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59Y1 -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59Y1
KR200481759Y1 KR2020140008525U KR20140008525U KR200481759Y1 KR 200481759 Y1 KR200481759 Y1 KR 200481759Y1 KR 2020140008525 U KR2020140008525 U KR 2020140008525U KR 20140008525 U KR20140008525 U KR 20140008525U KR 200481759 Y1 KR200481759 Y1 KR 200481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body
cosmetic
pist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44U (ko
Inventor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40008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59Y1/ko
Priority to US15/525,035 priority patent/US10413041B2/en
Priority to CN201590001099.5U priority patent/CN208274325U/zh
Priority to EP15860977.6A priority patent/EP3205228B1/en
Priority to PCT/KR2015/011880 priority patent/WO2016080685A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05B11/0081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and for mixing the components in a common container as a mixture ready for use before discharging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5Container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and permitting admixtur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배출펌프와 누름버튼 및 용기뚜껑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을 수용하고, 용기본체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캡을 결합하며, 상기 하부캡 내부에 제2화장품내용물이 충전된 누름주머니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하부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누름주머니를 상부로 눌러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을 배출펌프에 의해 토출하여 사용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 결합되고, 제2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된 누름주머니(20)와, 상기 누름주머니(20) 외측에 씌워지되, 용기본체(10) 하부에 탈부착되는 하부캡(3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숄더(40)와, 상기 숄더(40) 내측에 설치되어 화장품내용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50)와, 상기 숄더(40)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부캡(60)과, 상기 배출펌프(50) 상단에 장착되며, 일측에 배출노즐(71)이 형성된 누름버튼(70)과, 상기 숄더(40)에 탈부착되는 용기뚜껑(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는 누름주머니(20)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1) 내측 중앙에는 제2화장품내용물 배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밸브(14)가 장착되고, 상기 누름주머니(20)의 상단에는 걸림턱(2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1)은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50)는 피스톤(53)과 상기 피스톤(53)이 삽입되는 실린더(51)와, 상기 피스톤(53)의 외주면과 실린더(5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54)과, 상기 실린더(51)의 하부에 형성된 체크밸브(52)와 실린더(51)의 상부에 체결되는 밀폐부재(55)와 상기 밀폐부재(55)와 피스톤(53)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57) 및 상기 승강부재(57)와 밀폐부재(55)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캡(60)은 내캡(61)와 외캡(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캡(61)의 내측에는 고정돌륜(6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Mixing container for two liquid having a push pocket}
본 고안은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배출펌프와 누름버튼 및 용기뚜껑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을 수용하고, 용기본체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캡을 결합하며, 상기 하부캡 내부에 제2화장품내용물이 충전된 누름주머니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하부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누름주머니를 상부로 눌러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을 배출펌프에 의해 토출하여 사용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근래에 들어 화장품은 단순한 치장의 용도에서 벗어나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피부에 영양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상기 기능성 화장품이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자외선차단제, 주름개선 영양크림, 미백에센스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장품은 최근 들어 기능성을 중시하게 되면서 사용용도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비타민류나 기타 생체 활성 미용성분 등을 포함한 기능성 화장료를 베이스 화장료 중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화장료들은 매우 불안정하며 쉽게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화장료 중에 포함시켜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0335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외장용기(1) 하부에 내장용기(2)를 형성하되 상기 내장용기(2)는 사선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두 용기의 결합 시 사선의 형상을 가진 내장용기(2)의 뾰족한 부분이 밀봉캡(3)을 파손시켜 외장용기(1) 내에 충전된 베이스 화장료와 내장용기(2) 내에 충전된 기능성 화장료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동작에 의해 서로 다른 화장료를 용이하게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서로 다른 화장료를 혼합하기 위해 밀봉캡(3)을 파손하여 두 종류의 화장료를 혼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파손되어 분리된 밀봉캡(3)이 외장용기(1)의 토출관으로 들어가 화장품내용물의 배출을 방해할 수 있으며, 상기 파손된 밀봉캡(3)에 의해 외장용기(1) 내부에 충전된 화장료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을 수용하고, 용기본체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캡을 결합하며, 상기 하부캡 내부에 제2화장품내용물이 충전된 누름주머니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하부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누름주머니를 상부로 눌러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을 배출펌프에 의해 토출하여 사용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누름주머니를 자바라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누름주머니 외측에 탄성부재를 장착하고, 하부캡 바닥에 누름판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캡을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상기 누름판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액 혼합 용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양산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과 조립 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 결합되고, 제2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된 누름주머니(20)와;
상기 누름주머니(20) 외측에 씌워지되, 용기본체(10) 하부에 탈부착되는 하부캡(3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숄더(40)와;
상기 숄더(40) 내측에 설치되어 화장품내용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50)와;
상기 숄더(40)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부캡(60)과;
상기 배출펌프(50) 상단에 장착되며, 일측에 배출노즐(71)이 형성된 누름버튼(70)과;
상기 숄더(40)에 탈부착되는 용기뚜껑(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는 누름주머니(20)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1) 내측 중앙에는 제2화장품내용물 배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밸브(1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주머니(20)의 상단에는 걸림턱(2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1)은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주머니(2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주머니(20)는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30)의 바닥에는 이동가능한 누름판(3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3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륜(3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륜(32)의 상부에는 안착돌륜(33)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30)의 내측 상단과 누름판(31)의 안착돌륜(33) 사이에는 하부캡탄성부재(35)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펌프(50)는 피스톤(53)과 상기 피스톤(53)이 삽입되는 실린더(51)와, 상기 피스톤(53)의 외주면과 실린더(5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54)과, 상기 실린더(51)의 하부에 형성된 체크밸브(52)와 실린더(51)의 상부에 체결되는 밀폐부재(55)와 상기 밀폐부재(55)와 피스톤(53)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57) 및 상기 승강부재(57)와 밀폐부재(55)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캡(60)은 내캡(61)와 외캡(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캡(61)의 내측에는 고정돌륜(6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는 용기본체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을 수용하고, 용기본체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캡을 결합하며, 상기 하부캡 내부에 제2화장품내용물이 충전된 누름주머니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하부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누름주머니를 상부로 눌러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두 종류의 화장품내용물이 용이하게 혼합되고, 상기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이 배출펌프의 펌핑에 의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는 누름주머니를 자바라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누름주머니 외측에 탄성부재를 장착하고, 하부캡 바닥에 누름판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캡을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상기 누름판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는 혼합 용기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양산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과 조립 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액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하부캡을 분리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하부캡을 분리한 후 누름주머니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하부캡을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화장품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누름주머니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하부캡을 분리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하부캡을 분리한 후 누름주머니를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하부캡을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화장품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는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 결합되고, 제2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된 누름주머니(20)와, 상기 누름주머니(20) 외측에 씌워지되, 용기본체(10) 하부에 탈부착되는 하부캡(30)과,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숄더(40)와, 상기 숄더(40) 내측에 설치되어 화장품내용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50)와, 상기 숄더(40)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부캡(60)과, 상기 배출펌프(50) 상단에 장착되며, 일측에 배출노즐(71)이 형성된 누름버튼(70)과, 상기 숄더(40)에 탈부착되는 용기뚜껑(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는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가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2)의 내측에는 제1고정부재(11)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1)의 중앙에는 누름주머니(20)에 수용된 제2화장품내용물을 용기본체(10)로 이동시키는 배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1) 내측 중앙에는 배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밸브(14)가 장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 사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주머니(20)에 형성된 걸림턱(21)이 위치하여 상기 누름주머니(20)를 용기본체(10) 하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누름주머니(20)는 용기본체(10)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2화장품내용물이 충전된다.
상기 누름주머니(20)의 상단에는 걸림턱(2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1)은 제1고정부재(11)와 제2고정부재(12)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상기 누름주머니(20)는 내부에 수용된 제2화장품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주머니(2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바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주머니(20) 외측에는 하부캡(30)이 결합되되, 상기 하부캡(30)은 용기본체(10)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30)은 상부 내주면에 언더컷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 하부에 언더컷 또는 나사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30)은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주머니(20)를 가압하기 위해 용기본체(10)의 하부에서 분리된다.
상기 하부캡(30)을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제2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된 누름주머니(20)를 가압하여 제2화장품내용물을 용기본체(10)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하부캡(30)의 하단을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누름주머니(20)를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캡(30)의 바닥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누름판(3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3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륜(3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륜(32)의 상부에는 안착돌륜(33)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누름판(31)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주머니(20)를 가압하되, 원할한 가압을 위해 상단에 가압부(3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돌륜(32)은 누름판(31)이 하부캡(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돌륜(33)은 하부캡탄성부재(35)의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하부캡탄성부재(35)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하부캡탄성부재(35)는 하부캡(30)의 내측 상단과 누름판(31)의 안착돌륜(3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누름판(31)을 탄발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캡(30) 바닥에 누름판(31)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캡(30)을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상기 누름판(31)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는 숄더(40)가 결합된다.
상기 숄더(40)는 용기본체(10)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고, 본 고안에서처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숄더(40)의 내측에는 배출펌프(50)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가스켓(41)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41)은 NBR 이나 발포PE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밀폐력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숄더(40) 내측에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내용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50)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펌프(50)는 피스톤(53)과 상기 피스톤(53)이 삽입되는 실린더(51)와, 상기 피스톤(53)의 외주면과 실린더(5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54)과, 상기 실린더(51)의 하부에 형성된 체크밸브(52)와 실린더(51)의 상부에 체결되는 밀폐부재(55)와 상기 밀폐부재(55)와 피스톤(53)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57) 및 상기 승강부재(57)와 밀폐부재(55)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51)는 숄더(40)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피스톤링(54)이 끼워진 피스톤(53)이 삽입되어 승하강하고, 하부에는 용기본체(10)에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이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유입구(511)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흡입홀(512)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51)의 하부유입구(511)에는 체크밸브(52)가 설치되어 일단 실린더(51)로 유입된 화장품내용물이 용기본체(10)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유입구(511)의 하단에는 배출관(513)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513)은 용기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내용물을 실린더(51)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53)은 내부에 중공(531)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531)의 하측에는 차단벽(53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중공(531)으로 화장품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532)가 형성되며 하단에 플랜지(533)가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53)의 상부에는 중공(531)과 연통하는 승강부재(57)가 결합 조립되어 상기 승강부재(57)의 승강에 따라 피스톤(53)도 함께 승강된다.
상기 피스톤링(54)은 피스톤(53)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53)의 플랜지(533)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3)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53)의 플랜지(533)와 피스톤링(54) 사이에 간극이 생겨 배출통로가 생기게 되고, 상기 피스톤(53)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53)의 플랜지(533)와 피스톤링(54)이 밀착되어 배출통로가 폐쇄된다.
상기 밀폐부재(55)는 내측으로 실린더(51)가 끼움 결합되며, 외측으로는 상부캡(60)과 결합하여 용기본체(10)의 기밀성을 높여준다.
상기 밀폐부재(55)의 상면에는 탄성부재(56)가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56)는 승강부재(57) 외주면에 끼워져서 밀폐부재(55)와 승강부재(57)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부재(57)의 펌핑 동작을 탄발지지한다.
상기 승강부재(57)는 내측으로 피스톤(53)이 끼움 결합되며, 중공(531)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품내용물이 승강부재(57) 내부를 통과하여 누름버튼(70)으로 배출된다.
상기 숄더(40)의 외주면에는 상부캡(6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60)은 내캡(61)와 외캡(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캡(61)의 내측에는 고정돌륜(6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내캡(61)과 외캡(6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돌륜(63)은 배출펌프(50)의 밀폐부재(55)를 눌러서 상기 배출펌프(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펌프(50)의 승강부재(57)에는 누름버튼(70)이 결합된다.
상기 누름버튼(70)은 일측에 배출노즐(71)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노즐(71)을 통해 용기본체(10)에 혼합된 화장료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누름버튼(7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뚜껑(80)을 숄더(40)에 결합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의 하부에 누름주머니(20)가 결합된 제2고정부재(12)를 결합하되, 상기 제2고정부재(12)의 내측에는 제1고정부재(11)가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1)의 내측 중앙에는 배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밸브(14)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누름주머니(20)에는 제2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이후, 용기본체(10)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부캡(30)이 결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바닥에 누름판(3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3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륜(3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륜(32)의 상부에는 안착돌륜(33)이 연장 형성된 하부캡(3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캡(30)의 결합을 완료한 후,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숄더(40)를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을 주입한다.
이후, 상기 숄더(40)의 내측에 배출펌프(50)를 설치한 후, 숄더(40)의 외주면에 상부캡(60)을 결합하여 상기 배출펌프(50)를 고정시킨다.
상기 배출펌프(50)의 승강부재(57)에 누름버튼(70)을 결합한 후, 상기 누름버튼(7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뚜껑(80)을 숄더(40)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종래와 달리 제1화장품내용물과 제2화장품내용물을 혼합하는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양산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과 조립 공수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캡(30)을 용기본체(10)에서 분리한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화장료내용물이 수용된 누름주머니(20)를 가압하여 상기 제2화장료내용물을 용기본체(10)로 이동시켜 상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제1화장품내용물과 혼합시킨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캡(30)을 용기본체(10)에 결합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바닥에 누름판(3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3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륜(3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륜(32)의 상부에는 안착돌륜(33)이 연장 형성된 하부캡(30)을 결합하여, 상기 하부캡(30)의 바닥에 형성된 누름판(31)을 눌러서 누름주머니(20)에 수용된 제2화장료내용물을 용기본체(10)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70)을 가압하면 배출펌프(50)의 피스톤(53)이 아래쪽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피스톤(53)의 외주면에 끼움 설치된 피스톤링(54)은 실린더(51)의 내측벽과의 마찰로 인하여 정지된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피스톤(53)만 하강하여 상기 피스톤(53)의 플랜지(533)와 상기 피스톤링(54)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서 용기본체(10)의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생기게 된다.
그 후 더욱 피스톤(53)을 아래쪽으로 누르면 승강부재(57)의 단부가 피스톤링(54)에 닿으면서 상기 피스톤링(54)이 함께 하강하게 되어 상기 실린더(51)의 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51) 내에 있던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이 밀려서 상기 피스톤(53)의 플랜지(533)와 피스톤링(54) 사이를 통해 배출되고 이어서 유입구(532)를 통과한 후 중공(531)을 거쳐 누름버튼(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혼합된 화장품내용물을 사용한다.
화장품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한 후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했던 누름버튼(70)으로부터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6)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70)이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53)이 위로 올라가면서 피스톤링(54)과의 간극이 닫히게 되며 이후 피스톤링(54)은 피스톤(53)과 함께 위로 올라가면서 실린더(51) 내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이에 따라 체크밸브(52)가 들리면서 하부유입구(511)와 배출관(513)을 통해 화장품내용물이 용기본체(10)로부터 실린더(51) 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제1고정부재
12:제2고정부재 13:배출구
14:배출밸브 20:누름주머니
21:걸림턱 30:하부캡
31:누름판 32:이탈방지돌륜
33:안착돌륜 34:가압부
35:하부캡탄성부재 40:숄더
41:가스켓 50:배출펌프
51:실린더 52:체크밸브
53:피스톤 54:피스톤링
55:밀폐부재 56:탄성부재
57:승강부재 60:상부캡
61:내캡 62:외캡
63:고정돌륜 70:누름버튼
71:배출노즐 80:용기뚜껑

Claims (10)

  1. 내부에 제1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숄더(40);
    상기 숄더(40) 내측에 설치되어 화장품내용물을 펌핑하는 배출펌프(50)와;
    상기 숄더(40) 외주면에 결합되는 상부캡(60);
    상기 배출펌프(50) 상단에 장착되며, 일측에 배출노즐(71)이 형성된 누름버튼(70);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 연결되고 제2화장품내용물 배출구(13)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11);
    상기 제1고정부재(11)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 고정되고 제2화장품내용물이 수용된 누름주머니(20) 및
    상기 제2화장품내용물 배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밸브(14)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주머니(20)가 가압되면 상기 배출밸브(14)가 상기 제2화장품내용물배출구(13)를 개방시켜 상기 제2화장품내용물은 상기 제2화장품내용물배출구(13)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1)는 제2고정부재(12)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누름주머니(20)의 상단에는 걸림턱(2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1)은
    상기 제1고정부재(11)와 상기 제2고정부재(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주머니(2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주머니(20)는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주머니(20) 외측에 씌워지되, 상기 용기본체(10) 하부에 탈부착되는 하부캡(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30)의 바닥에는 이동가능한 누름판(3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3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돌륜(32)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륜(32)의 상부에는 안착돌륜(33)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30)의 내측 상단과 누름판(31)의 안착돌륜(33) 사이에는 하부캡탄성부재(35)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50)는 피스톤(53)과 상기 피스톤(53)이 삽입되는 실린더(51)와, 상기 피스톤(53)의 외주면과 실린더(5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54)과, 상기 실린더(51)의 하부에 형성된 체크밸브(52)와 실린더(51)의 상부에 체결되는 밀폐부재(55)와 상기 밀폐부재(55)와 피스톤(53)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57) 및 상기 승강부재(57)와 밀폐부재(55)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60)은 내캡(61)와 외캡(6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캡(61)의 내측에는 고정돌륜(6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KR2020140008525U 2014-11-20 2014-11-20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KR200481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25U KR200481759Y1 (ko) 2014-11-20 2014-11-20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US15/525,035 US10413041B2 (en) 2014-11-20 2015-11-06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CN201590001099.5U CN208274325U (zh) 2014-11-20 2015-11-06 设有按压袋的双液体混合容器
EP15860977.6A EP3205228B1 (en) 2014-11-20 2015-11-06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PCT/KR2015/011880 WO2016080685A1 (ko) 2014-11-20 2015-11-06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25U KR200481759Y1 (ko) 2014-11-20 2014-11-20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44U KR20160001844U (ko) 2016-05-31
KR200481759Y1 true KR200481759Y1 (ko) 2016-11-09

Family

ID=5601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525U KR200481759Y1 (ko) 2014-11-20 2014-11-20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3041B2 (ko)
EP (1) EP3205228B1 (ko)
KR (1) KR200481759Y1 (ko)
CN (1) CN208274325U (ko)
WO (1) WO20160806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76B1 (ko) * 2020-02-12 2020-04-06 한국바이오뷰티산업협동조합 이종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92756Y1 (ko) * 2019-07-24 2020-12-04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300511B1 (ko) * 2020-06-11 2021-09-08 최용남 수소수 미스트 방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6814S1 (en) * 2015-07-10 2019-08-20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mbined cosmetics dispenser and applicator
EP3434141B1 (en) * 2016-03-25 2021-08-18 Ye Woo Noh Oxygen-mixing cosmetic container
KR101879205B1 (ko) * 2016-07-27 2018-07-1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10849405B2 (en) * 2017-09-20 2020-12-01 Elc Management Llc Cap and vial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two cosmetic products
KR101966163B1 (ko) * 2018-04-20 2019-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이종화장품혼합용기
CN112292169B (zh) 2018-06-15 2023-08-04 勃林格殷格翰国际有限公司 系统、药筒和方法
USD941154S1 (en) * 2018-07-03 2022-01-18 Fusion Packaging I, LLC Dispenser and dropper co-pack assembly
WO2020054982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132002B1 (ko) * 2018-09-13 2020-07-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9178670B (zh) * 2018-12-06 2019-04-19 烟台五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存易氧化混合内容物的容器
USD929237S1 (en) * 2018-12-24 2021-08-31 Yonwoo Co., Ltd. Container for cosmetics
CN109625627A (zh) * 2019-01-18 2019-04-16 赵文军 分隔罐
KR102169977B1 (ko) * 2019-02-20 2020-10-26 펌텍코리아(주) 밀폐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CN111746944A (zh) * 2019-03-28 2020-10-09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非均质内容物混合容器
CN110451072B (zh) * 2019-09-06 2024-03-12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化妆品容器
CN110433684A (zh) * 2019-09-11 2019-11-12 李晓琪 一种软膜面膜混料瓶
CN110697241A (zh) * 2019-09-25 2020-01-17 上海秀枝雪包装有限公司 一种用于混合式护肤品的储放瓶
US11497692B2 (en) * 2019-10-15 2022-11-15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CN111703695A (zh) * 2020-07-15 2020-09-25 上海秀枝雪包装有限公司 一种真空软包泵压双舱式化妆品容器
US11420810B1 (en) * 2020-09-11 2022-08-23 Robert Wise Refillable solution dispensing device
US20230270232A1 (en) * 2022-02-28 2023-08-31 Elc Management Llc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CN114917811B (zh) * 2022-05-23 2023-06-16 浙江宜格美妆集团有限公司 一种化妆品料体混合容器
KR102526130B1 (ko) 2022-10-18 2023-04-27 (주)유스케어팜 화장품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82Y1 (ko) *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8145A (en) * 1945-04-16 1950-08-08 Arthur H Jenson Expansible dispensing device for containers
US3998359A (en) * 1975-02-04 1976-12-21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Transpiration cooling system having an expulsion bladder
US4014463A (en) * 1975-11-28 1977-03-29 Kenics Corporation Plural component dispenser
US5637087A (en) * 1995-03-22 1997-06-10 Abbott Laboratories Prefilled, two-constituent syringe
JP4286154B2 (ja) * 2002-06-26 2009-06-24 株式会社ダイゾー 複数内容物吐出用の包装容器、その包装容器を用いた包装製品およびその包装製品の製造方法
FR2845672B1 (fr) * 2002-10-09 2006-02-10 Airlessystem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JP2005280712A (ja) * 2004-03-26 2005-10-13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KR200362397Y1 (ko) * 2004-06-30 2004-09-18 (주)연우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US7850043B2 (en) * 2006-08-09 2010-12-14 Replenish Bottling, Llc Refillable/reusable mixer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DE202007004662U1 (de) * 2007-03-28 2008-08-07 Geiberger, Christoph Mehrkammerbehälter
KR101267868B1 (ko) 2011-06-21 2013-05-27 주식회사 하나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73319Y1 (ko) * 2013-04-17 2014-06-25 주식회사 하나 이액형 액상용액의 혼합이 가능한 용기
KR101430988B1 (ko) * 2013-06-25 2014-08-20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82Y1 (ko) *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56Y1 (ko) * 2019-07-24 2020-12-04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097276B1 (ko) * 2020-02-12 2020-04-06 한국바이오뷰티산업협동조합 이종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2300511B1 (ko) * 2020-06-11 2021-09-08 최용남 수소수 미스트 방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685A1 (ko) 2016-05-26
EP3205228A1 (en) 2017-08-16
US10413041B2 (en) 2019-09-17
KR20160001844U (ko) 2016-05-31
EP3205228B1 (en) 2020-10-21
US20180279743A1 (en) 2018-10-04
EP3205228A4 (en) 2018-06-20
CN208274325U (zh)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759Y1 (ko)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JP6329305B2 (ja) 生産性と密閉力が向上された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200470757Y1 (ko) 혼합부재를 구비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US10231530B2 (en)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discharge pump having short working stroke
KR200477829Y1 (ko) 행정거리가 짧은 배출펌프와 내용물 확산부재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694148B1 (ko) 주름관이 형성된 이액 혼합 용기
KR200467409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9429Y1 (ko) 가압이 편리한 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7195Y1 (ko)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가 탈부착 가능한 화장품 펌프용기
KR101664903B1 (ko) 용기천공부재를 구비한 이액 혼합 용기
EP344386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mixing cushion and mixing mesh
KR200484157Y1 (ko) 배출판과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81655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50001417U (ko) 제2내용물보관부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
EP3721750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push button blocked from being pushed within regulation angle
KR200480197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200480440Y1 (ko) 배출링을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50003202U (ko) 퍼프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0198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EP4357268A1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ontents
KR200480196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220053239A (ko) 화장액 용기의 펌프
KR200479316Y1 (ko) 구조가 단순하고 퍼올림부재가 형성된 배출펌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40000843U (ko) 풀림방지 스토퍼 구조를 갖는 스프레이 액상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