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75Y1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75Y1
KR200483575Y1 KR2020150008553U KR20150008553U KR200483575Y1 KR 200483575 Y1 KR200483575 Y1 KR 200483575Y1 KR 2020150008553 U KR2020150008553 U KR 2020150008553U KR 20150008553 U KR20150008553 U KR 20150008553U KR 200483575 Y1 KR200483575 Y1 KR 200483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vable core
movable
fixed
rubb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 저감을 위한 고무 패드가 고정 코어 또는 가동 코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고정 코어를 갖는 전자석, 고정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된 가동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고무 패드를 구비하며, 가동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된 가동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복귀 스프링이 삽입되는 축홀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고무 패드의 중앙에 돌출부 외주면에 끼울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가동 코어가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고정 코어로 근접되었을 때 돌출부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가동 코어와 고정 코어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릴리프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에 고무 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무 패드 고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저감을 위한 고무 패드가 고정 코어 또는 가동 코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는 전류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 등 전류의 개폐가 필요한 각종 전기기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접촉기 종단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접촉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10), 이 고정접촉자(10)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류를 인가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가동접촉자(10), 이 가동접촉자(20)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30)로 구성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접촉자(10)는 2개의 도체로 구성되고, 미도시된 전원측 단자 및 미도시된 부하측 단자에 각각 접속되며, 원활한 전기 접속을 위해 가동접촉자(20)를 향하는 단부에 고정접점(11)을 갖는다.
상기 가동접촉자(20)는 하나의 도체로 구성되며, 고정접촉자(10)와 마찬가지로 원활한 전기 접속을 위해 고정접점(11)을 향하는 가동접촉자의 양단 일측면에 가동접점(21)을 가지며, 가동접점(21)이 고정접점(11)에 접촉하도록 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가동접점(21)이 고정접점(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0)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요크(31), 전자석(32), 가동 코어(33mc), 샤프트(34) 및 복귀 스프링(35), 고무 패드(3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요크(31)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전자석(32)이 온(on)되어 전자석(32)으로부터 자기장이 발생되는 경우, 자화되어 전자석(32)과 함께 가동 코어(330mc)에 자기력을 부여한다.
상기 전자석(32)은 보빈(32b), 이 보빈(32b) 주위에 감긴 코일(32c) 및 보빈(32b)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 코어(32sc)로 구성된다.
고정 코어(32sc)는 자성체로 제조되어 코일(32c)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코일(32c)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작용으로 자화되어 코일(32c)과 함께 강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가동 코어(33mc)는 전자석(32)에 의해 발생한 자기력에 의해 가동될 수 있는 자성체, 예를 들면 철로 제조된다.
상기 샤프트(34)에는 고정 코어(32sc)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코어(32sc)의 축을 따라 형성된 축홀(32h)이 설치되며, 이 샤프트(34)의 일단 즉, 샤프트(34) 상단에는 가동접촉자(20)가 고정되고 그 타단 즉, 하단에는 가동 코어(33mc)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동접촉자(20)는 샤프트(34)를 통해 가동 코어(33mc)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동 코어(33mc)가 전자석(32)과 요크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가동접촉자(20)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복귀 스프링(35)은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고정 코어(32sc)와 가동 코어(33mc)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 코어(33mc)가 고정 코어(32s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동 코어(33mc)에 항상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따라서, 상기 복귀 스프링(35)은 전자석(32)이 오프(off)되었을 때 고정 코어(32c)에 지지되어 가동 코어(33mc)를 고정 코어(32sc)로부터 이격시키고, 전자석(32)이 온(on)되었을 때 전자석(32)의 자기력에 의해 가동 코어(33mc)를 고정 코어(32sc)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동 코어(33mc)에 의해 압축된다.
한편, 고정 코어(32sc)와 가동 코어(33mc)의 대향단에는 복귀 스프링(35)의 설치를 위해 고정 코어(32sc)와 가동 코어(33mc)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소위 막힌 홀(blind hole)(bh1, bh2)이 형성되고, 복귀 스프링(35)의 양측단은 막힌 홀(bh1, bh2)의 내측단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고무 패드(36)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그 중앙에는 복귀 스프링의 통과를 허용하는 삽입홀(36h)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무 패드(36)는 삽입홀(36h)을 통해 복귀 스프링(35)의 외주면에 삽입된 후 고정 코어(32sc)와 가동 코어(33mc)의 대향면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코어(33mc)의 상면에 단순히 안치된다.
도 1b는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시도로서, 도 1b를 참조하면 가동 코어(33mc) 상에 고무 패드(36)가 안치된 것을 잘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0)의 전자석(32)이 온(on)되어 코일(32c)에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면, 이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은 가동 코어(33mc)가 복귀 스프링(35)의 하방향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향 즉, 고정 코어(323)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샤프트(34)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동접촉자(20)도 가동 코어(33mc)와 동시에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고무 패드(36)는 가동 코어(33mc)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무 패드(36)는 가동 코어(33mc)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가동 코어(33mc)가 상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고무 패드(36)의 상면은 가동 코어(33mc)보다 먼저 고정 코어(32sc)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가동 코어(33mc)가 고정 코어(32sc)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충격음이 나는 것을 방지하는 하게 된다.
이후, 가동 코어(33mc)가 전자석(32) 자기력에 의하여 복귀 스프링(35) 및 고무 패드(36)의 탄성력을 이기고 조금 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접촉자(20)가 고정접촉자(10)에 접촉하여 고정 고정접촉자(20)는 가동접촉자에 의해 폐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전원측 단자에 접속되어 전류를 인가받은 고정 접촉자(10)는 가동접촉자(200)를 통해 미도시된 부하측 단자에 접속된 고정접촉자(10)로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액추에이터(30)의 전자석(32)이 오프(off)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자석(32)에 의한 자기장은 소멸되고 이에 따라 자기력도 없어진다.
따라서, 가동 코어(33mc)는 복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 코어(33mc), 고무 패드(36), 샤프트(34), 가동접촉자(20)도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촉자(20)가 고정접촉자(10)로부터 분리되어 회로가 개로된다.
이와 같이, 전자접촉기는 그 동작시 전자석(32)의 반복되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가동 코어(33mc)가 상하 이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있어서는 고무 패드(26)를 가동 코어(33mc)에 올려만 놓은 상태였기 때문에, 전자접촉기의 사용 중 고무 패드(36)가 움직여, 고무 패드(36)의 삽입홀(36h) 내주면과 복귀 스프링(35)의 외주면이 사이에서 접촉이 발생하여 고무 패드(36)의 조각이 발생하였고, 또한 고무 패드(36)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무 패드(36)가 복귀 스프링(35)의 외주면과 막힌 홀(bh1, bh2)의 사이로 딸려 들어가 고무 패드(36)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뿐만이 아니라, 복귀 스프링(35)의 외주면과 막힌 홀(bh1, bh2)의 사이 및 실린더(37)의 내주면과 가동 코어(33mc)의 외주면 사이로 고무 패드(36)의 조각이 들어가 이들 부위와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가동 코어(33mc)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여, 결국 가동 코어(33mc)와 샤프트(34)를 통해 연동하는 가동접촉자(20)의 적시(適時) 동작도 방해된다.
이와 같이 전자접촉기가 적시에 제대로 동작을 못할 경우, 전자접촉기의 개폐 신뢰성을 저하시키므로 오동작을 일으키는 전자접촉기는 즉시 교체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개폐기 사용자에게 전자접촉기 교체를 위한 비용 부담뿐만이 아니라 및 전자접촉기 교체 작업을 위한 시간 부담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자접촉기의 동작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접촉기에 설치한 고무 패드가, 전자접촉기의 사용 중에도 그 설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무 패드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고정 코어를 갖는 전자석, 고정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된 가동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고무 패드를 구비하며, 가동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된 가동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복귀 스프링이 삽입되는 축홀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고무 패드의 중앙에 돌출부 외주면에 끼울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가동 코어가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고정 코어로 근접되었을 때 돌출부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가동 코어와 고정 코어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릴리프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에 고무 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무 패드 고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 패드 고정수단은 돌출부의 기부에 형성한 환형홈일 수 있으며, 돌출부는 그 선단에서 환형홈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대형일 수 있다.
여기서, 고무 패드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무 패드 고정수단은 돌출부에 결합되는 스냅링과, 스냅링과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형성한 스냅링 홈을 갖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고정 코어를 갖는 전자석, 고정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된 가동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고무 패드를 구비하며, 가동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된 가동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고무 패드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을 향하는 고무 패드의 면에 홈에 형합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홈과 결합 돌기는 동심원형, 방사형, 또는 동심원형 및 방사형의 조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돌기는 홈에 삽입된 후 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의 내부 폭이 홈의 입구 폭보다 크고, 결합 돌기의 선단부 두께가 결합 돌기의 기부 두께보다 두꺼운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서는 전자석의 반복되는 온/오프 동작 중에도 고무 패드가 가동 코어의 환형홈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무 패드가 돌출부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또한, 돌출부가 복귀 스프링과 고무 패드를 완전히 격리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서 복귀 스프링과 고무 패드는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무 패드가 복귀 스프링에 의해서 손상되어 고무 패드의 조각이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스프링의 외주면과 막힌 홀 사이 및 실린더의 내주면과 가동 코어의 외주면 사이의 원활한 동작이 유지되어 전자접촉기의 개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 종단면도이다.
도 1b는 가동 코어 상에 고무 패드가 안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 1a에 따른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고무 패드 고정수단에 의해 가동 코어 상에 고무 패드가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 2a에 따른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b에 따른 가동 코어의 보다 구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c에 따른 가동 코어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a의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종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2a의 제2 변형 실시예에 따른 가동 코어의 부분 단면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 코어와 고무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제1, 2 변형 실시예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 종단면도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접촉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100), 이 고정접촉자(100)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류를 인가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가동접촉자(200), 이 가동접촉자(200)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300)로 구성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접촉자(100)는 2개의 도체로 구성되고, 미도시된 전원측 단자 및 미도시된 부하측 단자에 각각 접속되며, 원활한 전기 접속을 위해 가동접촉자(200)를 향하는 단부에 고정접점(110)을 갖는다.
상기 가동접촉자(200)는 하나의 도체로 구성되며, 고정접촉자(100)와 마찬가지로 원활한 전기 접속을 위해 고정접점(110)을 향하는 가동접촉자의 양단 일측면에 가동접점(210)을 가지며, 가동접점(210)이 고정접점(110)에 접촉하도록 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가동접점(210)이 고정접점(1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00)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요크(310), 전자석(320), 가동 코어(330mc), 샤프트(340) 및 복귀 스프링(350), 고무 패드(3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요크(310)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320)이 온(on)되어 전자석(320)으로부터 자기장이 발생되는 경우, 자화되어 전자석(320)과 함께 가동 코어(330mc)에 자기력을 부여한다.
상기 전자석(320)은 보빈(320b), 이 보빈(320b) 주위에 감긴 코일(320c) 및 보빈(320b)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 코어(320sc)로 구성된다.
고정 코어(320sc)는 자성체로 제조되어 코일(320c)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코일(320c)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작용으로 자화되어 코일(320c)과 함께 강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고정 코어(320sc)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코어(32sc)와 차별되는 점은 가동 코어(330mc)의 상면 상에 형성된 후술할 돌출부(40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가동 코어(330mc)와 마주하는 고정 코어(32sc)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릴리프부(500)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기 가동 코어(330mc)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한 자기력에 의해 가동될 수 있는 자성체, 예를 들면 철로 제조되면, 고정 코어(32sc)에 대향하는 가동 코어(330mc)의 단면상에는 전술한 돌출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00)는 복귀 스프링(350)이 삽입되는 축홀(400h)이 가동 코어(330mc) 및 돌출부(400)의 공통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400)의 외주면에는 중앙에 삽입홀(360h)을 갖는 고무 패드(360)가 끼워진다.
상기 돌출부(400)에는 돌출부(400)에 끼워진 고무 패드(360)를 고정하기 위한 고무 패드 고정수단(600)이 제공된다.
고무 패드 고정수단(600)은 상기 돌출부(400)의 기부(420) 외주면에 형성한 환형홈(610)일 수 있다.
이 환형홈(610)은 고무 패드(360)가 삽입홀(360h)를 통해 돌출부(400)의 외주면으로 끼워졌을 때 고무 패드(360)의 내주면에 인접한 상면이 걸려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홈 깊이(D)를 갖는다.
본 고안은 이러한 홈 깊이(D)를 보다 깊게 하여, 고무 패드(360)가 돌출부(4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400)는 그 선단(410)에서 환형홈(610)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400)를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도 2b 내지 도 3a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원뿔대의 저면에 의해 깊은 홈 깊이(D)을 얻을 수 있어 고무 패드(36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돌출부(400)를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고무 패드(360)가 통과해야 하는 고무 패드(360)에 큰 힘을 들여 고무 패드(360)의 삽입홀(360h)의 내경을 늘려야 하므로, 고무 패드(360)를 돌출부(400)에 삽입하는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에 따라 고무 패드(360)를 좀더 쉽게 돌출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고무 패드(360)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36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c에서는 고무 패드(360)의 내주면에 2개의 절개부(361)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고무 패드(361)의 내주면에는 절개부(361)를 형성하게 되면 돌출부(400)에 고무 패드(360)를 삽입시 고무 패드(360)에 동일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고무 패드(360)의 절개부(361)에 의해 고무 패드(360)의 단면적이 감소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고무 패드(360)의 내경을 용이하여 늘여, 고무 패드(360)를 돌출부(400)에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340)에는 고정 코어(320sc)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코어(320sc)의 축을 따라 형성된 축홀(320h)이 설치되며, 이 샤프트(340)의 일단 즉, 샤프트(340) 상단에는 가동접촉자(200)가 고정되고 그 타단 즉, 하단에는 가동 코어(330mc)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가동접촉자(200)는 샤프트(340)를 통해 가동 코어(330mc)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동 코어(330mc)가 전자석(320)과 요크(310)의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가동접촉자(200)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복귀 스프링(350)은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고정 코어(320sc)와 가동 코어(330mc)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 코어(330mc)가 고정 코어(320sc)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동 코어(330mc)에 항상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따라서, 상기 복귀 스프링(350)은 전자석(320)이 오프(off)되었을 때 고정 코어(320c)에 지지되어 가동 코어(330mc)를 고정 코어(320sc)로부터 이격시키고, 전자석(320)이 온(on)되었을 때 전자석(320)의 자기력에 의해 가동 코어(330mc)를 고정 코어(320sc)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동 코어(320sc)에 의해 압축된다.
한편, 고정 코어(320sc)와 가동 코어(330mc)의 대향단에는 복귀 스프링(350)의 설치를 위해 고정 코어(320sc)와 가동 코어(330mc)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소위 막힌 홀(bh10, bh20)이 형성되고, 복귀 스프링(350)의 양측단은 막힌 홀(bh10, bh20)의 내측단에 각각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00)의 전자석(320)이 온(on)되어 코일(320c)에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면, 이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은 가동 코어(330mc)가 복귀 스프링(350)의 하방향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향, 즉 고정 코어(323)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샤프트(340)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동접촉자(200)도 가동 코어(330mc)와 동시에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고무 패드(360)는 가동 코어(330mc)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무 패드(360)는 가동 코어(330mc)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가동 코어(330mc)가 상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돌출부(400)의 선단은 고정 코어(320sc)의 릴리프부(500)에 삽입되고, 계속해서 가동 코어(330mc)가 상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고무 패드(360)의 상면은 가동 코어(330mc)보다 먼저 고정 코어(320sc)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가동 코어(330mc)가 고정 코어(320sc)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 충격음이 나는 것을 방지하는 하게 된다.
이후, 가동 코어(330mc)가 전자석(320) 자기력에 의하여 복귀 스프링(350) 및 고무 패드(360)의 탄성력을 이기고 조금 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접촉자(200)가 고정접촉자(100)에 접촉하여 고정 고정접촉자(100)는 가동접촉자에 의해 폐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전원측 단자에 접속되어 전류를 인가받은 고정 접촉자(100)는 가동접촉자(200)를 통해 미도시된 부하측 단자에 접속된 고정접촉자(100)로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액추에이터(300)액추에이터(300) 오프(off)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자석(320)에 의한 자기장은 소멸되고 이에 따라 자기력도 없어진다.
따라서, 가동 코어(330mc)는 복귀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 코어(330mc), 고무 패드(360), 샤프트(340), 가동접촉자(200)도 동시에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동접촉자(200)가 고정접촉자(100)로부터 분리되고 회로가 개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돌출부(400)가 복귀 스프링(350)과 고무 패드(360)를 완전히 격리하므로 고무 패드(360)의 내주면이 복귀 스프링(350)이 접촉하지는 않는다.
또한, 전자석(320)의 반복되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가동 코어(330mc)가 상하 이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가동 코어(330mc)의 환형홈(610)에 고무 패드(360)의 내주면이 안정적으로 끼워지고, 환형홈(610)에 의해 형성되는 환형홈(610)의 저면이 고무 패드(360)의 내주면에 인접한 상면에 위치하므로, 고무 패드(360)가 돌출부(400)로 부터 이탈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350)과 고무 패드(360)는 전혀 접촉할 수가 없으므로, 고무 패드(360)가 복귀 스프링(350)에 의해서 손상되어 고무 패드(360)의 조각이 발생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개시된 고무 패드(360) 및 돌출부(400)의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복귀 스프링(350)의 외주면과 막힌 홀(bh10, bh20)의 사이 및 실린더(370)의 내주면과 가동 코어(330mc)의 외주면 사이의 원활한 동작이 유지되어 전자접촉기의 개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돌출부(400)가 가동 코어(330mc)에 형성되고 릴리프부(500)가 고정 코어(320sc)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위에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는 도 3b에서와 같이 돌출부(400)와 릴리프부(500)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바뀐 역전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3b를 살펴보면 돌출부(400')가 고정 코어(320sc)에 형성되어 있고, 릴리프부(500')가 가동 코어(330mc)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도 3b에 따른 제1 변형 실시예는 도 2a 내지 도 3a 도시한 일시예와 큰 차이는 없고, 단지 가동 코어(330mc)가 이동할 때 고무 패드(360)가 함께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고무 패드(360)가 돌출부(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동 코어(330mc)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한다는 점만이 다르며, 고무 패드(360)가 돌출부(400')에 안정정으로 고정되어 돌출부(400')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도 3c는 도 2a의 제2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동 코어(330mc)의 부분 단면 정면도로서, 도 3c에 따른 변형 실시예는 고무 패드 고정수단(600)으로서 돌출부에 결합되는 스냅링(620)을 구비하며, 이 스냅링(620)이 돌출부(4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400) 외주면에 스냅링 홈(610')을 제공하고 있다.
도 3c에 따른 제2 변형 실시예의 경우에는 돌출부(400)의 형태가 원뿔대형이 아니고 원통형이기 때문에 고무 패드(360)의 삽입이 쉬워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개홈(361)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단지 간단하게 돌출부에 고무 패드(360)를 끼운후 스냅 링(620)을 스냅링 홈(610')에 결합함으로써 스냅링의 저면에 의해 고무 패드(360)가 돌출부(40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c에 따른 제2 변형 실시예는 도 3b의 제1 실예에 따른 제 1 변형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역전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 코어(330mc) 및 고무 패드(361)의 사시도로서, 도 4a는 고정 코어(320sc)에 대향하는 가동 코어의 상면(330sc)에 고무 패드(360)의 홈(710)이 형성되며, 홈(710)을 향하는 고무 패드(360)의 면(362)에 홈(710)에 형합하는 동심원형의 결합 돌기(72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돌기(720)는 홈(170)에 삽입된 후 홈(7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710)의 은 내부 폭(w')은 입구 폭(w)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결합 돌기(7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홈(710)에 형합하는 형상이므로 결합 돌기(720)의 선단부 두께(t')가 결합 돌기의 기부 두께 (t)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 및 도 4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2 변형 실시예이며, 도 4a 내지 도 4c에 따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용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4a 내지 도 4c에 실시예들은, 도 3b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변형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역전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고정접촉자 110: 고정접점
200: 가동접촉자 210: 가동접점
300: 액추에이터 310: 요크
320: 전자석 320b: 보빈
320c: 코일 320sc: 고정 코어
320mc: 가동 코어 320h: 홀
330mc: 가동 코어 340: 샤프트
350: 복귀 스프링 360: 고무 패드
360h: 삽입홀 361: 절개부
360h: 삽입홀 370: 실린더
400: 돌출부 400h: 축홀
410: 선단부 420: 기부
500: 릴리프 600: 고무 패드 고정수단
610: 환형홈 610': 스냅링 홈
620: 스냅링 Bh10, bh20: 막힌홀
710, 710', 710': 결합홈 720, 720', 720': 결합 돌기
D: 홈 깊이 w': 입구 폭
w': 내부 폭 t: 기부 두께
t': 선단부 두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고정 코어를 갖는 전자석,
    고정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 코어를 관통하여 설치된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된 가동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사이에 배치된 고무 패드를 구비하며,
    가동 코어의 이동에 따라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된 가동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전류를 개폐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 코어와 가동 코어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고무 패드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을 향하는 고무 패드의 면에 홈에 형합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7. 제6항에 있어서,
    홈과 결합 돌기는 동심원형, 방사형, 또는 동심원형 및 방사형의 조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결합 돌기는 홈에 삽입된 후 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의 내부 폭이 홈의 입구 폭보다 크고,
    결합 돌기의 선단부 두께가 결합 돌기의 기부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2020150008553U 2015-12-28 2015-12-28 전자접촉기 KR200483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53U KR200483575Y1 (ko) 2015-12-28 2015-12-28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553U KR200483575Y1 (ko) 2015-12-28 2015-12-28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75Y1 true KR200483575Y1 (ko) 2017-06-15

Family

ID=5909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553U KR200483575Y1 (ko) 2015-12-28 2015-12-28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806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JP2012199088A (ja) *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接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806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릴레이
JP2012199088A (ja) *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接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60Y1 (ko) 전자개폐장치
KR101869719B1 (ko) 전자접촉기
KR101661396B1 (ko) 전자기 릴레이
KR101072627B1 (ko) 전자 개폐기의 가동접점 조립체
KR101869717B1 (ko) 전자개폐장치
EP2221846A2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20092098A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ES2393367T3 (es) Actuador
JP6343656B2 (ja) 直流リレー
KR20180032963A (ko) 릴레이
WO2020044607A1 (ja) 電磁継電器
KR200483575Y1 (ko) 전자접촉기
US20220208494A1 (en) Direct current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928934B1 (ko) 누전차단기의 트립 코일 어셈블리
US20220230826A1 (en) Direct current relay
US10978233B2 (en) Solenoid having a barrier between a solenoid housing and package
US20220230827A1 (en) Direct current relay
KR20170000938U (ko) 전자개폐기
KR20220079674A (ko) 포지셔닝 구를 포함하는 쌍안정 기계식 래치
KR20140001771U (ko) 솔레노이드 구조
CN220553393U (zh) 接触器动端子组件和接触器
CN108461355B (zh) 一种带微动开关的高压直流继电器
KR20160003154U (ko) 전자접촉기
KR200487216Y1 (ko) 전기자동차용 직류 릴레이
KR20190052354A (ko) 솔레노이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