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68Y1 -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 Google Patents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68Y1
KR200484168Y1 KR2020170000442U KR20170000442U KR200484168Y1 KR 200484168 Y1 KR200484168 Y1 KR 200484168Y1 KR 2020170000442 U KR2020170000442 U KR 2020170000442U KR 20170000442 U KR20170000442 U KR 20170000442U KR 200484168 Y1 KR200484168 Y1 KR 200484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ewing
maternity
casual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곤
Original Assignee
이근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곤 filed Critical 이근곤
Priority to KR2020170000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68Y1/ko
Priority to PCT/KR2018/001001 priority patent/WO20181398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1D1/20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1Maternity clothing; 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persons caring for inf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이 개시된다. 개시된 임부복은 하의 본체부;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임신부의 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대부; 상기 복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임부복용 밴드;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대부의 하단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임부복으로 사용시 임신부의 태아의 아래를 받쳐 지지해주고 상기 복대부를 제거하여 평상복으로 사용시, 평상복의 밴드로서의 기능을 갖는 평상복용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MATERNITY CLOTHES THAT CAN BE USED ORDINARY CLOTHES}
본 고안은 임신한 임신부가 입는 임부복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신했을 때는 임부복으로 사용하고, 출산 후에는 평상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임부복에 관한 것이다.
임부복은 임신한 임신부들이 신체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입는 옷으로서, 임신부의 부른 배를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임부복에 대해 등록디자인 30-03135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디자인 30-0313593에 개시된 임부복은 임신부의 엉덩이와 다리를 감싸는 하의본체와, 이 하의본체의 상단에 임신부 배를 감싸도록 형성된 복대부와, 복대부의 상단에 형성된 탄성밴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임부복은 임신부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임신시 사용하다가 출산 후에는 평상복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에 아쉬움이 있었다.
등록디자인 30-031359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임신시에는 임부복으로 사용하다가 출산후에는 평상복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을 뿐 아니라, 임부복으로 사용시에 태아를 받쳐주는 기능을 하여 활동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은 하의 본체부;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임신부의 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대부; 상기 복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임부복용 밴드;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대부의 하단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임부복으로 사용시 임신부의 태아의 아래를 받쳐 지지해주고 상기 복대부를 제거하여 평상복으로 사용시, 평상복의 밴드로서의 기능을 갖는 평상복용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대부와 상기 평상복용 밴드 사이에는 시접원단이 형성되어, 상기 시접원단에 의해 상기 복대부와 상기 평상복용 밴드는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접원단을 접어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시접되게 재봉질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복대부와 상기 평상복용 밴드가 상기 하부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대부의 상단과 상기 임부복용 밴드에는 상기 복대부 보다 탄력도가 강한 복대상단 보강밴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대부의 후면부상에는 임신부의 허리를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복대부 보다 탄력도가 강한 허리 보강밴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의 본체부는 치마형태 또는 바지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임부복은 임신시에는 임부복으로 사용하다가 출산후에는 평상복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출산 후에 별도로 평상복을 더 구비해야 할 부담을 덜어주어 의류구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임부복형태로 사용할 때, 평상복용 밴드가 태아를 받쳐주는 기능도 해줌으로써, 태아를 안정시켜 태아의 건강을 도모하고 임신부의 활동성을 높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대부의 후면부에 허리보강밴드가 형성되어 있어, 임신부의 허리를 받쳐 줌으로써 임신부가 보다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대부와 임부복용 밴드 사이에 보강밴드부가 형성되어 있어, 임부복용 밴드와 더불어 복대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더욱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부복의 배면부를 기준으로 전면부를 배면부의 양측으로 펼쳐서 가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부복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배면부를 전면부의 양측으로 펼쳐서 가상으로 표현한 도면으로서, 우측부분은 시접처리를 위해 시접원단부를 접어 올려 평상복용 밴드가 복대부에 겹쳐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부복의 평상복용 밴드와 복대부가 하의 본체부에 재봉으로 시접처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임부복을 임부복 형태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임부복을 평상복 형태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임부복(100)은 하의 본체부(110), 복대부(120), 임부복용 밴드(130), 평상복용 밴드(140)를 포함한다.
하의 본체부(110)는 엉덩이와 다리를 감싸는 바지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마형 임부복일 경우, 하의 본체부(110)는 치마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대부(120)는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전면부(121)는 임신부의 부른 배를 감싸고, 후면부(122)는 임신부의 허리를 감싸도록 전면부(121)가 후면부(122)보다 상하길이가 길도록 구성된다.
임부복용 밴드(130)는 탄력재질로 이루어지고 복대부(1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임신부의 가슴아랫부분에 탄력에 의해 밀착고정되어 복대부(12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평상복용 밴드(140)는 탄력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되, 복대부의 하단부를 외측에서 가리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탄력에 의해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임신상태에서 임부복으로 사용할 경우, 도 7 및 도 8과 같이, 통상의 임부복과 같이, 복대부(120)가 부른 배를 감싸 보호할 뿐 아니라, 평상복용 밴드(140)가 탄력에 의해 허리에 밀착고정되면서 태아를 받쳐 지지해주기 때문에, 태아의 건강을 도모하고 임신부가 보다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의 임부복(100)은 상기와 같이 임신한 상태에서 임부복으로 사용하다가 출산후에는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과 연결된 복대부(120)의 하단부위를 절단하여, 복대부(120)와 임부복용 밴드(130)를 제거함으로써, 하의본체부(110)에 평상복용 밴드(140)만이 달려 있는 상태로 도 9와 같이 평상복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평상복이란 임부복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출산한 사람, 또는 임신하지 않은 일반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인들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의복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의 본체부(110)에 복대부(120) 및 임부복용 밴드(130)가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하의 본체부(110)에 평상복용 밴드(140)가 형성되어 있어, 임신한 상태에서 부른 배를 감싸면서 사용하는 임부복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출산후에 배가 원래 상태로 돌아온 후에는 간단하게 복대부(120) 및 임부복용 밴드(130)를 하의 본체부(110)에서 제거하여, 평상복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임부복은 임신부가 구매하여 임신한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출산 후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분리수거함 등에 버려야 했으나, 본 고안의 임부복의 임신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출산 후에도 버리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측면에서도 의류구입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임부복은 임신한 상태에서 임부복 형태로 사용할 경우, 복대부(120)가 부른 배를 감싸줄 뿐 아니라, 평상복용 밴드(140)가 허리를 감싸 밀착고정하면서 태아를 아래에서 받쳐 지지해 주는 기능까지 해 줌으로써 태아를 안정시켜 태아의 건강을 도모할 뿐 아니라, 임신부가 보다 편안하게 활동할수 있게 해주는 역할까지 해주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임부복(100)은 복대부(120), 임부복용 밴드(130), 평상복용 밴드(140)가 하나의 원단(A)에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 원단(A)을 하의 본체부(110) 상단에 재봉으로 시접처리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A)은 스판덱스 사 등의 신축원사을 직조하여 형성된 직조물로 구성된다. 이때, 복대부(120), 임부복용 밴드(130), 평상복용 밴드(140) 모두가 탄력성을 갖도록 구성되되, 복대부(120)의 탄력도 보다는 임부복용 밴드(130)와 평상복용 밴드(140)의 탄력도가 높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원단(A)에는 복대부(120)와 평상복용 밴드(140) 사이에 시접원단부(125)가 형성되어 복대부(120)와 평상복용 밴드(140)가 시접원단부(125)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도 5의 우측부분과 같이, 이 시접원단부(125)를 폭 중간라인(L)을 기준으로 접은 후 접혀진 시접원단부(125)를 도 6과 같이,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에 재봉에 의해 시접처리해 줌으로써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에 복대부(120)와 평상복용 밴드(14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원단(A)은 복대부(120)의 후면부(122)에 띠형태의 허리 보강밴드부(127)가 형성된다. 이 허리 보강밴드부(127)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고안을 임부복 형태로 착용시, 임신부의 허리를 받쳐 지지해 줌으로써 임신부의 활동성을 더욱 좋게 해준다.
이 허리 보강밴드부(127)는 신축원사로 복대부(120)를 직조하면서, 허리보강밴드부(127)의 직조시 신축원사보다 고 탄력의 고신축사를 신축원사와 함께 직조함으로써 형성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탄력패드를 복대부(120)의 후면에 재봉질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복대부(120)의 상단과 임부복용 밴드(130) 사이에는 복대부(120) 보다 탄력도가 강한 복대상단 보강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보강밴드부(130)는 임신부의 부른 배 상단부에 탄력으로 밀착됨으로써 임부복용 밴드(130)와 더불어 복대부(120)가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는 보조적인 밴드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고안에서 복대부(120)의 전면부(121)와 후면부(122), 그리고 시접원단부(125) 사이에는 이 세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원단부(12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평상복용 밴드(140), 시접원단(125), 허리보강밴드부(127), 복대부(120), 복대상단 보강밴드부(135), 임부복용 밴드(130), 연결원단부(126) 등에 하나의 원단(A)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며, 이 원단(A)은 신축원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직조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원단(A)의 직조시, 복대부(120)에 대해 임부복용 밴드(130)와 평상복용 밴드(140)의 원사직조밀도를 조밀하게 하여 복대부(120)에 대해 임부복용 밴드(130)와 평상복용 밴드(140)의 탄력도가 더 강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복대부(120)에 대해 복대상단 보강밴드부(135) 및 허리보강밴드부(127)를 탄력도가 더 강하도록 조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본 고안의 임부복을 임부복 형태로 사용하다가 출산한 후에는 복대부(120)와 연결된 시접원단(125)을 절단해 줌으로써, 복대부(120)를 하의본체부(110)에서 제거하고, 하의본체부(110)에 평상복용 밴드(140) 만이 결합된 상태에서 평상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본 고안은 평상복용 밴드(140)와 복대부(120)가 시접원단부(125)에 의해 연결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시접원단(125)을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에 재봉에 의해 시접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평상복용 밴드(140)는 복대부(120)가 일체로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되어, 복대부(120)와 평상복용 밴드(140)가 각각 개별적으로 하의 본체부(110)의 상단에 재봉질에 의해 시접처리 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 하의본체부
120...복대부
121...복대부의 전면부
122...복대부의 후면부
125...시접원단부
126...연결원단부
127...허리보강밴드부
130...임부복용 밴드
135...복대상단 보강밴드부
140...평상복용 밴드

Claims (5)

  1. 하의 본체부;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임신부의 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복대부;
    상기 복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임부복용 밴드;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복대부의 하단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겹쳐지게 형성되며, 임부복으로 사용시 임신부의 태아의 아래를 받쳐 지지해주고 상기 복대부를 제거하여 평상복으로 사용시, 평상복의 밴드로서의 기능을 갖는 평상복용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대부와 상기 평상복용 밴드 사이에는 시접원단이 형성되어, 상기 시접원단에 의해 상기 복대부와 상기 평상복용 밴드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접원단을 접어 상기 평상복용 밴드가 상기 복대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시접원단을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시접되게 재봉질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복대부와 상기 평상복용 밴드가 상기 하의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임부복으로 사용하다가 출산 후에는 상기 복대부와 연결된 상기 시접원단을 절단하여, 상기 복대부를 상기 하의본체부에서 제거하고, 상기 하의본체부에 상기 평상복용 밴드만 결합된 상태에서 평상복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복대부의 후면부상에는 임신부의 허리를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복대부 보다 탄력도가 강한 띠형상의 허리 보강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대부의 상단과 상기 임부복용 밴드에는 상기 복대부 보다 탄력도가 강한 복대상단 보강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 본체부는 치마형태 또는 바지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KR2020170000442U 2017-01-24 2017-01-24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KR200484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42U KR200484168Y1 (ko) 2017-01-24 2017-01-24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PCT/KR2018/001001 WO2018139831A1 (ko) 2017-01-24 2018-01-23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42U KR200484168Y1 (ko) 2017-01-24 2017-01-24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68Y1 true KR200484168Y1 (ko) 2017-08-23

Family

ID=6062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42U KR200484168Y1 (ko) 2017-01-24 2017-01-24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168Y1 (ko)
WO (1) WO20181398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31A1 (ko) * 2017-01-24 2018-08-02 이근곤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CN109757787A (zh) * 2019-03-25 2019-05-17 杭州有尚贸易有限公司 360度高弹防滑孕妇腹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70U (ko) * 1999-02-10 1999-05-25 고덕기 쿠션매트
JP2013204159A (ja) * 2012-03-27 2013-10-07 Sakaeku Kk 下半身着衣
JP2014095156A (ja) * 2012-11-07 2014-05-22 Toray Ind Inc 腹部保護衣類
JP2014148780A (ja) * 2007-05-31 2014-08-21 Destination Maternity Corp 腹部を覆う衣類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47U (ko) * 1997-06-26 1999-01-25 한인덕 임산부용 복대
KR200484168Y1 (ko) * 2017-01-24 2017-08-23 이근곤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70U (ko) * 1999-02-10 1999-05-25 고덕기 쿠션매트
JP2014148780A (ja) * 2007-05-31 2014-08-21 Destination Maternity Corp 腹部を覆う衣類
JP2013204159A (ja) * 2012-03-27 2013-10-07 Sakaeku Kk 下半身着衣
JP2014095156A (ja) * 2012-11-07 2014-05-22 Toray Ind Inc 腹部保護衣類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31A1 (ko) * 2017-01-24 2018-08-02 이근곤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CN109757787A (zh) * 2019-03-25 2019-05-17 杭州有尚贸易有限公司 360度高弹防滑孕妇腹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831A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5377A (ko) 의복
US3176692A (en) Combination maternity-nursing bra-slip
KR20160124106A (ko) 컵부를 가진 의류
KR200484168Y1 (ko)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US3101718A (en) Combination garter supporter and back and abdomen supporting means
US2535018A (en) Garment
US2388757A (en) Brassiere
US10842201B2 (en) Brassiere
KR102133839B1 (ko) 바지용 허리밴드
KR101425597B1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가지는 의류
CN209898307U (zh) 带罩杯部的上半身衣服
JP6847001B2 (ja) 女性用上衣
KR101250465B1 (ko) 올인원
KR200473901Y1 (ko) 보정속옷
JP2016033273A (ja) 肌着
JP2009097110A (ja) 下半身衣類
JPH09217206A (ja) 体形補整機能を有する被服
JP3233042U (ja) ショーツ
US1705171A (en) Combination undergarment
US2697225A (en) Strapless brassiere garment
JP3235294U (ja) 下肢用衣料
CN217218230U (zh) 一种塑身衣
JP7100259B2 (ja) 上半身衣類
US2112151A (en) Combined brassiere and bathing suit
US1971669A (en) Under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