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128B1 - 자동 붓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붓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128B1
KR101762128B1 KR1020170018052A KR20170018052A KR101762128B1 KR 101762128 B1 KR101762128 B1 KR 101762128B1 KR 1020170018052 A KR1020170018052 A KR 1020170018052A KR 20170018052 A KR20170018052 A KR 20170018052A KR 101762128 B1 KR101762128 B1 KR 10176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leaning
vibration
spa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형
Original Assignee
이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형 filed Critical 이윤형
Priority to KR102017001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06Devices for cleaning paint-applying hand tools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Landscapes

  • Brush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체적으로 결합하여 보관 및 이동성을 증대시키며 붓의 설치를 감지하여 자동을 세척 동작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세척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시행하지 않아 작업의 연속성과 시간을 증대할 수 있으며 사용에 편리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측면에 도움을 주는 자동 붓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를 저장하며 세척할 붓을 세척을 위해 설치하는 동시에 접거나 말아서 보관가능한 연질이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세척통, 상기 세척통을 보관하는 동시에 붓의 임시보관 기능과 세척할 붓의 설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 전원공급 -> 진동력 발생 구동 과정을 통해 자동방식으로 작동하는 보관구동부로 구성하여; 사용이 완료되거나 세척이 요구되는 붓의 거치 여부에 따라 세척작업의 시작과 종료가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작업 시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세척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붓 세척장치{Automatic brus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붓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술 업계나 페인팅 업계에서 붓 세척을 위한 별도의 세척 작업 필요 없어 세척 시간을 절약하여 작업시간을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에 편리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측면에 도움을 주는 자동 붓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그림을 그릴 때에는 여러 종류의 붓을 사용하게 된다. 당장 사용 하지 않는 붓은 용도의 특성상 물통, 팔레트 또는 스케치북과 밀접한 장소에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그림을 그리는 중 사용하지 않는 붓을 물통에 담가 두거나, 물감을 섞는 팔레트에 얹어 놓거나, 바닥 등 그 외의 장소에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반적으로 그림을 그릴 때는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표현기법을 표현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붓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붓에 각각 다른 색상의 물감을 묻혀 그림을 그리게 되면, 붓을 사용한 뒤나 다른 색상을 칠하기 위하여 붓을 바꿀 때에는 붓에 묻은 물감을 씻기 위하여 물이 필요하며, 여러 종류의 붓과 함께 물이 담겨진 미술용 물통이 필요하게 된다.
이중, 붓과 물통은 수채화에 가장 중요한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붓은 가는 대의 일측에 동물의 털이나 인조모(毛)로 브러시(brush)를 구비하여 그 브러시에 물감을 묻혀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물통은 통형상의 몸체에 물을 담아 상기 붓에 물을 묻히거나 붓을 세척하는데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미술용 물통은 단순히 물통의 기능만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의 물감이 묻어 있는 여러 개의 붓을 물통에 같이 담가두어야만 했다. 이렇게 여러 개의 붓을 하나의 물통에 같이 담가두게 되면 각각의 물감이 물에 풀어져 물통에 담긴 물이 여러 가지 색으로 뒤범벅이 되게 되고, 그것으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기가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이 묻은 붓의 수량을 조절하기도 힘들어 원하는 만큼의 물을 붓에 묻히기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364121호는 붓 걸이홈이 구비된 미술용 물통에 대한 것으로 붓을 물통에 파여 있는 홈에 거는 방식을 이용했다. 이런 방식은 물통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붓을 거치하면 안정적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물통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붓을 거치하면 물통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거치할 수 있는 붓의 개수도 3개로 제한되어 있어 많은 붓을 사용하여 그리는 수채화, 유화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399804호는 미술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붓의 수량을 조절하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은 붓을 전체적으로 압박을 가하여 붓을 탈수시키는 방식인데 이는 본 발명품의 수량 조절 방법과 기능이 전혀 다르다. 상기 특허의 도면을 참고하면 붓의 물을 짜주는 방식이 양옆에서 넓은 면을 압축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을 이용할 경우 붓이 붓을 압축하는 부분에서 끼여 털이 빠질 가능성이 있고 부드럽게 수량을 조절할 수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방식의 미술용 물통은 사용자가 세척을 원할 때마다 수동으로 붓을 세척하여 재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세척으로 인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의 연속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방식의 미술용 물통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며 부피가 커 휴대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휴대성 및 보관성을 증대시키고 자동방식으로 붓을 간단하게 세척 및 임시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지니는 붓 세척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10-1212498 (자동 붓 세정장치) 2. 등록번호 10-1260003 붓의 수량 조절을 위한 다기능 물통 3. 공개번호 10-2016-0076548 (화장용 붓 세척 및 살균건조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거나 세척이 요구되는 붓의 거치 여부에 따라 세척작업의 시작과 종료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붓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통을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접거나 말아서 보관구동부에 수납을 위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통과 보관구동부의 간단한 결합을 통해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리나 교체를 위한 구동부가 별도로 운용되고 조립과 해체가 편리하여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림이나 페인팅용 붓을 세척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한 붓을 세척하는 동시에 붓의 수납 기능을 갖는 연질이며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세척통, 상기 세척통을 가압하여 보관하는 동시에 꺼내어 확장시킨 후 결합되어 세척할 붓의 설치 상태 감지 및 세척을 위한 진동력을 세척통으로 전달하도록 발생시키는 보관구동부로 형성하여, 상기 세척통에 세척하기 위한 붓의 감지를 통해 보관구동부가 자동으로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력에 의해 붓을 진동시켜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이 완료되거나 세척이 요구되는 붓의 거치 여부에 따라 세척작업의 시작과 종료가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작업 시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세척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세척통을 연질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접거나 말아서 보관구동부에 수납을 위해 보관할 수 있어 작은 체적과 경량화로 휴대성이 증대되어 취급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세척통과 보관구동부의 간단한 결합을 통해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시 불안정한 상태나 쓰러짐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쏟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수리나 교체를 위한 구동부가 별도로 운용되고 조립과 해체가 편리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를 나타낸 결합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통의 내측을 투영한 사시도,
도 6에서 도면 a는 저장부를 하나의 분할판으로 세척공간과 비 세척공간을 분할하는 평면도, 도면 b는 저장부를 두 개의 분할판으로 세척공간과 비 세척공간을 분할하는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A-A,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통의 사시도,
도 14는 보관구동부의 보관공간에 세척통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붓의 세척과 임시보관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4의 A-A,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붓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붓의 세척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붓 세척장치는 그림용 붓을 세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수를 담으며 세척할 붓을 세척을 위해 설치하는 동시에 접거나 말아서 보관가능한 연질이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세척통(10), 상기 세척통(10)을 보관하는 동시에 붓의 임시보관 기능과 세척할 붓의 설치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 -> 전원공급 -> 진동력 발생 구동 과정을 통해 자동방식으로 작동하는 보관구동부(20)로 세척장치(100)를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통(10)은 사용한 붓을 세척하는 동시에 붓의 수납 기능을 갖는 연질이며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탄성력과 복원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세척통(10)은 평면상으로 투영시 'C' 형태로 일 측에는 보관구동부(20)가 감싸져 삽입하는 결합공간(11)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공간(11)은 세척통(10)의 일 측이 중심 방향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양 끝단은 보관구동부(20)의 후방 외면을 감싸도록 커브단(10a)을 형성하며, 상기 커브단(10a)과 연장되는 중심측에는 보관구동부(20)의 전방면과 밀착되는 밀착단(10b)을 형성한다.
상기 세척통(10)의 타 측에는 붓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담겨지며, 내면 상부에는 붓의 상부 부분이 고정되는 감지고리(12)와 하부에는 붓의 하부 부분이 고정되는 진동고리(13)가 형성된 저장부(14)를 구성한다.
상기 감지고리(12)와 진동고리(13)는 세척통(10)의 밀착단(10b) 내면에 일체 형상이 되도록 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감지고리(12)는 밀착단(10b)과 연장되는 제1고리몸체(12a)의 전방 끝단에 제1고리(12b)를 형성하며, 상기 진동고리(13)는 밀착단(10b)과 연장되는 제2고리몸체(13a)의 전방 끝단에 제2고리(13b)를 형성하는데, 상기 감지고리(12)는 붓의 상부 부분을 지지함으로 직경이 작고 진동고리(13)는 붓의 하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세척통(10)에는 손잡이(15)를 형성하는데 손잡이(15)는 세척통(10)과 힌지(15a)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세척통(10)의 저장부(14)는 감지고리(12)와 진동고리(13)를 동일 구역에 위치하도록 분할판(16)으로 양분하여 세척공간(17)과 비세척공간(18)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5)와 분할판(16)은 세척통(10)과 같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며 분할판(16)은 세척통(10)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비세척공간(18)을 다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통(10)의 상부 일측에는 붓이 통과하며 물기를 제거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51)로 탈수부(50)를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하는데, 상기 롤러(51)는 세척통(10)의 상부 끝단에 끼움되도록 하부로 개방된 디귿자 형태의 탈수프레임(52)와 회전되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탈수부(50)의 롤러(51)는 연질의 탄성 재질이거나 스펀지 재질로 구성하며, 세척이 완료된 붓의 솔부분을 롤러(51)의 사이에 끼워 상부로 잡아당겨 솔이 롤러(51)에 의해 압착되면서 솔에 잔존하는 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보관구동부(20)는 세척통(10)을 가압하여 보관하는 동시에 꺼내어 확장시킨 후 결합되어 세척할 붓의 설치 상태 감지 및 세척을 위한 진동력을 세척통(10)으로 전달하도록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관구동부(20)는 세척통(10)의 결합공간(11)에 삽입되는 케이스(21)의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양분하여 일측에는 보관부(30)와 타측에는 구동부(40)를 구성한다.
상기 보관부(30)는 케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31)를 개방하면 세척통(10)을 가압시켜 보관하거나 붓을 거꾸로 세워 수납할 수 있는 보관공간(32)을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21)는 세척통(10)의 결합공간(11)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며 보관공간(32)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세척통(10)의 세로 방향 길이를 더 짧게 형성하여 세척통(10)을 가압했을 경우 보관공간(32)에 보관했을 때 덮개(31)가 닫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40)는 세척통(10)의 감지고리(12)에 붓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센서(41)를 형성하는데, 상기 감지센서(41)는 다양한 형태와 작동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붓이 감지고리(12)에 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 방식으로 작동하는 센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41)의 하부로 감지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를 형성하는데, 상기 배터리(42)는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충전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터리(42)를 충전지로 구성할 경우 케이스(21)의 일측에 충전을 위한 충전잭(4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42)의 하부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고리(13)에 편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는 진동모터(43)를 구성하는데, 상기 진동모터(43)에 연결되는 모터축(43a)에 편심되어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편심진동자(43b)를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보관구동부(20)의 케이스(21)의 후방면은 세척통(10)의 커브단(10a) 내측면에 밀착되기 위한 곡률단(21a)으로 형성하고, 전방면은 세척통(10)의 밀착단(10b)에 밀착하도록 직선단(21b)으로 형성한다.
상기 직선단(21b)에는 개방공간(21c)을 형성하는데 개방공간(21c)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폐쇄하는 커버(21d)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21d)의 후방에는 감지센서(41)와 배터리(42), 진동모터(43)가 각각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제1~3선반(21e)(21f)(21g)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선반(21e)의 상부에는 감지센서(41)가 설치되어 커버(21d)의 센서홀(21d')을 통해 감지단(41b)이 노출되며, 상기 제2선반(21f)의 상부에는 배터리(42)를 설치하고, 상기 제3선반(21g)의 상부에는 진동모터(43)를 설치하여 케이스(21)의 구동부(40)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버(21d)에는 배터리(42)를 교체할 수 있도록 탈부착하는 배터리커버(21d)를 형성하여 커버(21d)를 케이스(21)에 결합한 상태에서 배터리커버(21d)를 해체하여 간단하게 배터리(42)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감지센서(41) 및 배터리(42)와 진동모터(43)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감지센서(41)는 배터리(42)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하고, 상기 감지센서(41)는 배터리(42)와 진동모터(43)를 연결하는 사이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연결되고 감지신호가 없어지면 단락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42b)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42b)는 케이스(21)의 커버(21d) 외부로 일부분 노출되어 사용자가 ON/OFF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위치(42b)를 ON 상태로 작동시킨 상태에서 감지센서(41)에 붓의 설치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스위치(42b)를 통해 배터리(42)의 전원이 진동모터(43)로 전달되며, 감지신호가 없어지면 스위치(42b)를 단락시켜 구동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42b)를 사용자가 OFF 상태로 작동시키면 감지센서(41)에 붓의 설치가 감지되더라도 스위치(42b)를 통해 배터리(42)의 전원이 진동모터(43)로 공급되지 않도록 세척장치(100)를 구성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통(10)을 형성하는 감지고리(12)의 중앙에는 결합공간(11)과 연통하는 센서홈(12c)을 형성한다.
상기 진동고리(13)의 중앙에는 결합공간(11)과 연통하는 진동홈(13c)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관구동부(20)의 구동부(40)는 세척통(10)의 센서홈(12c)에 삽입되어 감지고리(12)에 붓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단(41a)을 구비한 감지센서(41)를 형성한다.
상기 감지센서(41)의 하부로 감지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배터리(42)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42)의 하부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고리(13)의 진동홈(13c)에 삽입되어 편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는 진동모터(43)를 구성하는데, 상기 진동모터(43)에 연결되는 모터축(43a)에 편심되어 회전시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편심진동자(43b)를 형성하며, 상기 편심진동자(43b)의 전방에는 진동홈(13c)에 삽입 연결되는 진동축(43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홈(13c)은 진동축(43c)이 편심 회전하는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진동축(43c)이 진동홈(13c)의 내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더 큰 진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세척장치(100)은 세척통(10)에 세척하기 위한 붓의 감지를 통해 보관구동부(20)가 자동으로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력에 의해 붓을 진동시켜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척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00)의 보관구동부(20) 커버(21d)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선반(21e)의 상부에는 감지센서(41)를 설치하고, 제2선반(21f)의 상부에는 배터리(42)를 설치하며, 제3선반(21g)의 상부에는 진동모터(43)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감지센서(41) 및 배터리(42)와 진동모터(43)는 스위치(42b)에 각각 감지신호 수신 및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위해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42)가 교체형 일 경우에는 배터리커버(21d)를 개방하여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42)로 교체 후 배터리커버(21d)를 장착한 다음 보관구동부(20)의 케이스(21) 설치공간(21h)에 감지센서(41) 및 배터리(42)와 진동모터(43)를 삽입하면서 케이스(21)에 커버(21d)를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보관구동부(20)의 배터리(42)가 충전형일 경우에는 충전잭(42a)에 별도의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을 시행한다.
이후, 상기 보관구동부(20)의 보관부(30) 덮개(31)를 개방하고 세척통(10)을 접거나 말아서 보관공간(32)에 삽입하고 덮개(31)를 닫는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는 세척통(10)을 보관구동부(20)의 보관부(30)에 형성된 보관공간(32)에 세척통(10)을 가압하여 보관시킨 상태에서 세척통(10)을 꺼내어 붓을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세척장치(100)는 세척통(10)을 보관구동부(20)의 보관구동부(20)에 보관한 후 덮개(31)를 닫을 경우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간소화된 체적으로 휴대성 및 이동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100)를 붓 세척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관구동부(20)의 덮개(31)를 개방시킨 다음 보관되어진 세척통(10)을 꺼낸다.
이후, 상기 보관공간(32)에서 꺼내어진 세척통(10)은 탄성에 의해 자발적으로 펼쳐져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세척통(10)을 간단히 사용하는 단계로 전환시킬 수 있는 사용상 편의성을 지니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통(10)이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면 저장부(14)에 붓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한 후 보관구동부(20)를 결합하거나, 세척통(10)에 보관구동부(20)를 결합한 후 저장부(14)에 붓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는데 저장부(14)가 세척공간(17)과 비세척공간(18)이 분할된 경우에도 각각 세척수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서는 세척통(10)에 세척수를 우선 담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탈수부(50)를 세척통(10)의 일측 상부에 설치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세척통(10)의 저장부(14)에 세척수를 담고 결합공간(11)으로 보관구동부(20)를 결합시 케이스(21)의 전방면은 세척통(10)의 밀착단(10b)에 밀착시키고 커브단(10a)은 케이스(21)의 곡률단(21a)의 양 끝 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결합하고, 스위치(42b)를 ON 상태로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보관구동부(20)의 감지센서(41)는 감지고리(1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진동고리(13)는 진동모터(43)가 설치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는데, 이는 보관구동부(20)의 바닥면이 세척통(10)이 놓여진 설치면에 밀착되도록 결합공간(11)에 삽입하면 원하는 위치로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사용자는 붓(20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붓(200)의 솔(201) 부분은 진동고리(13)의 하부에 위치시키면서 붓(200)의 하부 부분을 진동고리(13)의 제2고리(13b)에 삽입 고정하고, 붓(200)의 상부 부분은 감지고리(12)의 제1고리(12b)에 삽입시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감지고리(12)에 붓(200)이 결합되면 감지센서(41)에 붓(200)이 감지되면서 감지센서(41)이 감지신호가 스위치(42b)로 전달되어 통전 작동으로 배터리(42)의 전원이 진동모터(43)로 전달되어 구동한다.
이렇게, 상기 진동모터(43)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은 모터축(43a)을 통해 편심진동자(43b)로 전달되어 편심 회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진동력이 보관구동부(20)를 통해 세척통(10)으로 전달된다.
특히, 상기 진동모터(43)가 설치된 지점에서 진동력이 가장 크게 발생되어 진동력이 세척통(10)의 밀착단(10b) -> 제2고리몸체(13a) -> 제2고리(13b) -> 붓(200)으로 전달되어 붓(200)에 타격력과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어 붓(200)의 솔(201)에 묻은 물감이나 페인트를 이탈시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세척시간은 사용자가 육안을 통해 붓(200)의 세척 여부를 판단하며 붓(200)의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후, 세척이 완료된 붓(200)은 상부 부분을 사용자가 잡고 감지고리(12)에서 이탈시킨 후 진동고리(13)에서 붓(200)의 하부 부분을 이탈시킨 후 비 세척공간(17)이 형성된 경우에는 비 세척공간(17)에 한번 더 세척을 시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세척이 완료된 붓(200)은 탈수부(50)를 이용할 경우 탈수프레임(52)을 세척통(10)의 상부 끝단 임의 지점에 결합하여 설치하고 롤러(51)의 사이로 솔(201)이 형성된 붓(200)의 윗 부분을 삽입한 상태에서 붓(200)을 상부로 당기면 롤러(51)가 함께 회전하면서 붓(200)의 솔(201)이 롤러(51)에 의해 가압되면서 물을 탈수하여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된 붓(200)은 솔(201)이 상부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31)를 개방한 상태에서 보관공간(32)에 붓(200)을 임시적으로 보관하면서 세척할 붓(200)과 세척한 붓(200)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고리(12)의 중앙에 센서홈(12c)이 형성된 경우에는 감지센서(41)의 센서단(41a)이 결합되어 붓(200)의 설치 여부를 좀더 민감하게 체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진동고리(13)의 중앙에 진동홈(13c)이 형성된 경우에는 진동축(43c)이 진동홈(13c)의 내면을 타격하여 더 큰 진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붓(200)의 세척 효과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장치(100)는 세척통(10)을 가압하여 보관구동부(20)의 보관공간(32)에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어 취급성과 보관성 및 휴대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는 붓(200)의 설치 여부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진동모터(43)의 진동력으로 자동방식으로 세척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세척을 위한 시간을 소비하지 않게 되어 작업의 연속성과 작업시간을 증대시켜 주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세척통 10a : 커브단
10b : 밀착단 11 : 결합공간
12 : 감지고리 12a : 제1고리몸체
12b : 제1고리 12c : 센서홈
13 : 진동고리 13a : 제2고리몸체
13b : 제2고리 13c : 진동홈
14 : 저장부 15 : 손잡이
15a : 힌지 16 : 분할판
17 : 세척공간 18 : 비세척공간
20 : 보관구동부 21 : 케이스
21a : 곡률단 21b : 직선단
21c : 개방공간 21d : 커버
21d' : 센서홀 21e : 제1선반
21f : 제2선반 21g : 제3선반
21h : 설치공간 30 : 보관부
31 : 덮개 32 : 보관공간
40 : 구동부 41 : 감지센서
41a : 센서단 41b : 감지단
42 : 배터리 42a : 충전잭
42b : 스위치 43 : 진동모터
43a : 모터축 43b : 편심진동자
43c : 진동축 50 : 탈수부
51 : 롤러 100 : 세척장치
200 : 붓 201 : 솔

Claims (9)

  1. 그림이나 페인팅용 붓을 세척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한 붓을 세척하는 동시에 붓의 수납 기능을 갖는 연질이며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세척통(10),
    상기 세척통(10)을 가압하여 보관하는 동시에 꺼내어 확장시킨 후 결합되어 세척할 붓의 설치 상태 감지 및 세척을 위한 진동력을 세척통(10)으로 전달하도록 발생시키는 보관구동부(20)로 형성하여,
    상기 세척통(10)에 세척하기 위한 붓의 감지를 통해 보관구동부(20)가 자동으로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력에 의해 붓을 진동시켜 세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10)은 'C' 형태로 일 측에는 보관구동부(20)가 감싸져 삽입하는 결합공간(11)을 형성하고,
    상기 세척통(10)의 타 측에는 붓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담겨지며, 내면 상부에는 붓의 상부 부분이 고정되는 감지고리(12)와 하부에는 붓의 하부 부분이 고정되는 진동고리(13)가 형성된 저장부(1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10)에는 손잡이(15)를 형성하며,
    상기 세척통(10)의 저장부(14)는 감지고리(12)와 진동고리(13)를 동일 구역에 위치하도록 분할판(16)으로 양분하여 세척공간(17)과 비세척공간(18)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구동부(20)는 세척통(10)의 결합공간(11)에 삽입되는 케이스(21)의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양분하여 일측에는 보관부(30)와 타측에는 구동부(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30)는 케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31)를 개방하면 세척통(10)을 가압시켜 보관하거나 붓을 거꾸로 세워 수납할 수 있는 보관공간(32)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세척통(10)의 감지고리(12)에 붓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센서(41)를 형성하고,
    상기 감지센서(41)의 하부로 감지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42)의 하부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고리(13)에 편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는 진동모터(4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고리(12)의 중앙에는 결합공간(11)과 연통하는 센서홈(12c)을 형성하며,
    상기 진동고리(13)의 중앙에는 결합공간(11)과 연통하는 진동홈(13c)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세척통(10)의 센서홈(12c)에 삽입되어 감지고리(12)에 붓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단(41a)을 구비한 감지센서(41)를 형성하고,
    상기 감지센서(41)의 하부로 감지센서(41)의 신호를 받아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배터리(42)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42)의 하부로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고리(13)의 진동홈(13c)에 삽입되어 편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는 진동모터(4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10)의 상부 일측에는 붓이 통과하며 물기를 제거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51)로 탈수부(50)를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붓 세척장치.
KR1020170018052A 2017-02-09 2017-02-09 자동 붓 세척장치 KR10176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52A KR101762128B1 (ko) 2017-02-09 2017-02-09 자동 붓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52A KR101762128B1 (ko) 2017-02-09 2017-02-09 자동 붓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128B1 true KR101762128B1 (ko) 2017-07-27

Family

ID=5942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52A KR101762128B1 (ko) 2017-02-09 2017-02-09 자동 붓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41B1 (ko) * 2019-09-05 2021-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브러시 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19B1 (ko) 2011-01-31 2012-12-31 김해림 붓 세척장치
KR101468112B1 (ko) 2013-04-30 2014-12-05 박순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WO2016130723A1 (en) 2015-02-10 2016-08-18 Frantsevich Erika V Cosmetic brush clean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19B1 (ko) 2011-01-31 2012-12-31 김해림 붓 세척장치
KR101468112B1 (ko) 2013-04-30 2014-12-05 박순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WO2016130723A1 (en) 2015-02-10 2016-08-18 Frantsevich Erika V Cosmetic brush cleaning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41B1 (ko) * 2019-09-05 2021-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브러시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0955B2 (en) Applicator tool cleaner and dryer
US8910645B2 (en) Apparatus for cleaning paint rollers and brushes
US11330899B2 (en) High capacity brush cleaner
KR101762128B1 (ko) 자동 붓 세척장치
JP6224510B2 (ja) 泡立器
US5887708A (en) Paint tray cover
CN107174182A (zh) 一种洗鞋机
US20190208900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cosmetic brushes
US20030192352A1 (en) Kneading ball for washing clothes by vibration
JP6344846B2 (ja) 泡立器
KR100773252B1 (ko) 욕실 청소기
KR101074631B1 (ko) 붓 세척 도구
CN108796950B (zh) 一种手持式衣物洗涤装置
KR20000020346U (ko) 페인팅장치
KR20210085221A (ko) 우산 건조장치
KR101775946B1 (ko) 초음파진동자를 구비한 휴대용 퍼프 세척용기
KR20210030119A (ko) 도포 부재 리필 화장품 용기
US10648111B2 (en) Stain removal device
CN217885951U (zh) 一种拖把清洗装置
WO2021190544A1 (zh) 一种运动洗衣桶
JPH1024184A (ja) 手動洗濯装置
US10427451B1 (en) Paint roller brush cleaning device
KR200482349Y1 (ko) 도배 풀칠기
CN208625644U (zh) 手持式洗鞋机
KR101611353B1 (ko) 미술용 복합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