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64Y1 -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 Google Patents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64Y1
KR200481964Y1 KR2020150005026U KR20150005026U KR200481964Y1 KR 200481964 Y1 KR200481964 Y1 KR 200481964Y1 KR 2020150005026 U KR2020150005026 U KR 2020150005026U KR 20150005026 U KR20150005026 U KR 20150005026U KR 200481964 Y1 KR200481964 Y1 KR 200481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hank
hole
tip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대환
Original Assignee
석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대환 filed Critical 석대환
Priority to KR2020150005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Abstract

본 고안은 코어드릴용 천공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는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코어드릴에 연결되는 드릴연결부; 상기 드릴연결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 형태의 생크; 상기 생크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절삭작업을 행하는 팁; 상기 생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생크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연장되게끔 형성되는 분진배출공; 상기 팁과 상기 분진배출공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팁 주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분진배출공으로 유도하는 분진유도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어드릴용 코어비트{Core bit For Core Drill}
본 고안은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멍뚫기 작업을 행할 때 절삭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는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코어비트는 코어드릴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건물의 벽면에 구멍뚫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이다. 뚫고자 하는 구멍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코어비트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코어비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에 연결되는 드릴연결부(1)와, 이 드릴연결부(1)와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 형태의 생크(2, shank)와, 생크(2)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인 절삭작업을 행하는 고경도 팁(3, tip)으로 이루어진다. 드릴연결부(1)를 통해 코어드릴에 연결한 뒤 이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통해 생크의 팁(3)이 가공면에 마찰되면서 구멍뚫기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생크(3)에는 나선형태로 된 기다란 분진배출공(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분진배출공(4)은 생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2개 정도가 마련되며 분진을 후방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어비트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구멍뚫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후방의 쉽게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가공면으로의 전진이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된다. 비록 분진배출공(4)이 있어 어느 정도 분진을 후방으로 배출할 수는 있어도 분진배출공(4)의 길이가 생크(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될 수 없는 것이므로 분진의 배출이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있는 분진이 분진배출공(4)과 팁(4) 사이의 공간에 체류함으로써 팁(3)이 분진에 의해 끼여 원활히 회전되지 못하며 드릴에 부하가 많이 걸림으로써 드릴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천공작업도 어려워지고 작업의 효율성도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51085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8884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어드릴용 코어비트를 이용한 천공작업시 절삭부위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원활하게 코어비트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팁에 회전저항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드릴에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하며 천공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코어드릴용 코어비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건물의 벽체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어드릴에 연결되는 드릴연결부;
상기 드릴연결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 형태의 생크(shank);
상기 생크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절삭작업을 행하는 팁;
상기 생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생크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연장되게끔 형성되는 분진배출공;
상기 팁과 상기 분진배출공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팁 주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분진배출공으로 유도하는 분진유도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진유도공은 상기 생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분진유도공은 상기 분진배출공의 경사각도와 같은 각도의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생크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상기 분진유도공과 분진배출공 사이의 거리가 5 ~ 10mm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존에 마련되어 있던 분진배출공과 절사작업을 수행하는 비트 사이에 분진유도공이 마련됨으로써 비트에서 발생된 분진이 분진배출공으로 안내되어 생크의 후방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로써 비트와 분진배출공 사이에 분진이 끼어 비트가 회전되지 못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드릴의 수명연장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의 전개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코어드릴용 코어비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코어드릴(D)용 코어비트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100)에 구멍을 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구멍을 통해 에어컨 배관 등 각종 배관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건물의 벽체(100)의 소재에 따라 코어비트의 팁(30)의 재질이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즉 팁(30) 등의 형태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드릴연결부(10)는 코어비트를 코어드릴(D)에 연결하기 위하여 코어비트 상단에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드릴연결부(10)는 암나사(11)를 제공하기 위한 너트 형태로 되어 있다. 코어드릴(D)의 회전축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 형태의 드릴연결부(10)에 나사결합식으로 체결된다.
원통 형태의 생크(20)는 드릴연결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생크(20)의 길이는 천공하고자 하는 벽체(100)의 두께에 대응된다. 생크(20)의 외면에는 물결무늬 형태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삭작업을 행하는 팁(30)이 생크(20)의 선단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있다. 팁(30)은 초경 또는 다이아몬드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경도를 가지게 된다. 분진배출공(21)이 생크(20)의 원주방향을 따라 2개 이상 마련된다. 분진배출공(21)은 생크(20)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연장되게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180°간격으로 2개의 분진배출공(21)이 마련되고 있다. 분진배출공(21)의 후단은 드릴연결부(1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선단은 팁(30)에서부터 소정 간격(D)을 두고 있다.
분진배출공(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A1)로 경사지게 마련되는데, 이는 코어비트의 회전시 나선원리에 의해 분진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전단하중을 심하게 받게 되는 생크(20)의 강도의 유지를 위한 것이다. 이 각도(A1)는 5 ~ 20°가 적당하다. 분진배출공(21)의 폭(W')과 길이(L')는 분진이 빠져나오기 용이하며 생크(20)의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에서 결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팁(30)과 상기 분진배출공(21) 사이의 공간에 분진유도공(40)이 마련된다. 분진유도공(40)은 팁(30) 주변에서 발생하여 맴돌고 있는 분진을 분진배출공(21)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분진의 발생지점에서 분진배출공(21)까지 분진을 연계하여 주는 것이다.
분진유도공(40)은 도 2의 확대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팁(30)의 좌우측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분진유도공(40)이 제공하는 공간을 통해 화살표(K) 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즉 분진유도공(40)은 분진이 생크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유동성을 높여 상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진유도공(40)은 원통 형태의 생크(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있다.
분진유도공(40)은 생크(20)의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분진유도공(40)은 장공 형태로 마련되고 있으며 복수 개가 마련되고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분진유도공(40)은 생크(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가 마련되고 있다.
분진유도공(40)의 폭(W)은 분진배출공(21)의 폭(W')에 대하여 80 ~110%의 범위에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너무 좁으면 분진 배출량이 적을 것이고 너무 넓으면 생크(20)의 강성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분진유도공(40)의 양 단부는 노치효과를 줄이기 위하여 반원 형태로 되어 있다.
분진유도공(40)은 전개 구성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배출공(21)의 경사각도(A1)와 같은 각도(A2)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분진유도공(40)과 분진배출공(21) 사이의 수직거리(M, 생크(20)의 길이방향을 따른 거리)는 5 ~ 10mm 가 바람직하다. 분진의 배출용이성과 생크(20)의 강도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드릴연결부 20 : 생크
21 : 분진배출공 30 : 팁
40 : 분진유도공 100 : 벽체

Claims (4)

  1. 건물의 벽체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코어드릴에 연결되는 드릴연결부;
    상기 드릴연결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 형태의 생크;
    상기 생크의 선단 외주면에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절삭작업을 행하는 팁;
    상기 생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생크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나선형태로 연장되게끔 형성되는 분진배출공;
    상기 팁과 상기 분진배출공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팁 주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분진배출공으로 유도하는 분진유도공;
    을 포함하되;
    상기 분진유도공은 상기 생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분진유도공은 상기 생크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분진이 상기 생크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분진유도공은 상기 분진배출공의 경사각도와 같은 각도의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장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생크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상기 분진유도공과 분진배출공 사이의 거리가 5 ~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5026U 2015-07-27 2015-07-27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KR200481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26U KR200481964Y1 (ko) 2015-07-27 2015-07-27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26U KR200481964Y1 (ko) 2015-07-27 2015-07-27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964Y1 true KR200481964Y1 (ko) 2016-12-01

Family

ID=5757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26U KR200481964Y1 (ko) 2015-07-27 2015-07-27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68B1 (ko) * 2017-08-24 2018-12-17 정진희 코코넛 천공용 드릴
CN117381631A (zh) * 2023-10-31 2024-01-12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水电管路布设开槽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085A (ko) 1999-01-18 2000-08-16 원두신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사기제품의 제조방법
KR20020017616A (ko) * 2000-08-31 2002-03-07 김종일 건식 코어드릴용 비트
KR20020067856A (ko) * 2001-02-19 2002-08-24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코어 드릴
KR20120088842A (ko) 2004-10-13 2012-08-0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밀폐된 유리 패키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085A (ko) 1999-01-18 2000-08-16 원두신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사기제품의 제조방법
KR20020017616A (ko) * 2000-08-31 2002-03-07 김종일 건식 코어드릴용 비트
KR20020067856A (ko) * 2001-02-19 2002-08-24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코어 드릴
KR20120088842A (ko) 2004-10-13 2012-08-0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밀폐된 유리 패키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68B1 (ko) * 2017-08-24 2018-12-17 정진희 코코넛 천공용 드릴
CN117381631A (zh) * 2023-10-31 2024-01-12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水电管路布设开槽装置及其工作方法
CN117381631B (zh) * 2023-10-31 2024-04-02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房建水电管路布设开槽装置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6877B2 (ja) ドリル
US10940545B2 (en) Drill bit, such as an auger drill bit, and method therefore
NO329814B1 (no) Gjengefreseverktoy med spiralriller
JP2012522149A (ja) テーパピンを備えた拡張可能な複数溝リーマ
KR200481964Y1 (ko) 코어드릴용 코어비트
JP2002120220A (ja) 削岩ドリル
CN101451426A (zh) 一种钻头
CN106794530B (zh) 钻孔工具、尤其是铰刀
JP2020519464A (ja) ドリル本体およびドリル
JP4088271B2 (ja) 切削工具
US6675917B2 (en) Twist drill bit for rock drilling
JP5301452B2 (ja) スパイラルタ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32492A1 (en) Auger
JP5184282B2 (ja) コアビット
US20080138165A1 (en) Drill bit
WO2015047408A3 (en) Clad hardfacing application on downhole cutting tools
JP4969255B2 (ja) ドリルユニット並びにそのドリルユニットに使用されるドリル及びホルダ
JP2010144506A (ja) 削岩機用ドリルヘッド
WO2020082977A1 (zh) 支罗钻
US10047564B2 (en) Rotary percussive piloted rock drill bit
JP2020519467A (ja) ドリル本体およびドリル
DE102008051573A1 (de) Spanleitform für rotationssysmmetrische Schneidwerkzeuge
US10385620B2 (en) Rotary percussive piloted rock drill bit
EP2735746A1 (en) Screw, assembly, and method of screwing a screw in an object
TWI597117B (zh) Drilling ta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7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24

Effective date: 201610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