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95Y1 - 와이어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695Y1
KR200483695Y1 KR2020160003798U KR20160003798U KR200483695Y1 KR 200483695 Y1 KR200483695 Y1 KR 200483695Y1 KR 2020160003798 U KR2020160003798 U KR 2020160003798U KR 20160003798 U KR20160003798 U KR 20160003798U KR 200483695 Y1 KR200483695 Y1 KR 200483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bracket
couple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3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2Inspecting the exterior surface of cylindrical bodies or wi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 점검장치는, 후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손상을 점검하는 와이어 점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 시에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검사하는 검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크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검사수단이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후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후크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판결합부와, 상기 고정판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에 결합되고, 서로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수단에 관통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검사수단의 중앙에 배치되게 안내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점검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WIRE}
본 고안은 와이어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점검이 용이하고 안전한 와이어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제철소,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크레인(Crane, 기중기)이나 인양기구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일정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10)의 일 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레인(10)은 지주(11)와, 지주(11)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거더(12)와 거더(12)를 따라 좌우로 주행하는 트롤리(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롤리(13)에는 와이어(20)가 권취되는 드럼이 구비될 수 있고, 와이어(20)는 트롤리(13)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와이어(20)의 하부에는 후크커버(31)와 후크롤러 및 후크부재(32)를 포함한 후크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후크부에는 중량물이 걸릴 수 있고, 후크부가 상부의 드럼에 와이어(20)가 감겨지거나 풀어짐으로써 상하로 이동하여 중량물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10)에 사용되는 와이어(20)는 작동 중에 발생하는 마모 등으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와이어(20)가 손상되면 와이어(20)의 수명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종래 크레인(10)의 와이어(20) 점검 시에는 드럼에 감긴 와이어(20)를 모두 풀어서 육안점검 및 검사장비를 이용한 점검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의하면, 긴 와이어(20)를 모두 풀었을 때 지상에서의 취급이 어렵고, 와이어를 다시 조립할 때 크레인(10) 드럼 상부까지 작업자가 올라가야 하므로 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손상 점검이 가능한 와이어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 측면으로써, 와이어 점검 작업 공정이 간단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와이어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는, 후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손상을 점검하는 와이어 점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 시에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검사하는 검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크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검사수단이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후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후크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판결합부와, 상기 고정판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에 결합되고, 서로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수단에 관통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검사수단의 중앙에 배치되게 안내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홀 및 상기 결합공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 결합 위치가 조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고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손상부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점검장치를 이용하면, 검사를 위해 크레인 상부의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를 모두 풀 필요 없이, 와이어를 크레인에 설치한 상태에서 후크부에 설치된 검사수단에 와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와이어를 감고 풀기를 반복하여 와이어의 손상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를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의 손상을 검사하므로, 와이어 점검 작업 공정이 간단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인력손실을 최소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점검하거나 와이어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 상부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점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검사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정수단과 검사수단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와이어 점검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점검장치(100)는, 후크부(30)에 연결되는 와이어(20)의 손상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수단(200)과 검사수단(300)을 포함한다.
후크부(30)는, 크레인(Crane)과 같이 중량물을 일정한 높이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중량물이 걸릴 수 있다. 후크부(30)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후크커버(31)와 후크커버(3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20)가 권취되는 후크롤러(미도시)와 후크바디에 연결되고 중량물이 걸려서 연결되는 후크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20)의 권취 상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후크부(30)가 적용되는 장비는 크레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20)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장비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고정수단(200)은, 후크부(30)에 고정 설치되어 후크부(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수단(200)은 후크부(30)에 구비된 후크커버(31)에 장착됨으로써 와이어(2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후크부(30)가 상하로 이동 시에 후크부(3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검사수단(300)은 고정수단(200)에 결합되어 고정수단(200)의 이동 시에 와이어(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20)의 손상부위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수단(300)은 일 례로 ECT(Eddy Current Test, 와류 탐상 검사) 검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ECT 검사기는 와이어(20)를 검사기 중앙에 구비된 중공으로 통과시키고, 통과되는 와이어(20)의 전류의 흐름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와이어(20)의 유도전류의 흐름이 난조를 보이며 변동하는 등 균일하지 않음을 측정하여 와이어(20)의 손상유무와 손상부위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다만, 상기 검사수단(300)은 ECT 검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20)를 통과시켜서 와이어(20)의 손상유무와 위치를 점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검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ECT 검사기를 이용하여 와이어(20)의 손상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수십 미터의 와이어(20)를 모두 풀어서 통과시키는 경우, 인력손실이 매우 크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수단(300)은 고정수단(200)에 장착됨으로써 후크부(30)에 설치될 수 있고, 후크부(30)의 상하 이동 시에 와이어(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20)를 관통시켜 와이어(20)의 손상부위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를 위해 크레인 상부의 와이어(20) 드럼에 감긴 와이어(20)를 모두 풀 필요 없이, 와이어(20)를 크레인에 설치한 상태에서 후크부(30)에 설치된 검사수단(300)에 와이어(20)를 통과시키면서 와이어(20)를 감고 풀기를 반복하여 와이어(20)의 손상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20)를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20)의 손상을 검사하므로, 와이어(20) 점검 작업 공정이 간단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인력손실을 최소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20)를 점검하거나 와이어(20)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 상부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수단(200)은, 고정브라켓(210)과 고정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210)은, 후크부(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후크부(30)에 구비된 후크커버(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210)의 형상은 도시된 일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크커버(3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검사수단(300)을 후크부(3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브라켓(210)은, 크레인 등의 인양하중에 따른 후크부(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크기의 고정브라켓(210)을 제작하여 작업 현장에서 후크부(30)의 크기에 맞게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30)는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되고, 검사수단(3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검사수단(300)은 고정플레이트(230)를 통해 고정브라켓(210)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부(30)와 고정브라켓(210)과 고정플레이트(230) 및 검사수단(300) 간의 결합방식은 제한이 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 례로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고정브라켓(210)은 후크부(3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1 결합홀(212)이 관통 형성된 제1 브라켓(211)과, 후크부(30)의 타측에 결합되고 제2 결합홀(214)이 관통 형성된 제2 브라켓(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30)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결합공(232)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편(2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200)은, 제1 결합홀(212)과 제2 결합홀(214) 및 결합공(232)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고정브라켓(210)과 고정플레이트(23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브라켓(210)은 후크부(3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211)과 제2 브라켓(213)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후크부(3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211)은 후크커버(31)에 결합되는 후크결합부(211a)와, 고정플레이트(230)에 결합되는 고정판결합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브라켓(213)도 제1 브라켓(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라켓(211)은 고정플레이트(230)가 결합되는 측에 구비된 고정판결합부(211b)에 제1 결합홀(21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브라켓(213)은 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측에 제2 결합홀(2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30)는 일면에 고정브라켓(210)이 결합되고 타면에 검사수단(300)이 결합되는데, 고정브라켓(210)이 결합되는 면에 결합편(231)이 돌출 형성되고, 결합편(231)에는 제1 결합홀(212)과 제2 결합홀(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32)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250)는 일 례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결합홀(212)과 제2 결합홀(214) 및 결합공(232)에 동시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230)와 고정브라켓(2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고정브라켓(210)과 고정플레이트(230)의 결합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플레이트(230)는 고정브라켓(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20)의 위치에 따라 결합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고정플레이트(230)의 결합편(231)을 제1 브라켓(211)과 제2 브라켓(21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고정브라켓(210)과 와이어(20)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게 고정플레이트(2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30)가 결합된 검사수단(300)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와이어(20)를 검사수단(300)의 중앙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검사수단(300) 관통 시에 와이어(2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검사수단(300)은, 와이어(20)가 관통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된 프레임부재(310)와, 프레임부재(310)와 결합하고 고정플레이트(230)에 장착되는 장착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330)는 프레임부재(310)와 고정플레이트(230)를 연결하며,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30)와 프레임부재(310)에 볼트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부재(310)는 내부에 ECT 검사기 등의 검사장비가 수용될 수 있고, 중앙에 관통홀(311)이 관통 형성되어 와이어(20)를 관통시킬 수 있다. 검사수단(300)을 상기와 같이 제작한 후, 후크부(30)를 지상으로 내린 상태에서 와이어(20)가 관통되게 설치할 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100)는 가이드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270)는, 일측(271)이 고정플레이트(230)에 고정되고, 타측(273)에 와이어(2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74)이 형성되어, 와이어(20)가 프레임부재(310)의 중앙에 배치되게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270)의 일측(271)을 고정플레이트(230)에 고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용접, 볼트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30)에 가이드결합판(235)을 매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부재(270)의 타측(273)에는 검사수단(300)을 관통하는 와이어(2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74)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홈(27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와이어(20)가 삽입되어 와이어(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70)는, 검사수단(300)의 관통홀(311) 상단 또는 하단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와이어(20)가 검사수단(300)에 삽입되기 전에 와이어(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와이어(20)가 검사수단(300)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2 이상의 와이어(20)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와이어(20)에 검사수단(300)을 설치하여 점검하면, 와이어(20)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점검대상인 와이어(20)가 검사수단(300)의 관통홀(311)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20) 또는 검사수단(300)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검사의 정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와이어 가이드부재(270)를 구비하여, 점검대상인 와이어(20)를 검사수단(300)에 삽입되기 전에 관통홀(311)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의 정밀성을 높이고 검사수단(300) 또는 와이어(20)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100)는, 고정수단(200)에 설치되어 검사수단(300)에 의해 감지된 와이어(20)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와, 카메라와 연결되어 와이어(20) 손상부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를 고정수단(200)에 설치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한 검사수단(300)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수단(2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는 검사수단(300)과 함께 후크부(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검사수단(300)에 의해 손상부위가 발견되면 검사수단(300)과 교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와 모니터에 의해, 검사수단(300)에 의해 와이어(20) 손상부위가 발견되면, 모니터를 통해, 지상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상부위를 집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고정브라켓(2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211)에 구비된 후크결합부(211a)가 복수의 부재로 구비되어 후크커버(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213)도 제1 브라켓(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후크결합부(211a)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후크결합부(211a)들과 고정판결합부(211b)가 약 120˚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크결합부(211a)와 후크커버(31)가 볼트 결합된 예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용접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210)은 후크결합부(211a)가 2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후크커버(31)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브라켓(210)이 후크부(3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검사수단(300)을 후크부(3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에 구비된 후크부(30)를 지상으로 내린 후, 후크부(30)의 크기에 맞게 선정된 고정브라켓(210)을 후크커버(31)에 설치할 수 있다.
이 후, 고정플레이트(230)를 고정브라켓(210)에 결합 설치한 후, 검사수단(300)의 장착부재(330)를 고정플레이트(230)에 결합함으로써, 고정수단(200)에 검사수단(30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30)에 와이어 가이드부재(270)를 설치하여, 와이어(20)가 검사수단(300)의 관통홀(311)의 가운데에 올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플레이트(230)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검사수단(300)과 카메라에 연결선을 설치하고 지상에 구비된 모니터에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후크부(30)를 크레인의 최상부부터 최하부 사이를 이동하도록 운행을 실시하여, 검사수단(300)을 관통하는 와이어(20)의 손상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점검장치를 이용하면, 검사를 위해 크레인 상부의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를 모두 풀 필요 없이, 와이어를 크레인에 설치한 상태에서 후크부에 설치된 검사수단에 와이어를 통과시키면서 와이어를 감고 풀기를 반복하여 와이어의 손상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를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의 손상을 검사하므로, 와이어 점검 작업 공정이 간단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인력손실을 최소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를 점검하거나 와이어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 상부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와이어 점검장치 200 : 고정수단
210 : 고정브라켓 211 : 제1 브라켓
212 : 제1 결합홀 213 : 제2 브라켓
214 : 제2 결합홀 230 : 고정플레이트
231 : 결합편 232 : 결합공
250 : 결합부재 270 : 와이어 가이드부재
274 : 가이드홈 300 : 검사수단
310 : 프레임부재 311 : 관통홀
330 : 장착부재

Claims (7)

  1. 후크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손상을 점검하는 와이어 점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수단의 이동 시에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검사하는 검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후크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검사수단이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후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후크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판결합부와, 상기 고정판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에 결합되고, 서로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수단에 관통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검사수단의 중앙에 배치되게 안내하도록,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결합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 및 상기 결합공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 결합 위치가 조정되게 구비되는 와이어 점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수단은,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손상부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KR2020160003798U 2016-06-29 2016-06-29 와이어 점검장치 KR200483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98U KR200483695Y1 (ko) 2016-06-29 2016-06-29 와이어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98U KR200483695Y1 (ko) 2016-06-29 2016-06-29 와이어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695Y1 true KR200483695Y1 (ko) 2017-06-27

Family

ID=5924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98U KR200483695Y1 (ko) 2016-06-29 2016-06-29 와이어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6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684A (ja) * 2003-11-18 2005-06-09 Nippon Steel Corp クレーン吊りワイヤーロープの振れ角検出装置
JP2009091127A (ja) * 2007-10-10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ロープ点検方法
JP2012163402A (ja) * 2011-02-04 2012-08-30 Nishimatsu Constr Co Ltd 点検装置および点検方法
KR101292073B1 (ko) * 2013-03-04 2013-07-31 정평기 와이어 로프 손상 검출 및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684A (ja) * 2003-11-18 2005-06-09 Nippon Steel Corp クレーン吊りワイヤーロープの振れ角検出装置
JP2009091127A (ja) * 2007-10-10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ロープ点検方法
JP2012163402A (ja) * 2011-02-04 2012-08-30 Nishimatsu Constr Co Ltd 点検装置および点検方法
KR101292073B1 (ko) * 2013-03-04 2013-07-31 정평기 와이어 로프 손상 검출 및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440B2 (en) Non-destructive test apparatus
KR101179929B1 (ko) 교량 안전진단장치
EP2952468B1 (en) Rope connecting support for use in crane vehicle when hoist rope is stretched
KR200483695Y1 (ko) 와이어 점검장치
KR200472414Y1 (ko) 수직 용접부의 방사선 촬영장치
KR102287738B1 (ko)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CN112262097B (zh) 改进的管道吊具
KR20150025134A (ko) 리프팅 러그용 하중 테스트 장치
IT201900011295A1 (it) Sistema e metodo di ispezione e manutenzione di ponti
CN107328852B (zh) 一种车载式钢丝绳作业设备的钢丝检测方法
KR20210010245A (ko) 크레인의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방법
US11761813B2 (en) Weighing system and method
JP6436820B2 (ja) 摩耗ゲージ及び点検方法
CN212269143U (zh) 矿山立井提升系统的电动验绳装置
KR101804021B1 (ko) 장경간 교량의 동(動) 하중 시험장치
KR102123189B1 (ko) 균열 탐지 로봇
KR102146208B1 (ko) 초음파 검사장치
JP5069505B2 (ja) エレベーター用調速機ロープの引掛り解除方法
KR101954831B1 (ko) 파이프형 곤돌라 브라켓의 면외굽힘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CN103917420A (zh) 车辆检修装置及固定车辆检修装置的方法
JP5420497B2 (ja) ロープテスター装置
CN210498883U (zh) 一种带有金属探伤仪的机械修复设备
RU2629549C2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аната грузоподъёмного крана
WO2023127278A1 (ja) ロープ検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KR101235719B1 (ko) 교량 케이블 자동진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