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810A - 쓰레기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쓰레기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810A
KR20070045810A KR20050102512A KR20050102512A KR20070045810A KR 20070045810 A KR20070045810 A KR 20070045810A KR 20050102512 A KR20050102512 A KR 20050102512A KR 20050102512 A KR20050102512 A KR 20050102512A KR 20070045810 A KR20070045810 A KR 2007004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using
auxiliary
housing
storage contain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615B1 (ko
Inventor
임현정
Original Assignee
임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정 filed Critical 임현정
Priority to KR2005010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vehi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5Hand-operated refus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20Dustbins, refuse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 일반, 음식물 쓰레기 등의 각종 쓰레기를 분리 보관하였다가 분리수거 장소까지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저면 전후에는 다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되며 저면 선단 양측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수납체와; 저면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수납체와의 결합시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절개홈에 삽입된 채로 결합되는 캐스터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수납체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측면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보조 수납체의 측면 외벽에 부착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대 및 이동대 사이에서 이동대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볼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수납체 내에서 보조 수납체가 부드럽게 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수납체의 인출시 상기 보조 수납체가 베이스 수납체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카트, 캐스터, 쓰레기, 재활용, 운반

Description

쓰레기 운반용 카트 {Cart for transporting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수납체 및 보조 수납체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수납체 및 보조 수납체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납통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수납체 11:캐스터 12:수납공간
13:절개홈 20:보조 수납체 21:캐스터
22:수납공간 30:슬라이더 31:고정대
32;이동대 33:리테이너 34:볼
40:수납통 41:개구부 42:걸림턱
43:호퍼 44:물받이 46:자석
47:가이드 50:내통 56:자석
57:가이드홈 58:내통 60:신축 손잡이
본 발명은 쓰레기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재활용, 일반, 음식물 쓰레기 등의 각종 쓰레기를 분리 보관하였다가 분리수거 장소까지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분리하여 배출토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주거 단지의 경우 각 가정에서 쓰레기를 배출시 PAT병, 유리병 등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와, 재활용이 불가능한 일반쓰레기 및 조리시 발생하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 등을 별도로 구분하여 보관하였다가 아파트 내의 지정된 분리수거 장소에 배출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각 가정에서는 분리한 쓰레기를 보관할 만한 별도의 보관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쓰레기의 분리 보관이 매우 불편하고 청결하지 못할 뿐만 아 니라, 특히 각종 쓰레기를 배출시 종류별로 분리된 쓰레기의 중량이 무겁고 다수의 개별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한 사람이 한번에 옮기 기가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어서 쓰레기를 배출시에는 한 사람이 여러 번에 걸쳐 쓰레기를 지정된 분리수거 장소로 옮기거나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된 쓰레기를 지정된 분리수거 장소까지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운반용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쓰레기를 분리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통을 마련함으로써, 각종 쓰레기를 각 수납통에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배출하는 등 쓰레기의 분리수거가 매우 용이하고, 분리된 쓰레기를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운반용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저면 전후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되며 저면 선단 양측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수납체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 인출되며 후방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수납공간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내부 폭 보다는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저면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수납체와의 결합시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절개홈에 삽입된 채로 결합되는 캐스터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수납체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측면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보조 수납체의 측면 외벽에 부착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대 및 이동대 사이에서 이동대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볼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수납체 내에서 보조 수납체가 부드럽게 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수납체의 인출시 상기 보조 수납체가 베이스 수납체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수납체 및 보조 수납체의 수납공간에는, 내측과 연통 가능토록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내측 하부의 내주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보다는 상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에서 흐르는 오수를 중앙으로 모아 하부로 배출토록 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흐르는 오수를 받을 수 있도록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호퍼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통이 하나 이상 수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통의 상면 일측에는, 회전 개폐가능 한 덮개를 설치하여 수납통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통의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의 악취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통의 걸림턱 상측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자석을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자석이 외벽에 다단으로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수납통의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로 수납통의 내측에 수납되면서 상측에 덮개를 갖는 내통을 형성하여, 필요시 상기 수납통 내측에서 내통을 필요한 길이 만큼 상향으로 인출한 다음 상기 수납통의 자석과 내통의 자석을 일치시켜 내통을 인출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더 많은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통 내측 귀퉁이에는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내통의 외측 귀퉁이에는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납통의 가이드에 내통의 가이드홈이 끼움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수납체의 전방에는, 상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수납체 및 보조 수납체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수납체 및 보조 수납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통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수납통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트(Cart)는, 후방과 양측면 및 저면은 벽체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베이스 수납체(10)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에 수납된 채로 필요시 슬라이딩 인출되는 것으로서 전방과 양측면 및 저면은 벽체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보조 수납체(20)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10) 및 보조 수납체(20)의 수납공간(12, 22)에 수납되는 수납통(40)으로 이루어진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수납체(10)는,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도록 양측면과 후방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벽체로 구성되며 저면은 막힌 형태이며 전방과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전체적인 형상이 박스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공간(12)은 후술하는 보조 수납체(2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보조 수납체(20)의 슬라이딩 인출될 시에는 수납통(40)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수납공간(12)의 폭은 수납통(40)의 폭 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수납통(40)의 수납 후 남는 공간에 폐지 등을 담을 수 있게 한다.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캐스터(11) 가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11)는 베이스 수납체(10)의 저면 전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저면의 후방 양측으로 대향을 이루도록 2개가 설치되고 저면 전방의 중앙에 1개가 설치되어 총 3개가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 수납체(10)의 저면 전방 양측에는 절개홈(13)이 형성되는데 이 절개홈(13)은 상기 보조 수납체(20)가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에 결합시 상기 보조 수납체(20)의 저면에 설치된 캐스터(21)가 절개홈(13)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 내에 보조 수납체(20)가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보조 수납체(20)는,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에 수납되어 필요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것으로서, 수납공간(22)을 갖도록 양측면과 전방은 일정높이를 갖는 벽체로 이루어지며 저면은 막힌 상태로 형성되며 후방과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전체적인 형상이 박스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 수납체(20)의 높이는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베이스 수납체(10)와 마찬가지로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21)가 설치되는데 상기 캐스터(21)는 저면 전방 양측으로 2개 설치되며 상기 베이 스 수납체(10)의 절개홈(13)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와 보조 수납체(20)의 재질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수납체(20)의 전방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 손잡이(60)가 설치되는데 이 신축 손잡이(60)는 일반적으로 여행용 가방에 부착된 손잡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필요시 길이를 연장하여 카트의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신축 손잡이(60)는 견고한 설치를 위해 후단이 보조 수납체(20) 저면에 부착되게 하고 손이 직접적으로 닿는 앞 부분은 보조 수납체(20)의 전방에 위치토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 손잡이(60)는 일반적인 여행용 가방에 부착되는 손잡이와 그 구성이 동일 하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에서 보조 수납체(2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측면 내벽과 보조 수납체(20) 측면 외벽에는 슬라이더(3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일반적으로 수납공간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대(31)와 수납기구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31) 내에서 이동되는 이동대(32)와 상기 고정대(31)와 이동대(32) 사이에서 이동대(32)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볼(34)을 지지하는 리테이너(33)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30)는 책상, 옷장, 화장대, 복사기 등 각종 수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기구의 개폐작동시 수납기구의 부드러운 개폐를 위해 수납공간의 내벽과 수납기구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커터에서는 상기 슬라이더(30)의 고정대(31)가 베이스 수납체(10)의 측면 내벽에 부착되고 이동대(32)는 보조 수납체(20)의 측면 외벽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 내에서 보조 수납체(20)가 부드럽게 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수납체(20)의 인출시 상기 보조 수납체(20)가 베이스 수납체(1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30)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통(40)은 내부에 쓰레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상기 베이스 수납체(10) 및 보조 수납체(20)의 수납공간(12,22)에 수납된다.
상기 수납통(40)의 상하는 개방되며 전후 좌우는 일정길이를 갖는 벽체로 이루어지는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 좌우의 벽체는 수납통(40) 내부에 쓰레기를 많이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수납체(10) 및 보조 수납체(20)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되고 폭은 상기 베이스 수납체(10) 및 보조 수납체(20)의 수납공간(12, 2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통(40)의 하부 일측에는 개구부(41)를 형성하여 물받이(44)의 출입이 가능토록 하고, 수납통(40)의 내측 하부의 주연에는 걸림턱(4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2) 하부에는 걸림턱(42)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퍼(4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2) 및 호퍼(43)의 설치 위치는 상기 개구부(41)보다는 상향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호퍼(43)는 하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수납통(40)의 내부에 수납되는 쓰레기에서 흐르는 오수를 중앙으로 모아 하부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41)를 통해 수납통(40) 내부로 삽입되어 수납통(40)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물받이(44)에 오수가 정확하게 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수납통(40)의 일측 상면에는 덮개를 설치하여 수납통(40)의 상부를 막아 수납통(40) 내부에 수납되는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수납통(40)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수납통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납통(40)의 쓰레기 수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납통(40) 내에 내통(50)이 결합된 형태이다.
즉, 상기 수납통(40)의 내부에 부합되는 형태를 가지는 내통(50)을 저면이 상기 수납통(40) 하부 내주에 형성된 걸림턱(42)에 걸림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내통(50) 상부에는 덮개(5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통(40)의 내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자석(46)을 부착하고 상기 내통(50)의 외벽에는 상기 수납통(40)의 내벽에 대응되는 자석(56)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수납통(40) 내에 결합된 내통(50)을 필요한 길이 만큼 상기 수납통(40)의 상부측으로 인출한 다음 상기 수납통(40)의 자석(46)과 내통(50)의 자석(56)을 일치시켜 내통(50)을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켜 더 많은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토록 한다.
상기 내통(50)을 다단계로 인출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수납통(40)과 내통(50)에 설치되는 자석(46, 56)의 간격을 줄이면서 자석(46, 56)의 설치 수를 늘리면 된다.
또한, 상기 수납통(40)과 내통(50)에 설치되는 자석(46, 56)은 내통(50)의 슬라이딩 인출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돌출된 형태보다는 매립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통(40)의 내측 귀퉁이에는 가이드(47)를 형성하고 상기 내통(50)의 외측 귀퉁이에는 상기 가이드(47)에 대응되는 가이드홈(57)을 형성하여 수납통(40) 내에 내통(50)을 결합시 상기 수납통(40)의 가이드(47)에 내통(50)의 가이홈(57)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결합과정에서 물론 내통(50)의 인출 작동시에도 보다 안정적 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필요에 따라 수납되는 쓰레기 량을 적을 경우에는 내통(50)을 제거하여 수납통(40)만 단독으로 사용하고, 수납되는 쓰레기 량이 비교적 많을 경우에는 수납통(40) 내부에 내통(50)을 결합하여 더 많은 량의 쓰레기를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트는 각 쓰레기를 처음부터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한번에 분리수거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베이스 수납체(10)의 수납공간(12)에서 보조 수납체(20)를 인출한 다음 수개의 수납통(40)을 상기 베이스 수납체(10) 및 보조 수납체(20)의 수납공간(12, 22)에 수납한다.
이 상태에서 각 설치된 수납통에 재활용 쓰레기와, 일반쓰레기 등을 담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일반 쓰레기를 담을 경우에는 상기 수납통(40) 내에 규격봉투를 넣되 규격봉투의 상단이 수납통(40)의 상단에 걸쳐지게 하여 규격봉투 내에 일반 쓰레기가 담기도록 하고, PAT병 등의 재활용 쓰레기인 경우에는 수납통(40)에 바로 수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통(40) 내에 PAT병 등의 수납물이 수납될 경우 병 내에 잔류하는 물이 흐를 수도 있으나 이 물은 상기 수납통(40) 내측 하부에 형성된 호퍼 (43)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물받이(44)에 떨어지기 때문에 쓰레기에 잔류하는 물의 배출로 주변이 더럽혀지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수납통(40)은 쓰레기 량이 적은 가정에서는 수납통(40)만을 사용하면 되고, 비교적 쓰레기 량이 많은 가정에서는 수납통(40) 내에 내통(50)을 넣어 필요시 내통(50)을 수납통(40)의 상측으로 상향 인출하여 더 넓은 쓰레기 수납공간을 확보한 다음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통(40)과 내통(50)에는 자석(46, 56)이 다단으로 설치되기 필요한 만큼 내통(50)을 인출한 다음 상기 수납통(40)의 자석(46)과 내통(50)의 자석(56)을 일치시켜 내통(50)의 인출 상태를 유지케 하여 얼마든지 필요한 만큼의 쓰레기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내통(50)을 수납통(40) 내에 결합시, 내통(50)의 가이드홈(57)이 수납통(40)의 가이드(47)에 끼워진 채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결합이 매우 안정적이며 내통(50)의 인출 작동도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쓰레기 량이 적은 가정에서는 수납통(40)만을 사용하면 되고 비교적 쓰레기 량이 많은 가정에서는 수납통(40) 내에 내통(50)을 넣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으나, 내통(50) 수납통(40) 내에서 분리할 경우 수납공간 확보 면에서 불편할 수도 있으므로 수납통(40) 내에 내통(50)을 결합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수납통(40)에 쓰레기가 가득 차면 카트를 이동시켜 쓰레기를 배출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카트에는 캐스터(11, 2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의 무게가 무겁거나 또는 쓰레기 량이 적고 많음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지정된 분리수거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카트의 이동시 잡을 곳이 마땅치 않을 경우 카트의 방향 이동 등 카트의 운전이 어려울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카트에는 신축 손잡이(60)가 설치되어 있어 편리하게 카트를 운전할 수 있으며, 신축 손잡이(60)는 여행용 가방에 부착된 손잡이와 같이 신축이 가능하므로 필요시 사용자의 키에 맞게 신축 손잡이(60)를 상향으로 신장시켜 사용하면 카트를 더욱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수납체(20) 수납공간(22)에는 수납통(40)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배출을 위해 각 가정에 지급된 음식물 용기를 수납하여 카트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납체(10) 및 보조 수납체(20)의 수납공간(22) 폭이 수납통(40)의 폭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통(40)을 수납하고 남는 공간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류의 폐휴지를 실어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음식물 용기를 실을 경우에는 음식물에 잔류하는 수분이 흐를 수 있으므로 음식물 용기 하부를 물받이로 받친 상태로 보조 수납체(20)의 수납공간(22)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된 쓰레기를 지정된 분리수거 장소까지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종 쓰레기를 분리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통을 마련함으로써, 각종 쓰레기를 각 수납통에 넣어 두었다가 배출하면 되므로 쓰레기의 분리수거가 매우 용이하고, 분리된 쓰레기를 청결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전방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저면 전후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캐스터가 설치되며 저면 선단 양측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한편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수납체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 인출되며 후방과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수납공간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내부 폭 보다는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저면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 수납체와의 결합시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절개홈에 삽입된 채로 결합되는 캐스터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수납체와;
    상기 베이스 수납체의 측면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보조 수납체의 측면 외벽에 부착되는 이동대와, 상기 고정대 및 이동대 사이에서 이동대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볼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수납체 내에서 보조 수납체가 부드럽게 인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수납체의 인출시 상기 보조 수납체가 베이스 수납체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운반용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납체 및 보조 수납체의 수납공간에는,
    내측과 연통 가능토록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내측 하부의 내주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보다는 상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에서 흐르는 오수를 중앙으로 모아 하부로 배출토록 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흐르는 오수를 받을 수 있도록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호퍼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통이 하나 이상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운반용 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의 상면 일측에는,
    회전 개폐가능 한 덮개를 설치하여 수납통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통의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의 악취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운반용 카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의 걸림턱 상측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자석을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자석 이 외벽에 다단으로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수납통의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로 수납통의 내측에 수납되면서 상측에 덮개를 갖는 내통을 형성하여, 필요시 상기 수납통 내측에서 내통을 필요한 길이 만큼 상향으로 인출한 다음 상기 수납통의 자석과 내통의 자석을 일치시켜 내통을 인출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더 많은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운반용 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 내측 귀퉁이에는 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내통의 외측 귀퉁이에는 상기 가이드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납통의 가이드에 내통의 가이드홈이 끼움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운반용 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납체의 전방에는,
    상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축 손잡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50102512A 2005-10-28 2005-10-28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074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2512A KR100748615B1 (ko) 2005-10-28 2005-10-28 쓰레기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2512A KR100748615B1 (ko) 2005-10-28 2005-10-28 쓰레기 운반용 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715U Division KR200405906Y1 (ko) 2005-10-28 2005-10-28 쓰레기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810A true KR20070045810A (ko) 2007-05-02
KR100748615B1 KR100748615B1 (ko) 2007-08-14

Family

ID=3827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2512A KR100748615B1 (ko) 2005-10-28 2005-10-28 쓰레기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308A (zh) * 2019-07-29 2019-09-27 福建省惠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回收装置
CN112758559A (zh) * 2021-01-12 2021-05-07 陆丙繁 一种医院用医疗垃圾收集运输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49B1 (ko) 2013-12-23 2014-06-27 서울특별시 용적확장형 캐리어
KR101604729B1 (ko) * 2015-02-06 2016-03-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효율적인 퇴비화를 위한 음식물 종류별 가정용 분리 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001Y1 (ko) 1996-12-30 1999-06-15 장동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0885949B1 (ko) * 2002-07-25 2009-03-03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308A (zh) * 2019-07-29 2019-09-27 福建省惠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回收装置
CN112758559A (zh) * 2021-01-12 2021-05-07 陆丙繁 一种医院用医疗垃圾收集运输推车
CN112758559B (zh) * 2021-01-12 2022-06-14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医院用医疗垃圾收集运输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615B1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215B2 (en) Trash can with bag dispenser
US5174468A (en) Trash organizer
US6568555B1 (en) Garbage receptacle with incorporated liner compartment
KR101484546B1 (ko)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US20050092753A1 (en) Trash bag dispenser
CZ3357U1 (cs) Nosič
US7530465B2 (en) Waste recycling bin
KR200473734Y1 (ko)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함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20120016391A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이동 퍼즐식 쓰레기통
GB2252898A (en) A compartmentalised container for recyclable waste
KR200444143Y1 (ko) 가정용 재활용품 분리수거 카트
JP4870879B2 (ja) ごみ箱
KR20180023333A (ko) 비닐 거치를 도와주는 장치가 내장된 분리수거 통
US11820590B2 (en) Garbage bag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CN212862648U (zh) 一种购物袋收纳装置及垃圾桶
KR200362239Y1 (ko) 씽크대 수납형 분리수거함
AU2011101275A4 (en) Waste bin liners
KR20140013767A (ko) 쓰레기비닐 거치형 쓰레기통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KR20190026119A (ko) 1 회용 비닐봉투가 연속하여 제공되는 생리대 수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