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93Y1 - 휴대용 타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93Y1
KR200484693Y1 KR2020150005801U KR20150005801U KR200484693Y1 KR 200484693 Y1 KR200484693 Y1 KR 200484693Y1 KR 2020150005801 U KR2020150005801 U KR 2020150005801U KR 20150005801 U KR20150005801 U KR 20150005801U KR 200484693 Y1 KR200484693 Y1 KR 200484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using
hole
wall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459U (ko
Inventor
국현민
Original Assignee
국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현민 filed Critical 국현민
Publication of KR201700004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24Perforating by needles or p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내부공간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 내부에 결합공을 형성한 제1하우징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뽀족한 선단을 갖는 타공부재와, 상부가 개구된 제2가이드공을 내부에 갖는 제2가이드를 형성하여 제1가이드가 제2가이드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공 내부에 형성시킨 단부의 연통공으로 타공부재가 수직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가이드 외주연과 제2가이드 내주연 사이 공간에 결합하여 제1하우징과 타공부재를 탄력적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타공기{Portable boring machine}
본 고안은 휴대용 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 뚜껑에 구멍을 천공시켜 빨대를 꽃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나 요구르트 등 각종 음료제품은 어린이에게서부터 노인까지 모든 계층에서 꾸준하게 소비되고 있으며, 이들 우유나 요구르트 등의 음료제품은 통상적으로는 종이재질의 팩에 우유를 담거나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통에 요구르트를 담아 은박재질 등의 마개로 마감한 상태에서 보관 및 유통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우유팩은 별도의 빨대와 함께 포장되어 유통되지 않는 대부분의 경우,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우유팩 일측 모서리를 벌린 상태에서 안쪽으로 밀어 입구를 개봉해야하는데, 노약자나 환자, 어린이 등과 같이 힘이 약한 사람은 개봉하기 어렵고, 무리한 개봉을 시도하다가 종이재질의 우유팩 일측이 찢어지거나 구겨져 개봉이 더욱 힘들어지며, 큰 힘을 사용하다가 우유팩이 찢어지면서 우유를 쏟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게다가, 우유팩의 모서리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얇게 도포되어 있어, 이를 개방 후 직접 입을 대고 마시면 소량이지만 접착제가 함께 체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노약자나 환자, 어린이 등과 같이 섭취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우유를 급격하게 마실 경우 체할 위험이 많아 빨대로 천천히 마셔야 하지만,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우유팩에는 빨대를 꽂기 위한 구멍이 없어 우유팩의 모서리를 똑같이 개방한 상태에서 빨대를 꽂아 마셔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용 뚜껑에 구멍을 천공시켜 빨대를 꽃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료수 용기에 장착된 뚜껑을 별도로 개봉할 필요없이 가압방식으로 뚜껑에 구멍을 천공시켜 빨대를 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여 음료수의 음용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타공을 위한 가압력의 직전성 보장으로 작은 힘으로도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다양한 지름을 갖는 타공 대상물에 맞추어 교체가 가능한 젠더를 통해 휴대용 타공기를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타공기의 사용에 대한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타공 구멍을 부분 절개시켜 다양한 지름을 갖는 빨대를 꽃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스텐인리스 재질을 적용하여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내부공간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 내부에 결합공을 형성한 제1하우징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뽀족한 선단을 갖는 타공부재와, 상부가 개구된 제2가이드공을 내부에 갖는 제2가이드를 형성하여 제1가이드가 제2가이드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공 내부에 형성시킨 단부의 연통공으로 타공부재가 수직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가이드 외주연과 제2가이드 내주연 사이 공간에 결합하여 제1하우징과 타공부재를 탄력적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상호 동심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둘레에 형성시킨 제1외벽이 제2하우징의 둘레에 형성시킨 제2외벽의 내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타공부재는 뾰족한 선단의 중심에서 경사진 외주연으로 돌출된 절개부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은 제2외벽 하부를 연장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외벽의 길이를 연장하는 젠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하우징은 제2외벽 외주연에 형성시킨 돌기가 상기 젠더의 내주연에형성시킨 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젠더의 하부 내주연으로 상기 결합부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내부공간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 내부에 결합공을 형성한 제1하우징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뽀족한 선단을 갖는 타공부재와, 상부가 개구된 제2가이드공을 내부에 갖는 제2가이드를 형성하여 제1가이드가 제2가이드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공 내부에 형성시킨 단부의 연통공으로 타공부재가 수직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가이드 외주연과 제2가이드 내주연 사이 공간에 결합하여 제1하우징과 타공부재를 탄력적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음료수 용기에 장착된 뚜껑을 별도로 개봉할 필요없이 가압방식으로 뚜껑에 구멍을 천공시켜 빨대를 쉽게 꽂을 수 있도록 하여 음료수의 음용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제2외벽 하부를 연장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공 대상물에 가 결합되는 휴대용 타공기의 위치 선정을 손쉽게 하는 동시에 휴대용 타공기의 선정된 위치를 변경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타공을 위한 가압력의 직전성 보장으로 작은 힘으로도 타공 대상물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상기 제2외벽의 길이를 연장하는 젠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하우징은 제2외벽 외주연에 형성시킨 돌기가 상기 젠더의 내주연에형성시킨 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젠더의 하부 내주연으로 상기 결합부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지름을 갖는 타공 대상물에 맞추어 교체가 가능한 젠더를 통해 휴대용 타공기를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타공기의 사용에 대한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타공 대상물에 꽃을 빨대의 지름이 타공부재의 외주연 보다 큰 경우 빨대를 타공된 구멍에 꽃기에 어려움을 보완하고자, 타공부재의 뾰족한 선단 중심에서 경사진 외주연으로 돌출된 절개부를 하나 이상 형성시켜 절개부를 통해 타공된 구멍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톱니 형태로 더 절개하여 지름이 큰 빨대를 타공 구멍에 결합시킬 때 절개부를 통해 형성된 타공 구멍의 절개부위를 제외한 타공 구멍의 내주연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큰 지름의 빨대를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지름을 갖는 빨대의 적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는 스텐인리스 재질을 적용하여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타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타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젠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에 자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에 고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의미로 사용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2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타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타공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젠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에 자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에 고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 100 100는 제1하우징 110, 타공부재 130, 제2하우징 120 및 탄성부재 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 110은 공간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 112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 112 내부에 결합공 114을 형성한다.
아울러, 제1하우징 110은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원통형 이외에 다각형 형상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하우징 110은 둘레에 제1외벽 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외벽 111 내부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1가이드 112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1외벽 111 내주연과 제1가이드 112 외주연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 112 내부에는 결합공 114을 형성시켜 상기 타공부재 130를 결합시키되, 상기 타공부재 130의 뽀족한 선단 131이 제1가이드 112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제1외벽 111 내주연과 제1가이드 112 외주연 사이에 공간 중 단부 125를 형성되고, 상기 단부 125 중앙에는 연통공 126을 관통시킨다.
상기 타공부재 130는 상기 결합공 114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 112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뽀족한 선단 131을 갖는다.
여기서, 타공부재 130는 음료수 뚜껑 등의 타공 대상물 10을 가압하여 구멍을 뚫는 기능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타공부재 130가 결합공 114에 결합시 뽀족한 선단 131이 제1가이드 1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하우징 120은 상부가 개구된 제2가이드공 124을 내부에 갖는 제2가이드 123를 형성하여 제1가이드 112가 제2가이드공 124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공 124 내부에 형성시킨 단부 125의 연통공 126으로 타공부재 130가 수직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2하우징 120은 타공 대상물 10을 파지하고 제1하우징 110의 수직 이동을 돕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 120은 제1하우징 110과 동일한 둘레 및 형상을 갖도록 하되, 제1하우징 110과 제2하우징 120은 동심원을 갖는다.
그리고, 제2하우징 120의 둘레에는 제2외벽 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외벽 121 내부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가이드 123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2외벽 121 내주연과 제2가이드 123 외주연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2외벽 121 내주연과 제2가이드 123 외주연 사이에 공간에 제1하우징 110의 제1외벽 111이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공 124 내주연에 제1가이드 112부 외주연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제1하우징 110의 제1외벽 111 외주연과 제2하우징 120의 제2외벽 121 내주연은 상호 근접되게 결합되어 제2하우징 120에서 제1하우징 11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한다.
또한, 제1하우징 110의 제1가이드 112 외주연과 제2하우징 120의 제2가이드공 124 내주연은 상호 근접되게 결합되어 제2하우징 120에서 제1하우징 110의 수직 이동의 직진성을 보장한다.
상기 탄성부재 140는 상기 제1가이드 112 외주연과 제2가이드 123 내주연 사이 공간에 결합하여 제1하우징 110과 타공부재 130를 탄력적으로 원위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 120의 제2가이드 123 외주연에는 단턱 113을 형성시켜 탄성부재 140의 상부가 걸림되도록 하고, 탄성부재 140의 하부는 상기 연통공 126 단부 125에 걸림되도록 하여 제1하우징 110과 제2하우징 120의 결합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한다.
결국, 본 고안의 휴대용 타공기 100는 타공 대상물 10에 구멍을 뚫기 위해 제2하우징 120 하부를 타공 대상물 10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제1하우징 110을 가압한다.
상기 제1하우징 110이 하부로 이동하면, 제1외벽 111, 제1가이드 112의 외주연이 제2외벽 121, 제2가이드 123의 결합공 114 내주연의 안내를 받으면 하부로 수직 이동한다.
이때, 제1가이드 112의 단턱 113과 연통공 126 단부 125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 140가 압박되면서 타공부재 130가 제1하우징 110과 연동하여 연통공 126 하부로 이동하여 노출되면서 타공 대상물 10에 구멍을 뚫는다.
이후, 제1하우징 110에 가해졌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 140의 복귀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1하우징 11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타공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타공기 100는 지름이 다양한 타공 대상물 10의 종류에 따라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실시예는, 상기 제2하우징 120의 제2외벽 121 하부를 연장한 결합부 15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 150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 1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결합부 150는 제2하우징 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가 연장되며 상기 결합부 150의 내주연으로 타공대상물을 삽입한다.
이때, 단부 125의 하부면을 타공 대상물 10의 상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하우징 110의 가압을 통해 타공부재 130가 타공 대상물 10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결합부 150는 타공 공정을 수행하기 전 제2하우징 120과 타공 대상물 10의 가 결합을 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타공기 100의 위치선정 및 선정 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결합부 150의 내주연은 통상적으로 판매되는 음료수 뚜껑 더욱 구체적으로는 생수 뚜껑의 사이즈가 결합될 정도의 지름을 갖는다.
즉, 1실시예의 결합부 150는 제2하우징 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타공 대상물 10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실시예는, 상기 제2외벽 121의 길이를 연장하는 젠더 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 120은 제2외벽 121 외주연에 형성시킨 돌기 122가 상기 젠더 160의 내주연에형성시킨 홈 16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젠더 160의 하부 내주연으로 상기 결합부 150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 1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젠더 160는 제2하우징 120에서 젠더 160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면서 지름이 다양한 타공 대상물 10 지름에 맞추어 내주연의 지름을 갖는 젠더 160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제2하우징 12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실시예 및 2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상기 타공부재 130는 뾰족한 선단 131의 중심에서 경사진 외주연으로 돌출된 절개부 132를 갖는다.
상기 절개부 132는 하나 이상 등 분할로 형성되고, 단면이 톱니 형상을 갖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절개부 132를 4개로 등 분할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절개부 132의 형성 개수는 하나 이상이면 무방하다.
상기 절개부 132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즉,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부재 130의 외주연은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빨대의 지름과 동일한 사이즈의 지름(φB)을 갖는다.
이때, 타공 대상물 10에 꽃을 빨대의 지름이 타공부재 130의 외주연 보다 큰 경우 빨대를 타공된 구멍에 꽃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 132는 타공된 구멍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톱니 형태를 더 절개하여 지름이 큰 빨대를 타공 구멍에 결합시킬 때 절개부 132를 통해 형성된 타공 구멍의 절개부 132위를 제외한 타공 구멍의 내주연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큰 지름(φA)까지 벌어진 구멍을 갖을 수 있도록 하여 지름이 큰 빨대의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재 130와 탄성부재 140는 스텐인리스 재질을 적용하여 항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타공기 100는 자석 170 또는 고리 180를 부착시켜 보관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타공 대상물 100 : 타공기
110 : 제1하우징 111 : 제1외벽
112 : 제1가이드 113 : 단턱
114 : 결합공 120 : 제2하우징
121 : 제2외벽 122 : 돌기
123 : 제2가이드 124 : 제2가이드공
125 : 단부 126 : 연통공
130 : 타공부재 131 : 선단
132 : 절개부 140 : 탄성부재
150 : 결합부 160 : 젠더
161 : 홈 170 : 자석
180 : 고리

Claims (5)

  1. 내부공간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 내부에 결합공을 형성한 제1하우징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뽀족한 선단을 갖는 타공부재와,
    상부가 개구된 제2가이드공을 내부에 갖는 제2가이드를 형성하여 제1가이드가 제2가이드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가이드공 내부에 형성시킨 단부의 연통공으로 타공부재가 수직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가이드 외주연과 제2가이드 내주연 사이 공간에 결합하여 제1하우징과 타공부재를 탄력적으로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상호 동심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둘레에 형성시킨 제1외벽이 제2하우징의 둘레에 형성시킨 제2외벽의 내주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타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재는 뾰족한 선단의 중심에서 경사진 외주연으로 돌출된 절개부를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타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제2외벽 하부를 연장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부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외벽의 길이를 연장하는 젠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하우징은 제2외벽 외주연에 형성시킨 돌기가 상기 젠더의 내주연에형성시킨 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젠더의 하부 내주연으로 상기 결합부 하부 내주연에 타공 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타공기.

  5. 삭제
KR2020150005801U 2015-07-22 2015-08-31 휴대용 타공기 KR2004846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36 2015-07-22
KR20150004936 2015-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59U KR20170000459U (ko) 2017-02-02
KR200484693Y1 true KR200484693Y1 (ko) 2017-10-17

Family

ID=5840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01U KR200484693Y1 (ko) 2015-07-22 2015-08-31 휴대용 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9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895A (ja) * 1998-12-10 2000-06-20 Takatsugu Chiba 飲料容器のストロ―穴開け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879A (ko) * 2011-03-11 2012-09-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용 마스크에 구멍을 내기 위한 펀칭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895A (ja) * 1998-12-10 2000-06-20 Takatsugu Chiba 飲料容器のストロ―穴開け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59U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4101A1 (ja) 用時混合容器
US20090020495A1 (en) Container cap with liquid-dissolvable additive
RU2749948C2 (ru) Крышка с дыропробивным элементом,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ибкой трубки
KR20020061617A (ko) 용기용 천공 캡
JP2012071896A (ja) 小児用の安全蓋
KR101914598B1 (ko)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EP2922767B1 (en) Device for the fluid-tight conservation of a substance to be mixed to another substance contained in a container
WO2010030528A3 (en) Closure for containers
US20220087299A1 (en) Resealable spout for selectively accessing coconut water within a coconut
JP201219296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KR200484693Y1 (ko) 휴대용 타공기
KR102098908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JP5309308B2 (ja) 注出具
US20170043990A1 (en) Below The Bead Foil Cutter
KR20190062406A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KR102155234B1 (ko)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JP6190601B2 (ja) キャップ用の孔開け工具
KR200459330Y1 (ko) 빨대구멍 천공용 송곳
KR200394215Y1 (ko) 강력 접착제 보관용기
JP2010120658A (ja) スパウト閉栓キャップ
KR101444309B1 (ko) 첨가제 첨가용 이중캡
JP2010064781A (ja) ストロー兼用容器及びそれが付けられた容器入り飲料
JP2007302254A (ja) 吐出容器
KR100561693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이중캡
JP3176556U (ja) 紙パック容器に注ぎ口を取付ける円形穴あけ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