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65Y1 -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65Y1
KR200481765Y1 KR2020150005480U KR20150005480U KR200481765Y1 KR 200481765 Y1 KR200481765 Y1 KR 200481765Y1 KR 2020150005480 U KR2020150005480 U KR 2020150005480U KR 20150005480 U KR20150005480 U KR 20150005480U KR 200481765 Y1 KR200481765 Y1 KR 200481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vehicle
side gear
wire
penet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2020150005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60Q3/02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본체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지지부재 및 상기 블랙박스 본체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 전원부는 블랙박스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전선과, 상기 제1전선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차량의 천정에 형성되는 실내등장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

Description

블랙박스 장치{Black box device}
본 고안의 실시례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에 장착되는 블랙박스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는 연결장치가 포함된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는 차량이나 비행기에 장착되어 운행 중 발생되는 환경 변화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블랙박스는 원래 비행기에 장착되어 비행기 사고시 그 원인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자동차 또는 기타 운송수단에도 장착되어 운전자의 운전 조작에 대한 정보 및 특정 사고 당시의 주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블랙박스는 차량 내부의 룸미러 본체 근처나 대시 보드 위에 주로 설치되며, 차량 전방, 후방 또는 전후방 모두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블랙박스는 교통 사고 발생시에 사건 현장의 기록을 정확하게 보관하고 있어 피해자와 가해자가 주장하는 내용의 진위를 파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블랙박스는 운전자가 별도로 구입하여 차량에 장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블랙박스에 전원을 전달하는 배선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블랙박스 장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블랙박스가 차량 내부의 룸미러 본체 근처나 대시 보드 위에 설치될 경우에는, 차량과 블랙박스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복잡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에 의해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7737호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배선이 간단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본체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지지부재 및 상기 블랙박스 본체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 전원부는 블랙박스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전선과, 상기 제1전선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차량의 천정에 형성되는 실내등장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실내등장치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실내등장치까지 형성된 제2전선과, 상기 제2전선의 일부가 분할 연장 형성되는 제3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3전선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내등장치에 형성되는 개방도어와, 상기 개방도어에 제1전선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제1전선이 위치되는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본체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저장하는 동영상 주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저장스위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지지부재는 차량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차량고정부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고정부 및, 상기 차량고정부와 블랙박스고정부 사이에 블랙박스 본체를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방향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첫째, 블랙박스 장착시에 별도의 배선 연결 작업을 진행할 필요없이 블랙박스에 형성된 잭을 차량 내부 천정에 형성된 커넥터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어 배선이 간단하고,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용이하게 잭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둘째,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력 공급을 위한 전선 연결이 간단하며, 미관상으로도 미려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블랙박스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블랙박스 본체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블랙박스 지지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b)에 도시된 상하회전부재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b)에 도시된 상하회전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블랙박스 장치의 블랙박스 전원부에 대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블랙박스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의 (a)는 도 2의 블랙박스 본체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블랙박스 지지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인 블랙박스 장치(120)는 차량(10)의 외부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본체(122)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122)를 차량(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지지부재(210) 및 블랙박스 본체(122)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 전원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박스 본체(122)는 차량(10)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124)와, 상기 카메라(124)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메모리부(126)와, 상기 메모리부(126)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28)와,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저장하는 동영상 주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저장스위치(125) 및, 디스플레이부(128)를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스위치(1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블랙박스 지지부재(210)는 차량(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차량고정부(212)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122)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고정부(222) 및, 상기 차량고정부(212)와 블랙박스고정부(222) 사이에 블랙박스 본체(122)를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방향조절유닛(2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고정부(212)는 일측이 차량(10)의 천정(130)에 고정되고, 타측은 방향조절유닛(232)와 연결된다.
상기 블랙박스고정부(222)는 전후가 개방된 4각 프레임 형상이며, 내부에 블랙박스 본체(122)가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상부고정홈(225)과 하부고정홈(227)이 형성된다.
상기 블랙박스 본체(122)에는 상기 상부고정홈(225)에 결합되는 상부돌기부재(135)와, 하부고정홈(227)에 결합되는 하부돌기부재(137)가 형성된다.
상기 방향조절유닛(232)은 블랙박스고정부(222)를 감싸는 형태로 블랙박스고정부(222)의 외측에 4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상하지지부재(238)와 상하회전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지지부재(238)는 양측에 프랜지가 형성된 봉형상이며, 봉형상의 몸체는 방향조절유닛(232)의 측공과 블랙박스고정부(222)의 측공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하지지부재(238)는 상하회전부재(240)와 함께 블랙박스고정부(222)가 방향조절유닛(232)의 중간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4의 (a)는 도 3의 (b)에 도시된 상하회전부재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b)에 도시된 상하회전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상하회전부재(240)는 블랙박스고정부(222)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어형상의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과, 방향조절유닛(232)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과, 상기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과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을 모두 관통하며 둘레에는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과 치합하는 제1기어돌기(242a)와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과 치합하는 제2기어돌기(252a)가 외측에 형성된 회전봉부재(270)를 포함한다.
제1기어돌기(242a)와 제2기어돌기(252a) 사이에는 기어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중간부분(262a)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봉부재(270)의 양단에는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과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부(272, 27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의 측방에 위치된 제1플랜지부(272)와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의 둘레에는 스프링부재(276)가 형성되어 제1플랜지부(272)와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스프링부재(276)에 의해 제1플랜지부(272)가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제1기어돌기(242a)는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에 치합된 상태이고, 제2기어돌기(252a)는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에 치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제2플랜지부(274)를 당겨 제1플랜지부(272)가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1기어돌기(242a)는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에 치합된 상태이고, 제2기어돌기(252a)는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제2플랜지부(274)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돌기(242a)만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과 치합된 상태이므로 블랙박스고정부(222)만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방향조절유닛(232)은 회전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제2플랜지부(274)를 회전시킨 후에 놓으면 스프링부재(276)의 복원력에 의해 제2기어돌기(252a)는 제2측부기어관통공(232a)에 치합되며, 제1플랜지부(272)는 제1측부기어관통공(222a)에서 이격된다.
본 고안은 상하회전부재(240)를 통하여 블랙박스고정부(22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블랙박스 본체(122)의 상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 전원부(310)는 블랙박스 본체(122)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전선(312)과, 상기 제1전선(312)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단자(314)와, 상기 연결단자(314)가 인입될 수 있도록 차량(10)의 천정(130)에 형성되는 실내등장치(410)의 커넥터(3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등장치(410)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도 1에 도시된 차량(10)의 배터리(50)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실내등장치(410)까지 제2전선(317)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전선(317)은 차량(10)의 실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량(10)의 천정(13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316)는 제2전선(317)의 일부 분할 연장 형성되는 제3전선(319)과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316)는 블랙박스 본체(122)가 위치되는 차량(10) 전방 유리의 상부와 인접한 천정(13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실내등장치(4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내등장치(410)는 차량(10)의 천정(130)에 1개 이상이 형성되며, 본 고안에서 커넥터(316)가 형성되는 실내등장치(410)는 차량(10) 전방 유리에 인접한다.
도 5는 본 고안인 블랙박스 장치의 블랙박스 전원부에 대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는 블랙박스 전원부(310)의 연결단자(314)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커넥터(316)와 연결되는 경우에 탑승자에게 미관상 좋지 않은 인상을 주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된다.
차량(10)의 실내등장치(410)에는 전면에 개방도어(413)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도어(413)에는 개방도어(413)가 닫힌 경우에도 제1전선(312)이 위치되도록 오목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425)에는 제1전선(312)이 위치되는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27)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27)에 의해 전선이 오목부(425)에 충돌되어 발생되는 미세한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개방도어(413)는 힌지부가 형성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가능하다.
그리고 개방도어(413)의 내측 공간에는 연결단자(3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316)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례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례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례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차량 120: 블랙박스 장치
122: 블랙박스 본체 124: 카메라
125: 저장스위치 126: 메모리부
127: 디스플레이스위치 128: 디스플레이부
135: 상부돌기부재 137: 하부돌기부재
210: 블랙박스 지지부재 212: 차량고정부
222: 블랙박스고정부 222a: 제1측부기어관통공
232: 방향조절유닛 232a: 제2측부기어관통공
238: 상하지지부재 240: 상하회전부재
272: 제1플랜지부 310: 블랙박스 전원부
314: 연결단자 410: 실내등장치

Claims (5)

  1. 차량의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본체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블랙박스 지지부재 및
    상기 블랙박스 본체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 전원부는,
    상기 블랙박스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전선과, 상기 제1전선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차량의 천정에 형성되는 실내등장치의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박스 지지부재는,
    차량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차량고정부와, 상기 블랙박스 본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블랙박스고정부와, 상기 차량고정부와 블랙박스고정부 사이에 블랙박스 본체를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방향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조절유닛은 상기 블랙박스고정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상하지지부재와 상하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지지부재는 양측에 프랜지가 형성된 봉형상이며, 봉형상의 몸체는 방향조절유닛의 측공과 블랙박스고정부의 측공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상하회전부재는,
    상기 블랙박스고정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기어형상의 제1측부기어관통공과,
    상기 방향조절유닛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측부기어관통공과,
    상기 제1측부기어관통공과 제2측부기어관통공을 모두 관통하며, 둘레에는 제1측부기어관통공과 치합하는 제1기어돌기와 제2측부기어관통공과 치합하는 제2기어돌기가 외측에 형성된 회전봉부재; 및
    상기 제1측부기어관통공의 측방에 위치된 제1플랜지부와 제1측부기어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장치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실내등장치까지 형성된 제2전선과,
    상기 제2전선의 일부가 분할 연장 형성되는 제3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3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장치에 형성되는 개방도어와,
    상기 개방도어에 제1전선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제1전선이 위치되는 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본체는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저장하는 동영상 주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저장스위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
  5. 삭제
KR2020150005480U 2015-08-17 2015-08-17 블랙박스 장치 KR200481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80U KR200481765Y1 (ko) 2015-08-17 2015-08-17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80U KR200481765Y1 (ko) 2015-08-17 2015-08-17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765Y1 true KR200481765Y1 (ko) 2016-11-07

Family

ID=5748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80U KR200481765Y1 (ko) 2015-08-17 2015-08-17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626A (zh) * 2018-12-19 2019-04-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行车记录仪电源接口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37A (ko) 2010-01-27 2011-08-03 고만석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카메라 연결장치
KR20130042923A (ko) * 2011-10-19 2013-04-29 박철 차량용 블랙박스 연결이 가능한 룸미러 모듈
KR101493441B1 (ko) * 2014-02-25 2015-02-16 주식회사 이디아이 차량용 블랙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37A (ko) 2010-01-27 2011-08-03 고만석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카메라 연결장치
KR20130042923A (ko) * 2011-10-19 2013-04-29 박철 차량용 블랙박스 연결이 가능한 룸미러 모듈
KR101493441B1 (ko) * 2014-02-25 2015-02-16 주식회사 이디아이 차량용 블랙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3626A (zh) * 2018-12-19 2019-04-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行车记录仪电源接口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4225B (zh) 汽车的左右后方视野确保装置
JP6363424B2 (ja) 後方視認装置
JP2009527409A (ja) 自動車内に取付けるための機器ホルダ
WO2017177716A1 (en) Image display method, vehicle display device, vehicle sun visor, and related vehicle
JP2004352239A (ja) テレビジョンモニターを装備した車両シートバック及びこうしたシートバックを含む車両シート
JP6205644B2 (ja) 車両用サイドカメラ装置
US9718408B2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US20180304820A1 (en) Vehicle-mounted video projector
KR200481765Y1 (ko) 블랙박스 장치
CN113696822A (zh) 包括可在展开位置与缩回位置之间移动的获取装置的车辆可视化系统
JPH02144239A (ja) 車載用監視カメラの取付装置
JP5615341B2 (ja) ドーム型監視カメラ
US20160185296A1 (en) Vehicle black box mountable on rear-view mirror support
JP2005112052A (ja) 車室内モジュールおよびインナーミラー
CN210225571U (zh) 一种全景式车载摄像装置
JP2008062903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203681400U (zh) 车载监控系统以及汽车
JP2010143357A (ja) ルーフコンソールの照明構造
JP2006168647A (ja) アウターミラー
CN213056931U (zh) 车辆
KR101287858B1 (ko) 안전주차를 위한 카메라장치
KR20200143840A (ko) 자동차 사이드 카메라
CN205788343U (zh) 行车记录仪
JP2000098457A (ja) 視野切替え装置付き電子カメラ装置
CN105984385B (zh) 汽车防眩目成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