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51Y1 - 헤어 롤 브러시 - Google Patents

헤어 롤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51Y1
KR200484651Y1 KR2020150007271U KR20150007271U KR200484651Y1 KR 200484651 Y1 KR200484651 Y1 KR 200484651Y1 KR 2020150007271 U KR2020150007271 U KR 2020150007271U KR 20150007271 U KR20150007271 U KR 20150007271U KR 200484651 Y1 KR200484651 Y1 KR 200484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etal frame
body portion
roll brush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726U (ko
Inventor
윤범수
Original Assignee
윤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범수 filed Critical 윤범수
Priority to KR2020150007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5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6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brushes, pads, or the like whereon the additional devices are operable without more ado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08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of hollow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10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in the form of spools or bobb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40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 A45D24/44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as separate apparatus
    • A45D24/46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as separate apparatus with roller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에서 송풍되는 열이 헤어 롤 브러시에 잘 전달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오래 유지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헤어 롤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는 열을 이루고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는 상호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금속프레임; 및 상기 각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 외주면에 식재되는 브러시 모를 포함하는 헤어 롤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금속프레임의 외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는 상호 등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사이 부분인 복수개의 비요입부로 구분되며,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요입부의 내측면만이 상기 몸체부와 밀착되고 상기 비요입부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부와 이격된 형태로 상기 몸체부에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롤 브러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프레임의 온도가 종래의 헤어 롤 브러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오랫동안 고르게 유지되므로 모발에 자연스러운 웨이나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롤 브러시{HAIR ROLL BRUSH}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에서 송풍되는 열이 헤어 롤 브러시에 잘 전달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오래 유지되도록 하여 모발에 원하는 형태의 자연스러운 웨이브 또는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헤어 롤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머리카락을 손질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기구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헤어 롤 브러시로서, 전문 이미용 업소는 물론 각 가정에서도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헤어 롤 브러시는 머리를 감은 후에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말리거나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로 머리손질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헤어 롤 브러시는 외주면에 인공모 또는 합성수지재의 브러시가 방사상으로 식모된 몸체부와 이와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헤어 롤 브러시는 몸체부가 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헤어드라이어로 열을 가할 때 헤어 롤 브러시로부터 모발에 열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모발에 웨이브를 주거나 컬링을 하고자 할 때 원하는 형태의 자연스러운 스타일 연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007971호(1999. 2. 25 공개)에, 손잡이 상측에 고정된 지주에는 상,하부받침대가 일정간격을 이격하여 장착되고, 상,하부받침대의 둘레에 형성된 프레임결합용홈들에는 알루미늄이 ㄷ형으로 절곡된 알루미늄 브러시 프레임들이 삽입되어 원형을 이루어 배열되고, 브러시 프레임에 형성된 식모용홈들에는 반으로 접혀진 모다발들이 고정용편과 함께 삽입 고정된 원형의 브러시 몸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시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92호(2014. 7. 4 공고)에, 몸체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손잡이 타측의 몸체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그리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 지게 솔이 구비된 헤어 브러시에 있어서, 솔과 솔 사이에 나선형 금속 부재가 설치되되, 몸체 둘레 방향으로 간격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금속 부재가 구비된 헤어 브러시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고안들은 모두 헤어드라이어에서 송풍되는 열이 브러시 프레임 또는 나선형 금속 부재에 잘 전달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모발을 손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 실1999-0007971호의 경우, 다수의 ㄷ형으로 절곡된 알루미늄 브러시 프레임들을 하나하나 조립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높아 실용성이 떨어지고, 브러시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은 비어 있어 헤어브러시의 몸체부에 고르게 열이 분포되지 않으며 헤어드라이어에서 전달되는 열이 쉽게 손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92호는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송풍되는 열을 전달받는 부분이 솔과 솔 사이에 설치된 나선형 금속 부재에 한정되므로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헤어브러시 전체가 고르게 열을 전달받지 못하여 모발에 골고루 열을 전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달 받은 열을 일정시간 유지하기도 어려워 빠르고 쉽게 모발 스타일을 연출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287호(2013. 8. 13 공고)에는 원통형 금속관에 구멍들이 방사형 열을 이루어 뚫려지고, 구멍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지지관이 삽입 고정되며, 지지관에는 반으로 접혀진 모 다발이 끼워져 강제 삽입된 고정편에 의하여 고정되고, 금속관의 양측에는 캡과 손잡이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금속관에 모발이 식모된 헤어브러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관에 원통형 금속관을 강제 삽입하여 고정한 형태로 지지관의 외주면과 금속관의 내주면이 완전히 밀착한 형태로 결합되는데,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송풍된 열이 전도율이 좋은 금속관에 쉽게 전달되기는 하나 금속관의 열이 밀착 결합된 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관으로 다시 쉽게 전도, 흡수되어 손실되므로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관이 높은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007971호(고안의 명칭: 헤어브러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492호(고안의 명칭: 나선형 금속 부재가 구비된 헤어 브러시)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287호(발명의 명칭: 타공 금속관에 모발이 식모된 헤어브러시 및 그 제조공정)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와 헤어 롤 브러시를 이용하여 모발 스타일을 연출하고자 할 때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송풍되는 열을 고르게 전달 받을 수 있고 전달 받은 열을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고르게 유지할 수 있어 모발에 자연스러운 웨이브 또는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헤어 롤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손잡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는 열을 이루고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는 상호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금속프레임; 및 상기 각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 외주면에 식재되는 브러시 모를 포함하는 헤어 롤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금속프레임의 외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는 상호 등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사이 부분인 복수개의 비요입부로 구분되며,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요입부의 내측면만이 상기 몸체부와 밀착되고 상기 비요입부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부와 이격된 형태로 상기 몸체부에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롤 브러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요입부와 비요입부에는 각각 관통홀이 상기 금속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 또는 2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요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식재되는 브러시 모는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비요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식재되는 브러시 모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 및 손잡이는 목재이며, 상기 금속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는 몸체부 외주면에 배치된 파이프 형태의 금속프레임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된 복수개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사이 부분인 비요입부로 구분되고, 각 요입부의 내측면만이 몸체부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비요입부의 내측면은 몸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비접촉 상태로 몸체부에 압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 비요입부의 내측면과 몸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가 발생한다. 즉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송풍되는 열은 헤어 롤 브러시에서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프레임에 전달되는데, 금속프레임에 전달된 열은 각 비요입부의 내측면과 몸체부 사이 공간에 의한 단열효과에 의해 몸체부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오랫동안 금속프레임에 남아있게 되어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프레임의 온도가 종래의 헤어 롤 브러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오랫동안 고르게 유지되므로 모발에 자연스러운 웨이브나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는 요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합성수지대 브러시 모를 식재하고, 비요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금속재 브러시 모를 식재하는데, 금속재 브러시 모는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송풍된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발에 전달할 수 있어 머릿결을 더욱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는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모발 스타일을 연출하고자 할 때 종래의 헤어 롤 브러시에 비하여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전달 받는 열을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고르고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펌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미용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도 모발에 자연스러운 웨이브 또는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금속프레임과 몸체부 및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100)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손잡이(20), 몸체부(1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금속프레임(30) 및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식재되는 브러시 모(34)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손잡이(20)가 형성된다. 몸체부(10)와 손잡이(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제작된 후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0) 및 손잡이(20)는 목재(나무), 합성수지(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호 같은 재질로 제작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만,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송풍되는 열이 몸체부(10)를 거쳐 손잡이(20)까지 쉽게 전도되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나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의 외주면에는 금속프레임(30)이 배치된다. 금속프레임(30)은 몸체부(1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압입되어 몸체부(10)에 고정 결합된다.
금속프레임(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형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데 두께는 대략 1㎜ 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프레임(30)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프레임(30)에는 다수의 관통홀(32)이 내외부를 관통하여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금속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관통홀(32)이 1열(列) 또는 2열(列)을 이루며 천공되어 형성되고, 동시에 둘레방향을 따라서는 각 열을 이루는 관통홀(32)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금속프레임(30)의 외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는 등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요입부(36)와, 상기 요입부(36)의 사이 부분인 복수개의 비요입부(38)로 구분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외주면이 3개의 요입부(36)와 3개의 비요입부(38)로 이루진 금속프레임(30)을 예시하여 보여준다.
상기한 형상을 갖는 금속프레임(30)은 몸체부(10)의 길이방향 타단 쪽으로 압입되어 몸체부(10)에 고정 결합되는데, 이 때 각 요입부(36)의 내측면(36a)만이 몸체부(10)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각 비요입부(38)의 내측면(38a)은 몸체부(10)와 이격된 형태를 이룬다.
즉,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금속프레임(36)의 각 요입부(36) 내측면(36a)은 몸체부(10)와 밀착되어 상호 고정되는 부분이며, 각 비요입부(38)의 내측면(38a)은 몸체부(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S)을 형성한다.
만일, 금속프레임(30) 내측면 전체가 몸체부(10)의 외주면 전체와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헤어드라이어로부터 금속프레임(30)으로 전달된 열이 쉽게 몸체부(10)로 전도, 흡수되어 손실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발에 웨이브나 컬 등의 스타일을 연출할 때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프레임(30)의 온도가 높지 않고 또한 오랫동안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100)의 경우 금속프레임(30)의 각 비요입부(38) 내측면(38a)과 몸체부(10) 사이에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복수개의 이격공간(S)이 형성되므로, 헤어드라이어로부터 금속프레임(30)으로 전달된 열이 곧바로 몸체부(10)에 전도, 흡수되어 손실되지 않고 오랫동안 금속프레임(30)에 남아 있게 되어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프레임(30)의 온도가 종래의 헤어 롤 브러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오랫동안 고르게 유지되므로 모발에 자연스러운 웨이브나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비요입부(38)의 내측면(38a)과 몸체부(10) 외주면의 이격거리는 대략 1~2㎜ 정도가 바람직한데, 만일 이격거리가 1㎜ 미만이면 몸체부(10) 측으로 쉽게 열전도가 이루어지고, 2㎜를 초과하면 이격공간(S)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공기층에 의한 충분한 단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브러시 모(34)는 금속프레임(30)에 형성된 각 관통홀(32)을 통하여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식재된다. 브러시 모(34)의 재질은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강( 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재와 금속재 브러시 모(34)를 혼용하여 식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요입부(36)에 형성된 관통홀(32)의 열에는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 브러시 모(34)를 식재하고, 각 비요입부(38)에 형성된 관통홀(32)의 열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금속 브러시 모(34)를 식재할 수 있다.
금속재 브러시 모(34)의 경우 합성수지재 보다 열전달이 더욱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금속프레임(30)과의 조합에 의해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발의 결 정리를 보다 깔끔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각 요입부(36) 및 비요입부(38)에 관통홀(32)이 금속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1열 또는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관통홀(32)을, 각 요입부(36)에는 2열로, 각 비요입부(38)에는 1열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금속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32)의 열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100)에 사용될 수 있는 금속프레임(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각각 요입부(36)와 비요입부(38)를 2개씩 형성한 예, (b)는 각각 요입부(36)와 비요입부(38)를 4개씩 형성한 예, (c)는 각각 요입부(36)와 비요입부(38)를 5개씩 형성한 예, (d)는 각각 요입부(36)와 비요입부(38)를 6개씩 형성한 예이다. 그러나 각 요입부(36)와 비요입부(38)의 개수는 도 4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7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100)는 몸체부(10) 외주면에 배치된 파이프 형태의 금속프레임(30)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된 복수개의 요입부(36)와 상기 요입부(36)의 사이 부분인 비요입부(38)로 구분되고, 각 요입부(36)의 내측면(36a)만이 몸체부(10)의 외주면과 밀착되고 각 비요입부(38)의 내측면(38a)은 몸체부(10)와 일정 간격을 이루는 이격공간(S)을 갖는 형태로 몸체부(10)에 압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헤어 롤 브러시(100)에서 열판 역할을 하는 금속프레임(30)에 헤어드라이어로부터 전달된 열이 이격공간(S)으로 인한 단열효과에 의해 몸체부(10)로 바로 전달, 흡수되어 손실되지 않고 오랫동안 금속프레임(30)에 남아있게 되어 금속프레임(10)의 온도가 종래의 헤어 롤 브러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질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어 이미용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도 고가의 펌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발에 자연스러운 웨이브나 컬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롤 브러시(100)는 각 요입부(36)에 형성된 관통홀(32)에는 합성수지대 브러시 모(34)를 식재하고, 각 비요입부(38)에 형성된 관통홀(32)에는 금속재 브러시 모(34)를 식재할 수 있는데, 금속재 브러시 모(34)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모발에 전달할 수 있어 머릿결을 더욱 깔끔하게 정리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20: 손잡이
30: 금속프레임
32: 관통홀 34: 브러시 모
36: 요입부 36a: 요입부의 내측면
38: 비요입부 38a: 비요입부의 내측면
100: 헤어 롤 브러시
S: 이격공간

Claims (4)

  1.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길이방향으로는 열을 이루고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는 상호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금속프레임; 및
    상기 각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 외주면에 식재되는 브러시 모;를 포함하는 헤어 롤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금속프레임의 외주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요입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는 상호 등간격을 이루는 3 내지 5개의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의 사이 부분인 3 내지 5개의 비요입부로 구분되며,
    상기 금속프레임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압입되되, 상기 각 요입부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밀착하여 고정되고 상기 각 비요입부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이루는 형태로 압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롤 브러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와 비요입부에는 각각 관통홀이 상기 금속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 또는 2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롤 브러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식재되는 브러시 모는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비요입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식재되는 브러시 모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롤 브러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손잡이는 목재이며, 상기 금속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롤 브러시.
KR2020150007271U 2015-11-10 2015-11-10 헤어 롤 브러시 KR200484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71U KR200484651Y1 (ko) 2015-11-10 2015-11-10 헤어 롤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71U KR200484651Y1 (ko) 2015-11-10 2015-11-10 헤어 롤 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26U KR20170001726U (ko) 2017-05-18
KR200484651Y1 true KR200484651Y1 (ko) 2017-10-12

Family

ID=5902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71U KR200484651Y1 (ko) 2015-11-10 2015-11-10 헤어 롤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296A (zh) * 2019-10-26 2019-12-20 东莞市康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卷发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98Y1 (ko) * 2002-11-26 2003-05-14 김형준 헤어브러시
KR101190774B1 (ko) * 2012-04-17 2012-10-12 김병환 헤어 브러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760B1 (ko) 1999-03-10 2001-09-26 김순택 플리커리스 형광체 및 그 제조 방법
TWI231760B (en) 2001-12-20 2005-05-01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Coated lozen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96287B1 (ko) 2012-04-10 2013-08-13 황인간 타공 금속관에 모발이 식모된 헤어브러시 및 그 제조공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98Y1 (ko) * 2002-11-26 2003-05-14 김형준 헤어브러시
KR101190774B1 (ko) * 2012-04-17 2012-10-12 김병환 헤어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26U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0994B2 (en) Water removing hair brush
US9877562B2 (en) Hair straightening brush
KR200484651Y1 (ko) 헤어 롤 브러시
KR200459783Y1 (ko) 속눈썹 컬링용 드라이기
US20150342333A1 (en) Rotatable roll brush
CN107105860A (zh) 用于电动发刷的改善的附件
KR200473492Y1 (ko) 나선형 금속 부재가 구비된 헤어 브러시
KR101988161B1 (ko)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KR101750059B1 (ko) 헤어 롤 브러시
KR101296287B1 (ko) 타공 금속관에 모발이 식모된 헤어브러시 및 그 제조공정
KR200286488Y1 (ko) 헤어 브러시
KR100729274B1 (ko) 핫 컬링용 헤어브러쉬
KR101462210B1 (ko) 헤어 연출용 도구
KR20160001861U (ko) 헤어 브러시의 결합구조
US1628291A (en) Hairbrush
KR200190814Y1 (ko) 드라이어 고대기 겸용 롤 브러쉬
KR101713814B1 (ko) 브러쉬와 그 제조방법
KR200395392Y1 (ko) 핫 컬링용 헤어브러쉬
KR200477063Y1 (ko) 헤어브러시
KR200229888Y1 (ko) 헤어브러시
KR20140005734U (ko) 손잡이 분리형 컬링용 헤어 브러쉬
KR101130895B1 (ko) 헤어브러시
KR200318919Y1 (ko) 헤어 브러쉬
KR200483627Y1 (ko) 핫 컬링 브러시의 머리카락 낌 방지구조
JP2001204548A (ja) ヘア・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