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11Y1 -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11Y1
KR200484211Y1 KR2020170000578U KR20170000578U KR200484211Y1 KR 200484211 Y1 KR200484211 Y1 KR 200484211Y1 KR 2020170000578 U KR2020170000578 U KR 2020170000578U KR 20170000578 U KR20170000578 U KR 20170000578U KR 200484211 Y1 KR200484211 Y1 KR 200484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wder
main body
envelo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영
Original Assignee
(주)세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실 filed Critical (주)세실
Priority to KR2020170000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용 봉투를 넣어 사용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봉투의 단부를 가리는 커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휴지통 사용 시 내부 청결 및 정리의 편의를 위해 수거용 봉투를 사용하는 경우, 봉투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미관이 수려하고, 고정수단과 본체 사이의 틈새로 봉투를 고정함에 따라 봉투의 고정 및 교체가 용이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WASTEBASKET}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용 봉투를 넣어 사용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봉투의 단부를 가리는 커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휴지통 사용 시 내부 청결 및 정리의 편의를 위해 수거용 봉투를 사용하는 경우, 봉투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미관이 수려하고, 고정수단과 본체 사이의 틈새로 봉투를 고정함에 따라 봉투의 고정 및 교체가 용이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쓰레기통의 경우, 보다 위생적이고 휴지통의 쓰레기를 손쉽게 버리기 위하여 쓰레기통에 쓰레기 수거용 봉투를 넣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량제 봉투의 도입으로, 직접 쓰레기통에 종량제 봉투를 넣어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짐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쓰레기 수거용 봉투를 넣을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6-0091055호 『간편한 쓰레기통 및 비닐봉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구조물』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과 분리할 때 쓰레기봉투 안에 있는 쓰레기로 인하여 팽창된 쓰레기봉투가 잘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쓰레기봉투를 마감할때 쓰레기봉투 손잡이가 쓰레기 속에 파 묻혀 비위생적인 경우가 발생하는데 쓰레기봉투와 쓰레기통에 분리에 용이하며, 위생적인 쓰레기봉투마감을 제공하는 간편한 쓰레기통 및 비닐봉투의 효율적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봉투의 손잡이, 또는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여 안보이는 곳에 숨겨두는 경우가 빈번하며, 특히 쓰레기봉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6952호 『분리수거종량제 비닐봉투용 쓰레기통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하부가 개방된 보호통 외부에 분리수거 종량제 비닐봉투를 씌워 상기의 분리수거 종량제 비닐봉투를 쓰레기통에 삽입하여 분리수거 종량제 비닐봉투가 쓰레기통과 보호통의 사이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부풀게 담긴 쓰레기를 눌림판으로 눌러 쓰레기를 다질 때에 분리수거 종량제 비닐봉투가 쓰레기통 내부로 밀려 들어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종량제봉투 내부에 보호통을 구비함에 따라 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봉투를 버릴 때 보호통을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봉투의 손잡이부분이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86호 『휴지통의 쓰레기봉투 고정캡』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휴지통에 씌워지는 비닐봉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간편히 사용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개방형 휴지통의 상단부에 뚜껑처럼 결합하는 링형의 고정캡과, 상기한 고정캡에 쓰레기봉투를 협지하도록 이중테두리로 된 홀더와, 홀더에 신축탄성을 가진 가압편을 형성하여 투입구를 통해서 쓰레기를 쉽게 버릴 수 있으면서 쓰레기봉투를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고정캡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비닐봉투를 쓰레기통에 넣은 후 비닐봉투를 뒤집어 고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이 휴지통에 고정캡을 결합함에 있어 비닐봉투가 마찰에 의해 찢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62호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봉투의 개방된 원주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통상으로 상협하광의 형태이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는 몸체의 상단을 덮도록 되는 뚜껑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받침판이 마련되되,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는 상기 몸체의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봉투를 쓰레기통에 삽입함에 있어, 봉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해할 수 있어 설치 환경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쓰레기 수거용 봉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서, 봉투를 고정수단과 본체의 몸체부사이에 끼임으로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 투입 시 공간 확보 및 용이하게 하고, 봉투의 교체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커버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봉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몸체부 내측에 단턱부가 상부위치에 구비되고, 고정수단이 상기 단턱부에 안착됨에 따라 고정수단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 고정수단과 몸체부 사이에 봉투가 끼워지는 틈새부가 형성됨에 따라 봉투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커버수단은 수용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되, 이 결합부가 수용부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몸체부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져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 커버수단에 커버부를 구비하여 봉투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몸체부에 탈착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 내측과의 사이에 봉투를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수용부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침범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수단에 끼워지는 봉투의 단부를 가리는 커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은
수용부와 몸체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내삽 체결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이 고정수단과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부를 통하여 쓰레기 수거용 봉투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이 고정수단을 봉투 내부에 위치시킨 후 본체에 삽입함으로서 고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봉투의 교체 등을 위한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본체의 수용부 상부에는 커버수단을 더 구비함에 따라 고정수단에 의해 끼워진 봉투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가릴 수 있도록 하여 외부 미관이 정리되어 시각적 깔끔함을 유지할 수 있고, 쓰레기통 내부, 즉 수용부를 일부 침범하는 커버부가 형성됨에 따라 쓰레기통 내부가 쉽게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처의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의 단면실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A)은 도 1 내지 도 3을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20) 및 커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본체(10)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쓰레기통(A)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과 연결되어,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14)를 형성하는 몸체부(12)로 이루어지며, 이 수용부(14)의 상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쓰레기통(A)의 형상과 유사한 것으로서, 도면에는 원통형, 보다 정확하게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체부(12)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모양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각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쓰레기를 버림에 있어, 쓰레기통(A)을 깨끗하게 사용하고, 쓰레기를 비우는 과정을 보다 손쉽게 진행하기 위하여 봉투(V)를 넣어 사용하고 있으며, 이 봉투(V)는 일반적으로 비닐봉투 또는 종량제 봉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본 고안은 이러한 봉투를 보다 손쉽게 고정하고, 봉투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A)에는 고정수단(20) 및 커버수단(30)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10)가 원뿔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고정수단(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몸체부(12) 내측, 즉 수용부(14)에 탈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통공(25)을 형성하는 내플랜지부(21)와, 상기 내플랜지부(21)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12) 내측면에 밀착 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는 외벽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 고정수단(20)이 상기 몸체부(12) 내측, 즉 수용부(14)에 위치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2) 내측에는 단턱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20)에는 상기 단턱부(121)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27)가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이 안착부(27)는 상기 고정수단(20)의 저면 테두리를 지칭하는 것이고, 상기 단턱부(121)는 상기 몸체부(12) 내벽면에서 내측으로 더 돌출된 돌기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수단(20)이 수용부(14) 내에 삽입되는 경우,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안착부(27)가 상기 단턱부(121)에 안착되어 고정수단(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플랜지부는 상기 고정수단을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보강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고정수단(20)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쓰레기 수거용 봉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단턱부(121)의 위치가 상기 수용부(14)의 상부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수단(20)이 상기 수용부(14)의 상부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몸체부(12)에 억지끼움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2)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수단(20)의 직경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바, 상기 고정수단(20)을 수용부(14)에 삽입하면, 몸체부(12)(수용부(14))의 직경과 상기 고정수단(20)의 직경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상기 고정수단(20)이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상기 고정수단(20)은 봉투를 쓰레기통(A) 내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봉투는 상기 고정수단(20)을 감싸며 상기 수용부(14)에 삽입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몸체부(12)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틈새부(29)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바, 이 틈새부(29)에 봉투가 끼워져 봉투를 수용부(14)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삽입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봉투안에 상기 고정수단(20)을 넣은 후, 고정수단(20)이 구비된 봉투를 수용부(14)에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수단(20)에 의해 봉투가 쓰레기통(A) 내에 결합되게 되며, 이 때 틈새부(29)를 형성함에 따라 과도한 마찰력에 의해 봉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121)와 안착부(27) 사이는 봉투가 완벽하게 밀착되어 끼워짐에 따라 봉투를 본체(10) 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봉투가 삽입된 쓰레기통(A)을 사용하는 경우, 이 봉투의 단부, 즉 상부 단부가 쓰레기통(A)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버수단(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에 연장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커버부(33) 및 상기 커버부(33)에 의해 형성되어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공(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수단(30)은 상기 본체(10) 상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20) 및 봉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결합부(31)는 상기 몸체부(12)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부(311)와, 상기 플랜지부(311)로부터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2)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31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수단(30)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탈착 결합되면, 상기 플랜지부(311)에 의하여 상기 커버수단(30)이 수용부(14) 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부(12)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13)에 의하여 상기 커버수단(3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커버수단(30)에는 커버부(33)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20) 및 봉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커버부(33)는 상기 플랜지부(31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4)의 일부, 즉 수용부(14)의 테두리부분을 가리도록 침범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플랜지부(311)로 인하여, 상기 커버수단(30)의 중앙에는 투입공(35)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투입공(35)으로 쓰레기를 투입하면 자연스럽게 봉투에 쓰레기가 넣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커버수단(30), 구체적으로는 커버수단(30)의 커버부(33)가 상기 고정수단(20) 및 봉투를 가리게 됨으로서, 봉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이 커버부(33)에 의하여 쓰레기통(A) 내부가 쉽게 보이지 않아 위생적이고, 사용처의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3)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부(33)는 상기 플랜지부(311)에서 투입공(35)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 쓰레기를 투입할 때 쓰레기가 커버부(33)에 닿아도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투입공(35)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공(35)의 주변에는 상기 커버부(33)에서 연장되되 하향 절곡된 절곡부(331)를 구비하여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액체류 등이 자연스럽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하부본체(17)와, 상기 하부본체(17)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본체(16), 즉 2개의 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두 분체를 연결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통하여 수용부(14)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사용환경 또는 쓰레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수용부(14)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양측 또는 4방향에 모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를 상부본체(16)와 하부본체(17)로 나누고, 이 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수용부(14)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하부본체(17)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분체와, 상기 제1 분체에 내삽되어 상기 상부본체(16) 외면에 결합되는 제2 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본체(17)와 제1 분체(H1), 상기 상부본체(16)와 제2 분체(H2)는 볼트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이 길이조절수단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면 상부본체(16)와 하부본체(17)가 서로 이격되어 수용부(14)의 용량이 커지게 되고, 이 길이조절수단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면 상부본체(16)와 하부본체(17)가 서로 붙어 수용부(14)의 용량을 작게 만들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 길이조절수단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수용부(14)의 용량이 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삽부(H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내삽부(H11)에 상기 제2 분체(H2)가 내삽되어 제1 분체(H1)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분체(H2)가 제1 분체(H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H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분체(H2)에는 상기 내측돌기(H1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H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분체(H1)와 제2 분체(H2)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H)이 구비되는 바, 이 길이조절수단(H)은 제1 분체(H1)에 구비되는 관통공(H40)과, 상기 제2 분체(H2)에 구비되는 이동공(H30) 및 상기 관통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이동부재(H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 분체(H2)에는 이동공(H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며, 이 수직부(H33)에서 다시 경사부(H31)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상기 경사부(H31)와 수직부(H33)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번 구비됨에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이동공(H30)은 공의 형상 또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분체(H1)에는 관통공(H4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관통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상기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으로 이루어져 그 형상이 'H'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관통공(H4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H30)에 단부가 체결되는 이동부재(H50)가 더 구비되게 되며, 이 이동부재(H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상기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다른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부재(H55)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H51)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볼베어링(H51)은 상기 이동부재(H50)가 이동공(H30) 내에서 움직일 때 보다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삽입부(H533)가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볼베어링삽입부(H533)는 상기 볼베어링(H51)의 절반 이상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이 볼베어링삽입부(H533) 내에서 상기 볼베어링(H51)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됨으로서 이동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재(H53)의 반대쪽 단부에는 핸들결합부(H5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핸들결합부(H531)에 상기 핸들부재(H55)가 결합되어 하나의 이동부재(H50)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결합부(H531)와 핸들부재(H55)에 구비되는 바디삽입부(H551)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결합에 의해 핸들부재(H55)를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결합부(H531)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풀어지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하기에 이동부재(H50)의 동작을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고안은 제1 분체(H1)로부터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그 동작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재(H50)는 상기 관통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에 체결되는 바, 상기 관통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경사부(H31)(우측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H31))에 의해 제2 분체(H2)는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재(H50)가 가로공(H41)의 좌측에 위치한 후, 다시 우측방향으로 바로 이동을 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앞서 움직인 경사부(H31)를 따라 다시 이동하여 제2 분체(H2)가 원위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공(H4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이 각각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제1 세로공(H4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에 의해 좀 더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후 다시 상기 이동부재(H50)를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이동공(H30)의 다음 경사부(H31)에 초입에 위치하며, 이동부재(H50)를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두 번째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여 제2 분체(H2)는 다시한번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H50)는 상기 이동공(H30)의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관통공(H40)의 제1 및 제2 세로공(H4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제2 분체(H2)를 제1 분체(H1)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상기 제2 분체(H2)를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승하는 방식과 반대로 이동부재(H50)를 움직임으로서 해결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길이가 조정된 제2 분체(H2)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핸들부재(H55)에 고정플랜지(H553)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H40)에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을 구비함으로서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부재(H55)의 테두리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플랜지(H553)는 상기 바디부재(H53)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H46)은 상기 관통공(H40)의 가로공(H41) 양 단부에 반원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홈 또는 공 형상의 것으로 이 반원의 형상의 직경은 상기 핸들부재(H55)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바, 핸들부재(H55)를 살짝 풀어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의 내측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상기 제1 분체(H1)의 외면과 떨어진 형상을 이루어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가로공(H41)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H55)를 조이게 되며, 이렇게 조이면 핸들부재(H55)가 자연스럽게 관통공(H40)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관통공(H40)에 구비되는 고정홈(H46)에 삽입됨으로서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 마그넷(H55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H46)의 일측에는 제2 마그넷(H557)을 구비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고정홈(H46)에 체결되면 이 제1 마그넷(H555)과 제2 마그넷(H557)의 자력에 의해 임의로 핸들부재(H5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V : 봉투
10 : 본체 11 : 바닥면
12 : 몸체부 121 : 단턱부
14 : 수용부 16 : 상부본체
17 : 하부본체 20 : 고정수단
21 : 내플랜지부 23 : 외벽부
25 : 통공 27 : 안착부
29 : 틈새부 30 : 커버수단
31 : 결합부 311 : 플랜지부
313 : 지지부 33 : 커버부
331 : 절곡부 35 : 투입공
H : 길이조절수단 H1 : 제1 분체
H11 : 내삽부 H13 : 내측돌기
H2 : 제2 분체 H21 : 걸림돌기
H30 : 이동공 H31 : 경사부
H33 : 수직부 H40 : 관통공
H41 : 가로공 H43 : 제1 세로공
H44 : 제2 세로공 H46 : 고정홈
H50 : 이동부재 H51 : 볼베어링
H53 : 바디부재 H531 : 핸들결합부
H533 : 볼베어링삽입부 H55 : 핸들부재
H551 : 바디삽입부 H553 : 고정플랜지
H555 : 제1 마그넷 H557 : 제2 마그넷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14)와, 상기 수용부(14)를 형성하는 몸체부(12)로 이루어지는 본체(10);
    상기 몸체부(12)에 탈착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12) 내측과의 사이에 봉투를 끼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
    상기 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31)와, 상기 결합부(31)에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4)의 가장자리 일부를 침범하는 커버부(33)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수단(20)에 끼워지는 봉투(V)의 단부를 가리는 커버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하부본체(17)와, 상기 하부본체(17)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본체(16)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본체(17)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분체(H1)와, 상기 제1 분체(H1)에 내삽되어, 상기 상부본체(16) 외면에 결합되는 제2 분체(H2)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H);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길이조절수단(H)에는
    상기 제1 분체(H1)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관통공(H40)과, 상기 관통공(H40)에 삽입되어 관통공(H40)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H50)와, 상기 제2 분체(H2)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H50)의 단부가 결합되는 이동공(H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이동공(H30)은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는 수직부(H33)가 복수번 반복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부(H31)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H50)가 관통공(H40)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H50)의 단부가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상기 제2 분체(H2)가 상기 제1 분체(H1)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조정됨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4)의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2) 내측 상부에는 단턱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20)에는 상기 단턱부(121)에 안착되는 안착부(27)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20)을 상기 수용부(14)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수단(20)과 상기 몸체부(12) 내측 사이에는 봉투가 끼워지는 틈새부(2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30)의 결합부(31)는
    상기 몸체부(12) 상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13)와, 상기 몸체부(12) 상단부에 안착되는 플랜지부(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33)는 상기 커버수단(30)의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은
    통공(25)을 형성하는 내플랜지부(21)와, 상기 내플랜지부(21)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12) 내측면에 근접 위치하는 외벽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KR2020170000578U 2017-02-02 2017-02-02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KR200484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78U KR200484211Y1 (ko) 2017-02-02 2017-02-02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78U KR200484211Y1 (ko) 2017-02-02 2017-02-02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11Y1 true KR200484211Y1 (ko) 2017-08-14

Family

ID=6062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578U KR200484211Y1 (ko) 2017-02-02 2017-02-02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78Y1 (ko) 2018-04-26 2019-06-27 (주)지알디컴퍼니 봉투 고정링이 형성된 쓰레기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705A (ja) * 1995-12-11 1997-06-17 Tomiyoshi Furukawa ごみ袋固定リング
JP3059049U (ja) * 1998-11-12 1999-07-02 イノマタ化学株式会社 ごみ箱
KR20060095076A (ko) * 2005-02-25 2006-08-30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101493878B1 (ko) * 2014-07-23 2015-02-17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705A (ja) * 1995-12-11 1997-06-17 Tomiyoshi Furukawa ごみ袋固定リング
JP3059049U (ja) * 1998-11-12 1999-07-02 イノマタ化学株式会社 ごみ箱
KR20060095076A (ko) * 2005-02-25 2006-08-30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101493878B1 (ko) * 2014-07-23 2015-02-17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78Y1 (ko) 2018-04-26 2019-06-27 (주)지알디컴퍼니 봉투 고정링이 형성된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0177B1 (en) Container with waste chamber and supports for flexible bags
CA2387183C (en)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EP1724216A1 (en) Trash can assembly with locking lid
US5799909A (en) Containment system for receiving and disposing of disposable sanitary products
US9499337B2 (en) Receptacle configured for liner replacement without lid removal
US20090230131A1 (en) Trash and recyclables receptacle
US8141481B2 (en) Compacting bin
WO2009114495A1 (en) Trash and recyclables receptacle
CN105764816B (zh) 卫生容器的改进或与卫生容器相关的改进
KR200484211Y1 (ko) 봉투 고정이 용이한 쓰레기통
EP3481747B1 (en) A cassette for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waste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460648Y1 (ko)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KR101763644B1 (ko) 폐 생리대 수거함
KR20070045810A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US20080296401A1 (en) Fragrance Dispenser
KR20110018487A (ko) 다기능 휴지통
CN209988465U (zh) 一种能够对垃圾挤压缩的环保型园林垃圾箱
JP5728179B2 (ja) シンクの排水口用蓋
AU2011100772A4 (en) A lid assembly for a bin
KR20110132711A (ko) 쓰레기통
KR20080003533A (ko) 쓰레기통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KR200487826Y1 (ko)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