떠한 인조 손톱의 제조의 토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네일폼을 이용하여 인조 손톱 및 발톱을 형성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고안의 네일폼도 동일한 방식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네일폼 본체
2: 개구부
2a: 손가락 끝 측 개구부 절단면
2b: 손가락 뿌리 측 개구부 절단면
3: 네일폼 강화부
10: 가이드부
20: 제1 점착부
30: 제2 점착부
40(40a, 40b, 40c, 40d): 절취선
50: 옆선

Claims (13)

  1. 네일(nail)을 노출시키기 위해 네일폼 본체 내부에 폐도형으로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를 기준으로 손가락 끝 측에 형성된 가이드부;
    개구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1 점착부;
    가이드부 양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제2 점착부; 및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형태로 절단되어 개구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의 손가락 끝 측 개구부 절단면 및 손가락 뿌리 측 개구부 절단면은 동일한 방향 및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네일폼 강화부를 포함하며,
    개구부로부터 네일폼 본체를 가로질러 외부를 향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취선(perforated line) 및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개 이상의 옆선이 구비되고,
    상기 옆선은 손가락을 기준 선으로 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평행부 및 개구부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손가락 뿌리 측 방향으로 5 내지 45°의 각도로 바깥쪽을 향해 구부러진 꺽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옆선은 1 mm 내지 3mm 간격으로 양 측면에 각각 2개 이상 형성되는, 네일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폼은 손가락 끝 측 측면부에 대칭으로 배치되며, 손가락에 장착된 네일폼 형태를 기준으로 개구부 측의 스트레스포인트 지점에서 시작하여, 손가락을 기준선으로 하여 20 내지 60°각도로 손톱이 자라나는 방향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손가락 끝 측 측면부 절취선을 포함하는, 네일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옆선은 절취선(perforated line) 또는 눌림선으로 형성되는 네일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를 절취하기 위한 제1 점착부 절취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네일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의 면적이 제2 점착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네일폼.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폼 본체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점착층이 구비된 네일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네일폼 본체로부터 오각형 형태로 돌출되며, 가이드부 내부에 오발, 스퀘어, 스틸레토 및 엣지 모양의 네일 형성을 위한 가이드 선을 모두 포함하는 네일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제외한 네일폼 본체의 폭은 3.5 cm 내지 7cm인 네일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개구부로부터 1cm 내지 5cm로 형성되는 네일폼.
KR2020150004197U 2015-06-23 2015-06-23 네일폼 KR200484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97U KR200484952Y1 (ko) 2015-06-23 2015-06-23 네일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97U KR200484952Y1 (ko) 2015-06-23 2015-06-23 네일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25U KR20170000025U (ko) 2017-01-02
KR200484952Y1 true KR200484952Y1 (ko) 2017-11-14

Family

ID=5779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197U KR200484952Y1 (ko) 2015-06-23 2015-06-23 네일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553B1 (ko) 2021-12-03 2022-09-29 임수민 네일아트용 밴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1: 여신헤라의 심심한 일상
네이버 블로그 2: 슈아의 블링블링 스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553B1 (ko) 2021-12-03 2022-09-29 임수민 네일아트용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25U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8453B1 (en) Artificial eyelash structure and its fabrication and method of use
JP6157712B2 (ja)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KR101919951B1 (ko) 플랙서블 인조손톱
CN106793843A (zh) 人造睫毛辅助器
BR112012017134B1 (pt) Método e disco para modificar cosmeticamente a aparência do contorno do olho e kit
US9833054B2 (en) Device for making artificial nails
US7198050B2 (en) Hair sculpting device and methods
KR200484952Y1 (ko) 네일폼
WO2017115825A1 (ja)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US3832771A (en) Nail clipper with means to adjust the curvature of the clipper blades
WO2016178565A1 (en) A deformable ring for attaching a hair extension to a strand of hair of the head, as well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ring
KR20190000572U (ko) 속눈썹 로드
KR101978257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
US20070012330A1 (en) Eyelash perm rod
KR101879231B1 (ko) 네일 폼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네일 연장 방법
US20040177859A1 (en) Bead, a tool and a method for applying the bead to hair
KR200392837Y1 (ko) 인조속눈썹
KR102188137B1 (ko) 인조 네일
US20210153585A1 (en) False eyelash attachment aid
CN109788837A (zh) 化妆用眼皮整形胶带
US2918924A (en) Manicuring instrument
JP4611088B2 (ja) 睫成形用ロッド
KR101978416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커터를 이용한 이너컷 방법
CN215649663U (zh) 可修剪人造指甲
KR102448553B1 (ko) 네일아트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