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77Y1 - 변압기용 부싱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77Y1
KR200483977Y1 KR2020150007584U KR20150007584U KR200483977Y1 KR 200483977 Y1 KR200483977 Y1 KR 200483977Y1 KR 2020150007584 U KR2020150007584 U KR 2020150007584U KR 20150007584 U KR20150007584 U KR 20150007584U KR 200483977 Y1 KR200483977 Y1 KR 200483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packing
transformer
pressing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90U (ko
Inventor
이병길
Original Assignee
(주)우강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강산업전기 filed Critical (주)우강산업전기
Priority to KR2020150007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7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변압기(10)의 외함(11)에 형성된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111)와, 상기 외측부(111)로부터 축경된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되는 내측부(112) 및, 상기 외측부(111)와 내측부(112)간의 직경차이에 의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단턱부(113)로 이루어진 외측애자(110); 상기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대향하는 외함(11)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애자(120); 상기 외함(11)과 단턱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외측패킹(130); 및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에 관통삽입되어 변압기(10) 내부의 전압을 외부로 인가시키며, 양측단에 장착되는 터미널(141) 및 너트체(142)의 회전결합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를 가압하는 중심도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113)의 저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애자(11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외측패킹(13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1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부싱{BUSHING FOR TRANSFORMER}
본 고안은 변압기용 부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에 형성된 장착공의 내외측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장착되어 변압기 내부의 권선단자와 변압기 외부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이용되는 변압기용 부싱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변압기용 부싱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외함(10)에 형성된 장착공(11)의 내외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는 외측애자(12)와 내측애자(13)가 구비되며, 상기 내외측 애자(12,13)의 중심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에는 변압기 내부의 권선단자와 결합되는 전도성 로드(14)가 삽입되고 상기 로드(14)의 상단에는 외측애자(1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터미널(15)이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 터미널(15)에는 외부 도선이 연결된다.
또한, 변압기 외함(10)의 내부에는 변압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절연유가 충전되고, 상기 장착공(11)의 내외측에는 상기 외측애자(12)와 외함(10) 사이, 내측애자(13)와 외함(10) 사이의 틈새를 수밀하게 밀봉시키기 위한 패킹(18)이 배치되며, 상기 로드(14)의 상하단에 장착되는 터미널(15) 및 너트체(14)의 회전결합에 의해 외측애자(12)와 내측애자(13)가 상하로 가압되면서 탄성재질의 패킹(18)이 압박되어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패킹(18)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상기 외측애자(12)와 내측애자(13)의 테두리 단턱은 측방향으로 평평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력이 각 패킹(18)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만 발생될 뿐 외측애자(12)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부위는 접촉만될 수 있을 뿐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테두리 단턱이 수평하게 평행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패킹(18)의 테두리 측부부분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태양광에 의한 자외선이나 공기중의 오존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 쉽게 부식되어 크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외부로 누유될 수 있었으며, 누유된 절연유의 독성으로 인해 변압기에 장착된 부싱의 형태변형 및 손상이 가해짐에 따라 외부로부터 우수 등의 수분이 변압기 내부로 침투될 수 있어 정전발생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18958호(2008.03.27), 변압기용 부싱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심도체의 회전결합에 따라 전달되는 상하 가압력의 일부를 중심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패킹의 상부면 및 하부면 뿐만아니라 애자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부위에도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발생되어 패킹에 의한 기밀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킨 변압기용 부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변압기(10)의 외함(11)에 형성된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111)와, 상기 외측부(111)로부터 축경된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되는 내측부(112) 및, 상기 외측부(111)와 내측부(112)간의 직경차이에 의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단턱부(113)로 이루어진 외측애자(110); 상기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대향하는 외함(11)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애자(120); 상기 외함(11)과 단턱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외측패킹(130); 및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에 관통삽입되어 변압기(10) 내부의 전압을 외부로 인가시키며, 양측단에 장착되는 터미널(141) 및 너트체(142)의 회전결합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를 가압하는 중심도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113)의 저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애자(11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외측패킹(13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1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함(11)과 내측애자(120) 사이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내측패킹(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애자(120)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내측부(112)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패킹(150)과 대향하는 단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애자(12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내측패킹(15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2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측애자(110)는, 상기 가압면(114) 상에서 상기 외측패킹(130)을 향해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링부(1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링부(117)는, 상기 가압면(114)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측패킹(130)의 외부면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링부(117)는, 상기 가압면(114) 상에서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애자(120)는, 상기 가압면(122) 상에서 상기 내측패킹(150)을 향해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링부(1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링부(125)는, 상기 가압면(12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측패킹(130)의 외부면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외측패킹(130)을 사이에 두고 외함(11)과 대향배치되는 외측애자(110)의 단턱부(113)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압면(114)이 형성되어 중심도체(140)의 회전결합에 따라 외측애자(110)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내외측) 가압력의 일부를 중심방향(측방향)으로 가할 수 있으므로, 외측패킹(130)의 상부면과 하부면 뿐만아니라 외측애자(110)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내측둘레에도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발생되어 외측패킹(130)에 의한 기밀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압면(114)의 경사진 각도에 의해 외측패킹(130)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게 눌리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패킹(130)의 측부면 면적이 감소되므로 자외선이나 오존에 의해 부식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외함(11)과 내측애자(120) 사이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애자(110)의 내측부(112) 둘레에 끼워지는 내측패킹(150)이 배치되며, 상기 내측패킹(150)을 사이에 두고 외함(11)과 대향배치되는 내측애자(120)의 단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압면(122)이 형성되어, 중심도체(140)의 회전결합에 따라 내측애자(120)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가압력의 일부를 중심방향으로 가할 수 있으므로 내측패킹(150)의 상부면과 하부면 뿐만아니라 내측애자(120)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내측둘레에도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발생되어 내측패킹(150)에 의한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가압면(114,122)에는 외측패킹(130) 또는 내측패킹(150)을 향해 링형상의 가압링부(117,12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압링부(117,125)는 각 가압면(114,12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각 패킹(130,150)의 외부면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밀을 위한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가압링부(117,125)는 각 가압면(114,122) 상에서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상기 접촉면적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으며 각 패킹(130,150)이 강하게 압박되는 부위를 증가시켜 기밀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부싱이 변압기의 외함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측애자 및 내측애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에 의해 패킹이 측방으로 압박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압링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부싱(100)은 변압기(10)에 형성된 장착공(12)의 내외측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장착되어 변압기(10) 내부의 권선단자와 변압기(10) 외부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이용되는 부싱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애자(110), 내측애자(120), 외측패킹(130) 및 중심도체(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외측애자(110)는 외함(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절연부재로서, 변압기(10)의 외함(11)에 형성된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111)와, 상기 외측부(111)로부터 축경된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되는 내측부(112) 및, 상기 외측부(111)와 내측부(112)간의 직경차이에 의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단턱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측애자(110)의 내부에는 중심도체(140)의 로드(143)가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된 중공(115)이 형성되며, 상단(외측단)에는 중심도체(140)의 터미널(141)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요홈(118)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애자(120)는 상기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외측애자(110)와 대향하는 외함(11) 내측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로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장착공(12)을 통해 외함(11) 내부로 노출된 내측부(112)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애자(110)의 중공(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로드(143)의 하부가 삽입되기 위한 중공(123)이 형셩된다.
상기 외측패킹(130)은 외함(11)과 외측애자(110) 사이의 틈새를 수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Sealing)수단으로서, 상기 외함(11)과 단턱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단턱부(113)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된다. 이러한 외측패킹(130)은 고무(Rubber)나 실리콘(Silicon) 재질과 같이 압박되면 눌리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도체(140)는 절연부재인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에 관통삽입되어 노출된 양측단을 통해 변압기(10)의 내부의 전압을 외부로 인가시키기 위한 전도성 부재로서, 양측단에 장착되는 터미널(141) 및 너트체(142)의 회전결합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를 상하방향(내외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애자(110,120)의 중공(115,123)에 관통삽입되며 그 양측단이 각 애자(110,120)를 통해 외부와 변압기(10) 내부에 각각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된 전도성 로드(143)와, 상기 로드(143)의 외측단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도선이 연결되는 터미널(141) 및, 상기 로드(143)의 내측단에 회전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터미널(141)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를 상하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너트체(1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143)의 둘레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141) 및 너트체(142)의 내부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141) 및 너트체(142)는 로드(143)상에서 두 부재가 동시에 회전되어 길이가 상하로 각각 조절되거나, 두 부재 중 하나의 부재는 고정되고 다른 부재가 회전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애자(110)는, 단턱부(113)의 저면에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 즉, 도 5를 기준으로 외측방으로 갈수록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도체(140)에 의해 외측애자(110)가 하부방향(내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외측패킹(13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14)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애자(110)를 통해 직하방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전달되면 외측패킹(130)이 눌리면서 단턱부(113)의 가압면(114)과 외함(11)의 접촉된 외부면 부위를 압박하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며, 상기 가압면(114)의 경사진 각도에 의해 상기 가압력의 일부가 외측패킹(130)의 측방향으로 작용하여 중심방향(도면의 실선 화살표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외측애자(110)의 내측부(112) 둘레에 끼워진 외측패킹(130)의 내경부분이 외측애자(110)와 접촉된 부분을 측방으로 압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턱부(113) 상에서 가압면(114)의 경사진 각도에 의해 가압면(114)와 내측부(112)의 측부면 사이에는 가압되는 내측패킹(150)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홈(116, 도 5 참고)이 형성되며, 가압면(114)에 의해 외측패킹(130)의 외측방 부분이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 눌리면서 상기 가압홈(116)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측부(112)와 외측패킹(130)이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패킹(130)을 사이에 두고 외함(11)과 대향배치되는 외측애자(110)의 단턱부(113)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압면(114)이 형성되어 중심도체(140)의 회전결합에 따라 외측애자(110)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가압력의 일부를 중심방향으로 가할 수 있으므로, 외측패킹(130)의 상부면과 하부면 뿐만아니라 외측애자(110)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내측둘레에도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발생되어 외측패킹(130)에 의한 기밀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압면(114)의 경사진 각도에 의해 외측패킹(130)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게 눌리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패킹(130)의 측부면 면적이 감소되므로 자외선이나 오존에 의해 부식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부싱(100)은 상기 외함(11)과 내측애자(120) 사이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내측패킹(15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패킹(150)은 외함(11)과 내측애자(120) 사이의 틈새를 수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수단으로서, 상기 외측패킹(130)과 마찬가지로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애자(120) 상에서 상기 내측패킹(150)과 대향하는 단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외함(11)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형태, 즉 도 5를 기준으로 외측방으로 갈수록 소정각도로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도체(140)에 의해 내측애자(120)가 상부방향(외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내측패킹(15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22)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애자(120)를 통해 직상방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내측패킹(150)이 눌리면서 단부 둘레의 가압면(122)과 외함(11)의 접촉된 외부면 부위를 압박하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며, 상기 가압면(122)의 경사진 각도에 의해 상기 가압력의 일부가 내측패킹(150)의 측방향으로 작용하여 중심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내측애자(120)의 내측부(112) 둘레에 끼워진 내측패킹(150)의 내경부분이 내측애자(120)와 접촉된 부분을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함(11)과 내측애자(120) 사이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애자(110)의 내측부(112) 둘레에 끼워지는 내측패킹(150)이 배치되며, 상기 내측패킹(150)을 사이에 두고 외함(11)과 대향배치되는 내측애자(120)의 단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압면(122)이 형성되어, 중심도체(140)의 회전결합에 따라 내측애자(120)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가압력의 일부를 중심방향으로 가할 수 있으므로 내측패킹(150)의 상부면과 하부면 뿐만아니라 내측애자(120)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내측둘레에도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발생되어 내측패킹(150)에 의한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애자(120)의 단부 둘레 상에서 가압면(122)의 경사진 각도에 의해 가압면(122)과 내측부(112)의 측부면 사이에는 가압되는 내측패킹(150)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홈(124, 도 5 참고)이 형성되며, 가압면(122)에 의해 내측패킹(150)의 외측방 부분이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 눌리면서 상기 가압홈(124)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측부(112)와 내측패킹(150)이 측방향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애자(110)는 상기 가압면(114) 상에서 상기 외측패킹(130)을 향해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링부(1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애자(120)는 가압면(122) 상에서 내측패킹(150)을 향해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링부(12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링부(117,125)는 각각의 가압면(114,12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측패킹(130) 또는 내측패킹(150)의 외부면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링부(117,125)의 구성을 통해 각 패킹(130,150)의 외부면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밀을 위한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링부(117,125)는 각 가압면(114,122) 상에서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상기 접촉면적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으며 각 패킹(130,150)이 강하게 압박되는 부위를 증가시켜 기밀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용 부싱(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외측패킹(130)을 사이에 두고 외함(11)과 대향배치되는 외측애자(110)의 단턱부(113)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압면(114)이 형성되어 중심도체(140)의 회전결합에 따라 외측애자(110)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가압력의 일부를 중심방향으로 가할 수 있으므로, 외측패킹(130)의 상부면과 하부면 뿐만아니라 외측애자(110)와 측방으로 접촉되는 내측둘레에도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발생되어 외측패킹(130)에 의한 기밀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변압기 11...외함
12...장착공 100...변압기용 부싱
110...외측애자 111...외측부
112...내측부 113...단턱부
114,122...가압면 120...내측애자
121...요홈 130...외측패킹
140...중심도체 141...터미널
142...너트체 143...로드
150...내측패킹

Claims (2)

  1. 변압기(10)의 외함(11)에 형성된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111)와, 상기 외측부(111)로부터 축경된 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되는 내측부(112) 및, 상기 외측부(111)와 내측부(112)간의 직경차이에 의해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단턱부(113)로 이루어진 외측애자(110); 상기 장착공(12)을 중심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대향하는 외함(11)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애자(120); 상기 외함(11)과 단턱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외측패킹(130); 및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에 관통삽입되어 변압기(10) 내부의 전압을 외부로 인가시키며, 양측단에 장착되는 터미널(141) 및 너트체(142)의 회전결합으로 상기 외측애자(110)와 내측애자(120)를 가압하는 중심도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단턱부(113)의 저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외부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애자(11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외측패킹(13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14)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애자(110)는 상기 가압면(114) 상에서 상기 외측패킹(130)을 향해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압링부(1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링부(117)는 상기 가압면(114)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측패킹(130)의 외부면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11)과 내측애자(120) 사이에 위치하며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내측패킹(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애자(120)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기 내측부(112)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패킹(150)과 대향하는 단부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함(11)의 내측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애자(12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내측패킹(15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12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부싱.
KR2020150007584U 2015-11-23 2015-11-23 변압기용 부싱 KR200483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84U KR200483977Y1 (ko) 2015-11-23 2015-11-23 변압기용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84U KR200483977Y1 (ko) 2015-11-23 2015-11-23 변압기용 부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90U KR20170001890U (ko) 2017-05-31
KR200483977Y1 true KR200483977Y1 (ko) 2017-07-17

Family

ID=5902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84U KR200483977Y1 (ko) 2015-11-23 2015-11-23 변압기용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7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37Y1 (ko) 2001-11-21 2002-03-09 이완이 변압기 및 중전기기류용 저압부싱
KR101471925B1 (ko) 2014-06-19 2014-12-12 남도전기공업 (주) 변압기용 부싱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145A (ja) * 1995-06-01 1996-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機器用ブッシ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8958B1 (ko) 2006-11-30 2008-04-04 (주)우강산업전기 변압기용 부싱
KR101845050B1 (ko) * 2011-12-19 2018-04-04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37Y1 (ko) 2001-11-21 2002-03-09 이완이 변압기 및 중전기기류용 저압부싱
KR101471925B1 (ko) 2014-06-19 2014-12-12 남도전기공업 (주) 변압기용 부싱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90U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64269A1 (en) Hi-dielectric debris seal for a pothead interface
KR101673523B1 (ko) 변압기용 부싱
EP3172800B1 (en) Dry power cable termination
RU200913967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ста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JPWO2019186956A1 (ja) バルブコア
US5377747A (en) Environmentally safe wellhead
RU2484566C1 (ru) Герметич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KR200483977Y1 (ko) 변압기용 부싱
ES2115259T3 (es) Dispositivo de conexion para los polos de acumuladores electricos.
JP6976418B2 (ja) バルブコア及びタイヤバルブ
KR101121661B1 (ko) 변압기용 부싱의 결합구조
KR20090118216A (ko) 변압기용 부싱
US2422379A (en) Electric bushing
KR101734135B1 (ko) 변압기용 폴리머부싱
US1611651A (en) Undersea light
KR200484341Y1 (ko) 가스 누설 차단용 방폭 케이블 그랜드 구조체
KR101535769B1 (ko) Dc 링크용 커패시터 커버
CN108418002B (zh) 接线装置及空调器
JP6814092B2 (ja) 固体絶縁母線の防水構造、及び固体絶縁母線の接続構造
US3794958A (en) High voltage connector
KR200481117Y1 (ko) 변압기용 부싱의 밀폐구조
CN202651056U (zh) 真空腔室电极引出装置
WO2018163796A1 (ja) 電気機器用端末装置及び電気機器用端末装置の製造方法
JP5548567B2 (ja) エポキシブッシング
KR102512795B1 (ko) 나사 연결을 위한 고전류 접촉체를 갖는 고전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