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161B1 -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161B1
KR101988161B1 KR1020180018188A KR20180018188A KR101988161B1 KR 101988161 B1 KR101988161 B1 KR 101988161B1 KR 1020180018188 A KR1020180018188 A KR 1020180018188A KR 20180018188 A KR20180018188 A KR 20180018188A KR 101988161 B1 KR101988161 B1 KR 10198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se member
hair
wi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옥남
Original Assignee
오옥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옥남 filed Critical 오옥남
Priority to KR102018001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161B1/ko
Priority to PCT/KR2019/001743 priority patent/WO20191603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1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means, e.g. with air buffers, air v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간편하게 말리도록 함으로서 간편하고 빠르게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도록 하고 건강 모발 유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람통로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타측 흡입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측 배출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브러쉬 형태로 된 복수의 요철이 부착되고, 각 요철마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브러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Brush Type Hair Dri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간편하게 말리도록 함으로서 간편하고 빠르게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도록 하고 건강 모발 유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는 남성이나 여성이나 할 것 없이 모두가 바쁘게 생활하고 있다. 특히, 출근시간이나 외출 시에는 더욱 더 시간에 쫓기게 된다.
그럼에도 여성의 경우 대부분이 머리를 감고 나서 긴 머리카락을 말리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이는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더라도 약 20여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그 이후 머리를 꾸미거나 손질하는데 역시 약 10~20분이 소요된다고 한다.
이처럼, 1분 1초가 바쁜 시간에 머리카락을 말리거나 손질하는데 무려 30~40분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헤어드라이기는 무려 30~40분 정도의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료 역시 많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기존의 헤어드라이기는 일직선형 또는 기억자(ㄱ)형으로 입구에 커다란 구멍이 형성되고,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찬바람 또는 뜨거운 바람이 나오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면서 머리를 말릴 경우, 한손으로는 작동시킨 헤어드라이기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그냥 맨손으로 머리카락을 흔들거나 비비고, 또는 빗으로 빗으면서 머리카락을 말리는 구조이다.
그러다보니, 헤어드라이어에서 나오는 찬바람이나 뜨거운 바람이 온전히 머리카락을 말리는데 사용되기 보다는 허공으로 낭비되는 것이 많고, 머리카락 깊숙이 바람이 골고루 침두하지 못하기 때문에 머리까락을 말리는데 약 20여분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게 되는 것이다. 이는 1분 1초가 바쁜 시간에 시간이 많이 허비되는 원인이 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768호 (등록일자 2000.08.11.) 등록특허공보 제10-0562714호 (등록일자 2006.03.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간편하게 말리도록 함으로서 간편하고 빠르게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도록 하고 건강 모발 유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특징은 일측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람통로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타측 흡입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측 배출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브러쉬 형태로 된 복수의 요철과, 상기 케이스부재와 고정 부착되어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요철이 지지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부재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상기 각 요철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지주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은, 내부에 상기 지주대로 유입되는 바람의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벽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탄소섬유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은 지주대의 반대측 끝단부가 막혀 있으며, 끝단부는 둥근 구슬 형태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은 2cm~3cm의 가로 길이로 구성되고, 외경둘레는 약 3mm~5mm의 크기로 구성되며, 내부 통로는 벽면과 벽면 간의 간격이 2mm~3mm의 높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멍은 양방향 또는 사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성되고, 구멍의 크기는 지름이 1mm~3mm의 크기로 구성되며, 이웃하는 구멍과 격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는 케이스 부재와 손잡이 부재 사이에 안으로 굴곡이 가능하도록 회전 힌지를 추가하여 굴곡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굴곡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는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모발을 빗질하면서 간편하게 말리도록 함으로서 간편하고 빠르게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도록 하고 건강 모발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발에 접촉되는 브러쉬의 요철을 탄소섬유로 구성함으로써, 브러쉬의 온도를 빠르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매우 높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전체 단면도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도 1 및 도 2의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에서 요철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전체 단면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는 일측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람통로(31)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케이스 부재(30)와, 상기 케이스 부재(30)의 타측 흡입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재(10)와, 상기 케이스 부재(30)의 일측 배출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브러쉬 형태로 된 복수의 요철(50)이 부착되고, 각 요철(50)마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구멍(52)을 갖는 브러쉬부(40)로 구성된다.
이때, 손잡이 부재(10)에는 전기에너지가 공급되게 하기 위한 전기케이블(11)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회로부(14)가 내장되어 바람의 세기(강,중,약) 및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위치(12)가 설치된다. 이때, 전기케이블(11)은 전기선으로 구성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가 무선충전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되는 장치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는 케이스 부재(30) 및 손잡이 부재(10) 사이에 형성되어, 손잡이 부재(10)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13)을 통해 외기의 공기를 배출구로 유입시켜 바람통로(31)를 거쳐 브러쉬부(40)로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바람발생 부재(20)와, 케이스 부재(30) 내부에 형성되는 바람통로(31)에 위치되어 바람발생 부재(20)에서 유동되는 외기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32)를 더 포함한다.
이때 바람발생 부재(20)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에 의해 회전되어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강재 송풍하는 회전 팬(22)으로 구성되며, 발열부(32)는 가열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러쉬부(40)는 브러쉬 형태로 된 복수의 요철(50)과, 케이스부재(30)와 고정 부착되어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 요철(50)이 지지되도록 고정하고, 케이스부재(30)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각 요철(5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지주대(60)를 포함한다. 이 때 브러쉬부(40)는 판형, 원통형, 도끼빗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b)는 도 1 및 도 2의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에서 요철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요철(50)은 내부에 지주대(60)로 유입되는 바람의 통로(51)가 형성되고, 통로(51)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벽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요철(50)은 지주대(60)의 반대측 끝단부가 막혀 있으며, 끝단부는 둥근 구슬 형태의 돌기부(5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철(50)은 끝단부가 막혀 있어 지주대(60)로 유입되는 바람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돌기부(53)를 통해 요철(50)에 접촉되는 두피에 상처를 입히지 않게 된다.
이때, 요철(50)은 2cm~3cm의 가로 길이로 구성되고, 외경둘레는 약 3mm~5mm의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요철(50)의 내부 통로는 벽면과 벽면 간의 간격이 2mm~3mm의 높이로 구성된다.
요철(50)에 형성되는 구멍(52)은 양방향 또는 사방에 2~6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이 또는 더 적은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구멍의 크기는 지름이 약 1mm~3mm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더 작게 또는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멍(52)은 도 3(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웃하는 구멍(52)과 격자형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도 3(b)에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요철(50)은 탄소섬유로 구성할 수 있다. 탄소섬유는 브러쉬의 온도를 빠르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플라스틱), 스틸, 티타늄의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헤어드라이기를 작동시킬 경우, 요철(50)에 구성된 구멍(52)으로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요철(50)로 머리카락을 빗으면 요철(50)이 머리카락 사이사이로 깊숙이 침투하고, 구멍(52)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머리카락 사이사이로 배출되게 됨에 따라 젖은 머리카락을 빠르게 말릴 수 있게 된다. 즉, 수십 개 또는 수백 개의 요철(50)과, 요철마다 뚫린 복수의 구멍으로 뜨겁거나 찬바람이 외부로 배출되어 머리카락 깊숙이 침투하여 젖은 머리를 말려줌으로 인하여 머리카락을 쉽고 빠르게 말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시에 머리 손질도 할 수 있어, 기존의 헤어드라이기 처럼 양손으로 다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도 없앨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는 머리에 닿는 브러쉬부(40)와 브러쉬부(40)를 지지하는 케이스 부재(3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부재(10)와 안으로 굴곡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 부재(30)와 손잡이 부재(10) 사이에 안으로 굴곡이 가능하도록 회전 힌지를 추가하여 굴곡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굴곡 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30), 손잡이 부재(10), 브러쉬부(40)의 구성은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일측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람통로를 형성하는 관 형상의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타측 흡입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일측 배출구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브러쉬 형태로 된 복수의 요철과,
    상기 케이스부재와 고정 부착되어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요철이 지지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부재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상기 각 요철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지주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은,
    내부에 상기 지주대로 유입되는 바람의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벽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탄소섬유로 구성되는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8188A 2018-02-14 2018-02-14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KR10198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188A KR101988161B1 (ko) 2018-02-14 2018-02-14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PCT/KR2019/001743 WO2019160317A1 (ko) 2018-02-14 2019-02-13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188A KR101988161B1 (ko) 2018-02-14 2018-02-14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161B1 true KR101988161B1 (ko) 2019-06-11

Family

ID=6684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188A KR101988161B1 (ko) 2018-02-14 2018-02-14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8161B1 (ko)
WO (1) WO20191603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7942A1 (en) * 2021-01-14 2022-07-14 Douglas McClain Drying and Brus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33454B1 (ko) * 2021-09-17 2022-08-18 이길호 빗형 헤어 드라이기
WO2023214782A1 (ko) * 2022-05-06 2023-11-09 배연욱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Y1 (ko) 2000-05-04 2000-10-16 홍원태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
KR200284563Y1 (ko) * 2002-03-29 2002-08-10 이상준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KR100562714B1 (ko) 2004-07-31 2006-03-23 (주)성신이엔씨 헤어드라이기
KR20130104439A (ko) * 2012-03-14 2013-09-25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KR101791190B1 (ko) * 2015-11-11 2017-11-20 김일희 브러시 구조가 구비된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Y1 (ko) 2000-05-04 2000-10-16 홍원태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
KR200284563Y1 (ko) * 2002-03-29 2002-08-10 이상준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KR100562714B1 (ko) 2004-07-31 2006-03-23 (주)성신이엔씨 헤어드라이기
KR20130104439A (ko) * 2012-03-14 2013-09-25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KR101791190B1 (ko) * 2015-11-11 2017-11-20 김일희 브러시 구조가 구비된 헤어드라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7942A1 (en) * 2021-01-14 2022-07-14 Douglas McClain Drying and Brus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33454B1 (ko) * 2021-09-17 2022-08-18 이길호 빗형 헤어 드라이기
WO2023214782A1 (ko) * 2022-05-06 2023-11-09 배연욱 빗형 노즐 및 이 빗형 노즐을 구비한 헤어드라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317A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161B1 (ko) 브러쉬형 헤어드라이기
CN108471875B (zh) 用于头皮护理的多功能梳子
CN103429113B (zh) 具有可移动划分件的头发造型工具
JP3208115U (ja) 保持器アームを備える加熱される巻き髪デバイス
KR100974056B1 (ko) 히팅 롤브러쉬
KR20080048020A (ko) 헤어스타일링 장치
ES2205889T3 (es) Accesorio de secador de pelo.
KR200473492Y1 (ko) 나선형 금속 부재가 구비된 헤어 브러시
JP5192594B2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KR102433454B1 (ko) 빗형 헤어 드라이기
KR100372199B1 (ko) 브러쉬형 헤어드라이어
JP4663466B2 (ja) ヘアードライヤ
JP2011217996A (ja) ヘアードライヤ
KR101713997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200484651Y1 (ko) 헤어 롤 브러시
KR20210066347A (ko)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KR100809634B1 (ko) 브러쉬형 고데기
KR102085860B1 (ko) 헤어드라이 빗
KR20190002663U (ko) 자체발열식 헤어롤
KR101381692B1 (ko) 헤어드라이어
KR101415326B1 (ko) 헤어드라이어
KR101172530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638850B1 (ko) 헤어 고정 집게
CN215216966U (zh) 一种化妆工具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