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44Y1 -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 Google Patents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44Y1
KR200481844Y1 KR2020140007032U KR20140007032U KR200481844Y1 KR 200481844 Y1 KR200481844 Y1 KR 200481844Y1 KR 2020140007032 U KR2020140007032 U KR 2020140007032U KR 20140007032 U KR20140007032 U KR 20140007032U KR 200481844 Y1 KR200481844 Y1 KR 200481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block
clip
hole
fastening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112U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2020140007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4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이 개시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벽면(W)에 박히고 상부에 피스(P)가 인입되는 인입구멍(11)을 갖는 칼블럭(10)을 포함하고, 상기 칼블럭(10)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2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클립(20)은, 상기 칼블럭(10)의 인입구멍(11)에 대응되는 피스체결구멍(21)이 통공된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로부터 연장되고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포설부(23)와; 상기 포설부(2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4)와; 상기 연장부(24)의 하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블럭(10)이 끼워지는 끼움구멍(25)이 통공되는 끼움부(26)와; 상기 끼움구멍(25)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구멍(25)에 끼워지는 칼블럭(10)의 상단이 안착지지되는 경사부(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concrete anchor with clip}
본 고안은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등의 고정하고자 하는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하는 클립이 칼블럭과 끼움결합되어 벽면에 고정피대상물의 고정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명 칼블럭이라 불리우는 앙카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칼블럭은, 대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피스 등이 박혀지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피스 등이 박혀지는 구멍이 통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칼블럭을 이용하여 종래 콘크리트 벽면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하는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하고자 하는 벽면에 칼블럭을 박기 위한 구멍을 드릴 등으로 천공한 다음, 천공된 구멍에 칼블럭을 박은 후 칼블럭에 피스를 체결하는 바, 이 때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클립을 칼블럭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피스를 이용하여 클립과 칼블럭을 박음으로써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칼블럭을 이용하여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할 때 별도의 클립으로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포설한 상태에서 클립을 칼블럭에 피스로 체결 고정하는 바, 이와 같이 별도의 클립을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에 포설한 상태에서 벽면에 박혀 있는 칼블럭에 피스로 클립을 고정함으로써 칼블럭을 콘크리트 벽면에 박는 작업과 클립을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에 포설하는 작업과 고정피대상물이 포설된 클립을 다시 피스를 이용하여 칼블럭에 체결고정하는 작업 등의 여러 번의 작업을 거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칼블럭과 클립이 각각 따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이 포설된 클립을 칼블럭에 맞춘 상태에서 피스로 클립과 칼블럭을 체결하는 작업이 어렵고 특히, 피스로 클립과 칼블럭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피스를 전동공구 또는 드라이버로 고정할 때 클립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콘크리트 벽면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이 고르게 고정되지 않고 삐뚤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칼블럭과 클립이 각각 따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칼블럭과 클립을 각각 따로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보관에 있어서도 각각 따로 보관해야 함으로써 보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49416호인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면에 드릴로 구멍이 형성되면 이 구멍에 삽입 고정되고 몸체 내부로 나사못이 나사 결합되는 칼블럭에 있어서, 상기 칼블럭 몸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몸체중 한쪽면을 수직 방향으로 완전 천공하여 개방홈을 형성함으로써, 칼블럭의 직경이 자유롭게 수축확장되게 하며, 몸체 외주면에는 역걸림턱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칼블럭의 외주면 한쪽이 수직방향으로 완전 천공되는 개방홈을 형성한 후, 사용 시 이 개방홈을 통하여 칼블럭의 직경이 축소되어 콘크리트 구멍에 간편하게 삽입되게 하고, 삽입된 후에는 나사못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면서 구멍과 밀착되게 하여 시공 시 지지력이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쉽게 콘크리트 구멍에서 칼블럭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칼블럭을 먼저 콘크리트 벽면에 박은 후 박혀진 칼블럭에 나사못 등의 피스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체결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칼블럭과 칼블럭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맞지 않을 경우 시설물을 체결 고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간격이 맞지 않은 칼블럭을 다시 콘크리트 벽면에 박아야 하는 추가작업이 진행될 수 밖에 없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면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할 때 작업성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보관성 및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49416호(2004.04.26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00-0010762호(2000.06.26 공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면에 박혀지는 칼블럭의 상부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고정하는 클립이 칼블럭과 끼움결합되어 칼블럭과 클립을 따로 고정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칼블럭과 클립의 보관성 및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는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은, 콘크리트 벽면에 박히고 상부에 피스가 인입되는 인입구멍을 갖는 칼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칼블럭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이 더 구비되되, 상기 클립은, 상기 칼블럭의 인입구멍에 대응되는 피스체결구멍이 통공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포설부와; 상기 포설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블럭이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통공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구멍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칼블럭의 상단이 안착지지되는 경사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칼블럭은, 상부에 피스가 인입되는 인입구멍과; 외주면에 콘크리트 벽면에 인입될 때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편들과; 상기 클립의 경사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는 안착부와; 콘크리트 벽면 내측으로 인입될 때 수축되고 인입된 후 피스가 체결될 때 벌어지는 절개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면에 박혀지는 칼블럭의 상부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이 고정되는 클립이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면에 대한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의 고정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클립과 칼블럭이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과 칼블럭을 따로 구비하거나 휴대하거나 보관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성 및 보관성이 용이하며 콘크리트 벽면에 칼블럭을 박은 후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을 바로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어 고정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의 클립과 칼블럭의 결합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의 클립과 칼블럭의 결합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이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이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이 콘크리트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의 클립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은, 콘크리트 벽면(W)에 박히고 상부에 피스(P)가 인입되는 인입구멍(11)을 갖는 칼블럭(10)을 포함하고, 상기 칼블럭(10)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2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20)은, 상기 칼블럭(10)의 상부에 이 칼블럭(10)과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칼블럭(10)과 클립(20)이 끼움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종래 클립과 칼블럭을 각각 구비하거나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칼블럭(10)은 콘크리트 벽면(W)의 내부로 인입되어 박히는 것이고 상기 클립(20)은 콘크리트 벽면(W)에 노출된 상태로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칼블럭(10)과 클립(20)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20)은, 상기 칼블럭(10)의 인입구멍(11)에 대응되는 피스체결구멍(21)이 통공된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로부터 연장되고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포설부(23)와, 상기 포설부(2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4)와, 상기 연장부(24)의 하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블럭(10)이 끼워지는 끼움구멍(25)이 통공되는 끼움부(26)와, 상기 끼움구멍(25)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구멍(25)에 끼워지는 칼블럭(10)의 상단이 안착지지되는 경사부(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포설부(23)는 상기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부를 감싸 포설하는 것으로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포설부(22) 역시 원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고안은, 먼저 콘크리트 벽면(W)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구멍을 천공한 다음, 상기 칼블럭(10)을 콘크리트 벽면(W)에 박아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칼블럭(10)과 클립(20)이 서로 끼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칼블럭(10)을 콘크리트 벽면(W)에 박으면 클립(20)은 자연스럽게 콘크리트 벽면(W)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20)은 상기 콘크리트 벽면(W)으로부터 노출된다.
이와 같이 칼블럭(10)이 콘크리트 벽면(W)에 박힌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면(W)으로부터 노출된 클립(20)의 포설부(23)의 내측으로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을 인입한 후 상기 체결부(22)를 칼블럭(10)의 상부측으로 위치하면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부가 포설부(23)에 의해 감싸지면서 포설된다.
이와 같이 고정피대상물(101)이 포설부(23)에 의해 포설되면 상기 체결부(22)의 내측에 통공되고 상기 칼블럭(10)의 인입구멍(11)과 대응되는 피스체결구멍(21)에 피스(P)를 인입하여 피스체결구멍(21)과 인입구멍(11)을 체결 고정한다.
이 때, 상기 피스체결구멍(21)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인입구멍(11)에 체결되는 피스(P)는 상기 칼블럭(10)의 내부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되기 때문에 피스(P)를 체결함에 전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작업공정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을 콘크리트 벽면(W)에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이 고정되는 클립(20)이 칼블럭(10)에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삐뚤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상기 칼블럭(10)은, 상부에 피스(P)가 인입되는 인입구멍(11)과, 외주면에 콘크리트 벽면(W)에 인입될 때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편(12)들과, 상기 클립(20)의 경사부(27)에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부(27)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는 안착부(13)와, 콘크리트 벽면(W) 내측으로 인입될 때 수축되고 인입된 후 피스(P)가 체결될 때 벌어지는 절개부(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벽면(W)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개부(14)에 의해 일시 수축되었다가 콘크리트 벽면(W)에 완전히 인입된 후 피스(P)가 체결될 때 상기 복수개의 밀착편(12)들이 콘크리트 벽면(W)측으로 벌어지면서 밀착될 수 있어 체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피스(P)가 체결될 때 상기 복수개의 밀착편(12)들이 콘크리트 벽면(W)측으로 밀착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피스체결구멍(21)으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인입구멍(11)에 체결되는 피스(P)가 상기 칼블럭(10)의 내부측으로 인입되면서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개부(14)에 의해 복수개의 밀착편(12)들이 콘크리트 벽면(W)측으로 벌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포설부(23)는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면과 동일한 원형으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설부(23)는, 상기 체결부(22)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형의 제1포설부(231)와, 상기 제1포설부(231)로부터 연장되는 꺾임부(232)와, 상기 꺾임부(23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포설부(321)와 대응되는 호형의 제2포설부(233)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포설부(231)와 제2포설부(233)로 포설부(23)가 구비되더라도 호형의 제1포설부(231)와 제2포설부(233)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부를 감싸 포설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22)를 칼블럭(10)의 인입구멍(11)측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제2포설부(233)가 접어지면서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부가 감싸지는 것으로, 상기 꺾임부(232)에 의해 제1포설부(231)와 제2포설부(233)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포설부(233)가 접어져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부를 감싸 포설함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상기 클립(20)의 체결부(22) 하단에 상기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끼움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P)를 상기 체결부(22)에 인입하여 체결하기 전에 상기 끼움부(30)을 먼저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하여 끼움에 따라 상기 체결부(22)가 칼블럭(10)의 상부에 대해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피스(P)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30)의 외면에는 체결돌부(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부(31)가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홈부(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으로 상기 끼움부(30)가 인입되어 끼워질 때 상기 체결돌부(31)가 체결홈부(32)에 끼워지기 때문에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진 끼움부(30)가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칼블럭 11 : 인입구멍
12 : 밀착편 13 : 안착부
14 : 절개부 20 : 클립
21 : 피스체결구멍 22 : 체결부
23 : 포설부 24 : 연장부
25 : 끼움구멍 26 : 끼움부
27 : 경사부 30 : 끼움부
31 : 체결돌부 32 : 체결홈부
101 : 고정피대상물 231 : 제1포설부
232 : 꺾임부 233 : 제2포설부
P : 피스 W : 콘크리트 벽면

Claims (5)

  1. 콘크리트 벽면(W)에 박히고 상부에 피스(P)가 인입되는 인입구멍(11)을 갖는 칼블럭(10)을 포함하고,
    상기 칼블럭(10)에 끼움 결합되는 클립(2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클립(20)은,
    상기 칼블럭(10)의 인입구멍(11)에 대응되는 피스체결구멍(21)이 통공된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로부터 연장되고 전선 등의 고정피대상물(101)의 외면을 덮어 포설하는 포설부(23)와;
    상기 포설부(2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4)와;
    상기 연장부(24)의 하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칼블럭(10)이 끼워지는 끼움구멍(25)이 통공되는 끼움부(26)와;
    상기 끼움구멍(25)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구멍(25)에 끼워지는 칼블럭(10)의 상단이 안착지지되는 경사부(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블럭(10)은,
    상부에 피스(P)가 인입되는 인입구멍(11)과;
    외주면에 콘크리트 벽면(W)에 인입될 때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편(12)들과;
    상기 클립(20)의 경사부(27)에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부(27)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는 안착부(13)와;
    콘크리트 벽면(W) 내측으로 인입될 때 수축되고 인입된 후 피스(P)가 체결될 때 벌어지는 절개부(1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부(23)는,
    상기 체결부(22)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형의 제1포설부(231)와;
    상기 제1포설부(231)로부터 연장되는 꺾임부(232)와;
    상기 꺾임부(23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포설부(231)와 대응되는 호형의 제2포설부(23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20)의 체결부(22) 하단에는 상기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끼움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0)의 외면에는 체결돌부(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칼블럭(1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부(31)가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홈부(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KR2020140007032U 2014-09-26 2014-09-26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KR200481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032U KR200481844Y1 (ko) 2014-09-26 2014-09-26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032U KR200481844Y1 (ko) 2014-09-26 2014-09-26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12U KR20160001112U (ko) 2016-04-05
KR200481844Y1 true KR200481844Y1 (ko) 2016-11-29

Family

ID=5579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032U KR200481844Y1 (ko) 2014-09-26 2014-09-26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6913B (zh) * 2020-09-08 2021-10-26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漳州供电公司 一种泄漏电缆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416Y1 (ko) 2004-01-26 2004-05-04 김점식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762U (ko) 1998-11-26 2000-06-26 구자홍 유선 리모콘 연결용 전선의 고정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416Y1 (ko) 2004-01-26 2004-05-04 김점식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12U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5826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
JP5847977B1 (ja) アンカー杭、及びその設置方法
EP3115519A1 (en) Fast installation structure on faucet table
JP2016536539A (ja) 管支持システム及びその周辺装置の改良
FI121756B (fi) Menetelmä ja laite hanan kiinnittämiseksi kiinnitysalustaan
KR200481844Y1 (ko) 클립이 구비된 칼블럭
US71919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recessed lighting fixture
KR20160001111U (ko) 클립 일체형 칼블럭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CN106463922B (zh) 管形部件以及可嵌入的电盒
CN109654092B (zh) 用于零件的固定装置
JP5004063B2 (ja) 配線孔開穿支持具
RU270002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устройствах, образующих соединение
JP2015010380A (ja) タイル構造体、及びタイル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0203097A (ja) 壁面ボルト固定部材とその取り付け工法
US11168472B2 (en) Profile rail end cap with nail holder
KR20120113095A (ko) 천장용 단자함
RU2020125403A (ru) Узел установки крышки
US20120282058A1 (en) Anchor Rod
KR20110008622U (ko) 라인밸브 및 스프링쿨러용 고정구
CN218648529U (zh) 密封电气暗盒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CN206976207U (zh) 搅拌机按钮开关的连接结构
US20230353918A1 (en) Quick connect speaker assembl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7159232A (ja) 住宅用分電盤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