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403Y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403Y1
KR200482403Y1 KR2020150007158U KR20150007158U KR200482403Y1 KR 200482403 Y1 KR200482403 Y1 KR 200482403Y1 KR 2020150007158 U KR2020150007158 U KR 2020150007158U KR 20150007158 U KR20150007158 U KR 20150007158U KR 200482403 Y1 KR200482403 Y1 KR 200482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spoon
opening
container body
infl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준
신동철
김성태
김현태
박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50007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01F19/002Measuring spoons or sco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01F19/005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for semi-liquid, e.g. f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마련되는 계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유입 공간이 형성되는 스푼부재; 및 상기 스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어내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Vessel}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점성을 이루는 경우 내용물을 쓸어낼 수 있어 내용물을 덜어내는 것이 용이하며, 내용물이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용물을 덜어내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계량이 용이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본체의 출구에는 개폐부(뚜껑)가 설치되며, 용기 본체의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개폐부를 분리한 후 용기 본체를 기울여 액상 또는 분말의 내용물을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여 화장, 세척, 요리를 하거나 약품을 혼합할 때 용기 본체에서 내용물이 요구되는 양만큼만 토출되어야 원하는 비율로 맞추거나 최적의 용량을 맞출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계량컵을 사용하거나 개폐부 자체에 계량을 위한 눈금을 표시하여 내용물의 양을 계량하였다. 별도로 계량컵을 사용하는 경우 분실의 우려가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계량컵을 별도로 세척해야 하는 바와 같이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개폐부에 내용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여 계량하는 경우, 단순히 개폐부가 계량컵의 작용만 수행하기 때문에 개폐부에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무게나 점성, 꿀렁거림 등으로 인해 한꺼번에 쏟아져 원하는 양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거나 개폐부 외측으로 흘러내려 내용물의 낭비가 우려되고,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게다가, 넘친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해 개폐부를 세척한 후 개폐부를 바로 용기 본체에 결합시키면, 개폐부에 남은 세척물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점성을 이루는 경우, 계량컵에 담겨진 내용물이 계량컵에 점착되어 계량된 용량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점성을 이루는 내용물을 쓸어내어 계량된 용량에 대응시켜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으며, 내용물이 덜어지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덜어내고자 하는 내용물의 계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개폐부를 손잡이로 이용하되 개폐부로부터 이격시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에 의해 개폐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마련되는 계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유입 공간이 형성되는 스푼부재; 및 상기 스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어내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푼부재는, 상기 유입 공간에 연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스푼부재의 상기 중공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스푼부재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 공간의 일측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유입 공간보다 작은 면적을 이루어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유입 공간의 내주면을 쓸어내는 헤드;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버튼부재를 탄성 가압하여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는, 상기 유입 공간의 내주면에 맞닿는 일면이 상기 유입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입 공간으로부터 노출되는 타면이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푼부재는, 상기 유입 공간이 상기 중공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는, 액상의 세제, 꿀, 크림(화장품) 등과 같이 점성을 이루는 내용물을 계량스푼으로부터 쓸어내므로, 계량스푼에 담기는 용량이 덜어낸 용량에 근접할 수 있어, 계량스푼을 이용해 덜어내고자 하는 내용물의 양이 계량스푼에 의해 계량된 용량과 일치할 수 있으므로, 계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루약, 가루 세제 등과 같이 분말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이 덜어지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어린이와 성인과 같이 사용자에 따라 계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용량으로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폐부를 손잡이로 이용하면서도 개폐부로부터 이격된 스푼부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내용물에 의해 개폐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개폐부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덜어낸 스푼부재가 용기 본체 내부에 보관됨으로써 계량된 내용물을 덜어낼 때마다 스푼부재를 별도로 세척할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폐부에 설치된 버튼부재를 작동시켜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스푼부재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내용물이 사용자에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가 복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헤드가 계량스푼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헤드가 계량스푼의 내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헤드가 계량스푼의 내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가 복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헤드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가 복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헤드가 계량스푼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헤드가 계량스푼의 내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헤드가 계량스푼의 내부에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개폐부(120) 및 계량부(1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10)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일측에 출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이때 출구가 구비되는 일측은 돌출되어 주둥이(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둥이에는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은 후술되는 개폐부(12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개폐부(120)가 용기 본체(110)의 결합을 나사 결합 외의 방식으로 한다면, 나사산은 생략 가능하다.
용기 본체(110)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무게,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플라스틱 수지,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용기 본체(110)가 도자기,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11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110)는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내용물은 약품, 세제, 세정제, 화장품 등일 수 있고, 내용물의 용도나 조성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세제, 화장품 등은 액상 또는 고형 분말 일 수도 있으며, 용기 본체(110)에 수용될 수 있다면 어떠한 내용물이든 선택 가능하다.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기 본체(110)를 기울였을 때 주둥이의 출구를 따라 배출될 수도 있으나, 후술되는 계량부(13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용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뚜껑으로서, 용기 본체(110)의 주둥이에 결합되도록 주둥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20)는 주둥이의 내측과 외측에 모두 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2중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개폐부(120)는 출구를 개폐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용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은 계량부(13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개폐부(120)는 용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용기 본체(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부(120)는 사용자가 개폐부(120)를 잡고 돌리는 방식으로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용기 본체(110)에 대비하여 높이가 작은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10) 내부로 계량부(130)가 마련되면서도 용기 본체(110)의 상단에 마련되는 개폐부(120)를 통해 계량부(130)를 조작할 수 있게, 개폐부(120)에는 계량부(120)가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개폐부(120)는 후술되는 계량부(130)의 배출부재(132)가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21)은 개폐부(120)의 외측에서 배출부재(132)를 노출시킬 수 있게 개폐부(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오목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배출부재(132)에서 연장 부분을 이루는 지지대(1321)가 개폐부(1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수용홈(121)에는 용기 본체(110) 방향으로 관통되는 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홈(121)의 홀은 지지대(1321)와 대응하여, 홀을 통해 지지대(1321)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면서도, 용기(100)가 쓰러져 용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이 개폐부(120) 측으로 쏠리더라도 수용홈(121)의 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스푼부재(131)와 배출부재(132)에 의해 폐쇄되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수용홈(121)에서 배출부재(132)가 사용자에 의해 누름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수용홈(121)의 깊이(길이)는 배출부재(132)의 버튼부재(1323) 두께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용홈(121)에 마련되는 버튼부재(1323)가 수용홈(121)을 커버하여, 수용홈(121)과 버튼부재(1323)의 수평 단면적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수용홈(121)과 버튼부재(1323)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부(120)는 하측에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스푼부재(131)가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개폐부(120)에 맞닿는 스푼부재(131)의 상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2)는 스푼부재(131)의 외측 둘레면에 대응하여 내주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스푼부재(131)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돌출부(122)는 폐곡선의 링 형상을 이루거나 스푼부재(131)의 외주면을 따라 반구 형태의 돌기가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스푼부재의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돌출부(122)의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돌출부(122)는 스푼부재(131)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돌출부(122)와 스푼부재(131)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때 돌출부(122)는 스푼부재(131)가 고정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배치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돌출부(122)가 생략되고 스푼부재(131)가 개폐부(120)의 하측에 단순히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돌출부(122)가 돌출구조를 이루는 것이 아닌 홈을 이룸으로써 스푼부재(131)가 개폐부(120)에 끼움되는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가능하다.
계량부(130)는 용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을 덜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내용물을 퍼내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량부(130)가 개폐부(120)에 마련되어 개폐부(120)를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개폐부(120)를 돌려서 용기 본체(110)를 개방시킨 후, 용기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개폐부(12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없이 개폐부(120)를 그대로 잡고서 개폐부(120)에 연결된 계량부(130)를 이용하여 용기 본체(110) 내의 내용물을 덜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량부(130)는 스푼부재(131) 및 배출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푼부재(131)는 내용물을 담아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용기 본체(110) 내부의 바닥에 인접한 내용물까지 덜어 낼 수 있도록 용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푼부재(131)의 하단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유입 공간(1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푼부재(131)는 가이드 호스(1311)와 계량스푼(1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호스(1311)는 배출부재(1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빨대 형상의 호스 형태로 이루어져 개폐부(120)에 체결될 수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호스(1311)가 지지대(1321)의 둘레면을 모두 감싸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가이드 호스(1311)는 단면이 반구로 이루어질 수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호스(1311)는 지지대(1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을 감싸고 타측을 노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계량스푼(1312)은 실질적으로 내용물이 덜어지는 공간인 유입 공간(1312A)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으며, 유입 공간(1312A)은 제조시 설계된 계량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계량스푼(1312)이 가이드 호스(1311)로부터 반경이 확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계량스푼(1312)과 가이드 호스(1311)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어, 버튼부재(1323)가 탄성부재(1324)에 의해 위치가 복귀될 때, 계량스푼(1312)의 단턱에 의해 버튼부재(1323)가 튕겨지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푼부재(131)의 중공 하단부는 유입 공간(1312A)에 연통되어, 배출부재(132)가 중공을 통해 상하 이동하여 유입 공간(1312A)을 쓸어내릴 수 있다.
배출부재(132)는 스푼부재(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유입 공간(1312A)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어내거나, 돌출길이에 따라 유입 공간(131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재(132)는 지지대(1321), 헤드(1322), 버튼부재(1323) 및 탄성부재(13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321)는 헤드(1322)와 버튼부재(1323)를 연결하는 매개물로서, 스푼부재(131)의 중공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321)는 버튼부재(1323)의 가압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헤드(1322)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321)는 슬라이딩되어 헤드(1322)를 조작할 수 있으며, 봉 또는 바와 같이 그 형태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헤드(1322)는 지지대(1321)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유입 공간(1312A)의 일측을 노출시키도록 유입 공간(1312A)보다 작은 면적을 이루어 그 이동에 따라 유입 공간(1312A)의 내주면을 쓸어내거나, 유입 공간(1312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호스(1311)의 중공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과 유입 공간(1312A) 사이를 커버할 수 있게, 헤드(1322)는 중공의 출입구에 인접하여 유입 공간(1312A)의 내주면에 맞닿는 일면이 유입 공간(1312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 공간(1312A)이 확보될 수 있도록 유입 공간(1312A)으로부터 노출되는 타면은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헤드(1322)는 지지대(1321)와 함께 밀대(push stick)를 이룰 수 있다.
버튼부재(1323)는 지지대(1321)를 밀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대(132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수용홈(121)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재(1323)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재(1323)의 두께가 수용홈(121)의 깊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수용홈(121)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부재(1323)는 지지대(1321) 및 헤드(1322)와 일체로 형성되어 버튼부재(1323)의 가압에 따라 지지대(1321)와 헤드(1322)가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1324)는 수용홈(121)에서 버튼부재(1323)를 탄성 가압하여 위치를 복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324)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홈(121) 내에서 버튼부재(1323)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324)는 버튼부재(1323)에 외력이 사라지면, 버튼부재(1323)와 함께 용기 본체(110) 방향으로 눌러진 탄성부재(1324)가 복원되어 버튼부재(1323)의 위치를 복귀시킨다. 여기서, 복귀된 버튼부재(1323)는 지지대(1321)에 의해 연결된 헤드(1322)가 계량스푼(1312)의 단턱(가이드 호스와의 연결 지점)에 가로막혀 상부로 튕겨지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부재(132)는 스푼부재(131)의 내주면에 달라붙는 내용물이 최소화되도록 스푼부재(131)에 담겨진 내용물을 쓸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꿀과 같이 점성을 이루는 내용물이 계량스푼(1312)에 의해 덜어질 때, 배출부재(132)에 의해 스푼부재(131)에 담겨진 내용물이 쓸어내려짐으로써 스푼부재(131) 내주면의 잔여물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연령대(예를 들어, 어린이와 성인) 등 사용 용량을 달리 이루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로부터 배출시키는 내용물의 배출 용량을 필요에 따라 달리 이룰 필요가 있다. 이때, 배출부재(132)는 스푼부재(131)의 유입 공간(1312A)에서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유입 공간(1312A)의 수용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푼부재(131)의 내주면에는 눈금 및 용량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버튼부재(1323)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유입 공간(1312A)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달리 이루어져, 배출부재(132)의 돌출에 따른 유입 공간(1312A)을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부재(1323)가 용기 본체(110)를 폐쇄한 상태에서 개폐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동작을 통해 배출부재(132)를 동작시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스푼부재(131)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여 미는 동작을 이룰 수 있어, 배출부재(132)의 버튼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이드 호스(1311)의 길이방향에 장공의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321)의 측면에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공의 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재가 장공의 홀을 따라 이동되면서 지지대(1321)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배출부재(132)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점성을 이루는 내용물을 쓸어내어 덜어낸 내용물의 용량과 계량된 양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룰 수 있으며, 분말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이 덜어지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어린이와 성인과 같이 사용자에 따라 계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용량으로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계량부(130)는 배출부재(132)를 통해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스푼부재(131)에 덜어지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스푼부재(131)에 덜어진 내용물을 용이하게 이탈시키도록 배출부재(132)를 작동하는 것과 달리,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스포이드 형태로 덜어낼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가 복원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계량부에서 버튼부재의 가압에 의해 헤드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하게 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용기 본체(110), 개폐부(120) 및 계량부(230)를 포함하며, 일 실시예와 계량부(230)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10)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기 본체(110)를 기울였을 때 주둥이의 출구를 따라 배출될 수도 있으나, 후술되는 계량부(23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용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뚜껑으로서, 용기 본체(110)의 주둥이에 결합되도록 주둥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은 계량부(13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개폐부(120)는 용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용기 본체(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개폐부(120)는 수용홈(121)이 형성되어 일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계량부(230)의 버튼부재(2323)가 동작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개폐부(120)의 하측에는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계량부(230)의 수용부재(231)가 설치될 수 있다.
계량부(230)는 용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을 덜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내용물을 퍼내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량부(230)가 개폐부(120)에 마련되어 개폐부(120)를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계량부(230)는 수용부재(231) 및 차단부재(232)를 포함한다.
수용부재(231)는 용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용부재(231)의 내부에 차단부재(232)가 마련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재(231)는 가이드 호스(2311)와 수용통(23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호스(2311)는 일 실시예의 가이드 호스(131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차단부재(232)의 지지대(23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빨대 형상의 호스 형태로 이루어져 개폐부(120)에 체결될 수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통(2312)은 실질적으로 내용물이 덜어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으며, 공간은 제조시 설계된 계량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통(2312)의 공간이 5ml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용통(2312)에 담겨져 한 번에 덜어지는 내용물의 용량은 5m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수용통(2312)의 공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용통(2312)의 외부에 공간의 용량이 마킹되어 수용통(2312)에 의해 덜어지는 내용물의 용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통(2312)을 가로지르는 지지대(2321)를 고려하여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통(2312)의 공간이 넓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통(2312)이 가이드 호스(2311)로부터 반경이 확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차단부재(232)가 가이드 호스(2311)를 관통하여 수용통(231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호스(2311)와 수용통(2312)은 연통될 수 있다.
게다가, 수용부재(231)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개구되는 유입홀(2312B)과 배출홀(2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홀(2312B)과 배출홀(2312A)은 수용통(2312)에 마련될 수 있는데, 유입홀(2312B)은 가이드 호스(2311)로부터 반경이 확장되는 수용통(2312)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의 홀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배출홀(2312A)은 중력에 의해 내용물이 낙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수용통(2312)의 하단부에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계량부(230)가 용기 본체(110)에 삽입되면, 수용통(231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유입홀(2312B)을 통해 용기 본체(110) 내부의 내용물이 수용통(2312)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용기 본체(110)로부터 계량부(230)를 빼내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데, 내용물은 수용통(2312)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홀(2312A)을 통해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에서 계량부(230)를 빼낼 때, 배출홀(2312A)이 개방된 경우 내용물이 용기 본체(110)외부에서 낙하되기 이전에 용기 본체(110) 내부에서 바로 낙하되지 않도록, 차단부재(232)가 배출홀(2312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차단부재(232)는 수용부재(2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수용통(2312)에 유입된 내용물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유도한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232)는 지지대(2321), 헤드(2322), 버튼부재(2323) 및 탄성부재(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321)는 일 실시예의 지지대(132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용부재(231)의 중공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바 또는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2322)는 지지대(232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배출홀(2312A)에 맞닿거나 이격됨에 따라 배출홀(2312A)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2322)는 수용통(2312)의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헤드(2322)가 수용통(2312)의 하부 외측에서 배출홀(2312A)에 맞닿아 수용통(2312)의 하단부를 폐쇄함으로써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헤드(2322)가 수용통(2312)의 하단부에 간섭되어 지지대(2321)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버튼부재(23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도 7참조). 한편, 헤드(2322)가 수용통(2312)의 배출홀(2312A)과 이격됨으로써, 배출홀(2312A)을 개방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8 참조).
버튼부재(2323)는 일 실시예의 버튼부재(1323)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지지대(2321)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수용홈(121)에 수용되며, 수용홈(12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324)는 수용홈(121)에서 버튼부재(2323)를 탄성 가압하여 위치를 복원시킬 수 있으며, 일실시예의 탄성부재(132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작동관계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복귀된 탄성부재(2324)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는 버튼부재(2323)는, 지지대(2321)에 의해 연결된 헤드(2322)가 배출홀(2312A)에 맞닿아 이동거리가 제한됨으로써, 상부로 튕겨지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계량부(230)를 개폐부(120)와 일체화하여 계량도구를 개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며, 개폐부(120)에 설치된 버튼부재(2323)를 작동시켜 내용물을 덜어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계량부(230)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내용물이 사용자에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용기 110: 용기 본체
120: 개폐부 121: 수용홈
122: 돌출부 130, 230: 계량부
131: 스푼부재 1311, 2311: 가이드 호스
1312: 계량스푼 1312A: 유입 공간
132: 배출부재 1321: 지지대
1322: 헤드 1323, 2323: 버튼부재
1324, 2324: 탄성부재 231: 수용부재
2312: 수용통 2312A: 배출홀
2312B: 유입홀 232: 차단부재

Claims (6)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마련되는 계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유입 공간이 형성되는 스푼부재; 및
    상기 스푼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유입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어내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부재는, 상기 유입 공간에 연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스푼부재의 상기 중공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스푼부재의 상기 중공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 공간의 일측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유입 공간보다 작은 면적을 이루어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유입 공간의 내주면을 쓸어내는 헤드;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수용홈에서 상기 버튼부재를 탄성 가압하여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유입 공간의 내주면에 맞닿는 일면이 상기 유입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입 공간으로부터 노출되는 타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부재는,
    상기 유입 공간이 상기 중공으로부터 면적이 확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2020150007158U 2015-11-04 2015-11-04 용기 KR200482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58U KR200482403Y1 (ko) 2015-11-04 2015-11-04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58U KR200482403Y1 (ko) 2015-11-04 2015-11-04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03Y1 true KR200482403Y1 (ko) 2017-01-18

Family

ID=5796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58U KR200482403Y1 (ko) 2015-11-04 2015-11-04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40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032A (en) * 1987-02-17 1988-01-05 Wu Chyi Yiing Bottle with self-contained pickup tool
JPH0372443U (ko) * 1989-11-16 1991-07-22
WO2008088458A1 (en) * 2006-12-22 2008-07-24 Zuishu Hanafusa Food container with utens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032A (en) * 1987-02-17 1988-01-05 Wu Chyi Yiing Bottle with self-contained pickup tool
JPH0372443U (ko) * 1989-11-16 1991-07-22
WO2008088458A1 (en) * 2006-12-22 2008-07-24 Zuishu Hanafusa Food container with utensi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2443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3948C (en) Improved powder, measu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8528784B2 (en) Spray bottle with refill cartridge
US5031802A (en) Metering bottle
JP2016003064A (ja) 防滴型注ぎ口付き容器
US20140144926A1 (en) Powder dispenser
NL2007421C2 (nl) Houder voor een vloeistof.
JP7456078B2 (ja) 詰め替え可能コーヒーカプセル用の充填装置を有するコーヒーグラインダー
US20100012683A1 (en) Powder dispenser
KR200482403Y1 (ko) 용기
JP4713002B2 (ja) 計量した一定量のバルク材料を狭小な開口部を有する容器に払出す装置
KR200482402Y1 (ko) 용기
JP2007040706A (ja) 定量取り出し装置及び包装用容器
KR100916614B1 (ko) 파우더 정량 토출 용기
WO2016019299A1 (en) Powdered beverage product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CA2512166A1 (en) An adjustable granule dispenser
US8684230B1 (en) Twistable and collapsible container for dispensing measured dosages of liquid
US6422432B1 (en) Device for directed deliverance of free-flowing materials
WO20111047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predetermined dose of powder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H05506501A (ja) ばら荷容器における調量装置
US9440753B2 (en) Dosage-dispensing head
US20130074976A1 (en) Power Scoop
JP4626959B2 (ja) 粘稠性物質の注出容器
KR100588530B1 (ko) 일정량 배출 가능한 용기
KR101318767B1 (ko) 수평으로 슬라이딩되는 계량스푼을 이용한 분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