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58Y1 - 조명등기구 - Google Patents

조명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58Y1
KR200482958Y1 KR2020150006038U KR20150006038U KR200482958Y1 KR 200482958 Y1 KR200482958 Y1 KR 200482958Y1 KR 2020150006038 U KR2020150006038 U KR 2020150006038U KR 20150006038 U KR20150006038 U KR 20150006038U KR 200482958 Y1 KR200482958 Y1 KR 200482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frame member
base pane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20U (ko
Inventor
황사철
황사국
김학성
김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커널
황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커널, 황사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커널
Priority to KR2020150006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5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 및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고 미려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측벽과 하면 및 상면을 갖추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의 내측 단부에는 덮개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베이스 패널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과 프레임 및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조명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등기구{Illumination Light Appratus}
본 고안은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 및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고 미려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 또는 조명장치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광으로 변환해주는 전광 변환장치이다. 이러한 조명등은 그 전광변환 수단이나 방법에 따라 형광등, 백열등, 네온등, 할로겐등, 수은등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것이 존재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LED(Ligf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조명등이 개발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은 전구형 조명등은 유리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의 내부에 전광변환을 실행하는 발광수단을 내장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LED를 이용하는 조명장치는 기본적으로 기판상에 다수의 LED를 배치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내부 회로의 보호와 미려한 조명 효과의 제공을 위해 필연적으로 별도의 조명등기구가 요구된다. 물론 이러한 조명등기구의 채용은 LED 조명장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종래의 전구형 조명등의 경우에도 다양한 조명 효과나 외관 형상의 미적인 개선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기구가 채용되어 왔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등, 보다 적합하게는 LED 조명장치를 위한 조명등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조명등기구는 베이스 패널(10)과, 프레임(20) 및 덮개(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조명등기구는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벽면이나 천정 등의 고정 구조물에 설치된다.
도 2는 상기 조명등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덮개(30)와 프레임(20)으로 마련되는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LED(41)가 실장되는 기판(40)이 구비된다. 기판(40)은 체결부재(42)를 통해 베이스 패널(10)에 체결된다. 덮개(30)는 LED(4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재질, 예컨대 유리로 구성된다.. 덮개(30)는 체결부재(11, 31)를 통해 베이스 패널(10)에 체결된다.
프레임(20)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21~24)로 구성된다. 이들 프레임 부재(21~24)는 각각 하부에 하나 이상의 날개부(201)가 형성되고, 여기에 체결공(201a)이 구비된다. 체결공(201a)은 프레임(20)을 베이스 패널(1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20)은 금속 등의 불투명성 재질이나 아크릴 등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된다. 그런데 프레임(20)을 불투명성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등기구의 수평 방향으로 광 방출이 제한됨으로써 조명등기구가 설치되는 전청 등에 어두운 그림자 영역(S)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고급형 조명등기구에 있어서는 프레임(20)을 예컨대 아크릴 등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하고, 또한 미려한 조명 효과를 위해 프레임(20)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프레임(20)이 다수의 프레임 부재(21~24)로 구성되고, 이들 프레임 부재(21~24)는 각각 베이스 패널(10)에 독립적으로 체결되므로 프레임 부재(21~24) 사이에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21~24)에 형성되는 문양이 프레임 부재(21~24)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서로 단절되게 되므로 미려한 조명 효과를 제공하는데 불충분하게 되고, 특히 벌레나 먼지 등이 프레임 부재(21~24)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명등기구 내부로 침투하게 됨으로써 조명등기구의 내부에 먼지나 벌레의 사체가 쌓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프레임(20)과 덮개(30)가 각각 별도로 베이스 패널(10)에 체결되게 되므로 프레임(20)과 덮개(30)의 밀착력이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20)과 덮개(30)의 접촉 부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벌레나 먼지 등이 용이하게 침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프레임(20)과 덮개(30) 사이의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실행하기 힘들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프레임(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의 평면적 보다 덮개(30)의 평면적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그 마감 부분을 시각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프레임(20)의 외측 부분으로 돌출되어 있는 덮개(30) 부분에 먼지가 쌓여서 오염됨으로써 조명등기구를 수시로 청소해야 하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그 기구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프레임 부재(21~24)를 만들어야 하므로 조명등기구의 크기나 형상을 다양화 하는데 불리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조명등기구를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조명등기구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 구조를 개선하고, 프레임과 덮개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명등기구의 내부로 벌레나 먼지 등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고, 미려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조명등기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측벽과 하면 및 상면을 갖추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의 내측 단부에는 덮개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베이스 패널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과 프레임 및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조명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일단에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 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측벽의 일단부 내측면에 지지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제1 및 제2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면의 일측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면의 일측 단부 하측에 형성되고, 제2 체결돌기는 상기 단차부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제1 및 제2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의 타측 단부는 측벽에 비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의 타측 단부는 측벽에 비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여기에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직선형 프레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곡선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됨과 더불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기구는 프레임과 덮개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프레임과 덮개 사이의 밀폐력이 매우 우수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나 벌래 등이 그 틈새를 통해 조명등기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프레임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 구조의 모서리 부분과 직선 부분이 하나의 프레임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특히 프레임 부재가 제1 및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안정적으로 밀착되면서 결합되므로 프레임의 연속성이 보장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 사이의 연결 부위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먼지나 벌래 등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고, 프레임에 형성되는 문양 등의 연속성이 제공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명등기구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명등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 조명등기구의 조명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조명등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프레임(120)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프레임 부재(124a~124d)의 체결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조명등기구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의 구조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 가능한 프레임(300)의 제2 구조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프레임(300)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프레임 부재(124a~124d, 310)의 체결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프레임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제1 구조 예에 따른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분리 사시도.
도 15는 프레임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제2 구조 예에 따른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리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조명등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조명등기구는 종래의 조명등기구와 동일하게 베이스 패널(110)과 프레임(120) 및 덮개(1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130)는 예컨대 유리 등의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프레임(120)도 바람직하게 광투과성 재질, 예컨대 아크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덮개(130)와 프레임(120)에는 조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문양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120)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측벽(121)과 상면(122) 및 하면(123)을 구비하여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면(122)의 내측 단부에는 상면(122)과 단차를 이루면서 안착부(124)가 설치된다. 이 안착부(124)에는 덮개(130)가 안착되어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20)의 하면(123)은 베이스 패널(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체결수단(112)을 통해 패널스 패널(110)에 체결된다.
베이스 패널(110)의 상측에는 체결수단(142)을 통해 기판(140)이 체결되고, 기판(140)의 상측에는 다수의 LED(141)가 배치된다.
덮개(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안착부(124)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체결수단(111, 131)을 통해 베이스 패널(11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로 된 조명등기구는 프레임(120)과 덮개(1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프레임(120)과 덮개(130) 사이의 밀폐력이 매우 우수하므로 외부로부터 먼지나 벌래 등이 그 틈새를 통해 조명등기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도 7은 상기 프레임(120)의 제1 구조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이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본 고안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120)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121a~121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각 프레임 부재(121a~121d)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의 내측 단부에는 단턱(124a~124d)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단턱(124a~124d)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130)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124)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프레임 부재(21~24)는 직선 형태로 구성되고, 각 프레임 부재(21~24)는 서로 이어지는 부분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 구조의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었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21~24) 사이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 예의 프레임 부재(121a~121d)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구조의 모서리 부분과 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분이 하나의 프레임 부재(121a~121d)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 부재(121a~121d)는 서로 직선 부분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프레임 부재(121a~121d)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프레임 부재(121a~121d)는 각각 양 단부에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부재(121a~121d)의 일단에는 제1 체결부재(125)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체결부재(126)가 구비된다. 하나의 프레임 부재(121a~121d)의 일단은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 부재(121a~121d)의 타단에 체결된다.
도 8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를 보다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체결부재(125)는 제1 및 제2 체결돌기(125a, 12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체결돌기(125a)는 프레임 부재(121a~121d) 상면(122)의 일측 단부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하면(123)의 일측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단차부(1251)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251)의 하측면에 제2 체결돌기(125b)가 형성된다.
제2 체결부재(126)는 제1 및 제2 체결공(126a, 126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부재(121a~121d) 상면(122)의 타측 단부는 측벽(121)에 비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단차부(1261)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261)에 제1 체결공(126a)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121a~121d) 하면(123)의 타측 단부는 측벽(121)에 비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연장부(1262)를 형성하면서 여기에 제2 체결공(126b)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체결돌기(125a, 125b)와 제1 및 제2 체결공(126a, 126b)은 이들을 서로 체결하였을 때 프레임 부재(121a~121d) 사이의 연결 부위가 밀착되도록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121a~121d) 측벽(121)의 일측 단부 내측면에는 지지 돌기(127)이 구비된다. 이 지지 돌기(127)는 프레임 부재(121a~121d)의 측벽(121)을 안정적으로 정렬 및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조로 된 프레임(120)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 구조의 모서리 부분과 직선 부분이 하나의 프레임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특히 프레임 부재(121a~121d)가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에 의해 상호 안정적으로 밀착되면서 결합되므로 프레임(120)의 연속성이 보장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121a~121d) 사이의 연결 부위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먼지나 벌래 등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고,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문양 등의 연속성이 제공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에 기판(140) 등을 체결한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121a~121d)를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를 통해 상호 체결하여 프레임(120)을 완성한 후 이를 체결수단(112)을 이용하여 베이스 패널(110)의 상면에 체결한다. 또한 이때 베이스 패널(110)에는 덮개(1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11)을 설치한다.
이어 프레임(120)이 체결된 베이스 패널(110)을 브라켓에 체결한다. 도 9는 브라켓(200)의 구조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브라켓(200)은 이를 천정이나 벽면 등의 고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201)과, 브라켓(200)에 베이스 패널(11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202)이 구비된다.
브라켓(200)에 베이스 패널(110)을 설치한 후에는 프레임(120)의 안착부(124)에 덮개(130)를 안착시킨 후 체결수단(111, 131)을 이용하여 덮개(130)를 베이스 패널(1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적용 가능한 프레임의 제2 구조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은 프레임(30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프레임(300)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프레임 부재(121a~121d, 310)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에서 프레임(300)은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121a~121d)와 이들 프레임 부재(121a~121d) 사이에 체결되는 직선형 프레임 부재(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선형 프레임 부재(310)도 프레임 부재(121a~121d)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면에는 안착부(124)를 구성하기 위한 단턱(310a)이 형성된다. 또한 직선형 프레임 부재(310)도 일단에는 제1 체결부재(125)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2 체결부재(126)가 구비된다. 직선형 프레임 부재(130)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를 통해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121a~121d)나 다른 직선형 프레임 부재(130)에 체결될 것이다.
조명등기구는 그 용도나 밝기 등에 따라 장방형이나 정방형 등의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의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조명등기구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프레임 부재가 요구된다. 본 구조 예에서는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121a~121d) 사이에 직선형 프레임 부재(130)를 적절하게 배치하는 방법을 통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조명등기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조명등기구를 정방형이나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 밖의 다른 다양한 형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제3 구조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조명등기구를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서 상술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원형 프레임(40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원형 프레임(400)은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410a, 410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410a, 410b)는 상술한 다른 구조 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면에는 단턱(420a, 420b)이 마련된다. 이들 단턱(420a, 420b)은 덮개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420)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덮개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게 안착부(4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410a, 410b)는 일단에 제1 체결부재(125)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체결부재(1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410a, 410b)의 측벽 일단부에는 지지 돌기(127)가 구비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재(410a, 410b)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125, 126)를 상호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원형 프레임(400)을 구성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는 원형 프레임(400)의 다른 구조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5는 원형 프레임(40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구조 예는 원형 프레임(400)을 4개의 프레임 부재(410a~410d)를 이용해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술한 구조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등기구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프레임 구조에서 프레임 부재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직선형 프레임 부재(310)를 채용하여 타원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을 LED 조명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른 조명 장치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베이스 패널, 120 : 프레임,
130 : 덮개.

Claims (9)

  1.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에 체결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측벽과 하면 및 상면을 갖추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의 내측 단부에는 덮개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베이스 패널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과 프레임 및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조명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등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일단에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인접하는 다른 프레임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측벽의 일단부 내측면에 지지 돌기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제1 및 제2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면의 일측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면서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면의 일측 단부 하측에 형성되고, 제2 체결돌기는 상기 단차부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제1 및 제2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상면의 타측 단부는 측벽에 비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제1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의 타측 단부는 측벽에 비해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여기에 제2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모서리 부분 프레임 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직선형 프레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곡선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구성됨과 더불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KR2020150006038U 2015-09-09 2015-09-09 조명등기구 KR200482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38U KR200482958Y1 (ko) 2015-09-09 2015-09-09 조명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38U KR200482958Y1 (ko) 2015-09-09 2015-09-09 조명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20U KR20170001020U (ko) 2017-03-17
KR200482958Y1 true KR200482958Y1 (ko) 2017-03-21

Family

ID=5849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38U KR200482958Y1 (ko) 2015-09-09 2015-09-09 조명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5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12B1 (ko) * 2013-10-02 2015-07-14 주식회사 필리 조립식 조명등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386A (ko) * 2013-11-22 2015-06-01 이성진 엘이디 조명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12B1 (ko) * 2013-10-02 2015-07-14 주식회사 필리 조립식 조명등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20U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2982B2 (ja) 照明器具
KR101655740B1 (ko) 엘이디 모듈과 케이스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WO2010126083A1 (ja) 照明装置
KR101079279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천정용 사각 매립등
JP2012204162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4838867B2 (ja) 照明装置
JP2013143215A (ja) 照明器具
KR101420734B1 (ko) 엘이디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JP201219916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40120088A (ko) 천장직착식 led조명등기구
KR200482958Y1 (ko) 조명등기구
KR200420505Y1 (ko) 조명기구용 조명판의 구조
KR200467114Y1 (ko) 케이스에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는 엘이디 전등 고정장치
KR101555091B1 (ko) 다방향 조사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JP2013122830A (ja) 光反射壁を有するled照明灯
JP2012146668A (ja) 照明器具
KR102120014B1 (ko)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KR100989173B1 (ko) 고조도 조명기구용 반사판구조 및 그를 가지는 고조도조명기구
KR200438704Y1 (ko) 결합부재가 내부에 구성된 천정등
KR20090084064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42382Y1 (ko)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KR200298341Y1 (ko) 형광등 케이스의 투광커버 결합구조
KR20200027108A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KR101505401B1 (ko) 엘이디 천정등
KR20140001912U (ko) 천정슬래브 전기박스에 매입하여 설치하는 천정매입 장식led전등소켓과 이를 이용한 천정부착 장식led전구형전등 및 장식동체감지led전구형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