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128A -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 Google Patents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128A
KR20020063128A KR1020020004415A KR20020004415A KR20020063128A KR 20020063128 A KR20020063128 A KR 20020063128A KR 1020020004415 A KR1020020004415 A KR 1020020004415A KR 20020004415 A KR20020004415 A KR 20020004415A KR 20020063128 A KR20020063128 A KR 2002006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jack
terminal
plug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685B1 (ko
Inventor
다나까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신세다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다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신세다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ransmitt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는 각각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의 AV 커넥터와, 마이크 잭에 삽입되는 제1 접속 플러그 및 제2 접속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접속 플러그는 가라오케 장치의 마이크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접속 플러그는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접속 플러그에 공급된 전원은 송신기에 구비된 발진 회로에 인가되고, 그 후 발진 회로가 구동되어 소정의 주파수로 제2 접속 플러그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변조시킨다. FM 변조된 오디오 신호는 증폭되어, 안테나로부터 FM 수신기로 전송된다.

Description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RF TRANSMITTER FOR BEING ATTACHED TO MICROPHONE}
본 발명은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전원을 다른 마이크에 공급할 수 있는 제1 잭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잭을 갖고 있는 마이크에 부착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내장 마이크를 갖춘 종래의 가라오케 장치는 가라오케(BGM)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사운드와 비디오 이미지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가라오케 마이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내장 마이크를 갖춘 그러한 가라오케 장치에서는, AV 케이블이 주 몸체로부터 뻗어 있고, AV 케이블은 두개의 오디오 출력 단자와 하나의 비디오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두개의 오디오 출력 단자와 비디오 단자는 가정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구비된 AV 단자에 접속된다. 따라서,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로부터의 비디오 또는 이미지 신호와 오디오 또는 사운드 신호(L, R)는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출력된다. 이런 방법으로, 사용자는 집에서 쉽게 가라오케를 즐길 수 있다. 또한, AV 케이블의 오디오 출력 단자를 스테레오 앰프 등의 다른 오디오 장비에 접속함으로써, 사운드는 오디오 장비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어, 예컨대 노래 가사를 보면서 가라오케를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와, 텔레비전 수상기나 오디오 장비가 AV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마이크(내장 마이크를 갖춘가라오케 장치)의 이동 범위는 케이블 등의 길이로 제한되므로, 서로의 차례에 마이크를 건네주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휴대용 가라오케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휴대용 가라오케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부가 마이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12 : 하우징
14 : 제1 접속 플러그
16 : 제2 접속 플러그
18 : 마이크 잭 단자
40 : FM 수신기
42 : 안테나
100 :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
104 : 마이크
106 : 키 스위치
108 : 7-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
110 : 고속 프로세서
112 : 시스템 버스
114 : 내부 롬
118 : 증폭기
122 : 증폭기
124 : 오디오 출력 단자
126 : 비디오 출력 단자
128 : 마이크 잭
130 : 전압 조절기
150 : 메모리 카트리지
152 : 롬
200 : 부가 마이크
202 : 마이크 플러그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 마이크를 무선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에 부착되는 RF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로, 이는 전원을 다른 마이크에 공급할 수 있는 제1 잭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잭을 갖고 있는 마이크에 접속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제1 잭에 삽입되는 제1 접속 플러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 잭에 삽입되는 제2 접속 플러그와, 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접속 플러그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과, 전원을 공급받고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RF 수신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는 건전지, 2차 전지 등에 의해 구동되는 가라오케 마이크와 같은 마이크에 부착된다. 마이크는 정전형 마이크 등의 다른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잭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잭을 갖고 있다. 제1 접속 플러그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제1 잭에 삽입된다. 제2 접속 플러그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2 잭에 삽입된다. 제1 접속 플러그에 공급된 전원과, 제2 접속 플러그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변조 수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오디오 신호가 변조되고, 변조된 오디오 신호는 같은 전원을 공급받은 전송 수단에 의하여 무선으로 RF 수신기에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변조되어 RF 수신기에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제어를 마이크의 전원 제어에 접속시켜 마이크를 무선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만일 오디오 신호가 변조 수단에 의해 FM 변조되면, FM 변조된 오디오 신호는 RF 수신기(FM 수신기)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1 잭은 마이크의 전원에 접속되는 제1 잭 단자와, 마이크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차단 저항에 접속되는 제2 잭 단자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RF 송신기가 마이크에 부착될 때, 제1 접속 플러그에 포함된 제1 플러그 단자는 제1 잭 단자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1 플러그 단자는 전원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잭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플러그에 포함된 제2 플러그 단자는 제1 차단 저항을 개방하기 위해 제2 잭 단자에 접속된다. 이 때, 마이크는 RF 송신기에 설치된 제2 차단 저항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전원선에 접속되어 있는 양극과 기준 전압(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음극을 가진 다이오드가 구비되기 때문에, 변조 수단에 안정화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오디오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에서 변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만일 발광 다이오드가 외부로부터 발광이 보이도록 배치된다면, 사용자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가 마이크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와 다른 또 하나의 마이크(부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마이크 잭이 제공되기 때문에, 마이크를 한 쌍으로 쉽게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가 이 마이크 잭에 삽입된다면, 전원은 마이크 잭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마이크 잭 단자로부터 부가 마이크에 공급되기 때문에, 부가 마이크가 전원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부가 마이크에는 전원과 전원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때, 제2 잭 단자와 차단 저항 사이의 접속이 개방되므로, 마이크와 부가 마이크는 부가 마이크에 구비된 차단 저항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마이크의 제2 잭은 제1 오디오 신호(R)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잭 단자와, 제2 오디오 신호(L)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잭 단자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제2 접속 플러그가 제2 잭에 삽입될 때, 제2 접속 플러그에 포함되어 있는 제3 플러그 단자는 제3 잭 단자에 접속되고, 제4 플러그 단자는 제4 잭 단자에 접속된다. 즉,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R, L)는 각각 제3과 제4 플러그 단자로부터 수신된다. 이와 같이 인출된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R, L)는 혼합 회로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변조 수단은 혼합된 오디오 신호(모노랄 신호(monaural signal))를 FM 변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실시 형태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이하 간단히 "송신기"라 함; 10)는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기(10)는 하우징(12)으로부터 노출되어 내장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상표 "e·kara"; 100)에 삽입되는 제1 접속 플러그(14)와 제2 접속 플러그(16)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접속 플러그(14, 16)는 실수로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이하 간단히 "가라오케 장치"라 함; 100)에 접속되지 않도록 각각 모양 및 크기에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송신기(10)에는 마이크 잭 단자(18)가 구비되며, 그 단자(18) 내로 가라오케 장치(100)용 부속품으로 팔리는 부가 마이크인 듀엣 마이크(200)의 마이크 플러그(202)가 삽입된다. 송신기(10)에는 하우징(12)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안테나(20)가 구비된다. 게다가 하우징(12)에는 노출식으로 발광 다이오드(D1)가 구비된다.
비록 부가 마이크(200)가 가라오케 장치(100)보다 작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같거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송신기(10)의 전기적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접속 플러그(14)는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14a, 14b 및 14c)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2 접속 플러그(16)는 제1, 제2, 제3 및 제4 플러그 단자(16a, 16b, 16c 및 16d)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마이크 잭(18)은 각각 캔틸레버 리프 스프링(cantilever leaf spring)인 두개의 스프링 단자(18a, 18b)와 하나의 링 단자(18c)를 포함한다. 스프링 단자(18a와 18b)는 각각 제1 잭 단자와 제2 잭 단자이고, 링 단자(18c)는 제3 잭 단자가 된다.
제2 접속 플러그(16)에 포함되는 제1 플러그 단자(16a)는 저항(R1)의 일 단에 접속된다. 제2 플러그 단자(16b)는 더미(dummy)이다. 제3 플러그 단자(16c)는 접지에 접속된다. 제4 플러그 단자(16d)는 저항(R2)의 일 단에 접속된다.
저항(R1)의 타 단과 저항(R2)의 타 단은 서로 접속되어, 그 접점(P)은 저항(R3)의 일 단에 접속된다. 저항(R3)의 타 단은 접지에 접속된다. 접점(P)은 또한 저항(R4)의 일 단과 커패시터(C1)의 일 단에 접속된다. 저항(R4)의 타 단과 커패시터(C1)의 타 단은 서로 접속되어, 그 접점은 저항(R5)의 일 단, 커패시터(C2)의 일 단 및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저항(R5)의 타 단은 가변 저항(R6)의 일 단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2)의 타 단은 접지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T1)의 이미터는 저항(R7)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는 커패시터(C3)를 통하여 같은 트랜지스터(T1)의 이미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는 또한 커패시터(C4)의 일 단과 코일(L1)의 일 단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4)의 타 단과 코일(L1)의 타 단은 서로 접속된다. 커패시터(C4)의 타 단과 코일(L1)의 타 단 사이의 접점은 저항(R6)의 타 단에 접속된다.
저항(R6)의 타 단은 또한 저항(R8)과 코일(L2)을 통하여 제1 플러그 단자(14a)와 스프링 단자(18a)에 접속된다. 저항(R6)과 저항(R8)의 접점은 도 1의 발광 다이오드(D1)의 양극, 전해 커패시터(C5)의 플러스 단자 및 커패시터(C6)의 일 단에 접속된다. 발광 다이오드(D1)의 음극, 전해 커패시터(C5)의 마이너스 단자 및 커패시터(C6)의 타 단은 접지에 접속된다.
한편, 커패시터(C7)의 일 단은 상기 코일(L1)의 중심부에 접속되고, 커패시터(C7)의 타 단은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와 저항(R9)의 일 단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T2)의 이미터는 접지에 접속되고, 그 컬렉터는 커패시터(C8)를 통하여 안테나(20)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와 커패시터(C8)의 접점은 커패시터(C9)의 일 단과 코일(L3)의 일 단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9)의 타 단과 코일(L3)의 타 단은 서로 접속되어, 그 접점은 저항(R10)의 일 단과 커패시터(10)의 일 단에 접속된다. 한편, 저항(R10)의 타 단과 커패시터(C10)의 타 단은 서로 접속되어, 그 접점은 저항(R9)의 타 단에 접속된다. 한편, 저항(R10)의 타 단과 커패시터(C10)의 타 단의 접점은 커패시터(11)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되고, 코일(L2)과 저항(R8)의 접점에 접속된다.
게다가, 제1 접속 플러그(14)에 포함되는 제2 플러그 단자(14b)는 마이크 잭(18)에 포함되는 제2 잭 단자(18b)에 접속된다. 또한, 제3 플러그 단자(14c)와 제3 잭 단자 즉, 링 단자(18c)는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마이크 잭(18)에는 마이크 플러그(202)가 마이크 잭(18)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정상 상태에서는 전기적으로 스프링 단자에 접속되고, 마이크 플러그(202)가 마이크 잭(18)에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스프링 단자(18b)로부터 분리되는 접점(18d)이 구비된다. 접점(18d)과 접지 사이에는 주 마이크(104)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저항(R11)이 삽입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가라오케 장치(100)는 달걀형의 상부와 원통형의 하부를 갖고 있는 하우징(10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104)는 하우징(102)의 달걀형 부분의 상단에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라오케 장치(100)는 가라오케(BGM), 마이크 목소리나 사운드, 비디오 이미지를 처리하는 가라오케 장치의 주 몸체로서 뿐만 아니라, 가라오케 마이크로도 기능한다.
한편, 하우징(102)의 상부 즉, 달걀형 부분에는 전원 스위치, 리셋 스위치 등의 다수의 키 스위치(106)와 두 자리 수를 표시하는 7-세그먼트 LED로 형성된 디스플레이(108)가 구비된다.
가라오케 장치(100)의 구조는 양수인이 우선 권리를 얻은 일본 등록 실용신안(일본 등록 번호 3075809)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라오케 장치(100)는 하우징(102) 안에 설치된 프로세서(1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로는 임의의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로부터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개발되어 벌써 특허 출원된 고속 프로세서(상표 "XaviX")가 사용된다. 이 고속 프로세서는 이에 대응하는 일본 특개평 제 10-307790[G06F13/36,15/78]호와 미국 특허 출원 제09/019,277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서(110)는 CPU, 그래픽 프로세서, 사운드 프로세서, DMA 프로세서 등과 같은 여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를 추출하거나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A/D 변환기와, 키 동작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외부 장치에 인가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CPU는 입력 신호에 반응하여 요청된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그 동작 결과를 그래픽 프로세서, 사운드 프로세서 등에 보내준다. 그러므로, 그래픽프로세서와 사운드 프로세서는 그 동작 결과에 따라 이미지 처리와 사운드 처리를 수행한다.
시스템 버스(112)는 프로세서(110)에 접속되고, 프로세서(110)와 함께 하우징(102) 내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보드(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어 있는 내부 롬(114)과, 메모리 카트리지(150)에 포함된 외부 롬(152)은 시스템 버스(112)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서(110)는 롬(114, 152)에 시스템 버스(112)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고, 비디오 또는 이미지 데이터, 음악 데이터(악기 연주용 보표 데이터) 등을 롬(114, 152)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04)로부터 나온 오디오 신호는 혼합기(116)와 증폭기(118)를 통하여 프로세서(110)의 아날로그 입력에 인가된다. 프로세서(110)의 사운드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처리 결과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혼합기(120)와 증폭기(122)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 단자(124)로 출력된다. 또한, 프로세서(110)의 그래픽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처리 결과인 아날로그 비디오나 이미지 신호는 비디오 출력 단자(126)로 출력된다.
또한, 가라오케 장치(100)의 하우징(102) 안에는 제1 접속 플러그(14)가 삽입되는 접속 단자(잭)인 마이크 잭(128)이나 부가 마이크(200)용 입력 단자가 구비된다. 마이크 잭(128)은 거기에 직접 접속되어 있거나 송신기(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부가 마이크(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주 마이크(104)로부터 나온 오디오 신호와 부가 마이크(200)로부터 나온 오디오 신호는 서로 혼합기(116)로부터 혼합되어 증폭기(118)로부터 프로세서(110)로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프로세서(110)의 출력포트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08)에 인가되며, 도 1에 도시된 모든 키 스위치(106)는 프로세서(110)의 입력포트에 접속된다.
게다가, 가라오케 장치(100)에는 전압 조절기(130)가 제공되고, 이 전압 조절기(130)는 주 몸체에 수용되어진 건전지나 2차 전지 등의 전지(132)로부터 전지의 출력을 수용한다. 전압 조절기(130)는 전지(132)의 출력 전압을 안정시켜 얻어진 일정한 전압원을 주 마이크(104) 등과 같은 회로 구성 요소와 마이크 잭(128)에 인가한다.
RF 송신기(10)의 제1 접속 플러그(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잭(128)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압 조절기(130)로부터 나온 일정한 전압원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RF 송신기에 인가된다. 한편, 송신기(10)에 인가된 일정한 전압은 또한 송신기에 구비된 마이크 잭(18)을 통하여 필요시 접속되는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 도 5 참조)에 인가된다. 게다가, 부가 마이크(200)가 가라오케 장치(100)에 직접 접속되는 경우에는, 마이크 잭(128)으로부터의 일정한 전압원은 마이크(210)에 인가된다.
이러한 가라오케 장치(100)에서는, 마이크(104) 또는 마이크(104, 210)의 양자로부터 입력된 목소리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소정의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롬(114) 및/또는 외부 롬(152)에 미리 저장된 BGM(가라오케)을 연주하기 위한 각 악기에 대한 음악 대본(보표)에 따라서, 각 악기의 파형 데이터가 롬(114)으로부터 판독되어 소정의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BGM(가라오케)의 총오디오 신호(L, R)와 사용자의 사운드(목소리)는 프로세서(110)로부터 사운드 출력 단자(오디오 출력 단자; 124)로 출력된다.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처리는 상기 등록된 일본 실용신안 제 3075809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주 몸체 즉, 가라오케 장치(100)의 마이크 잭(128)은 상기 마이크 잭(18)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되고, 두개의 스프링 단자(128a, 128b)와 하나의 링 단자(128c)를 포함한다. 스프링 단자(128a, 128b)는 각각 제1 잭 단자와 제2 잭 단자이고, 링 단자(128c)는 제3 잭 단자이다. 제1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128a)는 도 3에 도시된 전압 조절기(130)로부터 일정한 전압원(Vcc)을 받는다.
커패시터(C22)는 바이패스(bypass) 커패시터이다.
한편, 제2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128b)는 혼합기(116)를 통하여 증폭기(118)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로부터는 혼합기(116)는 접점이다. 주 마이크(104)는 본 실시예에서 콘덴서 마이크이고, 마이크(104)로는 저항(R21)을 통하여 일정한 전압원(Vcc)으로부터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그 후, 마이크(104)로부터의 출력 오디오 신호는 직류 차단 커패시터(DC-cut capacitor; C21)를 통하여 접점 즉, 혼합기(116)에 인가된다. 혼합기 즉, 접점(116)에서는 제2 잭 단자(128b)를 통하여 송신기(10)로부터 입력된 부가 마이크(2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주 마이크(104)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방식으로 서로 혼합된다. 그러므로 부가 마이크(2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증폭기(118)는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부터 혼합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게다가, 제3 잭 단자 즉, 링 단자(128c)는 접지에 접속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NOT 게이트를 이용하는 반전 증폭 회로를 사용하지만, 물론 종래의 일반 증폭기(OP-Amp)로 증폭기(118)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마이크 잭(128)에는 제1 접속 플러그(14)가 마이크 잭(128)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인 정상 상태로부터는 전기적으로 스프링 단자(128b)에 접속되고, 제1 접속 플러그(14)가 마이크 잭(128)에 삽입되는 상태에는 스프링 단자(128b)로부터 분리되는 접점(128d)이 구비된다. 접점(128d)과 접지 사이에는 마이크(104) 차단용 차단 저항(R22)이 접속된다.
게다가, 오디오 출력 단자(124) 및 비디오 출력 단자(126)와 일체화된 잭(스테레오 AV 커넥터; 140)은 각각 상술한 캔틸레버 리프 스프링인 제1 잭 단자(140a), 제2 잭 단자(140b) 및 제3 잭 단자(140c)와, 링 단자인 제4 잭 단자(140d)를 포함한다.
제1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140a)는 도 3에 도시된 혼합기(120)와 증폭기(122)를 경유하여 커패시터(C23)를 통하여 프로세서(110)에 접속된다. 한편, 제2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140b)는 커패시터(C24)를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110)에 접속된다. 또한, 제3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140c)는 상기 스프링 단자(128c)와 함께 접지에 접속된다. 그리고??제4 잭 단자 즉, 링단자(140d)는 도 3에 도시된 혼합기(120)와 증폭기(122)를 경유하여 커패시터(C25)를 통하여 프로세서(110)에 접속된다.
본 가라오케 장치(100)에서는, 일본 등록 실용신안(제 3075809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듯이 AV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의 두개의 오디오 입력 단자와 하나의 비디오 입력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가라오케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스테레오 AV 커넥터(이하 간단히 "AV 커넥터"라 함; 140)는 도 4와 같이 구성된다.
한편, 가라오케 장치(100)가 AV 케이블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접속되는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플러그(202)가 마이크 잭(128)에 직접 접속된다.
예컨대, 송신기(10)가 가라오케 장치(10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1 접속 플러그(14)와 제2 접속 플러그(16)가 각각 마이크 잭(128)과 AV 커넥터(140)에 삽입된다.
특히, 제1 접속 플러그(14)에 포함된 제1 플러그 단자(14a)는 마이크 잭(128)의 링 단자(128c)를 통하여 잭(128)에 삽입되고, 제1 잭 단자(128a)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플러그 단자(14a)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플러그 단자(14b)는 링 단자(128c)를 통하여 잭(128)에 삽입되고, 제2 잭 단자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제2 플러그 단자(14b)는 제2 잭 단자(128b)와 접점(128d)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개방하기 위해 제2 잭 단자(128b)를 들어 올린다. 따라서, 제1 접속 플러그(14)가 마이크 잭(128)에 삽입될 때, 차단 저항(R22)이 개방하게 된다. 또한, 제2 플러그 단자(14b)의 후방에 배치된 제3 플러그 단자(14c)는 또한 잭(128)에 삽입되고, 잭 단자(128c)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2 접속 플러그(16)에 포함된 제1 플러그 단자(16a)는 AV 커넥터(140)의 링 단자(140d)를 통하여 AV 커넥터(14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 잭 단자(140a)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플러그 단자(16a)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플러그 단자(16b)는 링 단자(140d)를 통하여 AV 커넥터(14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2 잭 단자(140b)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플러그 단자(16b)의 후방에 배치된 제3 플러그 단자(16c)는 링 단자(140d)를 통하여 AV 커넥터(140)의 내부로 삽입되고, 잭 단자(140c)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3 플러그 단자(16c)의 후방에 배치된 제4 플러그 단자(16d)는 링 단자(140d)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송신기(10)가 가라오케 장치(100)에 부착될 때, 가라오케 장치(100)에 공급된 전압 조절기(130)의 일정한 전압원(Vcc)은 저항(R23)을 통하여 강하되고, 제1 플러그 단자(14a)와 전원 공급선(30)을 경유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잭 단자(128a)로부터 발진 회로(36) 등으로 공급된다. 이 때, 비록 차단 저항(R22)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러그 단자(14b)에 의해 개방되더라도 제2 플러그 단자(14b)와 제2 잭 단자(128b)는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 마이크(104)는 제2 잭 단자(18b)에 접속된 차단 저항(R11; 도 2 참조)에 의해 차단된다.
제1 잭 단자(140a)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L)는 제1 플러그 단자(16a)에 인가된다. 제2 잭 단자(140b)로부터 출력된 비디오나 이미지 신호는 제2 플러그 단자(16b)에 인가된다. 제4 잭 단자(140d)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R)는 제4 플러그 단자(16d)에 인가된다.
입력된 오디오 신호(L, R)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1)과 저항(R2)의 접점(P)에서 혼합된다. 다시 말해서, 저항(R1)과 저항(R2)을 포함하는 혼합 회로(32)에서 서로 혼합되어 스테레오 사운드로부터 모노포닉 사운드로 전환된다.
송신기(10)는 가라오케(100)에 부착되기 때문에, 비디오나 이미지 신호는 송신기(10)로부터 외부 장치로 출력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가라오케 장치(100)가 무선 가라오케 마이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노래 가사를 참조하면서 가라오케를 즐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V 케이블과 텔레비전 수상기가 AV 케이블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비디오나 이미지 신호가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환된 모노랄 오디오 신호는 저항(R3)과 커패시터(C1)를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된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회로(34)에 인가된다. 프리-엠퍼시스 회로(34)에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수 대역만이 강조(증폭)되고, 고주파수 대역이 강조된 오디오 신호는 발진 회로(36)에 인가된다. 도 2의 일점쇄선에 의해 둘러싸인 발진 회로(36)는 트랜지스터(T1), 커패시터(C3, C4, C7), 저항(R1) 및 코일(L1)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단자(14a)로부터 공급된 일정한전압원(Vcc)은 서로 직렬로 접속된 코일(L2)과 저항(R8)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선(30)을 통하여 발진 회로(36)에 인가된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D1)는 일정한 전압원(Vcc)에 의해 켜지고, 소정의 색상(본 실시예로부터는 적색)으로 빛을 방출한다. 발광 다이오드(D1)는 빛을 밖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도 1의 하우징(12)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발광은 송신기(10)가 켜져 있음(동작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D1)는 접지에 접속된 음극을 갖기 때문에??일정 값을 가진 전압(불변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D1)의 순방향 전압(forward dropping voltage)을 사용함으로써 발진 회로(36)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발진 회로(36)는 그 주파수에서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소정의 발진 주파수(본 실시예로부터는 80MHz)에서 일정하게 진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오디오 신호는 FM 변조되고, 고주파수 신호(RF 신호)가 발생된다.
전해 커패시터(C5)는 발광 다이오드(D1)의 보조물로 발광 다이오드(D1)에 병렬로 삽입된다. 한편, 일정한 전압원(Vcc)에 포함된 잡음 성분은 커패시터(C6)에 의해 여과된다. 게다가, 가변 저항(R6)의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 전압을 변경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발진 회로(36)의 발진 주파수를 수정하거나 변화시킬 수 있다.
FM 변조된 오디오 신호 즉, RF 신호는 코일(L1)로부터 인출되고, 직류 차단 커패시터(C7)를 통하여 후속 단계의 증폭 회로(38)에 인가된다. 증폭 회로(38)는 도 2의 일점쇄선에 의해 둘러싸인 트랜지스터(T2), 커패시터(C8, C9, C10), 코일(L3) 및 저항(R10)을 포함하고, 코일(L2)을 통하여 제1 플러그 단자(14a)로부터 일정한 전압원(Vcc)에 인가된다.
일정한 전압원(Vcc)에 포함된 잡음 성분은 커패시터(C11)에 의해 여과된다. 한편, 코일(L2)은 발진 회로(36)와 증폭회로(38)의 RF 신호가 전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RF 신호는 증폭 회로(38)로부터 증폭된 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8)를 통하여 안테나(20)에 인가되고, 안테나(20)로부터 FM 수신기(40)로 전송된다. 즉, 증폭된 RF 신호(FM 무선파)는 FM 수신기(40)에 접속된 안테나(42)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는 복조 등의 소정의 프로세스가 FM 수신기(40)로부터 실행된 후에 증폭기와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BGM(가라오케)을 부르는 사용자의 목소리와 가라오케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RF 신호(FM 무선파)는 FM 수신기, 증폭기 및 스피커를 갖춘 오디오 장비에 전송되어도 좋다.
또한, 도 1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마이크(200)는 송신기(10)에 접속될 수 있고, 이 때 부가 마이크(200)에 구비된 마이크 플러그(202)는 마이크 잭(18)으로 삽입된다.
부가 마이크(200)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가 마이크(200)는 가라오케 장치(100)의 마이크 잭(128)에 삽입된 마이크 플러그(202), 송신기(10)의 마이크 잭(18) 또는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잭(204)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AV 케이블이 가라오케 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에, 마이크 플러그(202)는 마이크 잭(128)에 접속된다.
상기 마이크 플러그(202)는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202a, 202b, 202c)를 갖는다. 제1 플러그 단자(202a)는 송신기(10)의 마이크 잭(18)의 링 단자(18c)를 통하여 잭(18)으로 삽입되고, 제1 잭 단자(18a)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플러그 단자(202a)의 후방에 배치된 제2 플러그 단자(202b)는 링 단자(18c)를 통하여 잭(18)으로 삽입되고, 제2 잭 단자(18b)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제2 플러그 단자(202b)는 제2 잭 단자(18b)를 들어올리고, 제2 잭 단자(18b)와 접점(18d)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개방된다. 그러므로, 마이크 플러그(202)가 마이크 잭(18)에 삽입될 때, 차단 저항(R11; 도 2 참조)이 개방된다. 또한, 제2 플러그 단자(202b)의 후방에 배치된 제3 플러그 단자(202c)는 제3 잭 단자(18c)와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부가 마이크(200)는 송신기(10)의 마이크 잭(18) 또는 가라오케 장치(100)의 마이크 잭(128)과 같은 마이크 잭(204)을 갖는다. 마이크 잭(204)은 두개의 스프링 단자(204a, 204b)와 하나의 링 단자(204c)를 포함한다. 스프링 단자(204a, 204b)는 각각 제1 잭 단자와 제2 잭 단자이고, 링 단자(204c)는 제3 잭 단자이다. 제1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204a)는 실드 도체(shield conductor; 206a)에 의해 차폐된 실드 선(206)의 한 선(206c)에 의해 마이크 플러그(202)의 제1 플러그 단자(202a)에 접속된다. 즉, 스프링 단자(204a)는 마이크 플러그(202) 즉, 제1 플러그 단자(202a)를 통하여 가라오케 장치(100)로부터 송신기(10)로 공급된 일정한전압원(Vcc)을 받게 된다. 그 후, 제2 잭 단자 즉, 스프링 단자(204b)는 실드 선(206)의 다른 선(206b)에 의해 혼합기(208)를 통하여 제2 플러그 단자(202b)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기(208)는 또한 혼합기(116)에 유사한 접점이다.
또한, 마이크(210)에는 제1 플러그 단자(202a)로부터 저항(R31)을 통하여 구동 전압으로서 일정한 전압원(Vcc)이 인가된다. 그 후, 마이크(210)의 출력 오디오 신호는 직류 차단 커패시터(C31)를 통하여 접점 즉, 혼합기(208)에 인가된다. 혼합기 즉, 접점(208)에서는 필요에 따라 마이크 잭(204)에 접속된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오디오 신호(이 신호는 마이크 플러그(202)와 스프링 단자(204b)를 통하여 입력됨)와, 마이크(210)의 오디오 신호가 서로 혼합된다.
또한, 마이크 잭(204)에는 마이크 플러그(202)가 마이크 잭(20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정상 상태로부터는 스프링 단자(204b)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마이크 플러그(202)가 삽입된 상태에는 스프링 단자(204b)로부터 분리되는 접점(204d)이 구비된다. 접점(204d)과 접지 사이에는 마이크(210)에 대한 차단 저항(R32)이 접속된다.
링 단자 즉, 제3 잭 단자(204c)는 실드 선(206)의 실드 도체(206a)에 접속되고, 제3 플러그 단자(202c)는 또한 실드 도체(206a)에 접속된다. 그리고, 실드 도체(206a)는 접지에 접속된다. 즉, 부가 마이크(200) 내에서, 제3 플러그 단자(202c), 실드 도체(206a) 및 제3 잭 단자(204c) 모두가 접지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부가 마이크(2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되는 경우에 송신기(10)가 가라오케 장치(100)에 부착되고,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플러그(202)는 송신기(10)의 마이크 잭(18)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202a, 202b, 202c)는 각각 제1, 제2 및 제3 잭 단자(18a, 18b, 18c)에 접속된다. 동시에, 제2 잭 단자(18b)는 제2 플러그 단자(202b)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이 때에 서로 접속되었던 제2 잭 단자(18b)와 접점(18d)이 서로 분리되게 된다. 그러므로, 마이크(104)의 차단 저항(R11)이 개방된다.
제1 플러그 단자(202a)와 제1 잭 단자(18a)가 서로 접속되는 사실 때문에 전압 조절기(130; 도 3 참조)로부터 제1 잭 단자로 공급된 일정한 전압원(Vcc)은 제1 잭 단자(18a)를 통하여 제1 플러그 단자(202a)에 인가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실드 선(206)의 선(206b)에 의하여 저항(R31)을 경유하여 구동 전압으로서 제1 플러그 단자(202a)로부터 마이크(210)에 인가된다.
한편, 주 마이크(104)의 오디오 신호는 커패시터(C21)를 통하여 혼합기(116)에 인가되고,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커패시터(C31) 및 혼합기(208)를 통하여 제2 플러그 단자(202b)로 입력된다. 제2 플러그 단자(20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잭 단자(18b)와 제2 플러그 단자(14b)를 통하여 혼합기(116)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주 마이크(104)의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210)의 오디오 신호와 혼합되고, 그 혼합된 오디오 신호는 증폭기(118)에 의해 증폭되어 프로세서(110)에 입력된다. 그 후, 소정의 프로세스가 행하여진 후, 상기 오디오 신호(L, R)는 제2 접속 플러그(16)로부터 송신기(10)에 입력된다.
부가 마이크(200)에서는,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플러그(202)가 마이크 잭(204)에 삽입되지 않는 한은, 마이크 잭(204)의 제2 잭 단자(204b)는 여전히 접점(204d)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두개의 마이크(104와 210)는 도 5의 차단 저항(R32)에 의해 차단된다.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마이크(200)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플러그(202)가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잭(204)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제1, 제2 및 제3 플러그 단자(202a, 202b, 203c)는 각각 부가 마이크(200)의 제1, 제2 및 제3 잭 단자(204a, 204b, 204c)에 접속된다. 동시에, 부가 마이크(200)의 제2 잭 단자(204b)는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제2 플러그 단자(202b)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이 때 서로 접속되어 있던 제2 잭 단자(204b)와 접점(204d)이 분리된다. 그러므로, 부가 마이크(200)의 차단 저항(R32)이 개방된다.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제1 플러그 단자(202a)와 부가 마이크(200)의 제1 잭 단자(204a)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부가 마이크(200)의 제1 플러그 단자(202a)에 인가된 일정한 전압원(Vcc)은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에 구비된 저항(R31)을 경유하여 실드 선(206)의 선(206b)으로부터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에 구동 전압으로서 인가된다.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커패시터(C31)를 통하여 혼합기(208)에 인가되고,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 내의 커패시터(C31)와 혼합기(208)를 통하여 제2 플러그 단자(202b)에 출력된다.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제2 플러그 단자(202b)는 부가 마이크(200)의 제2 잭 단자(204b)에 접속되기 때문에, 또 다른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결국 부가 마이크(200)의 혼합기(208)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두개의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210)로부터의 혼합된 오디오 신호는 송신기(10)를 경유하여 가라오케 장치(100)의 혼합기(116)로 입력되고, 그 후 주 마이크(104)의 오디오 신호와 더 혼합된다. 세 개의 마이크(104, 210, 21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진 혼합된 오디오 신호는 증폭기(118)에 의해 증폭되어, 프로세서(110)로 입력된다. 그 후, 소정의 프로세스가 행하여진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전 오디오 신호(L, R)가 제2 접속 플러그(16)로부터 송신기(10)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부가 마이크(200)에는 마이크 잭(204)이 구비되기 때문에, 단지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플러그(202)를 부가 마이크(200)의 마이크 잭(204)에 접속함으로써 임의의 수의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마이크가 케이블에 의해 종래의 가라오케 장치의 주 몸체에 접속되는 것과 달리, 부가 마이크의 수는 마이크 잭의 수에 달려 있으므로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부가 마이크(200)와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 내의 마이크 플러그(202)와 마이크 잭(18)의 접속을 통하여 마이크(210)의 구동 전압이 가라오케 장치(100)의 전압 조절기(130)로부터 인가되고,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에서는 또 다른 부가 마이크(200)에 있는 마이크 플러그(202)와 마이크 잭(204)의 접속을 통하여 구동 전압이 가라오케 장치(100)의 전압 조절기(130)로부터 인가되기 때문에, 부가 마이크(200)에 전원(전지)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어떠한 또 다른 부가 마이크도 접속되지 않는 부가 마이크(200)의 차단 저항(R31)에 의해 마이크 모두를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라오케 장치(100)에 설치된 마이크(104)에 전원을 부여하는 저항(R21)과 부가 마이크(200)에 전원을 부여하는 저항(R31)의 각 저항값은 마이크(104, 200)의 구동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값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차단 저항(R22, R32)의 저항값도 동일한 저항값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 송신기를 가라오케 장치에 부착함으로써, 내장 가라오케 장치 마이크를 무선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유선 마이크를 무선 마이크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라오케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 등을 구동하는 전원은 제1 접속 플러그에 의해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가라오케 장치와 공유하여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송신기는 가라오케 장치의 전원 제어에 연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기에는 전원과 전원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서 저 비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라오케 장치의 전원은 송신기에 접속된 부가 마이크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부가 마이크의 전원 제어도 또한 가라오케 장치에 연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라오케 장치(100)의 AV 커넥터(14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L, R)는 혼합 회로(32)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오디오 신호(모노랄 신호)는 변조되고 증폭되어 FM 수신기(40)에 전송된다. 그러나 오디오 신호(L, R)는 분리되어 변조되고 증폭되어 FM 수신기(40)에 전송된다. 즉,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다루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록 본 실시예로부터는 송신기(10)가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100)에 부착되지만, 종래의 가라오케 마이크와 같은 마이크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경우에는, 마이크는 도 3에 도시된 내장 마이크를 갖춘 가라오케 장치(100)로부터 프로세서(110), 롬(114), 키 스위치(106), 디스플레이(108) 등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증폭기(118)의 출력 단자가 직접 제1 잭 단자(140a) 또는 제4 잭 단자(140d)에 접속된다.
이 경우, 송신기(10)에 혼합기를 구비함으로써, 마이크와 부가 마이크로부터의 두 오디오 신호를 혼합하여도 좋다.
특히, 가라오케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송신기(10)의 제2 접속 플러그(16)에 포함된 제1 플러그 단자(16a 또는 16c)로부터 수신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마이크 잭(18)의 제2 잭 단자(18b)를 접점(P)에 접속함으로써 주 마이크(104)와 마이크(21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접점(P)에서 서로 혼합된다.
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 예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부가하는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될 뿐이다.

Claims (8)

  1. 제1 잭과 제2 잭을 갖는 마이크에 접속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 상기 제1 잭은 전원을 다른 마이크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잭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임 - 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제1 잭에 삽입되는 제1 접속 플러그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2 잭에 삽입되는 제2 접속 플러그와,
    상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접속 플러그로부터 입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 수단 및
    상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RF 수신기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수단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잭은 상기 전원에 접속된 제1 잭 단자와, 제1 차단 저항에 접속된제2 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플러그는 상기 제1 차단 저항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1 잭 단자에 접속된 제1 플러그 단자와, 상기 제2 잭 단자에 접속된 제2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에 접속된 양극과 기준 전압에 접속된 음극을 갖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발광을 가능하게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와는 다른 부가 마이크와 접속되는 마이크 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잭은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에 접속된 제1 마이크 잭 단자와 제2 차단 저항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마이크 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마이크의 마이크 플러그가 상기 마이크 잭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차단 저항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상기 제2 잭은 제1 오디오 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제3 잭 단자와, 제2 오디오 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제4 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플러그는 상기 제3 잭 단자 및 상기 제4 잭 단자에 각각 접속된 제3 플러그 단자 및 제4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플러그 단자로부터의 제1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제4 플러그 단자로부터의 제2 오디오 신호를 상기 변조 수단에 인가하기 위해 서로 혼합하는 혼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KR1020020004415A 2001-01-26 2002-01-25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KR10083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0317U JP3079193U (ja) 2001-01-26 2001-01-26 マイク装着用rfトランスミッタ
JPJP-U-2001-00000317 2001-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128A true KR20020063128A (ko) 2002-08-01
KR100834685B1 KR100834685B1 (ko) 2008-06-02

Family

ID=1886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415A KR100834685B1 (ko) 2001-01-26 2002-01-25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44226B1 (ko)
JP (1) JP3079193U (ko)
KR (1) KR100834685B1 (ko)
AT (1) ATE429077T1 (ko)
DE (1) DE60231933D1 (ko)
HK (1) HK1047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44Y1 (ko) * 2016-08-08 2017-09-21 강태천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951Y1 (ko) * 2003-05-20 2004-01-07 주식회사 엔터기술 휴대용 노래방 기기의 배터리 수납구조체
WO2004105037A1 (en) * 2003-05-20 2004-12-02 Enter Tech Co. Ltd. Portable karaoke system
KR100791583B1 (ko) * 2007-03-31 2008-01-04 (주)융스그룹 유에스비 커넥터 겸용 이어폰 젠더
EP2051240A1 (en) 2007-10-19 2009-04-22 Enter Tech Co., Ltd Wireless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of audio signal output lev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5431A (en) * 1987-09-28 1989-03-30 Toshiba Corp Radio telephone system
JPH05152979A (ja) * 1991-11-27 1993-06-18 Pioneer Electron Corp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装置
JPH08163686A (ja) * 1994-11-30 1996-06-21 Sony Corp 音響装置の入出力回路
KR100270988B1 (ko) * 1998-03-12 2000-11-01 최길호 반주곡조 송출용 마이크의 녹음/재생 장치
KR200221532Y1 (ko) * 2000-11-30 2001-04-16 이현재 유무선 겸용 마이크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44Y1 (ko) * 2016-08-08 2017-09-21 강태천 분리결합형 무선 마이크 기능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1933D1 (de) 2009-05-28
EP1244226A2 (en) 2002-09-25
ATE429077T1 (de) 2009-05-15
EP1244226A3 (en) 2003-08-06
HK1047000A1 (en) 2003-01-30
KR100834685B1 (ko) 2008-06-02
JP3079193U (ja) 2001-08-10
EP1244226B1 (en)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167A (en) Hands-free device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in a car to permit hands-free operation of the cellular telephone
US8812064B2 (en) Multi-button control headse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5475872A (en) Portable telephone with external transmitter-receiver connections
US20140126755A1 (en) Multimodal headset
US5974304A (en) Small radio transmitter receiver system
US20070286432A1 (en) Speaker system for portable electrical equipment
US6954536B2 (en) RF transmitter for being attached to microphone
KR100834685B1 (ko) 마이크 부착용 rf 송신기
US20040204163A1 (en) Modular Modification of cellular phone handfree kit and the applications thereof
US2014032167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phone and microphone
US20150271615A1 (en) Acoustic Device and Acoustic Processing Method
CN206181300U (zh) 一种便携式无线卡拉ok设备
CN210745508U (zh) 蓝牙耳机
CN217509004U (zh) 一种声音可叠加的游戏蓝牙耳机系统
CN110708629A (zh) 蓝牙耳机
US20050277384A1 (en) FM stereo modulator
US20080051155A1 (en) Attachable speaker apparatus and audio reproduc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230412965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sound and headphone comprising same
KR20060094298A (ko) 오디오신호용 트랜스미팅 장치
CN214429688U (zh) 直播用无线蓝牙耳机
CN213043833U (zh) 接收器以及采用该接收器的音频系统
CN216982043U (zh) 一种便携式乐器音箱
KR20010104403A (ko) 유,무선 변환식 무선 마이크로폰
US20050282498A1 (en) FM stereo modulator
KR20030066578A (ko) 메모리칩과 시가플러그가 내장된 mp3 플레이어 겸용 트랜스미터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