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37Y1 -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 - Google Patents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4737Y1 KR200484737Y1 KR2020170002580U KR20170002580U KR200484737Y1 KR 200484737 Y1 KR200484737 Y1 KR 200484737Y1 KR 2020170002580 U KR2020170002580 U KR 2020170002580U KR 20170002580 U KR20170002580 U KR 20170002580U KR 200484737 Y1 KR200484737 Y1 KR 2004847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air
- dust
- body part
- purif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 B01D46/0019—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장 등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특히,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흡입 후,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단계별로 정화하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되 제1필터 내지 제3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집진 유량 13 ㎥/cm 내지 22 ㎥/cm 에서 오염공기 사이즈 0.3um 기준으로 93% 내지 98% 필터 여재 효율을 가지며, 제1필터 내지 상기 제3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먼지가 20 내지 33ℓ의 유량으로 제공되는 조건하에서 필터 저항이 9 내지 12 mmH20 인 것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작업장 등에 설치되어 오염공기 특히, 오일 미스트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흡입 후, 정화하여 청정한 공기를 제공할 수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가공 현장에서는 절삭 공정, 선삭 공정 또는 연삭 공정이 실시되며, 이러한 금속의 가공 공정에서 냉각, 윤활 및 세정용으로 각종의 광물성 오일 및 수성 또는 유성의 세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광물성 오일 및 세제들은 절삭과 선삭 또는 연삭 공정에서 생성된 미세한 금속 미세 입자와 함께 휘발, 비산되며, 이러한 휘발 및 비산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금속 미립자 및 오일이나 세제들의 입자들을 통상 "오일미스트(oil mist)"라는 오염물질을 의미한다.
별도의 공기 정화기 또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작업장의 경우, 이러한 오일 미스트는 작업장의 배기 시설을 통하여 그대로 작업장 밖으로 배출되어 공기 오염의 큰 요인이 된다.
또한, 오일 미스트는 작업장 내에서도 작업 환경의 악화를 초래함은 물론, 작업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경우 피부염 등의 발생의 요인이 되고, 또한 수치 제어 공작 기계 등의 정밀 가공 장치의 경우 이러한 오일 미스트는 오동작 또는 단락 등의 고장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공기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오일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정화기 또는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 중에 있는 오일 미스트 제거 장치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한다.
오일 미스트 제거 장치의 한 종류인 전기 집진기에서는 고전압이 방전 전극에 인가되면,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 (Corona) 방전으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하여 가스 중의 분진이 대전되며, 전기장에 의한 전기력으로 먼지 입자가 집진판에 포집된다. 이후, 먼지 입자를 기계적인 충격으로 집진판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미세 입자가 제거된다.
한편, 원심 집진기는 송풍용 날개와 필터를 외주면에 갖는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오일 미스트를 필터에 여과시키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174712호(공고일:2012.08.21.)인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산업기계에 설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를 가지고 구비되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어느 한 방향에 형성하여 집진처리할 오일 미스트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대향 위치의 장치바디에 형성하여 오일 미스트가 제거된 순수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 후방위치 장치바디 내부에 설치하여 흡입된 오일 미스트를 유체와 공기로 분리하여 여과하는 전방여과기와, 상기 전방여과기 후방에 설치하여 여과할 오일 미스트를 흡입하고 배출에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는 작동실과, 상기 작동실 후방에 설치하여 최종적으로 유체와 공기를 분리하는 후방여과기와, 상기 전방여과기와 작동실 및 후방여과기의 하방에 설치하여 전방여과기와 후방여과기에서 여과된 유체와, 전방여과기에서 후방여과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체와 공기를 분리하여 유체를 응집하는 응집실로 구성된다.
하여, 강제로 배출시키면서 오일 미스트를 분리되는 과정에서 오일 미스트가 모터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유지보수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오일 미스트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오일 미스트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체류판을 통해 공기보다 무거운 유체성분을 원활히 응집실에 낙하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그 유체가 체류판 표면에 고착되어 장시간을 사용시에는 자주 체류판을 손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빠른 유속 및 많은 흡입량에도 불구하고 신속히 주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할 수 있는 집진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필터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단계별로 정화하는 필터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의 오염공기가 흡입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20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부(300)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순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다수 구비되되 상기 모터부(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 내부로 최초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1차 정화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에 구비되는 제1필터(200A), 상기 제1필터(200A)에서 정화된 공기를 2차로 정화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200B) 및 상기 제2필터(200B)에서 정화된 공기를 3차로 정화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외부에 구비되는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200A) 및 상기 제2필터(200B) 외면은 상기 몸체부(100) 내면과 소정거리 이웃하되 오염공기가 이동하거나 또는 정화시에 배출되는 오일성분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공간로(117)가 형성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200A) 내지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집진 유량 13 ㎥/cm 내지 22 ㎥/cm 에서 오염공기 사이즈 0.3um 기준으로 93% 내지 98% 필터 여재 효율을 갖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200A) 내지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먼지가 20 내지 33ℓ의 유량으로 제공되는 조건하에서 필터 저항이 9 내지 12 mmH20 인 것을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각각의 상기 제1필터, 상기 제2필터 및 상기 제3필터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정지름을 갖는 캡, 한 쌍의 상기 캡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이웃하는 거리를 유지시키되 정화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메쉬(mesh)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망, 한 쌍의 상기 캡 사이에 주름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오염공기를 여과시키는 여과망 및 상기 여과망 외면을 따라 메쉬(mesh)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여과망의 주름형상에 변화가 없도록 지지하는 지지망을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캡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상기 모터부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상기 제1필터로 유입되어 정화될 수 있도록 누출방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필터 또는 상기 제3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와류(渦流)에 의해 상기 몸체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와류형성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와류형성판은 상기 연결망 외면과 이어지게 상기 여과망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필터(200A) 내지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집진 유량 13 ㎥/cm 내지 22 ㎥/cm 에서 오염공기의 사이즈 0.3um 기준으로 2% 내지 7% 필터 투과 효율을 갖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빠른 유속 및 많은 흡입량에도 불구하고 집진 효율이 향상된 필터로 인해 신속히 주변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도어부재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제2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제1필터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작용관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집진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도어부재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제2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제1필터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작용관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집진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이하, 간략하게 '집진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정화용 집진장치를 촬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오염정화용 집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도어부재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오염정화용 집진장치(1)는 몸체부(100), 필터부(200) 및 모터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터부(100)는 제1 내지 제3필터(200A, 200B, 200C)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하우징(110) 및 도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다수의 필터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모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200) 중 일부 즉, 제1 내지 제3필터(200A, 200B, 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몸체부(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 및 도어부재(120)는 정화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및 도어부재(120)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오염공기가 다수 구비된 제1 내지 제3필터(200A, 200B, 200C)를 통해 정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소음을 흡음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양측이 개방되되 속이 빈 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임펠러(330), 제1필터(200A), 제2필터(200B), 상기 제1필터(200A)와 제2필터(200B)를 하우징(110)의 내부 벽면과 이격시키고 지지하는 제1격판(111) 및 제2격판(113)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격판(111)은 임펠러(330)와 근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330)의 회전에는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우징(110)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격판(113)은 제1격판(111)과 소정거리 이웃하게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제1필터(200A)에 의해 1차 정화된 공기가 제2필터(200B)에 의해 2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돌출형성되는 드레인밸브(115)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밸브(115)는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드레인밸브(115)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구성들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의 오염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여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염공기의 경로를 살펴보면, 임펠러(330)의 회전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오염공기가 하우징(110) 내에서 단계별로 정화되어 배출관(127)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 제1필터(200A)와 제2필터(200B)에는 제1격판(111) 및 제2격판(113)이 배치될 수 있고, 제1격판(111) 하부는 임펠러(33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용이하게 제1필터(200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111a)이 천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격판(113) 하부에는 제2필터(200B)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출공(113a)이 천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공(113a)은 후술할 와류형성판(25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장홈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격판(111,113) 상에 제1 및 제2필터(200A,200B)를 배치시킬 경우, 제1 및 제2필터(200A, 200B) 외면이 하우징(110)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시켜 공간으로 형성된 공간로(117)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33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유입공(111a)으로 유입되어 제1필터(200A)에서 1차 정화된 이후에 공간로(117)를 통해 이동하여 제2필터(200B)에 의해 2차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드레인밸브(115)는 공간로(117)와 연통되게 하우징(110)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공간로(117)에 생성되는 오염물질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공간로(117)에 생성된 오염물질은 오일 미스트로 기름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110)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개폐가능한 드레인밸브(115)를 통해 오염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집진장치(1)가 설치되는 지면이나 바닥면에서 하우징(110)이 소정높이를 갖게 배치될 수 있도록 받침체(119)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10) 하부에는 드레인밸브(115)를 통해 배출되고자 하는 오염물질이 공간로(117) 내에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공간로(117) 내부 온도가 실온(1~35℃)를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환언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는 제1 및 제2필터(200A, 200B)를 통해 정화하고자 하는 오일 미스트 성분이 포함된 오염공기는 정화시에 여과된 오일성분이 하우징(110) 하부에 형성된 공간로(117)에 수집될 수 있다. 이에 오일성분의 오염공기는 임펠러(330)의 풍압에 의해 드레인밸브(115) 방향으로 이동되어 드레인밸브(115)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만약의 경우, 상기 공간로(117)를 이동하는 통상의 오일은 그 점성에 의해 임펠러(330)의 풍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 공간로(117) 즉, 하우징(110) 내벽에 고착되어 재차 작동시에 그 고착된 오일로 인하여 공간로(117)를 따라 이동하는 오일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우징(110) 하부에 형성된 공간로(117) 내부 온도가 항시 실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열 가능한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공간로(117) 내부 온도가 항시 실온을 유지하여 여과된 오일성분이 원활하게 드레인밸브(1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드레인밸브(115)는 수작업이 아닌,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일정시간마다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는 도어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재(120)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에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 제1도어(121) 및,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경로 및 상기 경로 상에 배치되어 정화과정에 존재하는 오염공기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도어(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도어(125)는 정화된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도어(121, 125)에는 하우징(110)과 결합시에 오염공기 누출방지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가스킷(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킷은 하우징(110) 양측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수단인 매미고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매미고리의 당김에 의해 하우징(110)과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121)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110) 일측 즉,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에 상기 하우징(110)과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도어(121) 외면에는 임펠러(330)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부(200)를 통해 정화될 수 있도록 흡입관(1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흡입관(123)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도어(121) 외면에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임펠러(330)의 회전에 의해 오염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흡입관(123)에 메쉬 형태의 안전망(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125)는 상술한 제1도어(121)와 서로 마주보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타측 즉,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측에 상기 하우징(1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도어(125) 외면에는 하우징(110) 내부와 연통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배출관(127)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127)은 필터부(20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임펠러(330)의 풍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관(127)은 필요에 따라 즉, 후술하는 필터부(200)가 하우징(110) 내부 이외에 배출관(127)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정화와 동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127)의 상단에는 제3필터(200C)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플랜지(1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또는 제2도어(121, 125)에는 오염공기를 정화중인 하우징(110) 내부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감시함과 동시에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감시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 내부에는 흡입모터(320)나 임펠러(3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방음수단(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음수단(130)은 엠보싱이 형성된 통상의 방음재를 사용하되 공간로(117)에 간섭을 주지 않게 하우징(110) 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배출관(127)과 이어지게 제2도어(125)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27)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오일 미스트와 같은 오염공기를 정화시에 여과된 오일성분이 항시 실온을 유지하는 공간로 내에서 고착되지 않고 이동하여 드레인밸브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대한 경제적인 요소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제2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제1필터를 촬상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제1필터(200A) 및 제2필터(200B) 이외에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 설치되어 배출관(127)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제3필터(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의 필터부(200)는 하우징(110) 내/외부에 설치되어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은 중복설명을 회피하고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00) 중 제2 및 제3필터(200B, 200C)는 모두 캡(210), 연결망(220), 여과망(230), 지지망(240) 및 와류형성판(2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1필터(200A)는 상기 와류형성판(250)이 생략된 형상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제2필터(200B)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캡(210)은 전체적으로 소정 지름을 갖는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한 쌍이 여과망(230)을 사이에 두고 소정거리 이웃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캡(210)이 갖는 이격 거리는 제1필터(200A)의 경우, 제1격판(111)에 고정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이격 형성되되 제2 또는 제3필터(200B, 200C)는 제2격판(113) 또는 플랜지(129)에 고정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필터(200A)에 구비된 한 쌍의 캡(210)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누출방지판(211)이 소정지름을 갖는 판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임펠러(330)에 의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용이하게 유입공(111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누출방지판(211)의 중앙부에는 흡입관(123)을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가 제1필터(200A)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천공부를 형성한다.
한편, 플랜지(129) 상부에 구비된 제3필터(200C)의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와류형성판(250)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신속하게 확산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3필터(200C)의 개방된 상부를 판 형상의 덮개판(260)으로 폐쇄하여 여과망(230)을 통해 3차로 정화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판(260)이 구비된 제3필터(200C) 내부에는 와류형성판(250)이 생략도 가능하다.(도 7 참조)
연결망(220)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캡(210) 내면이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되 여과망(230)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메쉬(Mesh) 형상을 갖도록 한다.
아울러 상술한 캡(210)과 연결망(220)은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연결이 용이하되 외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것이 사용된다.
여과망(230)은 오염공기(오일미스트)를 실질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구성으로 백필터 타입으로 설치되는 메디아의 소재와 동일한 유리섬유소재의 여과포가 합지되되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여과망(230)은 오염공기의 접촉면적을 최대한으로 하여 정화되는 공기의 양을 높일 수 있도록 주름형상을 갖도록 양끝단이 한 쌍의 캡(21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오염공기의 접촉면적을 최대화시켜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캡(210) 사이에 구비되는 여과망(230)은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여과 정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여과망(230) 전체면적에 균일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여과망(230)은 캡(210)의 외경 및 내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과망(230)은 캡(210)의 외경 및 내경을 따라 배치되되 주름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여과망(230)은 오염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필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필터 내지 제3필터(200A, 200B, 200C)은 10mm 내지 13mm의 직경의 외각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임펠러(330)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관(123)으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는 1차적으로 제1격판(111)에 구비된 제1필터(200A)에 의해 정화되며, 제1필터(200A)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공간로(117)를 통해 이동하여 제2격판(113)에 설치된 제2필터(200B)로 여과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로(117)를 통해 이동하는 1차로 정화된 공기는 제2필터(200B)에 전체적으로 퍼져 정화되기보단 제1필터(200A)와 근접하는 제2필터(200B) 일측에 1차 오염공기가 집중되어 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필터(200B) 타측은 정화력이 있음에도 제2필터(200B)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출관(127)에 제3필터(200C)를 구비하여 3차로 정화하여 정화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제3필터(200C)를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게는 제2필터(200B)에 구비된 여과망(230)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차 정화되는 기능이 높아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2필터(200B)에 구비된 여과망(230) 전체면적에 균일하게 2차 정화가 이루어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필터의 교체 주기가 증가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지지망(240)은 주름형상을 갖는 여과망(23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오염공기를 정화시에 상기 여과망(230)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지지망(240)은 오염공기가 여과망(23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0.5~0.8mm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와이어를 가로/세로 3 내지 5mm의 천공부를 갖는 메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두께가 0.5mm 이하일 경우에는 내성이 약하여 설치시나 이동중에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고, 0.8mm 이상일 경우에는 천공부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아 상기한 두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와류형성판(250)은 양끝단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캡(210)과 이어지되 그 외면이 연결망(220)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도록 나선형상을 가지며, 여과망(230)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와류에 의해 배출관(127)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와류형성판(250)은 제2필터(200B) 및 제3필터(200C)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에서 2차 정화된 공기가 소용돌이 되어 신속하게 배출관(127)으로 안내되거나 상기 배출관(127)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제3필터(200C)에서 소용돌이 되어 상기 제3필터(200C)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대기중에 더욱 넓은 범위를 갖도록 신속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는 제1필터(200A), 제2필터(200B) 및 제3필터(200C)를 통해 강한 흡입력으로 오염공기를 흡입하여도 필터의 성능으로 인해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필터가 오염공기를 필터링시키기 위해서 오염공기의 유속을 저속으로 흡입시켜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1)는 오염공기의 흡입력을 증가시켜도 정화력이 향상된 본 고안의 집진장치(1)로 인해 신속하게 주변의 오염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부(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오염공기를 상술한 몸체부(100) 내부로 유입하여 필터부(20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다시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판(310), 흡입모터(320) 및 임펠러(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설치판(3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되 그 면적의 중앙부에는 구동축(321)이 관통삽입되어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흡입모터(320)가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모터(320)는 구동축(321)이 설치판(310)에 관통삽입되게 고정설치되며, 관통삽입된 구동축(321)은 하우징(110)의 입구 즉, 흡입관(123) 방향으로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임펠러(330)의 회전에 의해 오염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임펠러(330)는 외부 오염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되 구동축(321)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흡입관(123)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200)를 통해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되 흡입된 오염공기는 공간로(117) 전체에 공급되어 제1 내지 제3필터(200A, 200B, 200C)에 의해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임펠러(330)의 회전속도는 적어도 외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그 흡입력으로 하우징(110)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관(127)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회전력을 갖도록 회전한다. 여기서 임펠러(330)의 회전속도는 오염공기의 유량이 13m3/cm 내지 22 m3/cm 를 유지하도록 회전력을 갖는 거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집진장치(1)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중에 존재하는 오일 미스트 즉, 오염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는 흡입모터(320)를 제어하여 구동축(321)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임펠러(330)를 회전시켜 흡입관(123)을 통해 오염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한다.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오염공기는 제1격판(111) 하부에 형성된 유입공(111a)을 통해 제1필터(200A)로 유입되어 1차 정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필터(200A)를 통해 정화된 공기는 임펠러(330)의 풍압에 의해 공간로(117) 전체로 이동하여 제2격판(113)에 설치된 제2필터(200B)에 유입되어 2차 공기정화 작업을 실시한다. 2차 정화작업이 이루어진 공기는 상기 제2격판(113)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113a)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배출되어 배출관(1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 및 제2필터(200A, 200B)에 의해 정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일 성분의 오염물질은 하우징(110) 하부 내벽(즉,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공간로)을 따라 드레인밸브(115)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히터에 의해 항시 실온을 유지하는 하우징(110) 하부의 공간로(117)에 유입된 여과시에 분리된 오일성분은 드레인밸브(115) 방향으로 고착되지 않게 이동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제2필터(200B)에 의해 2차 정화작업이 이루어져 제2격판(113)의 배출공(113a)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필터(200B)에 형성된 와류형성판(250)에 의해 배출관(127) 방향으로 소용돌이 되어 신속하게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배출관(127)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상기 배출관(127) 상부에 구비된 제3필터(200C)에 의해 3차로 정화되어 대기중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제3필터(200C) 내부에 형성된 와류형성판(250)에 의해 대기중으로 신속하게 확산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오일 미스트와 같은 오염공기를 정화시에 여과된 오일성분이 항시 실온을 유지하는 공간로(117) 내에서 고착되지 않고 이동하여 드레인밸브(115)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대한 경제적인 요소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의 집진효율, 투과율 특성 등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험예
실시예
오염공기를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풍속계(TSI)를 사용하였다. 상기 풍속계(TSI)를 사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필터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의 입자 포집율을 PAO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집진장치에 배치되는 필터부의 직경은 11.29cm인 필터를 사용하였고, 필터에 제공되는 오염공기는 0.1㎛ 내지 0.6㎛ 의 입자 사이즈를 각각 제공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입자 사이즈에 대해서 필터부의 필터링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외부 환경으로 온도(Temperature)는 29.2℃, 압력(Pressure)은 1000.5[hPa], 상대습도(Rel. humidity)는 40.7%의 환경 하에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오염공기의 유량(Flow rate)은 분당 32.014ℓ(리터)를 흘려주었고, 면속도(Face velocity)는 5.336[cm/s]의 환경에서 측정하였다. 여기서 오염공기는 인위적으로, 직경(D)이 0.100um 0.120um, 0.200um, 0.250um, 0.300um, 0.400um, 0.500um, 0.600um의 입자크기를 흘려 주어 해당 입자크기의 포집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의 표 1과 같이 집진 효율이 측정되었다.
D'(um} |
Eff. (%) | Pen. (%) | P-95% (%) | Resistance (mmH20) |
0.100 | 95.661853* | 4.338147 | 4.933368 | 10.652 |
0.120 | 95.534682 | 4.465318 | 4.903578 | 10.651 |
0.200 | 95.278758 | 4.721242 | 5.084018 | 10.629 |
0.250 | 95.811177 | 4.188823 | 4.541292 | 10.646 |
0.300 | 96.244211 | 3.755789 | 4.133567 | 10.635 |
0.400 | 96,845749 | 3.154251 | 3.585388 | 10.646 |
0.500 | 97.143172 | 2.856828 | 3.364215 | 10.64 |
0.600 | 96.975514 | 3.024486 | 3.725723 | 10.654 |
여기서 D는 분진 즉, 오염공기의 파티클 사이즈를 나타내며, Eff.는 집진 효율을 나타낸다. Pen. (%)는 파티클이 필터를 투과하는 투과율을 나타내고, Resistance (mmH20)는 필터의 저항값 즉, 필터의 압력 손실 값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의 필터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포집율(필터 효율)은 0.100um 내지 0.600um 경우, 모두 93% 내지 98%로 특정되어 미세오염 먼저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까지 필터링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터는 필터의 투과율이 2 내지 7%로 미세오염먼지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까지 거의 투과되지 않고, 필터에 필터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집진필터는 미세먼지가 20 내지 33ℓ의 유량으로 제공되는 조건하에서 필터 저항이 9 내지 12 mmH20 으로 측정되었다. 즉, 많은 미세먼지가 발생한 장소에서도 빠르게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으며, 바를 유속임에도 불구하고 필터 저항으로 인해 필터의 필터의 여재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비교예에서는 유량을 14.8m3/cm로 부직포에 오염공기를 제공하였고 다른 실험 조건은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 실시예 | |
필터 여재 | 부직포 | 본원 필터 |
필터 여재 효율 | 0.3um 기준 50-60% | 0.3um 기준 94-97% |
필터 형상 | 사각 프레임 | 절곡 타입 |
집진성능(유량) |
14.8m
3
/cm
|
21.6m 3 /cm |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비교예는 저속의 유량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예의 필터는 오염공기를 50% 내지 60% 정도를 필터링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빠른 유속임에도 불구하고 93% 내지 98%까지 오염공기가 필터링되었다. 유속이 빠르다는 것은 필터로 유입되는 오염먼지가 많다는 의미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더 많은 오염공기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필터는 필터의 저항으로 인해 필터링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로 하였다. 즉, 오염공기의 유속이 빠른 경우 필터의 필터링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환언하면, 필터는 저속의 유량일 때 필터 효율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빠른 유속임도 불구하고 필터 효율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오염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의 경우, 오염입자가 사용중임에도 기름형태로 흘러 내리게 되어 필터 저항이 저하되어 필터링 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는 오염입자가 필터에 부착이 용이하게 되어 필터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더 많은 오염입자가 제공된 본 고안의 필터는 지속적으로 필터링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사각 부직포 형상으로 되어 빠른 유량으로 인해 오염공기가 필터링되지 않고 필터를 투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빠른 유량으로 인해 오염입자가 부직포를 통과하여 필터 효율이 저하되고, 오염입자가 부직포에 부착되어 여재 기공이 막혀 필터 효율을 더욱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초미세먼지 군에 속하는 3um 이하인 초미세먼지를 실험 대상으로 하여 초미세먼지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게다가 0.3um의 경우, 초미세먼지보다 더 입자가 작은 오염먼지를 93% 내지 98%까지 필터링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주변환경을 정화할 수 있음과, 필터링 효율이 종래의 필터보다 상당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부가적으로, 미세먼지는 직경 10u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먼지를 말하고, 초미세먼지는 3um 이하의 입자 사이즈를 말한다. 이에 호흡기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초미세먼지에 해당되는 3um(구체적으로 2.5um)를 93% 내지 97%를 필터링함으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구비하는 오염방지용 집진장치는 빠른 유량 및 많은 흡입량에도 불구하고 신속히 주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필터의 교체주기를 증가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
100: 몸체부 110: 하우징
111: 제1격판 113; 제2격판
115: 드레인밸브 117: 공간로
119: 받침체 120: 도어부재
121: 제1도어 123: 흡입관
125: 제2도어 127: 배출관
129: 플랜지 130: 방음수단
200: 필터부 200A: 제1필터
200B: 제2필터 200C: 제3필터
210: 캡 211: 누출방지판
220: 연결망 230: 여과망
240: 지지망 250: 와류형성판
300: 모터부 310: 설치판
320: 흡입모터 321: 구동축
330: 임펠러
100: 몸체부 110: 하우징
111: 제1격판 113; 제2격판
115: 드레인밸브 117: 공간로
119: 받침체 120: 도어부재
121: 제1도어 123: 흡입관
125: 제2도어 127: 배출관
129: 플랜지 130: 방음수단
200: 필터부 200A: 제1필터
200B: 제2필터 200C: 제3필터
210: 캡 211: 누출방지판
220: 연결망 230: 여과망
240: 지지망 250: 와류형성판
300: 모터부 310: 설치판
320: 흡입모터 321: 구동축
330: 임펠러
Claims (5)
-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단계별로 정화하는 필터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의 오염공기가 흡입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200)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20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부(300)를 통해 상기 몸체부(100)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순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다수 구비되되 상기 모터부(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 내부로 최초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1차 정화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에 구비되는 제1필터(200A), 상기 제1필터(200A)에서 정화된 공기를 2차로 정화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200B) 및 상기 제2필터(200B)에서 정화된 공기를 3차로 정화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외부에 구비되는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200A) 및 상기 제2필터(200B) 외면은 상기 몸체부(100) 내면과 소정거리 이웃하되 오염공기가 이동하거나 또는 정화시에 배출되는 오일성분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공간로(117)가 형성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200A) 내지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집진 유량 13 ㎥/cm 내지 22 ㎥/cm 에서 오염공기 사이즈 0.3um 기준으로 93% 내지 98% 필터 여재 효율을 갖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200A) 내지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먼지가 20 내지 33ℓ의 유량으로 제공되는 조건하에서 필터 저항이 9 내지 12 mmH20 인 것을 더 포함하는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필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필터(200A), 상기 제2필터(200B) 및 상기 제3필터(200C)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정지름을 갖는 캡(210);
한 쌍의 상기 캡(210)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이웃하는 거리를 유지시키되 정화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메쉬(mesh)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망(220);
한 쌍의 상기 캡(210) 사이에 주름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되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오염공기를 여과시키는 여과망(230); 및
상기 여과망(230) 외면을 따라 메쉬(mesh)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여과망(230)의 주름형상에 변화가 없도록 지지하는 지지망(240);을 포함하되,
상기 제1필터(200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캡(210) 중 어느 하나는 내부에 상기 모터부(30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상기 제1필터(200A)로 유입되어 정화될 수 있도록 누출방지판(2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필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200B) 또는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와류(渦流)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와류형성판(2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와류형성판(250)은 상기 연결망(220) 외면과 이어지게 상기 여과망(230)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필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200A) 내지 상기 제3필터(20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집진 유량 13 ㎥/cm 내지 22 ㎥/cm 에서 오염공기의 사이즈 0.3um 기준으로 2% 내지 7% 필터 투과 효율을 갖는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580U KR200484737Y1 (ko) | 2017-05-26 | 2017-05-26 |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580U KR200484737Y1 (ko) | 2017-05-26 | 2017-05-26 |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4737Y1 true KR200484737Y1 (ko) | 2017-10-18 |
Family
ID=6040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2580U KR200484737Y1 (ko) | 2017-05-26 | 2017-05-26 |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73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5298B1 (ko) | 2019-05-29 | 2020-03-05 | 주식회사 코어볼트 | 옥외 설치형 공기청정시스템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207953B1 (en) * | 1999-08-19 | 2003-09-2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ily-mist resistant filter that has nondecreasing efficiency |
KR20080005727U (ko) * | 2007-05-25 | 2008-11-28 | (주)이투산업환경 | 역류방지용 게이트가 도어에 장착되는 집진기 |
KR101089457B1 (ko) * | 2010-11-23 | 2011-12-07 | 허영숙 | 가로형 여과필터가 구비된 집진기 |
US8858669B2 (en) * | 2012-05-01 | 2014-10-14 | Allied Separation Technology, Inc. | Oil coalescing filter |
EP3115097A1 (en) * | 2015-07-06 | 2017-01-11 | Air-O-Filter Environment System, Inc. | Oil mist collector |
US9669342B2 (en) * | 2015-06-02 | 2017-06-06 | Air-O-Filter Environment System Inc. | Oil mist collector |
-
2017
- 2017-05-26 KR KR2020170002580U patent/KR20048473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207953B1 (en) * | 1999-08-19 | 2003-09-2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ily-mist resistant filter that has nondecreasing efficiency |
KR20080005727U (ko) * | 2007-05-25 | 2008-11-28 | (주)이투산업환경 | 역류방지용 게이트가 도어에 장착되는 집진기 |
KR101089457B1 (ko) * | 2010-11-23 | 2011-12-07 | 허영숙 | 가로형 여과필터가 구비된 집진기 |
US8858669B2 (en) * | 2012-05-01 | 2014-10-14 | Allied Separation Technology, Inc. | Oil coalescing filter |
US9669342B2 (en) * | 2015-06-02 | 2017-06-06 | Air-O-Filter Environment System Inc. | Oil mist collector |
EP3115097A1 (en) * | 2015-07-06 | 2017-01-11 | Air-O-Filter Environment System, Inc. | Oil mist collec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5298B1 (ko) | 2019-05-29 | 2020-03-05 | 주식회사 코어볼트 | 옥외 설치형 공기청정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2186B1 (ko) | 초미세먼지 제거용 공조시스템의 여과포 세척장치 및 여과포 세척방법 | |
US20050235617A1 (en) | Mist collector arrangement and methods | |
US20150298041A1 (en) | Dust collector with monitor air filter | |
CN105650755A (zh) | 一种改进型空气净化设备 | |
KR20170006088A (ko) |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 |
KR200484737Y1 (ko) |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 필터 | |
KR200430268Y1 (ko) | 이동식 공기여과장치 | |
KR101930630B1 (ko) | 오일미스트 집진기 | |
KR200399987Y1 (ko) | 공기정화기의 필터유닛 | |
KR102105600B1 (ko) | 이중사이클론 집진청소기 | |
KR200484735Y1 (ko) | 오염공기 정화용 집진장치 | |
US4576618A (en) | Self-cleaning collecting device | |
JP4906125B2 (ja) | フィルタ装置 | |
CN201085977Y (zh) | 超微粉尘过滤装置 | |
KR100506985B1 (ko) | 외면 여과식 원심력 오일 미스트 포집장치 및 그 포집방법 | |
CN209752496U (zh) | 一种微量润滑磨削加工过程油雾回收、分离与净化装置 | |
CN204799028U (zh) | 一种用于机加工车间油雾污染净化的成套设备 | |
KR101860560B1 (ko) | 사이클론이 설치되는 불꽃 및 고온의 금속 분진용 포터블 집진기 | |
CN205372682U (zh) | 油烟机用石墨烯基吸油海绵 | |
KR102144861B1 (ko) | 건물환기시스템의 급기구 황사유입방지장치 | |
CN103816725A (zh) | 机床油雾集尘机 | |
CN213795501U (zh) | 一种新型防止污染的金属机械加工设备 | |
CN212944421U (zh) | 一种便于零部件清洁的工业除尘装置 | |
CN216010380U (zh) | 油雾回收装置的底架 | |
CN213375781U (zh) | 一种除油雾机用净化消除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