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81Y1 -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 Google Patents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81Y1
KR200482981Y1 KR2020150007143U KR20150007143U KR200482981Y1 KR 200482981 Y1 KR200482981 Y1 KR 200482981Y1 KR 2020150007143 U KR2020150007143 U KR 2020150007143U KR 20150007143 U KR20150007143 U KR 20150007143U KR 200482981 Y1 KR200482981 Y1 KR 200482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water
pipe
purified water
distribu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to KR2020150007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수조로부터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로 냉수와 정수를 공급하되, 냉수 유로가 정수 유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차단함으로써 배관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PIPING STRUCTURE FOR A COCK FOR BOTH CLEAN WATER AND COLD WATER}
본 발명은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수조로부터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로 냉수와 정수를 공급하되, 냉수 유로가 정수 유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차단함으로써 배관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는 냉수용 코크와 온수용 코크가 좌우 각각 한개씩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선택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필요에 따라 온도가 낮지도 높지도 않은 상온의 물(이하, '정수'라 칭함)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정수용 코크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컵에 냉수와 온수를 차례로 받아서 혼합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왔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6442호에는 냉수 및 온수 혼합 배출형 코크가 제시되었다. 위 등록실용신안은 하나의 코크에서 냉수와 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온수유입구와 냉수유입구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어 냉수와 온수의 혼합이 조절 가능하여 냉수와 정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냉수 및 온수 혼합 배출형 코크의 경우, 코크몸체로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공급관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관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통상 별도의 조작이 없는 초기 상태에서는 냉수가 배출되고, 냉온수 조절레버(28)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수가 배출되도록 세팅되어 있는 바, 이런 경우 코크몸체(22) 내부에는 냉수가 채워져 있으므로 외부 대기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코크몸체(22)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결로 방지를 위해 코크몸체(22) 주변에 헝겊이나 테이프 등 별도의 단열수단을 감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직전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코크몸체(22) 내부에 일시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또는 이들의 혼수)가 채워진 상태에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냉온수 조절레버(28)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무심코 레버(12)를 조작하였을 때 원하지 않게 고온의 물이 토출되거나,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원하지 않는 온도의 혼수가 토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524호에서 냉수와 정수를 하나의 코크에서 버튼 전환 방식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코크몸체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수와 정수의 혼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를 제안하였다.
도 1 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는 일측에 상온의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유입구(114)가 형성되며, 내벽에 시트부(116)가 돌출 형성된 코크몸체(100)와; 상기 코크몸체(100) 내부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는 수평샤프트(300)와; 상기 코크몸체(100)의 내측에 배치되며 냉수가 통과되는 이너튜브(600)와; 상기 수평샤프트(300)에 결합되어, 수평샤프트(30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이너튜브(600)의 전방 개구를 개폐하는 냉수유로단속패킹(330)과; 상기 이너튜브(600)에 결합되어, 이너튜브(60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시트부(116)와 맞닿거나 분리되는 정수유로단속패킹(6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최초 누름버튼(310)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 도 1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샤프트(300) 후방측 또는 패킹가이드(340) 외주면에 결합된 냉수유로단속패킹(330)이 이너튜브(600)의 전방 개구로부터 분리되어 냉수유로(A)가 개방되고, 상기 이너튜브(600)는 후방측의 다이어프램(630) 또는 스프링(640)에 의해 전방측으로 가압되므로, 이너튜브(600)의 외주면에 장착된 정수유로단속패킹(610)이 수평연장부(110)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시트부(116)에 맞닿게 되어 정수유로(B)가 폐쇄되어, 이너튜브(600) 내부의 냉수만이 수직연장부(120)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수는 레버(230)의 누름에 따라 수직샤프트(200)가 상승되어 노즐(126)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누름버튼(310)을 1회 누르게 되면, 도 1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샤프트(300)가 후방측으로 후퇴 이동하므로 냉수유로단속패킹(330)이 이너튜브(600)의 전방 개구에 맞닿게 되므로 냉수유로(A)가 폐쇄되고, 상기 이너튜브(600)는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냉수유로단속패킹(330)에 의해 밀려 함께 후퇴 이동되고, 이너튜브(60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정수유로단속패킹(610)이 시트부(116)로부터 분리되어 정수유로(B)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정수만이 수직연장부(120)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수는 레버(230)의 누름에 따라 수직샤프트(200)가 상승되어 노즐(126)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누름버튼(310)을 눌러 냉수와 정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새로운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의 사용을 위해서는 수조로부터 코크로 냉수와 정수를 각각 공급해야 하는 바, 냉수는 코크의 후방측 냉수유입구(112)로 유입되고, 정수는 코크몸체(100)의 외주면 상측에 구비된 정수유입구(114)로 유입되어야 한다. 정수기의 수조는 통상 내부가 구획판에 의해 상하로 구분되어 있고, 상부에는 정수가 저장되며 하부에는 냉수가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냉수와 정수가 서로 다른 배관을 통하여 이송되어 코크로 공급되는 바, 이 경우, 냉수 배관 표면에 결로가 생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조로부터 코크로 정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배관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관 구조의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644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52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조로부터 코크로 냉수를 공급하는 배관 표면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배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수조로부터 배출된 냉수와 정수조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공급받아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분배하되, 내측에 냉수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1냉수분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냉수분배관의 외측에 배치되어 정수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1정수분배관이 형성된 제1분배구와; 상기 제1분배구의 제1냉수분배관에 결합되어 냉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이너튜브와; 상기 이너튜브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분배구의 제1정수분배관에 결합되어 정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아우터튜브와; 상기 이너튜브와 아우터튜브를 통과한 냉수 및 정수를 공급받아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분배하되, 일단이 상기 이너튜브와 결합되고 타단이 정수기의 코크몸체에 결합되어 냉수만을 코크몸체로 공급하는 제2냉수분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냉수분배관을 외측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아우터튜브와 결합되는 제2정수분배관을 포함하는 제2분배구와; 상기 제2정수분배관의 타단부와 상기 코크몸체를 연결하여 정수만을 코크몸체로 공급하는 정수공급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배구는, 상기 제1냉수분배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냉수분배관의 하단에는 냉수조의 냉수배출구와 결합되는 냉수유입관이 연통 형성되며, 상기 제1정수분배관은 상기 제1냉수분배관을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정수분배관의 외측에는 정수조의 정수배출구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분배구는, 제2냉수분배관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냉수분배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이터튜브가 결합되고, 상기 제2냉수분배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냉수분배관을 통과한 냉수를 코크몸체로 공급하기 위한 냉수배출관이 연통 형성되고, 상기 제2정수분배관은 상기 제2냉수분배관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정수분배관의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정수배출관이 연통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 유로가 정수 유로의 내측에 형성되어, 냉수의 냉기가 정수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배관 외부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1 은 종래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타 방향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분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제1조인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전체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를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1)용 배관은 제1분배구(20), 아우터튜브(30), 이너튜브(40), 제2분배구(50), 정수배출튜브(60) 및 정수공급튜브(70)를 포함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수 및 정수 겸용 정수기는 내부에 수조(10)를 포함하는 바, 상기 수조(10)는 중앙 구획판(15)에 의하여 상하에 각각 정수조(12)와 냉수조(14)가 형성되며, 상기 정수조(12)와 냉수조(14)에 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정수배출구(12a)와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냉수배출구(14a)가 관형태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냉수배출구(14a)에는 제1분배구(20)가 연결된다. 상기 제1분배구(20)는 냉수조(14)의 냉수배출구(14a)로부터 배출되는 냉수와 정수조(12)의 정수배출구(12a)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각각 공급받아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분배하되, 내측에 냉수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1냉수분배관(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의 외측에 배치되어 정수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1정수분배관(24)이 형성된다.
도 5 에는 이러한 제1분배구(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배구(20)는 대체로 단면이 L자형으로 구성되는 관체로서, 내부에 냉수만 통과되는 제1냉수분배관(22)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정수만 통과되는 제1정수분배관(24)이 형성되어 냉수와 정수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여 이송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분배구(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냉수조(14)의 냉수배출구(14a)와 결합되는 냉수유입관(28)이 형성되고, 상기 냉수유입관(28)과 연통되어 Z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냉수분배관(2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의 외측에는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을 둘러싸는 제1정수분배관(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정수분배관(24)의 외측에는 정수조(12)의 정수배출구(12a)와 후술하는 정수배출튜브(60)와 연결되는 정수유입관(2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의 Z축 방향 단부는 후술하는 이너튜브(40)와 연결되어 냉수조(14)로부터 배출된 냉수만 통과되는 냉수 전용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정수분배관(24)은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정수조(12)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정수유입관(26)을 통해 공급받아 이송한다. 이에 따라, 냉수는 제1냉수분배관(22)으로만 흐르고 정수는 제1정수분배관(24)으로만 흐르게 되고, 제1정수분배관(24) 속을 흐르는 정수가 제1냉수분배관(22) 속을 흐르는 냉수를 외측에서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1냉수분배관(22) 내부 냉수의 냉기가 정수에 의해 차단되어 제1정수분배관(24)의 외측 표면, 즉, 상기 제1분배구(20)의 외측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배구(20)의 제1정수분배관(24) 외측(Z축 방향 단부)에 구비된 정수유입관(26)에는 정수배출튜브(60)가 결합된다. 상기 정수배출튜브(60)의 타단부는 정수조(12)에 형성된 정수배출구(12a)에 결합되어, 정수조(12)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제1분배구(20)의 정수유입관(26)을 통하여 제1정수분배관(24)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분배구(20)의 제1냉수분배관(22)의 Z축 방향 단부에는 이너튜브(40)가 결합된다. 상기 이너튜브(40)는 제1분배구(20)의 제1냉수분배관(22)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냉수를 후술하는 제2분배구(50)로 이송하는 관체이다. 또한, 상기 제1분배구(20)의 제1정수분배관(24)의 Z축 방향 단부에는 아우터튜브(30)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튜브(30)는 제1분배구(20)의 제1정수분배관(24)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정수를 제2분배구(50)로 이송하는 관체이다. 이와 같이, 냉수가 통과되는 이너튜브(40)를 정수가 통과되는 아우터튜브(30)가 둘러싸고 있으므로, 이너튜브(40)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의 냉기가 아우터튜브(30) 내부의 정수에 의해 차단되어, 아우터튜브(30) 외측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1분배구(20)는 제1냉수분배관(22)이 제1정수분배관(24)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라면 일체형이든 분리형이든 제한이 없다. 다만, 제1냉수분배관(22)과 제1정수분배관(24)이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결합 안정성이 떨어지고 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정수가 외측으로 누수될 수 있으므로, 도 5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튜브(40)와 아우터튜브(30)는 각각 제2분배구(5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분배구(50)는 상기 이너튜브(40)와 아우터튜브(30)를 통과한 냉수 및 정수를 공급받아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분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분배구(50)는 제2냉수분배관(52), 냉수배출관(58), 제2정수분배관(54) 및 정수배출관(56)을 포함한다.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은 Z축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부가 상기 이너튜브(40)와 결합되고, 상단부는 X축으로 연장된 냉수배출관(58)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배출관(58)은 코크몸체의 후방측에 후방조인트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너튜브(40)를 통과한 냉수가 제2냉수분배관(52)과 냉수배출관(58)을 거쳐 코크몸체로 전달된다.
상기 제2정수분배관(54)은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의 외측에서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Z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정수배출관(56)과 연통된다. 상기 제2분배구(50)의 제2정수분배관(54)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튜브(30)가 결합되고, 상단부의 정수배출관(56)에는 정수공급튜브(70)가 결합된다. 상기 정수공급튜브(7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 바와 같이, 타단이 코크몸체의 외측에 형성된 정수유입구에 결합되어 코크몸체로 정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2분배구(50)도 제1분배구(20)와 마찬가지로 제2냉수분배관(52)이 제2정수분배관(54)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라면 일체형이든 분리형이든 제한이 없다. 다만, 제2냉수분배관(52)과 제2정수분배관(54)이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결합 안정성이 떨어지고 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정수가 외측으로 누수될 수 있으므로, 도 5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조(14) 내부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배출구(14a)를 통하여 배출되고, 제1분배구(20)의 제1냉수분배관(22) 및 이너튜브(40), 그리고 제2분배구(50)의 제2냉수분배관(52)과 후방조인트를 거쳐 코크몸체 후방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정수조(12) 내부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되고, 정수배출튜브(60)를 따라 제1분배구(20)로 유입되며, 제1분배구(20)의 제1정수분배관(24), 아우터튜브(30), 제2분배구(50)의 제2정수분배관(54), 그리고 정수공급튜브(70)를 통하여 코크몸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냉수와 정수가 각각 독립된 유로를 통해 코크몸체로 공급되되, 냉수 유로가 정수 유로 내측에 배치되어, 냉수의 냉기가 배관 외측 표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결로가 발생을 방지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수조 12 : 정수조
12a : 정수배출구 14 : 냉수조
14a : 냉수배출구 15 : 구획판
20 : 제1분배구 22 : 제1냉수분배관
24 : 제1정수분배관 26 : 정수유입관
28 : 냉수유입관 30 : 아우터튜브
40 : 이너튜브 50 : 제2분배구
52 : 제2냉수분배관 54 : 제2정수분배관
56 : 정수배출관 58 : 냉수배출관
60 : 정수배출튜브 70 : 정수공급튜브

Claims (3)

  1. 냉수조(14)로부터 배출된 냉수와 정수조(12)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각각 공급받아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분배하되, 내측에 냉수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1냉수분배관(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의 외측에 배치되어 정수만 이동되도록 하는 제1정수분배관(24)이 형성된 제1분배구(20)와;
    상기 제1분배구(20)의 제1냉수분배관(22)에 결합되어 냉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이너튜브(40)와;
    상기 이너튜브(40)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분배구(20)의 제1정수분배관(24)에 결합되어 정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제공하는 아우터튜브(30)와;
    상기 이너튜브(40)와 아우터튜브(30)를 통과한 냉수 및 정수를 공급받아 서로 독립된 유로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분배하되, 일단이 상기 이너튜브(4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정수기의 코크몸체에 연결되어 냉수만을 코크몸체로 공급하는 제2냉수분배관(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의 외측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아우터튜브(30)와 결합되는 제2정수분배관(54)을 포함하는 제2분배구(50)와;
    상기 제2정수분배관(54)의 타단부와 상기 코크몸체를 연결하여 정수만을 코크몸체로 공급하는 정수공급튜브(70)를 포함하는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배구(20)는,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의 하단에는 냉수조(14)의 냉수배출구(14a)와 결합되는 냉수유입관(28)이 연통 형성되며, 상기 제1정수분배관(24)은 상기 제1냉수분배관(22)을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정수분배관(24)의 외측에는 정수조(12)의 정수배출구(12a)로부터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관(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구(50)는,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을 통과한 냉수를 코크몸체로 공급하기 위한 냉수배출관(58)이 연통 형성되고, 상기 제2정수분배관(54)은 상기 제2냉수분배관(52)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정수분배관(54)의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정수배출관(56)이 연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KR2020150007143U 2015-11-04 2015-11-04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KR200482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43U KR200482981Y1 (ko) 2015-11-04 2015-11-04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43U KR200482981Y1 (ko) 2015-11-04 2015-11-04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81Y1 true KR200482981Y1 (ko) 2017-04-05

Family

ID=58605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43U KR200482981Y1 (ko) 2015-11-04 2015-11-04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8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43Y1 (ko) * 1999-09-27 2000-03-15 김용한 씽크대의 급수관 연결구조
KR200206442Y1 (ko) 2000-07-06 2000-12-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온수 조절레버를 구비한 정수기 코크
KR20040020269A (ko) * 2002-08-30 2004-03-09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도 조절이 가능한 유로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정수장치
KR20040078524A (ko) 2003-03-04 2004-09-10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분말 용사법에 의한 준결정상 함유 복합코팅층 및 그의제조방법
KR101378926B1 (ko) * 2012-11-16 2014-03-27 황명희 생맥주 공급장치
KR200478524Y1 (ko) * 2015-02-23 2015-10-15 주식회사 엔비엘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43Y1 (ko) * 1999-09-27 2000-03-15 김용한 씽크대의 급수관 연결구조
KR200206442Y1 (ko) 2000-07-06 2000-12-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온수 조절레버를 구비한 정수기 코크
KR20040020269A (ko) * 2002-08-30 2004-03-09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도 조절이 가능한 유로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정수장치
KR20040078524A (ko) 2003-03-04 2004-09-10 학교법인연세대학교 분말 용사법에 의한 준결정상 함유 복합코팅층 및 그의제조방법
KR101378926B1 (ko) * 2012-11-16 2014-03-27 황명희 생맥주 공급장치
KR200478524Y1 (ko) * 2015-02-23 2015-10-15 주식회사 엔비엘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2273B2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CN103706494B (zh) 淋浴喷头
KR20150004669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113163A1 (zh) 生物打印机喷头组件及生物打印机
US5049056A (en) Gas supply sprue bushing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TWI668384B (zh) Hot and cold water mixing faucet
US9771707B2 (en) Water output control apparatus
CN205434510U (zh) 用于新鲜和/或用过的透析液的软管管路
EP2644953B1 (en) Water mixing valve device
KR101830572B1 (ko) 스위치를 구비한 주방용 샤워헤드
KR200482981Y1 (ko)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용 배관 구조
CN103201130B (zh) 用于机动车辆的燃料箱
KR20030018484A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101623790B1 (ko) 정수기
JP2008133712A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30020726A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TWI575141B (zh) 溫水潔身器內的噴嘴組件
JP2004278761A (ja) 複合単水栓
KR20130014114A (ko)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20030018275A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101793667B1 (ko) 사출성형장치 및 사출성형장치의 제어방법
US20170335981A1 (en) Block valve and block valve for raw material container
CN110410527B (zh) 软水阀及软水机
KR101409902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