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44Y1 -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44Y1
KR200484544Y1 KR2020160004574U KR20160004574U KR200484544Y1 KR 200484544 Y1 KR200484544 Y1 KR 200484544Y1 KR 2020160004574 U KR2020160004574 U KR 2020160004574U KR 20160004574 U KR20160004574 U KR 20160004574U KR 200484544 Y1 KR200484544 Y1 KR 200484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receiver
terminal
micropho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천
Original Assignee
강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천 filed Critical 강태천
Priority to KR2020160004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는, 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된다. 송신기는: 유선마이크의 마이크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소켓; 송신안테나;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싱단자쌍; 상기 제1센싱단자쌍을 통해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소켓에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신호를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유선마이크가 결합될 수 있는 증폭장치의 마이크결합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 수신안테나;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싱단자쌍; 상기 제2센싱단자쌍을 통해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러그를 통해 상기 증폭장치로 유선전송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TWO PIECE WIRELESS MICROPHONE DEVICE}
본 고안은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선마이크가 연결될 수 있는 증폭장치에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무선전송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생성한 마이크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송신기로부터 무선송신된 마이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마이크신호를 유선결합된 증폭장치로 전송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이 "와이어 킬러 WK-900 시리즈"라는 명칭으로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다.
특히, 공지된 무선마이크 시스템은, 일반적인 유선마이크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안테나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무선통신가능한 반송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송출할 수 있는 송신기(101)와, 별도의 증폭 장치에 구비된 신호 입력용 소켓에 결합되는 플러그(211)와 송신기(101)로부터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21)를 구비하고 수신한 무선신호를 증폭장치로 전송하는 수신기(201)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한 무선마이크 시스템에서 송신기(101)는 마이크에서 생성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또는, 마이크 신호)를 900MHz 대역의 주파수에 진폭 변조하거나 주파수 변조하여 송출하고, 수신기(201)는 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복조한 후 이를 유선으로 증폭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아날로그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변조하여 무선전송하므로 잡음에 취약하다. 또한, 하나의 마이크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기 때문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며, 다른 송신기와의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무선마이크 시스템은, 서로 관련성없이 개별적으로 디자인된 독립된 송신기(101)와 수신기(201)로 구성되므로, 송신기(101)와 수신기(201)를 각각의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선 마이크를 무선마이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별도의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고도 증폭장치에 유선으로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나의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에서 복수의 마이크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송신시 잡음을 방지하고 발생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서,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는, 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는: 유선마이크의 마이크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소켓; 상기 유선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마이크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한 디지털 송신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송신안테나;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싱단자쌍; (1) 상기 제1센싱단자쌍을 통해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소켓에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신호를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또한 (2) 상기 제1센싱단자쌍을 통해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상기 무선송신을 정지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유선마이크가 결합될 수 있는 증폭장치의 마이크결합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 상기 송신기로부터 무선송신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싱단자쌍; (3) 상기 제2센싱단자쌍을 통해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러그를 통해 상기 증폭장치로 유선전송하고, 또한 (4) 상기 제2센싱단자쌍을 통해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상기 유선전송을 정지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센싱단자쌍은 제1(+)단자와 제1(-)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싱단자쌍은 제2(+)단자와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단자에 상기 제2(-)단자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단자에 상기 제1(-)단자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각자가 상호 결합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플러그는 상기 소켓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마이크신호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량버튼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송신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의 동작전원 공급을 온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기가 분리되었을 때에만 기능하는 제1전원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의 동작전원 공급을 온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가 분리되었을 때에만 기능하는 제2전원버튼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배터리의 (+)단자 및 (-)단자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배터리단자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배터리의 (+)단자 및 (-)단자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1배터리단자쌍에 접속되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배터리단자쌍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에 의하면, 송신기에 유선 마이크를 결합함으로써 유선 마이크를 무선 마이크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송신기에 자체로 마이크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마이크 없이도 무선 마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가 결합되는 송신기와 증폭장치에 연결되는 수신기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서,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는 아날로그 신호가 아닌 디지털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므로, 잡음을 방지하고 제거할 수 있을뿐 아니라, 복수의 마이크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외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중 송신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중 수신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분리결합형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기(100)는, 유선마이크(10)의 마이크플러그(11)가 결합될 수 있는 소켓(110)과, 유선마이크(10)로부터 제공되는 마이크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한 디지털 송신신호를 무선송출하는 송신안테나(120)와,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싱단자쌍(160)과, 제1센싱단자쌍(160)을 통해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소켓(110)에 입력되는 마이크신호를 디지털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안테나(120)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또한 제1센싱단자쌍(160)을 통해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무선송신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1마이컴(15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기(200)는, 유선마이크(10)가 결합될 수 있는 증폭장치(20)의 마이크결합소켓(21)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210)와, 송신기(100)로부터 무선송신된 디지털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220)와, 수신기(200)와 송신기(100)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싱단자쌍(260)과, 제2센싱단자쌍(260)을 통해 수신기(200)와 송신기(100)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수신안테나(220)에서 수신한 디지털 송신신호를 마이크신호(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플러그(210)를 통해 증폭장치(20)로 유선전송하고 또한 제2센싱단자쌍(260)을 통해 수신기(200)와 송신기(100)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유선전송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마이컴(250)을 구비할 수 있다.
유선마이크(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 즉 마이크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마이크신호를 (+)단자와 (-)단자 사이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유선마이크(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이다.
유선마이크(10)는 마이크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소켓(2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11)를 구비할 수 있다.
송신기(100)는 소켓(110)에 입력되는 마이크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의 변환은, 별도 구성된 신호변환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제1마이컴(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소정의 반송 주파수에 변조될 수 있다. 신호의 변조는 별도의 변조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제1마이컴(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송 주파수는 예를 들면, 2.4GHz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WiFi 통신, 라디오 통신 등, 무선통신가능한 임의의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심지어는, 반송 주파수는 900MHz 대역의 신호일 수도 있다. 변조된 신호, 즉, 디지털 송신신호는 송신안테나(120)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송출된 디지털 송신신호는, 수신기(200)의 수신안테나(220)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디지털 송신신호는, 수신기(200)의 복조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복조되거나 제2마이컴(250)에 의해 복조되어, 마이크신호가 생성된다. 생성된 마이크신호는 플러그(2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플러그(210)는 증폭장치(20)의 소켓(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마이크신호가 증폭장치(20)로 유선전송된다.
증폭장치(20)는 유선전송된 마이크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증폭/감쇠, 노이즈 제거/추가, 왜곡 등의 처리를 수행한 후 소정의 저장수단에 녹음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거나 각각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에는 결합고정수단(도 4의 275 참조)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송신기(100)는, 송신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1배터리(190)를 구비한다. 이로써, 송신기(100)는 외부 전원 장치에 유선연결되지 않고도 동작가능하여 휴대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수신기(200) 역시, 수신기(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2배터리(290)를 구비한다. 이로써, 수신기(200)도 외부 전원 장치에 연결되지 않고도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수신기(200)에는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충전소켓(274)이 구비될 수 있다. 충전소켓(274)에 외부 전원 장치가 연결되면 제2배터리(290)가 충전된다.
한편, 송신기(100)는, 제1배터리(190)의 (+)단자 및 (-)단자와 각각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배터리단자(131)와 제1(-)배터리단자(1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배터리단자(131)와 제1(-)배터리단자(132)는 제1배터리단자쌍(130)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수신기(200)는, 제2배터리(290)의 (+)단자 및 (-)단자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2(+)배터리단자(231)와 제2(-)배터리단자(2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배터리단자(231)와 제2(-)배터리단자(232)는 제2배터리단자쌍(230)을 구성한다.
그리고,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제1배터리단자쌍(130)과 제2배터리단자쌍(23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배터리단자(131)와 제2(+)배터리단자(231)가 서로 결합되고, 제1(-)배터리단자(132)와 제2(-)배터리단자(232)가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배터리(190)와 제2배터리(290)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배터리(190)와 제2배터리(290)의 전하 충전량이 다를 때, 전하가 서로 이동하여 충전량이 균등해질 수 있다. 또한,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신기(200)의 충전소켓(274)에 외부 전원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에, 외부 전원이 제2배터리(290)를 통해 제1배터리(190)에도 전달되어 제1배터리(190)를 함께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송신기(100)에도 충전소켓(도 3의 174 참조)이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소켓(27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상대방 기기가 분리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센싱단자쌍(160)과 제2센싱단자쌍(260)을 각각 구비한다.
제1센싱단자쌍(160)은 제1(+)센싱단자(161)와 제1(-)센싱단자(16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센싱단자쌍(260)은 제2(+)센싱단자(261)와 제2(-)센싱단자(26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센싱단자(161)는 제2(-)센싱단자(262)에 연결되고, 제1(-)센싱단자(162)는 제2(+)센싱단자(261)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1마이컴(150)에서는 제1(+)센싱단자(161)에 -전압(즉, 제2(-)센싱단자의 전압)이 감지되는 경우에 수신기(200)가 결합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외의 상태는 수신기(200)가 분리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마이컴(250)에서는 제2(+)센싱단자(261)에 -전압(즉, 제1(-)센싱단자의 전압)이 감지되는 경우에 송신기(100)가 결합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고, 그외의 상태는 송신기(100)가 분리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술한 감지 방식의 반대되는 구현 또는 다른 구현 또한 당업자에 있어서 설계 가능하다.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 기기가 오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각 기기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온될 수 있다. 또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각자 전원버튼(171, 271)(도 3 및 도 4 참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 전원버튼(171, 271)이 인에이블 상태로 될 수 있다. 즉, 전원버튼(171, 271)은 인에이블 상태에서 동작 가능하며, 전원버튼(171, 271)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해당 기기가 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송신기의 소켓(110)과 수신기의 플러그(210)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될 때 함께 결합(즉,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됨)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결합될 때 소켓(110)의 공간을 활용하여 플러그(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송신기(100)에는, 자체로 마이크를 내장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자체 내장된 마이크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유선마이크(10)를 소켓(110)에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송신기 자체로 음성을 입력받아 마이크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디지털 송신신호를 송수신하므로, 무선송신되는 신호에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또한, 복수의 신호를 서로 다중화하기 용이하므로, 다수의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들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증폭장치(2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공간에서 복수의 송신기가 동시에 무선송신을 수행하더라도 수신기(200)는 미리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만을 선택하여 증폭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상호간에 신호를 매칭하는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서로 분리된 후 송신기(100)와 수신기(200) 각자의 전원버튼(171, 271)을 길게 누름으로써 또는 별도 구성된 페어링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함으로써, 상호간의 주파수 및 채널을 매칭시키고, 다른 신호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예시적인 외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송신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특히, 도 3은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에 있어서 송신기(100)의 상부, 전면부, 하부, 측면부를 도시한다.
송신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구성부이므로, 송신기(100)에는 사용자가 송신기를 옷이나 벨트에 걸 수 있도록 클립(176)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버튼(171)은 송신기(100)로부터 수신기(200)가 분리된 이후에 작동가능할 수 있다. 즉, 수신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원버튼(171)은 작동하지 않으므로, 송신기(100)는 온되지 않는다.
송신기(100)는 음량 버튼(173)을 구비할 수 있다. 음량 버튼은 유선 마이크(10)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신호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LED들(172)은 송신기(100)의 온/오프 상태, 제1배터리(190)의 충전/방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송신기(100)의 하부는 수신기(2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송신기(100)의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돌출된 형태의 수신기(20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100)의 하부에는 결합되는 수신기(200)를 향해 노출된 제1센싱단자쌍(160)과 제1배터리단자쌍(130)이 배치된다. 또한, 외부마이크(10)의 플러그(11)가 결합될 소켓(110)이 배치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송신기(100)의 하부에는, 수신기(200)의 결합고정수단(275)에 맞추어질 수 있는 부재 또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수신기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특히, 수신기(200)의 상부, 전면부, 하부, 측면부를 도시한다.
수신기(200)의 상부에는 송신기(100)의 하부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볼록한 구조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송신기(100)와 결합되었을 때 송신기(100)의 단자들에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센싱단자쌍(260)과 제2배터리단자쌍(230)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수신기(200)의 상부에는 송신기(10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플러그(210)가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수신기(200)가 송신기(100)에 결합될 때, 플러그(210)가 소켓(110)에 삽입될 수 있다.
수신기(200)는, 수신기(200)를 송신기(100)와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고정수단(275)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고정수단(275)은 탄성에 의한 걸림 방식일 수 있다(측면부 도면 참조).
전원버튼(271)은 수신기(20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전원버튼(271)은 수신기(200)가 송신기(10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만 동작가능할 수 있다.
LED(272)는 수신기(200)의 전원 온/오프 상태, 제2배터리(290)의 충전/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수신기(20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단자(27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구성부들, 예를 들면, 안테나 등은 송신기 및 수신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결합시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장치를 연결시킴으로써,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서로 분리시키고, 수신기를 온시켜서 증폭 장치의 마이크 입력단자에 결합시키고, 송신기를 온시키고 유선마이크를 연결한 후 유선마이크에 음성을 입력하여 사용한다.

Claims (6)

  1. 서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로 구성되는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로서,
    상기 송신기(100)는:
    일반적인 유선마이크(10)의 마이크플러그(11)가 결합될 수 있는 소켓(110);
    상기 유선마이크(10)로부터 제공되는 마이크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한 디지털 송신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송신안테나(120);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센싱단자쌍(160);
    상기 제1센싱단자쌍(160)을 통해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소켓(110)에 입력되는 상기 마이크신호를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안테나(120)를 통해 무선송신하고, 또한 상기 제1센싱단자쌍(160)을 통해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상기 무선송신을 정지하는 제1마이컴(150)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기(200)는:
    일반적인 유선마이크(20)의 마이크플러그(11)가 결합될 수 있는 증폭장치(20)의 마이크결합소켓(21)에 결합될 수 있는 플러그(210);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무선송신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220);
    상기 수신기(200)와 상기 송신기(100)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센싱단자쌍(260);
    상기 제2센싱단자쌍(260)을 통해 상기 수신기(200)와 상기 송신기(100)가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수신안테나(220)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플러그(210)를 통해 상기 증폭장치(20)로 유선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2센싱단자쌍(260)을 통해 상기 수신기(200)와 상기 송신기(100)가 서로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적어도 상기 유선전송을 정지하는 제2마이컴(250)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가 서로 맞추어져 결합될 때 상기 수신기(200)의 플러그(210)가 상기 송신기(100)의 소켓(110)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단자쌍(160)은 제1(+)단자와 제1(-)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싱단자쌍(260)은 제2(+)단자와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마이컴(150)은 상기 제1(+)단자에 상기 제2(-)단자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그리고 상기 제2마이컴(250)은 상기 제2(+)단자에 상기 제1(-)단자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 각자가 상호 결합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는 상기 마이크신호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음량버튼(17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는:
    상기 송신기(100)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190);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배터리(190)의 동작전원 공급을 온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기(200)가 분리되었을 때에만 기능하는 제1전원버튼(1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200)는:
    상기 수신기(200)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290);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2배터리(290)의 동작전원 공급을 온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100)가 분리되었을 때에만 기능하는 제2전원버튼(27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는, 상기 제1배터리(190)의 (+)단자 및 (-)단자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1배터리단자쌍(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200)는, 상기 제2배터리(290)의 (+)단자 및 (-)단자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1배터리단자쌍(130)에 접속되어 상기 제1배터리(190)와 상기 제2배터리(290)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배터리단자쌍(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KR2020160004574U 2016-08-08 2016-08-08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KR200484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74U KR200484544Y1 (ko) 2016-08-08 2016-08-08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74U KR200484544Y1 (ko) 2016-08-08 2016-08-08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44Y1 true KR200484544Y1 (ko) 2017-09-21

Family

ID=6057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74U KR200484544Y1 (ko) 2016-08-08 2016-08-08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52U (ja) * 1992-07-29 1994-02-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マイク受信アダプタ
KR20020063128A (ko) * 2001-01-26 2002-08-01 신세다이 가부시키 가이샤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KR101623562B1 (ko) * 2016-01-20 2016-05-24 강태천 분리형 마이크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음향 증폭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52U (ja) * 1992-07-29 1994-02-2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マイク受信アダプタ
KR20020063128A (ko) * 2001-01-26 2002-08-01 신세다이 가부시키 가이샤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KR101623562B1 (ko) * 2016-01-20 2016-05-24 강태천 분리형 마이크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음향 증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8037B2 (en) Techniques for wirelessly controlling push-to-talk operation of half-duplex wireless device
KR101745866B1 (ko)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US2010004813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with wireless headset
US20170111738A1 (en) Audio system having multiple personal wireless audio receivers
US8358785B2 (en) Hearing system with wideband pulse transmitter
US20030184515A1 (en) Computer user input assembly with wi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CN105516839A (zh) 一种基于蓝牙传输技术的无线话筒
EP3531564A3 (en) Wireless device cradles
CN104486709A (zh) 基于频率信号调制技术的无线麦克风系统
US8983100B2 (en) Personal sound amplifier
KR200484544Y1 (ko)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KR200410863Y1 (ko) 자동 채널 설정 가능한 무선 마이크 시스템
CN210724784U (zh) 一种耳挂式对讲机
KR101257924B1 (ko) 휴대용 블루투스 중계기
CN201887917U (zh) 一种用于教学的无线话筒和接收器
US9179245B1 (en) Proximity-based audio sharing system
JP2004289454A (ja)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充電架台
WO2017141581A1 (ja) 携帯電話とヘッドセットを脱着可能に接続する装置
RU2693913C1 (ru) Ретранслятор на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с модулем Bluetooth
KR100962618B1 (ko) 무전기의 핸즈프리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4801B1 (ko) 마이크로폰 무선 수신기, 마이크로폰 무선 송신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무선 시스템
WO2011078787A1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KR102046401B1 (ko) 무선마이크 송신기와 충전기의 통신 시스템
KR101376175B1 (ko) 유무선 보청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