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81Y1 -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81Y1
KR200481681Y1 KR2020120005137U KR20120005137U KR200481681Y1 KR 200481681 Y1 KR200481681 Y1 KR 200481681Y1 KR 2020120005137 U KR2020120005137 U KR 2020120005137U KR 20120005137 U KR20120005137 U KR 20120005137U KR 200481681 Y1 KR200481681 Y1 KR 200481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usb
hold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861U (ko
Inventor
김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Priority to KR2020120005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8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케이블 물림 결속에 의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몰드에 케이블 물림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을 전기적 접속시키는 케이블홀더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몰드에 케이블 물림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는 케이블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유에스비 케이블의 결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본 고안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몰드에 케이블 물림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을 전기적 접속시키는 케이블홀더를 구비하여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케이블 물림 결속에 의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는 무선 무선단말기를 충전 또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는 무선 무선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와 유에스비 케이블이 연결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몰드와, 상기 플러그 몰드에 결합되는 커넥터단자와, 상기 플러그 몰드를 감싸 보호하는 플러그 금속커버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단자가 후방으로 인출되어서 유에스비 케이블이 직접 납땜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접속보드를 중가 매개체로 납땜하여 유에스비 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는 납땜을 통하여 유에스비 케이블이 커넥터단자와 결속되게 구성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의 탈피와 납땜으로 이루어져 그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져 생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가 납땜 작업을 통하여 유에스비 케이블의 결속이 이루어져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몰드에 케이블 물림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을 전기적 접속시키는 케이블홀더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몰드에 케이블 물림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는 케이블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유에스비 케이블의 결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배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가결합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가결합 배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가결합 측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 배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 측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케이블홀더의 저면 사시도.
도 10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케이블 접속결합핀의 상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유에스비 케이블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커넥터몰드(10)와, 상기 커넥터몰드(10)에 결합되는 커넥터단자(20)와, 상기 커넥터몰드(10)를 감싸 보호하는 커넥터쉘(30)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몰드(10)의 후단에 커넥터단자(20)가 노출되어 상면으로 개구된 케이블 물림접속부(11)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40)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을 전기적 접속시키는 케이블홀더(50)를 구비하며, 커넥터몰드(10)의 전단에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커넥터와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게 플러그부를 돌출 형성하고 그 외면에 플러그결합경사면(12)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11)는 양측 측벽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홀더(50)의 측면을 구속하는 홀더결합돌기(11a)와, 케이블 물림접속부(21)에 결합된 케이블홀더(50)가 전후 이탈이 방지되게 측벽에 요입된 전후결속홈(11b)을 형성하고, 케이블홀더(50)의 결합시 커넥터단자(20)의 연결부 변형이 방지되게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내측 측벽에 요입된 단자지지결함홈(11c)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홀더결합돌기(11a)는 상부에서는 결합이 용이하게 결합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홀더(50)는 후방에 유에스비 케이블(40)의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2 개 내지 5 개의 케이블삽입공(51)이 커넥터단자(20)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의 길이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천공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케이블삽입공(51)에 결합된 유에스비 케이블(40)에 커넥터단자(20)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이 피복(41)을 관통하여 물림 접속되게 관통 형성된 결합핀 관통공(52)이 구비되며, 측면 상부에는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홀더결합돌기(11a)에 걸림 결속되게 측면으로 요입 형성된 결속걸림턱(53)이 구비되고, 측면 중앙부에는 케이블 물림접속부(11)와의 조립이 유지되도록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홀더결합돌기(11a)가 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호형으로 요입 형성된 가결합홈(54)이 구비되며, 측면 전방 측에는 케이블홀더(50)의 전후결속홈(11b)에 결합되어 전후 유동이 제한되게 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전후유동결속돌기(55)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돌출되어 단자지지결함홈(11c)에 결합되어서 커넥터단자(20)의 연결부 변형이 방지되게 하는 단자지지돌기(56)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자지지돌기(56)의 하면에는 각각의 커넥터단자(20)의 연결부를 수용하여 변형되지 않게 가이드 지지하는 단자수용홈(56a)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단자(20)는 후단에 케이블홀더(50)의 하면을 통하여 유에스비 케이블(40)에 물림되어 결합되게 하는 3 개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은 유에스비 케이블(40)의 피복(41)을 용이하게 관통 접속될 수 있게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3 개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은 유에스비 케이블(40)과의 물림과정에 있어 유이스비 케이블(40)을 진선화할 수 있게 단부 측의 물림결합핀(21)이 우선적으로 유에스비 케이블(40)의 피복(41)을 관통하게 3 개의 물림결합핀(21) 중 제일 높은 높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은 커넥터몰드(10)와, 상기 커넥터몰드(10)에 결합되는 커넥터단자(20)와, 상기 커넥터몰드(10)를 감싸 보호하는 커넥터쉘(30)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몰드(10)의 후단에 커넥터단자(20)가 노출되어 상면으로 개구된 케이블 물림접속부(11)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40)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을 전기적 접속시키는 케이블홀더(50)를 구비하고, 커넥터몰드(10)의 전단에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커넥터와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게 플러그부를 돌출 형성하고 그 외면에 플러그결합경사면(12)를 형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블홀더(50)의 가결합홈(54)이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홀더결합돌기(11a)에 걸려 가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홀더(50)의 케이블결합공(51)에 유에스비 케이블(40)를 끼워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유에스비 케이블(4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케이블홀더(5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면 케이블홀더(50)가 하강되면서 커넥터단자(20)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이 결합핀 관통공(52)를 통하여 결합되어서 유에스비 케이블(40)의 피복(41)을 관통하여 접속됨으로써 그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3 개로 구성되는 커넥터단자(20)의 물림결합핀(21)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물리결합핀(21)에 의하여 물림 결합되는 과정에 유에스비 케이블(40)이 직선화되어 안정적이고 명확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커넥터몰드
11 : 케이블 물림접속부
11a : 홀더결합돌기 11b : 전후결속홈 11c : 단자지지결속홈
12 : 플러그결합경사면
20 : 커넥터단자
21 : 케이블 접속결합핀
30 : 커넥터쉘
40 : 유에스비 케이블 41 : 피복
50 : 케이블홀더
51 : 케이블삽입공 52 : 결합핀 관통공
53 : 결속걸림턱 54 : 가결합홈
55 : 전후유동결속돌기
56 : 단자지지돌기 56a: 단자수용홈

Claims (2)

  1. 커넥터몰드(10)와, 상기 커넥터몰드(10)에 결합되는 커넥터단자(20)와, 상기 커넥터몰드(10)를 감싸 보호하는 커넥터쉘(30)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몰드(10)의 후단에 커넥터단자(20)가 노출되어 상면으로 개구된 케이블 물림접속부(11)를 형성하고, 유에스비 케이블(40)을 구속하여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에 결합되어 유에스비 케이블을 전기적 접속시키는 케이블홀더(50)를 구비하고, 커넥터몰드(10)의 전단에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커넥터와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게 플러그부를 돌출 형성하고 그 외면에 플러그결합경사면(12)를 형성하되,
    상기 케이블 물림접속부(11)는 양측 측벽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홀더(50)의 측면을 구속하는 홀더결합돌기(11a)와, 케이블 물림접속부(21)에 결합된 케이블홀더(50)가 전후 이탈이 방지되게 측벽에 요입된 전후결속홈(11b)을 형성하고, 케이블홀더(50)의 결합시 커넥터단자(20)의 연결부 변형이 방지되게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내측 측벽에 요입된 단자지지결함홈(11c)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홀더결합돌기(11a)는 상부에서는 결합이 용이하게 결합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홀더(50)는 후방에 유에스비 케이블(40)의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2 개 내지 5 개의 케이블삽입공(51)이 커넥터단자(20)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의 길이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천공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케이블삽입공(51)에 결합된 유에스비 케이블(40)에 커넥터단자(20)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이 피복(41)을 관통하여 물림 접속되게 관통 형성된 결합핀 관통공(52)이 구비되며, 측면 상부에는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홀더결합돌기(11a)에 걸림 결속되게 측면으로 요입 형성된 결속걸림턱(53)이 구비되고, 측면 중앙부에는 케이블 물림접속부(11)와의 조립이 유지되도록 케이블 물림접속부(11)의 홀더결합돌기(11a)가 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호형으로 요입 형성된 가결합홈(54)이 구비되며, 측면 전방 측에는 케이블홀더(50)의 전후결속홈(11b)에 결합되어 전후 유동이 제한되게 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전후유동결속돌기(55)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돌출되어 단자지지결함홈(11c)에 결합되어서 커넥터단자(20)의 연결부 변형이 방지되게 하는 단자지지돌기(56)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단자지지돌기(56)의 하면에는 각각의 커넥터단자(20)의 연결부를 수용하여 변형되지 않게 가이드 지지하는 단자수용홈(56a)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단자(20)는 후단에 케이블홀더(50)의 하면을 통하여 유에스비 케이블(40)에 물림되어 결합되게 하는 3 개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으로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은 유에스비 케이블(40)의 피복(41)을 용이하게 관통 접속될 수 있게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3 개의 케이블 접속결합핀(21)은 유에스비 케이블(40)과의 물림과정에 있어 유이스비 케이블(40)을 진선화할 수 있게 단부 측의 물림결합핀(21)이 우선적으로 유에스비 케이블(40)의 피복(41)을 관통하게 3 개의 물림결합핀(21) 중 제일 높은 높이로 형성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2. 삭제
KR2020120005137U 2012-06-15 2012-06-15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200481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37U KR200481681Y1 (ko) 2012-06-15 2012-06-15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137U KR200481681Y1 (ko) 2012-06-15 2012-06-15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61U KR20120004861U (ko) 2012-07-04
KR200481681Y1 true KR200481681Y1 (ko) 2016-10-31

Family

ID=4685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137U KR200481681Y1 (ko) 2012-06-15 2012-06-15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234B1 (ko) * 2014-07-03 2015-04-08 (주)아세아에프에이 Usb 커넥터 조립체
WO2016003032A1 (ko) * 2014-07-03 2016-01-07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KR101586431B1 (ko) * 2014-09-24 2016-01-18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WO2016064020A1 (ko) * 2014-10-22 2016-04-28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KR101909056B1 (ko) * 2018-03-16 2018-10-17 주식회사 경신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1909057B1 (ko) * 2018-03-16 2018-10-17 주식회사 경신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1909055B1 (ko) * 2018-03-16 2018-10-17 주식회사 경신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102040552B1 (ko) * 2018-05-25 2019-11-06 주식회사 이랜텍 플러그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4012A (ja) * 2002-03-08 2003-09-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ピアシング端子及びピアシング端子接続構造
KR101152806B1 (ko) * 2011-09-23 2012-06-12 한경희 Usb 커넥터 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78Y1 (ko) * 2008-04-17 2010-03-29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4012A (ja) * 2002-03-08 2003-09-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ピアシング端子及びピアシング端子接続構造
KR101152806B1 (ko) * 2011-09-23 2012-06-12 한경희 Usb 커넥터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61U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681Y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TWI657624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CN106558776B (zh)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CN102324656A (zh) 电连接器及其组合
TWM446986U (zh) 電連接器
JP5794671B2 (ja) コネクタ
JP3162476U (ja) 電気コネクタ
JP4062250B2 (ja) コネクタ
US8517775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US764840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JP2011086495A (ja) コネクタ
JP540843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01625B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KR20160126171A (ko) Usb 타입-c 플러그와 압착 보조 커넥터의 결합 구조
TWM499690U (zh) 電連接器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JP2007109641A (ja) 電気コネクタ
CN109088195B (zh) 二合一usb连接器
TWM499672U (zh) 電連接器
KR200465433Y1 (ko) 무선단말기의 데이터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JP3157049U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5167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TW201547136A (zh) 二合一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