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22Y1 -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 Google Patents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22Y1
KR200483322Y1 KR2020160006462U KR20160006462U KR200483322Y1 KR 200483322 Y1 KR200483322 Y1 KR 200483322Y1 KR 2020160006462 U KR2020160006462 U KR 2020160006462U KR 20160006462 U KR20160006462 U KR 20160006462U KR 200483322 Y1 KR200483322 Y1 KR 200483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einforcing
flange
protrusion
reinforc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관
임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관
주식회사 엔비코아키텍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관, 주식회사 엔비코아키텍쳐 filed Critical 이진관
Priority to KR2020160006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이 개시되는 것으로,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형강에 있어서, 상기 웨브(W)는, 상기 제1플랜지(10)로부터 제2플랜지(20)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웨브(30)와; 상기 제1플랜지(10)로부터 제2플랜지(20)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웨브(30)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제2웨브(40)를 갖는 'X'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돌부(32)와 상기 제1보강돌부(3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돌부(33)와 상기 제1보강돌부(32)와 제2보강돌부(33)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341)이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철근인입홈(34)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웨브(40) 상단 내면(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보강돌부(42)와 상기 제3보강돌부(4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웨브(40) 상단 내면(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보강돌부(43)와 상기 제3보강돌부(42)와 제4보강돌부(43)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441)이 상기 제2웨브(40) 하단 내면(4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철근인입홈(4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H-STEEL BEAM FOR STRUCTURE SUPPORT}
본 고안은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형강의 웨브를 서로 교차되도록 하여 지지형강에 가해지는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한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다리, 차수벽과 같은 구조물의 시공시 구조물을 지지하는 형강 즉 H빔 형강(이하 구조물 지지형강이라 함)은, 중앙을 지지하는 웨브와 이 웨브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이나 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 지지형강은, 웨브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의 간격에 의해 웨브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부와 하부 플랜지가 구조물에 대한 장기적인 휨이나 처짐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구조물 지지형강의 단면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구조물 지지형강을 보강재를 더 구비하여 구조물에 대한 휨이나 처짐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보강재를 구조물 지지형강에 구비할 경우 기존 구조물 지지형강에 추가적인 작업 공정이 진행되어야 하고 보강재에 이한 추가적인 자재가 사용되어 비용적인 부담을 야기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609269호인 H형강의 보강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웨브와 플랜지로 이루어진 H형강, 상기 H형강의 웨브 좌우측 각각에서 웨브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하측 플랜지를 하나로 연결하는 메인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편하중,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과 같은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하면서 변형이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407364호인 파형강판으로 복부를 보강한 형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파형강판으로 복부를 보강한 형강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과 에이치빔 또는 아이빔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에 무수축몰탈로 그라우팅하기 전에 PC강연선을 배치하여 부재의 강성을 높이도록 파형강판으로 복부를 보강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메인보강리브 또는 파형강판에 의해 구조물 지지형강에 대한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구조물 지지형강과는 별도의 메인보강리브 또는 파형강판을 더 구비하고 이를 구조물 지지형강에 추가적으로 용접하거나 볼팅하여 구비함에 따라 작업공정이 추가되고 추가적인 자재비용에 대한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09269호(2016.03.30.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07364호(2006.01.23. 등록)
본 고안은 구조물 지지형광의 웨브 구조를 달리하여 추가작업 없이 구조물 지지형강에 대한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은,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형강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제1플랜지로부터 제2플랜지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웨브와; 상기 제1플랜지로부터 제2플랜지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웨브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제2웨브를 갖는 'X'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웨브 하단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돌부와 상기 제1보강돌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웨브 하단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돌부와 상기 제1보강돌부와 제2보강돌부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이 상기 제1웨브 하단 내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철근인입홈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웨브 상단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보강돌부와 상기 제3보강돌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웨브 상단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보강돌부와 상기 제3보강돌부와 제4보강돌부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이 상기 제2웨브 하단 내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철근인입홈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보강돌부 및 제2보강돌부는, 상기 제1웨브의 내면으로부터 3mm ~ 4mm로 돌출되고, 상기 제1철근인입홈는 10.2mm ~ 12.4mm 넓이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3보강돌부 및 제4보강돌부는, 상기 제2웨브의 내면으로부터 3mm ~ 4mm로 돌출되고, 상기 제2철근인입홈의는 10.2mm ~ 12.4mm 넓이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가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각각 사선으로 연결하고 서로 교차되는 제1웨브와 제2웨브로 이루어지고 제1웨브 및 제2웨브에 각각 보강돌부와 철근인입홈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형강에 가해지는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의 구성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들이 연결된 상태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은,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형강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은 웨브(W)의 구조를 달리하여 구조물 지지형강에 대한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웨브(W)는, 상기 제1플랜지(10)로부터 제2플랜지(20)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웨브(30)와, 상기 제1플랜지(10)로부터 제2플랜지(20)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웨브(30)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제2웨브(40)를 갖는 'X'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20)를 연결하되 사선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제1웨브(30)와 제2웨브(40)를 연결하여 단면적을 증대시킴은 물론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증대된다.
상기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간격은, 50mm ~ 83.3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간격이 클수록 단면적이 증대된다.
H형강 샘플1(50mm) 샘플2(62.5mm) 샘플2(83.3mm)
단면적(mm2) 9,218 9,679 9,723 9,807
X방향비틀림강성(cm4) 51.1 234.7 313.6 473.6
Y축 단면2차모멘트(cm4) 1.080.E+04 1.090.E+04 1.091.E+04 1.093.E+04
Z축 단면2차모멘트(cm4) 3.650.E+03 3.692.E+04 3.719.E+04 3.777.E+04
단중(kg/m) 72.4 76.0 76.3 77.0
[표 1]은 본 고안의 샘플과 기존 H형강에 대한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2차모멘트를 나타낸 것으로, 기존 H형강 및 샘플 1, 샘플 2, 샘플 3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두께는 각각 14mm 이고,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와의 간격은 250mm 이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각각의 폭은 250mm로 동일한 것으로, 샘플 1, 샘플 2, 샘플 3의 50mm, 62.5mm, 83.3mm는 각각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간격을 나타낸 것으로,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간격이 넓을수록 기존 H형강에 비해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이 때,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간격은 상기 제1플랜지(10) 및 제2플랜지(20)에 닿는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연결부분의 간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웨브(30)와 제2웨브(40)를 서로 교차시켜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20)를 연결하는 본 고안의 웨브(W)에 의해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됨에 따라, 본 고안의 구조물 지지형강에 가해지는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증대된다.
본 고안은,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돌부(32)와 상기 제1보강돌부(3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돌부(33)와 상기 제1보강돌부(32)와 제2보강돌부(33)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341)이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철근인입홈(3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보강돌부(32), 제2보강돌부(33) 및 제1철근인입홈(34)는, 상기 제1웨브(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1보강돌부(32) 및 제2보강돌부(33)는, 상기 제1웨브(30)의 하단 내면(31)으로부터 3mm ~ 4mm로 돌출되고, 상기 제1철근인입홈(34)는, 10.2mm ~ 12.4mm 넓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웨브(40) 상단 내면(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보강돌부(42)와 상기 제3보강돌부(4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웨브(40) 상단 내면(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보강돌부(43)와 상기 제3보강돌부(42)와 제4보강돌부(43)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441)이 상기 제2웨브(40) 하단 내면(4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철근인입홈(4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3보강돌부(42), 제4보강돌부(43) 및 제2철근인입홈(44)는, 상기 제2웨브(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3보강돌부(42) 및 제4보강돌부(43)는, 상기 제2웨브(40)의 상단 내면(41)으로부터 3mm ~ 4mm로 돌출되고, 상기 제2철근인입홈(44)는, 10.2mm ~ 12.4mm 넓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보강돌부(32), 제2보강돌부(33) 및 제3보강돌부(42), 제4보강돌부(43)의 돌출을 3mm ~ 4mm로 한정하고, 상기 제1철근인입홈(34) 및 제2철근인입홈(44)의 넓이를 10.2mm ~ 12.4mm로 한정하는 이유는, 제1보강돌부(32), 제2보강돌부(33) 및 제3보강돌부(42), 제4보강돌부(43)의 돌출이 3mm 이하이거나 4mm 이상일 경우 또한, 제1철근인입홈(34) 및 제2철근인입홈(44)의 넓이가 10.2mm 이하이거나 12.4mm 이상일 경우에는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H형강 샘플4(3mm) 샘플5(4mm)
단면적(mm2) 9,218 9,754 9,801
X방향비틀림강성(cm4) 51.1 234.9 235.6
Y축 단면2차모멘트(cm4) 1.080.E+04 1.096.E+04 1.099.E+04
Z축 단면2차모멘트(cm4) 3.650.E+03 3.694.E+04 3.694.E+04
단중(kg/m) 72.4 76.6 76.9
[표 2]은 본 고안의 샘플과 기존 H형강에 대한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2차모멘트를 나타낸 것으로, 샘플 4는 서로 교차되는 제1웨브(30)의 제1보강돌부(32) 와 제2보강돌부(33) 및 제2웨브(40)의 제3보강돌부(42)와 제4보강돌부(43)가 3mm로 돌출된 것이고, 샘플 5는 서로 교차되는 제1웨브(30)의 제1보강돌부(32) 와 제2보강돌부(33) 및 제2웨브(40)의 제3보강돌부(42)와 제4보강돌부(43)가 4mm로 돌출된 것으로, 기존 H형강 및 샘플 4, 샘플 5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두께는 각각 14mm 이고,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와의 간격은 250mm 이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각각의 폭은 250mm로 동일하다.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H형강에 비해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의 보강돌부를 구비하지 않은 본 고안의 샘플 1, 샘플 2, 샘플 3에 비해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웨브(30)와 제2웨브(40)를 서로 교차시키고, 제1웨브(30)에 제1보강돌부(32), 제2보강돌부(33), 제1철근인입홈(34)를 더 구비하고 제2웨브(40)에 제3보강돌부(42), 제4보강돌부(43), 제2철근인입홈(44)를 더 구비함에 따라,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20)를 연결하는 본 고안의 웨브(W)에 의해 단면적 및 비틀림강성과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구조물 지지형강에 가해지는 편하중이나 수직하중, 수평하중, 비틀림에 대한 대응력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제1철근인입홈(34)와 제2철근인입홈(44)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콘크리트 타설 후 철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웨브(30)와 제2웨브(40) 내측에 채워진 굳은 콘크리트를 제거함이 용이한 것으로, 상기 제1철근인입홈(34)와 제2철근인입홈(44)에 철근(미도시)을 인입한 후 인입한 철근을 유동시켜 제1웨브(30)와 제2웨브(40) 내측에 채워진 굳은 콘크리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플랜지 20 : 제2플랜지
30 : 제1웨브 31 : 제1웨브 하단 내면
32 : 제1보강돌부 33 : 제2보강돌부
34 : 제1철근인입홈 40 : 제2웨브
41 : 제2웨브 상단 내면 42 : 제3보강돌부
43 : 제4보강돌부 44 : 제2철근인입홈

Claims (3)

  1.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구조물 지지형강에 있어서,
    상기 웨브(W)는,
    상기 제1플랜지(10)로부터 제2플랜지(20)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웨브(30)와;
    상기 제1플랜지(10)로부터 제2플랜지(20)측으로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웨브(30)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제2웨브(40)를 갖는 'X'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돌부(32)와 상기 제1보강돌부(3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돌부(33)와 상기 제1보강돌부(32)와 제2보강돌부(33)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341)이 상기 제1웨브(30) 하단 내면(3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철근인입홈(34)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웨브(40) 상단 내면(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보강돌부(42)와 상기 제3보강돌부(42)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웨브(40) 상단 내면(4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보강돌부(43)와 상기 제3보강돌부(42)와 제4보강돌부(43)를 호형으로 연결하고 바닥면(441)이 상기 제2웨브(40) 하단 내면(4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2철근인입홈(44)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강돌부(32) 및 제2보강돌부(33)는, 상기 제1웨브(30)의 하단 내면(31)으로부터 3mm ~ 4mm로 돌출되고,
    상기 제1철근인입홈(34)은, 10.2mm ~ 12.4mm 넓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보강돌부(42) 및 제4보강돌부(43)는, 상기 제2웨브(40)의 상단 내면(41)으로부터 3mm ~ 4mm로 돌출되고,
    상기 제2철근인입홈(44)은, 10.2mm ~ 12.4mm 넓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웨브(30)와 제2웨브(40)의 간격은 50mm~83.3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강돌부(32), 제2보강돌부(33), 제1철근인입홈(34)은 상기 제1웨브(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3보강돌부(42), 제4보강돌부(43), 제2철근인입홈(44)은 상기 제2웨브(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6462U 2016-11-04 2016-11-04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KR200483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62U KR200483322Y1 (ko) 2016-11-04 2016-11-04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62U KR200483322Y1 (ko) 2016-11-04 2016-11-04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22Y1 true KR200483322Y1 (ko) 2017-04-28

Family

ID=5866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62U KR200483322Y1 (ko) 2016-11-04 2016-11-04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724A (zh) * 2018-12-22 2019-04-12 江苏华源建筑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屋面托梁及其预制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818U (ko) * 1997-02-27 1998-10-26 권태혁 건축용 강재
KR20040007364A (ko) 2003-12-15 2004-01-24 하복진 일인분용 연속 제면기
KR20120108630A (ko) * 2011-03-25 2012-10-05 채일수 이중 웨브로 구성된 건축용 용접빔
KR101509179B1 (ko) * 2014-02-17 2015-04-14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구조용 용접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KR101525366B1 (ko) * 2014-12-31 2015-06-09 이진관 돔 및 장방형 구조물 지붕의 악취방지 및 기체 휘산방지용 지지구조체
KR101609269B1 (ko) 2015-08-19 2016-04-05 안승범 H형강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818U (ko) * 1997-02-27 1998-10-26 권태혁 건축용 강재
KR20040007364A (ko) 2003-12-15 2004-01-24 하복진 일인분용 연속 제면기
KR20120108630A (ko) * 2011-03-25 2012-10-05 채일수 이중 웨브로 구성된 건축용 용접빔
KR101509179B1 (ko) * 2014-02-17 2015-04-14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구조용 용접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KR101525366B1 (ko) * 2014-12-31 2015-06-09 이진관 돔 및 장방형 구조물 지붕의 악취방지 및 기체 휘산방지용 지지구조체
KR101609269B1 (ko) 2015-08-19 2016-04-05 안승범 H형강의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724A (zh) * 2018-12-22 2019-04-12 江苏华源建筑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屋面托梁及其预制工艺
CN109610724B (zh) * 2018-12-22 2021-03-02 江苏华源建筑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屋面托梁及其预制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8476B2 (en)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957571B1 (ko) 슬림플로어 시스템에서 비대칭철골보를 위한 좌굴방지용 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86454Y1 (ko) Rc보용 거푸집 보강대
KR200483322Y1 (ko) 개량형 구조물 지지형강
KR102265916B1 (ko) T형강 내진 프레임 구조물
KR101652621B1 (ko)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KR20130078928A (ko) 슬릿형 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보
KR101373262B1 (ko) 연결판 교차식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KR20040043202A (ko)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KR102375708B1 (ko) 강화된 구조를 갖는 에이치 빔
KR20190126530A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149128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JP2009030321A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KR20070041699A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2115990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보 구조물
KR102272165B1 (ko) 평판형 수평 지지부를 갖는 철골보
KR10262079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합성기둥 구조물
JP7233153B2 (ja) 耐力壁
KR101940857B1 (ko) 강관 및 이를 이용한 합성기둥
JP4279846B2 (ja) 木造軸組建築物の補強構造
KR101980662B1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KR101609616B1 (ko) 중공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수평 조립체
KR102385923B1 (ko) 모멘트 접합이 가능한 삼각형 기둥의 결합구조
JP6648067B2 (ja) 仕口構造及び建物
KR102571669B1 (ko) 좌굴방지판을 이용한 얇은 강판 웨브형 강박스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