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23Y1 -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23Y1
KR200483323Y1 KR2020160007106U KR20160007106U KR200483323Y1 KR 200483323 Y1 KR200483323 Y1 KR 200483323Y1 KR 2020160007106 U KR2020160007106 U KR 2020160007106U KR 20160007106 U KR20160007106 U KR 20160007106U KR 200483323 Y1 KR200483323 Y1 KR 200483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robe
brightness
til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배
Original Assignee
김남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배 filed Critical 김남배
Priority to KR2020160007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3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examination of the epidural or the spinal sp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로서, 인체의 척추를 촬영하는 시술용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에 CMOS렌즈가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인 탐침봉 광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탐침봉; 및 몸체와 손잡이로 된 권총 형상을 가지며, 끝단에 상기 탐침봉의 타단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광을 상기 탐침봉 광통로에 제공하며, 상기 CMOS에서 촬영되는 광 신호를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제공하는 내시경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Endoscope apparatus for spine procedure}
본 고안은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로서, 인체의 척추를 촬영하는 시술용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척추(脊椎)는 척추를 형성하는 뼈 구조물로서, 목뼈인 7개의 경추(頸椎)와, 등뼈인 12개의 흉추(胸椎)와, 허리뼈인 5개의 요추(腰椎)와, 엉치뼈인 5개의 천추(薦椎)가 하나로 합쳐진 천골(薦骨)과, 꼬리뼈인 4개의 미추(尾椎)가 하나로 합쳐진 미골(尾骨)로 이루어지며, 이는 관절마디로 연결되어 있고, 각 관절 사이는 추간판(일명‘디스크’라 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척추는 완충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자세를 지탱해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의 모든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척추에 있어서 추체를 연결하고 있는 추간판이 변성되거나 파열되어 정상의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척추 후방의 돌기로 구성된 관절이 손상되거나 변성된 경우, 척추가 정상의 위치로부터 변형 및 전위되는 등의 여러 이유로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압박하는 경우에는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의 척추수술은 연조직에 비교적 큰 절개를 하거나 파열하는 등으로 행해져 환자에 대한 긴 회복시간을 필요로 하여 왔다. 이에 척추수술에서 더 짧은 회복시간을 야기하는 최소침습 기술이 점점 일반적인 것이 되어 왔는데, 이러한 최소침습 절차로 인해 수술후 통증, 마취제의 사용, 혈액 손실 등을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최소침습을 하기 위한 일예로서 힌지부를 이용하여 하단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는 한 쌍의 익스펜더 파이프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양쪽으로 벌려줌으로써 시술 공간을 확보 한후, 내시경으로 제거물 위치를 확인한 다음에 제거물 위치에 별도의 도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불필요한 경피적 디스크나 종양등의 제거물를 제거하는 최소절개 척수 수술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절개부위에 삽입되는 내시경은, 폭이 비교적 큰 구조를 가져 시선확보가 어렵고, 또한 내시경이 삽입된 후 움직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시술자의 능력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1999-0022885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하기 편리한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일단에 CMOS렌즈가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인 탐침봉 광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탐침봉; 및 몸체와 손잡이로 된 권총 형상을 가지며, 끝단에 상기 탐침봉의 타단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광을 상기 탐침봉 광통로에 제공하며, 상기 CMOS에서 촬영되는 광 신호를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제공하는 내시경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본체는, 권총 형상을 가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로서, 일단이 상기 탐침봉 광통로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 하우징 광통로; 상기 본체 하우징 광통로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부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도입되는 광 도입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CMOS에서 촬영되는 광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광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영상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영상 이미지 생성부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는 영상 중계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본체는, 상기 광 도입체로부터 도입되는 광의 밝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광 밝기 선택 버튼; 및 상기 광 밝기 선택 버튼을 통해 선택된 광 밝기를 가지도록, 상기 광 도입체로부터 도입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여 본체 하우징 광통로의 내부로 제공하는 광 밝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침봉은, 탐칭봉의 일단에 마련되어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 밝기 조절부는, 측정된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광의 밝기를 이전보다 더 밝게 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본체는, 탐침봉의 기울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기울기 선택 버튼; 상기 탐침봉의 타단과 결합되어, 탐침봉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모터 회동부; 및 상기 기울기 선택 버튼을 통해 선택된 기울기로서 상기 탐침봉의 기울기가 되도록 상기 모터 회동부를 제어하여 탐침봉 기울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권총 형태의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척추 시술시에 편의성을 극대화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탐침봉의 끝단에 조도 센서가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탐침봉의 기울기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본 고안의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는, 탐침봉(100), 및 내시경 본체(200)를 포함한다.
탐침봉(100)은, 척추 시술이 이루어지기 전에 신체의 절개 부위를 통하여 신체에 삽입되어 제거물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절개 부위 안쪽의 신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가 마련된 봉이다.
탐침봉(100)을 기다란 길이 방향을 가져, 끝단인 일단에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가 마련된다. 이러한 렌즈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렌즈의 촬상 소자로 마련된다. 이러한 CMOS 렌즈(110)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탐침봉(1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인 탐침봉 광통로(T1)가 형성된다. 따라서 CMOS 렌즈(110)를 통한 촬영이 이루어질 때 외부에서 도입되는 광이 탐침봉 광통로(T1)를 통하여 탐침봉(100)의 끝단을 비추게 되어, 촬영 시의 밝기 조명을 제공해줄 수 있다.
내시경 본체(200)는, 몸체와 손잡이로 된 권총 형상을 가진다. 내시경 본체(200)는, 끝단에 탐침봉(1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광을 탐침봉 광통로(T1)에 제공하며, CMOS에서 촬영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광 신호를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제공한다. 따라서 내시경을 진행하는 의사는 내시경 본체(200)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탐침봉(100)을 환자의 절개부위로 밀어 넣어, 환자의 신체 내부를 확인하고 척추 시술에 필요한 제거물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내시경 본체(200)는, 본체 하우징(210), 본체 하우징 광통로(T2), 광 도입체(300),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 및 영상 중계 신호선(S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광 밝기 선택 버튼(250), 광밝기 조절부(230), 기울기 선택 버튼(260), 모터 회동부(270), 기울기 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0)은, 몸체와 몸체를 지지하는 손잡이를 가진 권총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이다. 본체 하우징(2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 메탈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 광통로(T2)는, 본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로서, 일단이 탐침봉 광통로(T1)와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하우징 광통로(T2)로 도입되는 광은, 탐침봉 광통로(T1)로 전달될 수 있다.
광 도입체(300)는, 본체 하우징 광통로(T2)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부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도입되는 모듈이다. 광 도입체(300)는, 메탈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의 광이 도입되어 본체 항우징 광통로와 탐침봉 광통로(T1)의 내부를 거쳐서 탐침봉(100)의 끝단에서 빛을 비추어 촬영시에 밝힐 수 있게 된다.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는,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CMOS에서 촬영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광 신호를 제공받아, 광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영상 이미지로 변환한다.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PCB 기판이 마련되어, 이러한 PCB 기판에 칩 형태의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가 탑재될 수 있다.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는 CMOS 렌즈(11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형태의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영상 중계 신호선(S1)은,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한다. 도 4의 제품 실제 사진을 참조하면, 검은 케이블이 영상 신호선에 해당되며, 영상 중계 신호선(S1)을 통해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영상이 출력되어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예컨대, 모니터)로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검은 케이블의 내부에는 전원선이 함께 내장되어, 외부의 전원이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밖에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배터리 전력이 사용될 수 있다.
광 밝기 선택 버튼(250)은, 광 도입체(300)로부터 도입되는 광의 밝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버튼이다. 환자의 신체 내부로 깊이 들어갈수록 어둡기 때문에 내시경 촬영이 이루어질 때 조명 역할을 하는 광 밝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이다.
광 밝기 조절부(230)는 광 밝기 선택 버튼(250)을 통해 선택된 광 밝기를 가지도록, 광 도입체(300)로부터 도입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여 본체 하우징 광통로(T2)의 내부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광 밝기 선택 버튼(250)이 '밝기 업 버튼'과, '밝기 다운 버튼'이 존재하는 경우, '밝기 업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이전의 광의 밝기보다 한단계 상승된 밝기로서 광의 밝기를 조절하며, 반대로, '밝기 다운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이전의 광의 밝기보다 한단계 하강된 밝기로서 광의 밝기를 조절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자에 의한 광 밝기 조절뿐만 아니라 정확한 내시경 촬영을 위하여 다른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추가로 더 제공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탐침봉의 끝단에 조도 센서가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탐침봉의 기울기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고안의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는, 광 밝기 자동 조절 기능과 광 조사방향 선택 기능을 제공한다.
우선, 광 밝기 자동 조절 기능에 대하여 도 5와 함께 상술한다.
의사가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내시경 촬영 시에 일일이 광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시술중에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자동으로 광 밝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탐침봉(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칭봉의 일단에 마련되어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120)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 밝기 조절부는, 측정된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광의 밝기를 이전보다 더 밝게 한다. 더 밝게 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밝기 단위별로 단계별로 밝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광 조사방향 선택 기능을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한다.
의사가 본 고안의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 중에, 의심스러운 부위가 있을 경우, 해당 의심 부위를 향해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탐침봉(100)을 향해야 한다. 그러나 척추 시술대의 환경상 소지한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의 탐침봉(100)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고안의 내시경 본체(200)는, 탐침봉(100)의 기울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기울기 선택 버튼(260)과, 탐침봉(100)의 타단과 결합되어, 탐침봉(10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모터 회동부(270)와, 기울기 선택 버튼(260)을 통해 선택된 기울기로서 탐침봉(100)의 기울기가 되도록 모터 회동부(270)를 제어하여 탐침봉(100) 기울기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선택 버튼(260)은, 상향 기울기 버튼, 하향 기울기 버튼, 기울기 복귀 버튼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수평으로 된 탐침봉(100)의 기울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향 기울기 버튼의 선택이 있는 경우, 탐침봉(100) 기울기 제어부(2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침봉(10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향을 향하도록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도 8과 같이 수평으로 된 탐침봉(100)의 기울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하향 기울기 버튼의 선택이 있는 경우, 탐침봉(100) 기울기 제어부(24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침봉(10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을 향하도록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탐침봉(100)이 기울기 조절된 상태에서, 기울기 복귀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탐침봉(100) 기울기 제어부(240)는, 도 7과 같이 원상태의 수평 기울기로 탐침봉(100)이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본체(200)에는 탐침봉(100)이 삽입되는 삽입구의 직경이 탐침봉(100)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되도록 하여, 탐침봉(100)의 기울기가 변화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작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탐침봉 200:내시경 본체
210:본체 하우징 220:영상 이미지 생성부
230:광밝기 조절부 240:기울기 제어부
250:광밝기 선택 버튼 260:기울기 선택 버튼
270:모터 회동부

Claims (5)

  1. 봉 형상으로 일단에 절개 부위 안쪽의 신체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CMOS렌즈(110)가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인 탐침봉 광통로(T1)가 구비되며, 일단에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120)가 구비되어 척추 시술이 이루어지기 전에 신체의 절개 부위를 통하여 신체에 삽입되는 탐침봉(100);
    상기 CMOS렌즈(110)를 통해에서 촬영되는 광 신호를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제공하는 내시경 본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내시경 본체(200)는
    몸체와 몸체를 지지하는 손잡이를 가진 권총 형상으로 끝단에 상기 탐침봉(100)의 타단이 결합되는 본체 하우징(210)과;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광 통로로 일단이 상기 탐침봉(100)의 탐침봉 광통로(T1)와 결합되어 CMOS 렌즈(110)를 통한 촬영이 이루어질 때 외부에서 도입되는 광이 탐침봉 광통로(T1)를 통하여 탐침봉(100)의 끝단을 비추게 되어 촬영 시의 밝기 조명을 제공하는 본체 하우징 광통로(T2);
    상기 본체 하우징 광통로(T2)의 타단에 결합되고, 외부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도입되는 모듈로 탐침봉 광통로(T1)의 내부를 거쳐서 탐침봉(100)의 끝단에서 빛을 비추는 광 도입체(300);
    상기 본체 하우징(2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CMOS렌즈(110)를 통해 촬영되는 광 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 형태의 영상 이미지로 변환하는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
    상기 영상 이미지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영상 이미지를 외부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는 영상 중계 신호선(S1);
    상기 광 도입체(300)로부터 도입되는 광의 밝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광 밝기 선택 버튼(250);
    상기 광 밝기 선택 버튼(250)을 통해 선택된 광 밝기를 가지도록 상기 광 도입체(300)로부터 도입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여 본체 하우징 광통로(t2)의 내부로 제공하고, 조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경우 광의 밝기를 단계별로 이전보다 더 밝게 하는 광 밝기 조절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본체(200)는,
    탐침봉(100)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향 기울기 버튼, 하향 기울기 버튼, 기울기 복귀 버튼이 구비된 기울기 선택 버튼(260);
    상기 탐침봉(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탐침봉(10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모터 회동부(270); 및
    상기 기울기 선택 버튼(260)을 통해 선택된 기울기로 상기 탐침봉(100)의 기울기가 되도록 상기 모터 회동부(270)를 제어하는 탐침봉 기울기 제어부(240)를 포함하는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KR2020160007106U 2016-12-06 2016-12-06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KR200483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06U KR200483323Y1 (ko) 2016-12-06 2016-12-06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06U KR200483323Y1 (ko) 2016-12-06 2016-12-06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23Y1 true KR200483323Y1 (ko) 2017-04-27

Family

ID=5866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06U KR200483323Y1 (ko) 2016-12-06 2016-12-06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2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885A (ko) 1995-08-03 1999-03-25 윌리암 씨 피어스 랩퍼 가압축 마운팅식 트레일링 아암 서스펜션
KR20110002725U (ko) * 2009-09-11 2011-03-17 김덕준 카메라 교체형 무선 후두내시경
JP2011147043A (ja) * 2010-01-18 2011-07-28 Panasonic Corp 口腔内カメラと、その照明の制御方法
JP5972312B2 (ja) * 2014-03-24 2016-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885A (ko) 1995-08-03 1999-03-25 윌리암 씨 피어스 랩퍼 가압축 마운팅식 트레일링 아암 서스펜션
KR20110002725U (ko) * 2009-09-11 2011-03-17 김덕준 카메라 교체형 무선 후두내시경
JP2011147043A (ja) * 2010-01-18 2011-07-28 Panasonic Corp 口腔内カメラと、その照明の制御方法
JP5972312B2 (ja) * 2014-03-24 2016-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0110B2 (ja) 外科的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11812940B2 (en) Minimally open interbody access retraction device and surgical method
US20210186617A1 (en) Surgical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Spinal Pedicle Screw Alignment
US8366714B2 (en) Rod insertion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EP1275348B1 (en) Apparatus for use in endoscopic minimally invasive orthopaedic plating procedures
US9585699B2 (en) Spinous process fixation apparatus
JP4642853B2 (ja) バイアス調節を備える椎間支持装置及び関連方法
US10799230B2 (en) Lateral retractor system for minimizing muscle damage in spinal surgery
US2006002577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tificial disc replacement (ADR) insertion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US20130289354A1 (en) Spinal Therapy Lateral Approach Access Instruments and Implants
IL180623A (en) Install surgical imaging and image extraction method
US10470895B2 (en) Endoscopically implantable fusion implant for endoscopic spinal surgery
US11213196B2 (en) Proximal-end securement of a minimally invasive working channel
US10653459B2 (en) Spinal fixation aiming apparatus
US11744569B2 (en) Lateral retractor system for minimizing muscle damage in spinal surgery
Aebi et al. Synframe: a preliminary report
KR200483323Y1 (ko) 척추 시술용 내시경 장치
US11426152B2 (en) Multilevel lateral access system
JP2022523168A (ja) 脊椎手術での筋損傷を最小限に抑える側方開創器システム
CN111839619A (zh) 手术牵开器和方法
US20120078310A1 (en) Infinitely modular plate cage device for fixation of the spine abstract
US20210059655A1 (en) Minimally intrusive cervicothoracic laminoplasty system
KR20170072608A (ko) 척추 수술 장치
WO2021080944A1 (en) Thermal control of imaging system
JP2022032050A (ja) 脊椎手術での筋損傷を最小限に抑える側方開創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