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49Y1 - 도배 풀칠기 - Google Patents

도배 풀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49Y1
KR200482349Y1 KR2020160005739U KR20160005739U KR200482349Y1 KR 200482349 Y1 KR200482349 Y1 KR 200482349Y1 KR 2020160005739 U KR2020160005739 U KR 2020160005739U KR 20160005739 U KR20160005739 U KR 20160005739U KR 200482349 Y1 KR200482349 Y1 KR 200482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nit
stirring
accommodation spa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검
Original Assignee
이기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검 filed Critical 이기검
Priority to KR2020160005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교반축이 구비됨으로써, 풀과 미온수를 넣고 밀폐된 상태에서 흔들어 물과 미온수를 편리하게 섞을 수 있으며, 외부로 흐름이 없어 깔끔하게 작업할 수 있는 도배 풀칠기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도배 풀칠기는. 제1개방부(110)가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0)을 갖는 용기(100); 상기 수용공간(120)에 장착되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200); 상기 제1개방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유닛(300); 을 포함하되, 상기 교반유닛(200)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211)가 형성된 교반축(21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배 풀칠기{Spreading machine}
본 고안은 도배 풀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배용 풀을 물과 섞어 풀고, 이를 도배지에 바르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도배 풀칠기에 관한 것이다.
이전의 도배 작업은 먼저 용기(100)에 도배 풀과 미온수를 일정 비율만큼 담고 손으로 문질러 푼 후 붓에 풀을 묻혀 도배지에 바르는 방법으로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도배 풀칠 작업은 풀을 푸는 작업을 손으로 해야 하므로 시간도 오래 걸리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풀이 작업자의 손이나 바닥 등에 묻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좀더 편리한 풀바름기를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벽지 풀바름기는 벽지 원단을 공급받아 풀바름 롤러에 의하여 풀칠하고 이 풀칠된 벽지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벽지 원단에 풀칠을 하기 위한 기술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제20-0293561호의 풀칠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풀공급통에 저장된 풀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판(340)이 풀공급통의 전면에 조정 가능하게 조립되고, 조절판(3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팽창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풀공급통 하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롤러와, 지지대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풀공급통에 수용된 풀이 배출양이 조절된 상태로 롤러에 의해 풀칠이 가능 하지만 수용된 풀을 저어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저장된 풀의 내부에 엉킨 덩어리가 그대로 있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층이 건조상태가 되므로 상당량이 제 사용을 다하지 못하고, 또한 저장된 풀이 엉키어 덩어리상태로 유지되어 양호한 배출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비경제적인 사용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풀공급통에 밀착되어 풀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조절판(340)의 양단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풀이 양쪽으로 퍼져 배출되므로 그 주변이 늘 어지럽게 되어서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풀칠기에 있어서는 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한 이동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거치대와 연결되는 손잡이에 있어서는 항상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고 있어서, 휴대 및 운반시 접힘이 불가능하므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불편한 취급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293561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교반축이 구비됨으로써, 풀과 미온수를 넣고 밀폐된 상태에서 흔들어 물과 미온수를 편리하게 섞을 수 있으며, 외부로 흐름이 없어 깔끔하게 작업할 수 있는 도배 풀칠기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도배 풀칠기는. 제1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0)을 갖는 용기(100); 상기 제1개방부(110)를 개폐하며, 제2개방부(151)가 개방 형성된 주덮개(150); 상기 수용공간(12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200);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유닛(300); 을 포함하되, 상기 교반유닛(200)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211)가 형성된 교반축(210)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유닛(200)은, 상기 교반축(210)과 상기 제1개방부(110) 사이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 이하의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거름공(221)이 형성된 거름구(22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포유닛(300)은, 일단이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개방부(151)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수용되고, 타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출공(322)이 형성된 분배함(320); 상기 분배함(320)의 타단에 장착되는 도포부재(330); 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유닛(300)은, 상기 분배함(320)의 내부에 상기 제2개방부(151)와 상기 배출공(32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며,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조절판(34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포유닛(300)은, 일단이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칸막이(32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개방부(151)과 연결되어 상기 제2개방부(151)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1구역(326)과, 상기 제1구역(326)과 이웃하게 배치된 제2구역(327)으로 구획된 분배함(320); 상기 제2구역(327)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포부재(330); 상기 도포부재(330)를 상기 제1구역(326)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325)에는 상기 제1구역(326)과 제2구역(327)을 연결하는 연결공(32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328)에는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329)가 장착되며, 상기 도포부재(330)에는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개폐밸브(329)를 개방하여 상기 제1구역(326)과 연결되는 연결관(331)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 풀칠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도배 풀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기(100)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교반축(210)이 구비됨으로써, 풀과 미온수를 넣고 밀폐된 상태에서 흔들어 물과 미온수를 편리하게 섞을 수 있으며, 외부로 흐름이 없어 깔끔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1개방부(110)에 상기 거름구(220)가 구비됨으로써, 잘 풀리지 않은 응고된 형태의 풀을 필터링 하여 도포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풀바름 작업시 풀이 뭉치지 않고 일정하게 잘 발리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도포부재(330)에 상기 연결공(328)을 개방하는 상기 연결관(3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포부재(330)를 도배지에 눌러 가압했을 때에만 상기 연결관(331)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20)의 내용물이 배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용기(100)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이 한꺼번에 많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풀바름 작업을 좀더 깔끔하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에 주덮개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도포부재(330)를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에 주덮개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의 도포부재(330)를 누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배 풀칠기는 용기(100), 주덮개(150), 교반유닛(200) 및 도포유닛(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투명한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제1개방부(110)가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개방부(110)는 주변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용기(100)는 상기 수용공간(120)에 도배에 사용되는 응고된 형태의 풀이 일정량 수용된 상태로 제품화되어 판매되며, 사용할 때에는 상기 수용공간(120)에 미온수를 넣고 풀과 교반하여 도배지에 바를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100)에는 상기 수용공간(120)에 넣을 미온수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100)에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되어 도배지에 풀바름 작업을 할 때 상기 용기(100)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개방부(110)에는 상기 주덮개(15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주덮개(150)는 하단이 개방된 납작한 원통형 형상이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1개방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덮개(150)에는 제2개방부(151)가 개방 형성된다.
상기 제2개방부(151)는 상기 제1개방부(110)보다 직겅이 작은 원형으로 개방 형성되며, 주변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개방부(151)에는 보조덮개(160) 또는 상기 도포유닛(200)이 탈부착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덮개(160)는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풀과 미온수를 교반하기 위해 상기 용기(100)를 흔들 때 상기 제2개방부(151)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개방된 납작한 유선형 형상이며, 하면에는 상기 제2개방부(15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조덮개(160)는 상기 결합돌기(161)가 상기 제2개방부(151)에 억지끼움 됨에 따라 상기 주덮개(150)에 고정되어 상기 제2개방부(151)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교반유닛(200)은 상기 용기(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풀과 미온수를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교반축(210)과 거름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축(210)은 상기 용기(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교반축(210)은 상기 수용공간(120)에 풀과 미온수를 담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100)를 흔들었을 때 풀과 미온수가 상기 교반축(210)과 마찰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한다.
상기 거름구(220)는 상기 교반축(210)과 상기 제1개방부(1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개방부(110)로 일정 크기 이하의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필터링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름구(220)는 원통형의 컵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단이 상기 제1개방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거름구(220)의 일단 외경과 상기 제1개방부(110)의 내경이 일치하여 상호 억지끼움 되도록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거름구(220)의 외경과 상기 제1개방부(110)의 내경에 상호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름구(22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거름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거름공(221)은 상기 수용공간(120)에 담긴 내용물이 상기 제1개방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일정 크기 이하의 내용물만 통과되도록 하여 덩어리진 풀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름구(220)의 타단에는 상기 교반축(210)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교반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20)에 담긴 내용물을 교반할 때에 상기 수용공간(1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개방부(110)에 결합되며, 상기 도포유닛(300)을 장착할 때에는 제거하여 사용하되, 경우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20)에 설치한 상태로 상기 도포유닛(30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20)에 외주면을 따라 스크류(211)가 형성된 상기 교반축(21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100)에 미온수를 넣고 흔들었을 때 풀과 물이 교반되어 잘 섞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개방부(110)에 상기 거름구(220)가 구비됨으로써, 잘 풀리지 않은 응고된 형태의 풀을 필터링 하여 도포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풀바름 작업시 풀이 뭉치지 않고 일정하게 잘 발리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도포유닛(300)은 상기 주덮개(15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서 상기 제2개방부(151)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을 도배지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분배함(320), 도포부재(330) 및 조절판(3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함(320)은 직사각형 형태의 투명 상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개방부(151)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배함(320)에는 상기 제2개방부(151)와 결합되는 결합공(3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21)의 내경과 상기 제2개방부(151)의 외경의 크기가 일치하여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억지끼움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공(321)의 내경과 상기 제2개방부(151)의 외경에 상호 결합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도 있다.
상기 제2개방부(151)와 연결되는 상기 분배함(320)의 내부에는 상기 제2개방부(151)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담기게 된다.
또한, 상기 분배함(320)의 타단에는 배출공(3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322)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분배함의 내부로 이동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도포유닛(330)은 상기 분배함(320)의 타단에 장착되며, 작업시 도배지와 직접 접하여 상기 배출공(3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이 도배지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유닛(330)은 솔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절판(340)은 가운데가 절곡된 '<' 형상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함(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개방부(151)과 상기 배출공(32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판(340)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부재(330)로 도배지에 풀을 바를 때에 상기 배출공(322)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분배함(320)의 내압을 조절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배 풀칠기는, 상기 용기(100)에 상기 교반유닛(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미온수를 일정량 넣고, 상기 주덮개(150)를 상기 제1개방부(110)에 장착하여 상기 제1개방부(110)를 폐쇄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개방부(151)는 상기 보조덮개(1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유닛(200)과 상기 도포유닛(300)을 장착하고 흔들어 풀을 미온수에 푼다.
이후 상기 보조덮개(160)를 제거하고 상기 도포유닛(300)을 상기 제2개방부(151)에 장착하며, 상기 도포부재(330)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이면 상기 수용공간(120)에 담긴 내용물은 상기 제2개방부(151)를 통해 상기 분배함(320)으로 이동하고, 상기 분배함(320)으로 이동한 내용물은 상기 조절판(340)을 거쳐 상기 배출공(322)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공(322)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면 상기 도포부재(330)를 도배지에 대고 이동시키면서 도배지에 풀을 바르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도포유닛(300)은 상기 도포부재(330)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용기(100)를 기울여도 상기 배출공(322)으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고, 상기 도포부재(330)를 가압하여 눌렀을 때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함(320)의 내부에는 칸막이(325)가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325)를 기준으로 제1구역(326)과 제2구역(326)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1구역(326)은 상기 제2개방부(151)과 연결되어 상기 제2개방부(151)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2구역(326)은 상기 배출공(322)과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도포부재(330)의 일단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칸막이(325)에는 상기 제1구역(326)과 제2구역(327)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공(32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328)에는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329)가 장착된다.
상기 개폐밸브(329)는 얄은 막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공(328)의 상기 제1구역(326) 방향 일면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자유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밸브(329)는 상기 용기(100)를 기울여도 상기 제1구역(326)에 담긴 내용물이 상기 연결공(328)을 통해 상기 제2구역(327)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상기 도포부재(330)는 일단이 상기 제2구역(327)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개폐밸브(329)를 개방하여 상기 제1구역(326)과 연결되는 연결관(331)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구역(327)에는 상기 도포부재(330)를 상기 제1구역(326)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가 구비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배 풀칠기는 상기 용기(100)를 기울여도 상기 연결공(328)이 상기 개폐밸브(329)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 상기 제1구역(326)에 담긴 내용물이 상기 연결공(328)을 통해 상기 제2구역(327)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100)를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도포부재(330)를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330)가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관(331)이 상기 연결공(328)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개폐밸브(329)가 개방되며, 상기 연결관(331)이 상기 제1구역(326)과 연결되고, 상기 제1구역(326)에 담긴 내용물이 상기 연결관(3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330)에 상기 연결공(328)을 개방하는 상기 연결관(3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포부재(330)를 도배지에 눌러 가압했을 때에만 상기 연결관(331)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20)의 내용물이 배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용기(100)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이 한꺼번에 많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풀바름 작업을 좀더 깔끔하고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110 : 제1개방부
120 : 수용공간 130 : 표시부
140 : 손잡이부
150 : 주덮개 151 : 제2개방부
160 : 보조덮개 161 : 결합돌기
200 : 교반유닛
210 : 교반축 220 : 거름구
221 : 거름공 300 : 도포유닛
320 : 분배함 321 : 결합공
322 : 연결공
330 : 도포부재 340 : 조절판
325 : 칸막이 326 : 제1구역
327 : 제2구역 328 : 연결공
329 : 개폐밸브 331 : 연결관
400 : 탄성부재

Claims (5)

  1. 제1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0)을 갖는 용기(100);
    상기 제1개방부(110)를 개폐하며, 제2개방부(151)가 형성된 주덮개(150);
    상기 수용공간(12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200);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유닛(300); 을 포함하되,
    상기 교반유닛(200)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211)가 형성된 교반축(210)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유닛(300)은,
    일단이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개방부(151)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수용되고, 타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출공(322)이 형성된 분배함(320);
    상기 분배함(320)의 타단에 장착되는 도포부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 풀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200)은,
    상기 교반축(210)과 상기 제1개방부(110) 사이에 배치되며, 일정 크기 이하의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거름공(221)이 형성된 거름구(2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 풀칠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300)은,
    상기 분배함(320)의 내부에 상기 제2개방부(151)와 상기 배출공(32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며,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조절판(3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 풀칠기
  5. 제1개방부(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0)을 갖는 용기(100);
    상기 제1개방부(110)를 개폐하며, 제2개방부(151)가 형성된 주덮개(150);
    상기 수용공간(12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200);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유닛(300); 을 포함하되,
    상기 교반유닛(200)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211)가 형성된 교반축(210)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유닛(300)은,
    일단이 상기 제2개방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칸막이(32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개방부(151)와 연결되어 상기 제2개방부(151)에서 배출된 내용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1구역(326)과, 상기 제1구역(326)과 이웃하게 배치된 제2구역(327)으로 구획된 분배함(320);
    상기 제2구역(327)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포부재(330);
    상기 도포부재(330)를 상기 제1구역(326)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325)에는 상기 제1구역(326)과 제2구역(327)을 연결하는 연결공(32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328)에는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329)가 장착되며,
    상기 도포부재(330)에는 상기 제1구역(326)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개폐밸브(329)를 개방하여 상기 제1구역(326)과 연결되는 연결관(331)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배 풀칠기.
KR2020160005739U 2016-10-05 2016-10-05 도배 풀칠기 KR200482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39U KR200482349Y1 (ko) 2016-10-05 2016-10-05 도배 풀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39U KR200482349Y1 (ko) 2016-10-05 2016-10-05 도배 풀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49Y1 true KR200482349Y1 (ko) 2017-01-23

Family

ID=5796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39U KR200482349Y1 (ko) 2016-10-05 2016-10-05 도배 풀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4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561Y1 (ko) 2002-07-24 2002-11-01 최광용 풀칠기
KR100827004B1 (ko) * 2007-05-29 2008-05-02 박명원 도로 유색 라이닝 박피포장 공법 및 장치
JP2011182931A (ja) * 2010-03-08 2011-09-22 Kao Corp アプリケ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561Y1 (ko) 2002-07-24 2002-11-01 최광용 풀칠기
KR100827004B1 (ko) * 2007-05-29 2008-05-02 박명원 도로 유색 라이닝 박피포장 공법 및 장치
JP2011182931A (ja) * 2010-03-08 2011-09-22 Kao Corp アプリケー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162B1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
CA2675563C (en) Fluid supply assembly
US4217062A (en) Paint feed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a fountain type paint roller
US7972056B2 (en) Machine for mixing hair colors
US5924598A (en) Drywall mud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US8813767B2 (en) Paint roller cleaner
US20040245355A1 (en) Mixer and sprayer unit
US4537522A (en) Paint dispensing applicator with safety features
US20120111067A1 (en) Liquid additive dispen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KR200482349Y1 (ko) 도배 풀칠기
CA2800638C (en) Accessories for supplying liquids to applicators such as rollers and brushes
JP2021030215A (ja) 壁面を市松模様にする自動塗り装置
WO2021139298A1 (zh) 清洗装置及具有其的洗衣机
CN205586927U (zh) 一种复合机胶墨搅拌装置
US20110070014A1 (en) Applicator for Paint and Other Liquids
KR101762128B1 (ko) 자동 붓 세척장치
US7384186B2 (en) Mountable reusable paint container with spigot assembly and stirring mechanism
US7025229B2 (en) Assembly of package and apparatus for the metered emptying of the package as well as apparatus therefor
EP1945088B1 (en) Mop handle with integrated tank and filling station
KR101737213B1 (ko) 이동식 농약 살포장치
US10526112B2 (en) Extension collar for pails of mixable building material
KR200468342Y1 (ko) 이종의 화장액 공급장치
CN215235304U (zh) 一种移动式涂料喷涂机
US20210101174A1 (en) Touch Up Paint Kit
US20050247329A1 (en) Nap paint rolle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