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98Y1 -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98Y1
KR200483998Y1 KR2020160001882U KR20160001882U KR200483998Y1 KR 200483998 Y1 KR200483998 Y1 KR 200483998Y1 KR 2020160001882 U KR2020160001882 U KR 2020160001882U KR 20160001882 U KR20160001882 U KR 20160001882U KR 200483998 Y1 KR200483998 Y1 KR 200483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inged
support plate
bracket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원
Original Assignee
강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원 filed Critical 강창원
Priority to KR2020160001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04F21/001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for mountin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04F21/0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for mounting door leaves, window sash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판부재,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부에 건축자재가 올려지는 상부 지지판부재,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연결되며 접혀졌다 펼쳐져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폴딩 링크부, 상기 폴딩 링크부를 접혀지게 하거나 펼쳐지게 하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하여 건축자재를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승하강시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확한 높이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콤팩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HORIZONTAL CONTROL OF CONSTRUCTION MATERIALS}
본 고안은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창틀과 같은 건축자재를 벽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건축자재를 수평으로 지지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시공할 시 벽체에 창틀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도록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거나 벽돌 등을 쌓아 올려 시공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때 벽체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창틀을 수평, 수직상태로 가설치하기 위한 높이와 너비를 창틀의 바깥 둘레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창틀과 같은 건축자재를 벽체의 공간부에 끼워 수평이 되도록 가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부분 창틀 하부 프레임과 벽체 사이의 틈에 목재나 벽돌조각 등을 끼워서 창틀의 높이와 하부 수평을 맞추도록 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로서는 중량의 창틀을 일일이 들어올리면서 수평상태로 조절하기가 여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수평 정밀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틀을 벽체에 가설치한 후 틈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 등으로 마감처리시에 작은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창틀의 수평상태가 변형됨으로 인하여 시공 후에 창틀과 벽체 사이에 균열이 생겨 누수현상이 발생하며, 창틀의 하부 수평이 제대로 맞지 않을 경우에 창문의 닫힘 불량 등으로 건물 부실시공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2012-0107307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고정구'(2012년 10월 2일 공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고정구'는 축관의 상부에 창틀의 하부를 받치는 상측 받침부가 나사결합되고,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측 받침부가 상기 축관의 하부에 상기 상측 받침부와 반대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축관을 회전시켜 상기 상측 받침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고정구'는 상기 상측 받침부 상에 창틀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축관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많은 힘이 필요하고, 작업자의 힘만으로는 상기 축관을 회전시킬 수 없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고정구'는 작업자의 힘만으로는 상기 축관을 회전시킬 수 없는 경우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별도의 공구를 구입해야 하고, 이를 휴대하고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고정구'는 축관의 상, 하 측에 상기 상측 받침부와 상기 하측 받침부가 각각 숫나사부에 의해 수직으로 나사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 승하강되는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상기 숫나사부의 길이에 의해 높이를 최소화하여 콤팩트하게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창틀과 같은 건축자재를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승하강시켜 정확한 높이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크기로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판부재,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부에 창틀과 같은 건축자재가 올려지는 상부 지지판부재,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연결되며 접혀졌다 펼쳐져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폴딩 링크부, 및 상기 폴딩 링크부를 접혀지게 하거나 펼쳐지게 하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폴딩 링크부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에 힌지결합하는 제1하부 링크부재,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와 이격되게 하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에 힌지결합하는 제2하부 링크부재,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하는 제1상부 링크부재,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와 이격되게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하는 제2상부 링크부재,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제1작동 축부재 및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제2작동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는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는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링크 작동부는 상기 제1작동 축부재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2작동 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작동 축부재와 나사결합하는 작동 스크류부재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하부 브라켓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하부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상부 브라켓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상부 브라켓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하부 브라켓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하부 링크, 상기 제2하부 브라켓트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2하부 링크, 상기 제1하부 링크와 상기 제2하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1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하부 브라켓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3하부 링크, 상기 제2하부 브라켓트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4하부 링크, 상기 제3하부 링크와 상기 제4하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2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상부 링크,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2상부 링크, 상기 제1상부 링크와 상기 제2상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3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3상부 링크,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4상부 링크, 상기 제3상부 링크와 상기 제4상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4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상부 링크와 상기 제2상부 링크는 상기 제1하부 링크와 상기 제2하부 링크의 안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제3상부 링크와 상기 제4상부 링크는 상기 제3하부 링크와 상기 제4하부 링크의 안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의 전면과 후면 측에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와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가 함몰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제1브라켓 홈부와 제2브라켓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창틀과 같은 건축자재를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승하강시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확한 높이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콤팩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에서 폴딩 링크부(30)가 펼쳐지거나 접혀 상부 지지판부재(20)가 상, 하 이동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건축자재로서, 창틀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판부재(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는 바닥, 즉, 건물의 슬라브에 지지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평면의 하부면을 가진다.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의 상부 측에는 창틀이 상면에 올려지는 상부 지지판부재(20)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는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의 하부면과 나란한 평면의 상부면을 가진다. 즉,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가 평면의 슬래브 상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도 상기 슬래브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며 창틀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의 사이에는 폴딩 링크부(30)가 구비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3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에 연결되며 접혀졌다 펼쳐져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폴딩 링크부(30)는 링크 작동부(40)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는 하부 플레이트(11), 상기 하부 플레이트(11)의 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3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하부 브라켓트(12),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11)의 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30)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하부 브라켓트(1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는 상부 플레이트(21),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의 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30)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상부 브라켓트(22),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21)의 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30)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상부 브라켓트(2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의 전면과 후면 측에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22)와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23)가 함몰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제1브라켓 홈부(20a)와 제2브라켓 홈부(2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22)와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23)는 상기 제1브라켓 홈부(20a)와 상기 제2브라켓 홈부(20b)에 의해 함몰된 위치에서 후술될 제1상부 링크부재(33)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34)의 상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후술될 제1하부 링크부재(31)와 제2하부 링크부재(32)의 안쪽에서 제1하부 링크부재(31)와 제2하부 링크부재(32)와 최대한 겹쳐지게 접혀져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의 높이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 폴딩 링크부(30)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에 힌지결합하는 제1하부 링크부재(31),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와 이격되게 하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에 힌지결합하는 제2하부 링크부재(32),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에 힌지 결합하는 제1상부 링크부재(33),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33)와 이격되게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32)에 힌지 결합하는 제2상부 링크부재(34),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의 상단부와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33)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제1작동 축부재(35),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32)의 상단부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34)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제2작동 축부재(36)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32)는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33)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34)는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링크 작동부(40)는 상기 제1작동 축부재(35)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2작동 축부재(36)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작동 축부재(36)와 나사결합하는 작동 스크류부재(41)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작동 스크류부재(41)는 상기 제1작동 축부재(35)의 장착공 내에 배치된 베어링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작동 축부재(35)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는 상기 제1하부 브라켓트(12)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하부 링크(31a), 상기 제2하부 브라켓트(13)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2하부 링크(31b), 상기 제1하부 링크(31a)와 상기 제2하부 링크(31b)를 연결하는 제1링크 연결플레이트(3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32)는 상기 제1하부 브라켓트(12)의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3하부 링크(32a), 상기 제2하부 브라켓트(13)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4하부 링크(32b), 상기 제3하부 링크(32a)와 상기 제4하부 링크(32b)를 연결하는 제2링크 연결플레이트(3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33)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22)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상부 링크(33a),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23)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2상부 링크(33b), 상기 제1상부 링크(33a)와 상기 제2상부 링크(33b)를 연결하는 제3링크 연결플레이트(33c)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34)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22)의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3상부 링크(34a),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23)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4상부 링크(34b), 상기 제3상부 링크(34a)와 상기 제4상부 링크(34b)를 연결하는 제4링크 연결플레이트(34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 링크(33a)와 상기 제2상부 링크(33b)는 상기 제1하부 링크(31a)와 상기 제2하부 링크(31b)의 안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제3상부 링크(34a)와 상기 제4상부 링크(34b)는 상기 제3하부 링크(32a)와 상기 제4하부 링크(32b)의 안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작동 축부재(35)는 상기 제1하부 링크(31a), 상기 제1상부 링크(33a), 상기 제2하부 링크(31b), 상기 제2상부 링크(33b)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작동 축부재(36)는 상기 제3하부 링크(32a), 상기 제3상부 링크(34a), 상기 제4하부 링크(32b), 상기 제4상부 링크(34b)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 스크류부재(41)는 상기 제1작동 축부재(35)와 상기 제2작동 축부재(36)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작동 스크류부재(41)는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10)가 슬래브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에 건축자재인 창틀(1)을 안착시켜 수평을 맞춘다.
그리고, 상기 작동 스크류부재(41)를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를 승강시키는 방향으로 정회전시키면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32)의 상단부 및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33)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34)의 하단부는 벌어졌던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를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 스크류부재(41)를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31)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32)의 상단부 및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33)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34)의 하단부는 좁혀졌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를 하강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는 상기 작동 스크류부재(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20)를 승하강시켜 수평 유지된 창틀(1)을 원하는 작업 높이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자재인 창틀(1)을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승하강시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정확한 높이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콤팩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부 지지판부재 11 : 하부 플레이트
12 : 제1하부 브라켓트 13 : 제2하부 브라켓트
20 : 상부 지지판부재 20a : 제1브라켓 홈부
20b : 제2브라켓 홈부 21 : 상부 플레이트
22 : 제1상부 브라켓트 23 : 제2상부 브라켓트
30 : 폴딩 링크부 31 : 제1하부 링크부재
31a : 제1하부 링크 31b : 제2하부 링크
31c : 제1링크 연결플레이트 32 : 제2하부 링크부재
32a : 제3하부 링크 32b : 제4하부 링크
32c : 제2링크 연결플레이트 33 : 제1상부 링크부재
33a : 제1상부 링크 33b : 제2상부 링크
33c : 제3링크 연결플레이트 34 : 제2상부 링크부재
34a : 제3상부 링크 34b : 제4상부 링크
34c : 제4링크 연결플레이트 35 : 제1작동 축부재
36 : 제2작동 축부재 40 : 링크 작동부
41 : 작동 스크류부재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판부재;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부에 건축자재가 올려지는 상부 지지판부재;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연결되며 접혀졌다 펼쳐져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폴딩 링크부; 및
    상기 폴딩 링크부를 접혀지게 하거나 펼쳐지게 하는 링크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링크부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에 힌지결합하는 제1하부 링크부재;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와 이격되게 하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에 힌지결합하는 제2하부 링크부재;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하는 제1상부 링크부재;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와 이격되게 상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에 힌지 결합하는 제2상부 링크부재;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제1작동 축부재; 및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는 제2작동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와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는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와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는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링크 작동부는 상기 제1작동 축부재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하고, 상기 제2작동 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작동 축부재와 나사결합하고,
    상기 하부 지지판부재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하부 브라켓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하부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상부 브라켓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후면 측에 돌출되며 상기 폴딩 링크부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2상부 브라켓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하부 브라켓트의 내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하부 링크, 상기 제2하부 브라켓트 내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2하부 링크, 상기 제1하부 링크와 상기 제2하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1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하부 브라켓트의 내면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3하부 링크, 상기 제2하부 브라켓트 내면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4하부 링크, 상기 제3하부 링크와 상기 제4하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2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의 외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상부 링크,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 외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2상부 링크, 상기 제1상부 링크와 상기 제2상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3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상부 링크부재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의 외면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3상부 링크,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 외면 타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4상부 링크, 상기 제3상부 링크와 상기 제4상부 링크를 연결하는 제4링크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 링크와 상기 제2상부 링크는 상기 제1하부 링크와 상기 제2하부 링크의 안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제3상부 링크와 상기 제4상부 링크는 상기 제3하부 링크와 상기 제4하부 링크의 안쪽으로 각각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판부재의 전면과 후면 측에는 상기 제1상부 브라켓트와 상기 제2상부 브라켓트가 함몰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제1브라켓 홈부와 제2브라켓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KR2020160001882U 2016-04-07 2016-04-07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KR200483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82U KR200483998Y1 (ko) 2016-04-07 2016-04-07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82U KR200483998Y1 (ko) 2016-04-07 2016-04-07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998Y1 true KR200483998Y1 (ko) 2017-07-17

Family

ID=5939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82U KR200483998Y1 (ko) 2016-04-07 2016-04-07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35B1 (ko) * 2017-12-07 2018-05-04 황인호 창호설치용 간격조절지그 및 그 간격조절지그를 이용한 간격조절방법
CN110541539A (zh) * 2019-08-02 2019-12-06 潜山县九鼎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便捷式人防工程人防门安装用辅助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321A (ja) * 1994-01-31 1995-08-15 Daiwa House Ind Co Ltd 建具類取付用調整治具
JP2000086172A (ja) * 1998-09-08 2000-03-28 Bizen Hatsujo Kk 携帯用ジャッキ及び携帯用リンク式ジャッ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321A (ja) * 1994-01-31 1995-08-15 Daiwa House Ind Co Ltd 建具類取付用調整治具
JP2000086172A (ja) * 1998-09-08 2000-03-28 Bizen Hatsujo Kk 携帯用ジャッキ及び携帯用リンク式ジャッ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35B1 (ko) * 2017-12-07 2018-05-04 황인호 창호설치용 간격조절지그 및 그 간격조절지그를 이용한 간격조절방법
CN110541539A (zh) * 2019-08-02 2019-12-06 潜山县九鼎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便捷式人防工程人防门安装用辅助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0092A1 (en) Kitchen cabinet installation device
KR200483998Y1 (ko) 건축자재의 수평조절용 지지장치
US6981301B2 (en) Device for installing a pre-hung door
US9388590B1 (en) Brick chimney guide
CN102677879A (zh) 建造面板定位及支撑系统和工具
JP2004263462A (ja) 開閉装置の取付方法および開閉装置構造
JP5232479B2 (ja) スライド足場設備
JP4377311B2 (ja) 杭柱建込装置
JP6220141B2 (ja) 炉内足場の支柱支持ベース構築用装置
JP3049583B2 (ja) 押し上げ引き上げ用複合ジャッキ装置
CN214195627U (zh) 预制混凝土竖向墙板校准安装支撑结构
CN114439261A (zh) 预制混凝土竖向墙板校准安装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CN211007712U (zh) 一种砌墙用便携式皮数杆
JP5566942B2 (ja) 軒先金物
US7310917B2 (en) Hinged frame spreader
KR102394778B1 (ko) 창호 시공방법
JP6656833B2 (ja) サイディングプレカット用採寸データ取得方法及びシステム
JP4493462B2 (ja) 壁面構造体とその構築方法
CN219411982U (zh) 一种拼接型装配式房屋
CN111512004B (zh) 简易房
CN212871224U (zh) 一种便于折叠携带的建筑设计用测量装置
JP2021169984A (ja) 三脚設置補助具
KR20240053411A (ko) 수평계
CN217557752U (zh) 一种装配式建筑装配式施工模板
KR20240053406A (ko) 수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