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19Y1 -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19Y1
KR200481419Y1 KR2020130004250U KR20130004250U KR200481419Y1 KR 200481419 Y1 KR200481419 Y1 KR 200481419Y1 KR 2020130004250 U KR2020130004250 U KR 2020130004250U KR 20130004250 U KR20130004250 U KR 20130004250U KR 200481419 Y1 KR200481419 Y1 KR 200481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nel
optical fiber
cpu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132U (ko
Inventor
밍-펭 쳉
Original Assignee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20130004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1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개량구조는 모듈 케이스, CPU 패널 모듈, 광섬유 모듈, 전환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그 중 상기 모듈 케이스는 최소한 하나의 단 측면에 패널 및 모듈 설치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CPU 패널 모듈은 모듈 설치 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또한 상기 CPU 패널 모듈은 CPU 메인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CPU 메인패널 상에는 프로세서가 설치되며, 상기 CPU 메인패널 상에는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광섬유 모듈은 모듈 설치 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 모듈은 광섬유 메인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에는 광섬유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박스의 한 끝은 돌출되어 뻗어나온 광섬유 연결받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 상에는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전환패널은 그 양 끝에 복수 개의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들은 각각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과 서로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고,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구조를 완성함으로써 기존의 기술이 가지고 있던 공간적 제약을 돌파함과 동시에 광섬유 모듈 및 CPU 패널 모듈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의 운영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DETACHABLE NETWORK MODULE STRUCTURE}
본 고안은 네트워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모듈에 응용하여 기존의 공간에 광섬유 모듈 및 CPU 패널 모듈의 사용 수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네트워크 전송용 네트워크 모듈은 보통 단일 착탈식 모듈 형태를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일 착탈식 모듈은 그 기능에 따라 광섬유(Fiber) 착탈식 모듈과 CPU 패널 착탈식 모듈, 두 종류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기존의 단일 착탈식 모듈은 상술된 두 가지 유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었으며, 즉 단일 착탈식 모듈을 광섬유(Fiber) 착탈식 모듈로만 사용하던가 또는 단일 착탈식 모듈을 CPU 패널 착탈식 모듈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기존의 관련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 기술을 나타낸 도 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그 내용은 업계 표준 규격 2U(U는 공업 컴퓨터 기기박스의 고도 단위, 1U는 44.5mm)의 기기박스 시스템 작동 설명이며, 상기 기기박스(90)는 상측에 4개의 제1 모듈공간(91) 및 하측에 4개의 제2 모듈공간(92)을 구비하고 있고, 그 중 상기 4개의 제1 모듈공간(91)에는 각각 4개의 광섬유 착탈식 모듈(93)이 설치되고, 상기 4개의 제2 모듈공간(92)에는 각각 4개의 CPU 패널 착탈식 모듈(94)이 설치되며, 광섬유 착탈식 모듈(93)을 CPU 패널 착탈식 모듈(94)과 서로 대응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송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 기술은 그 모듈 조립 응용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점이 존재하며, 그 예로 종래의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은 4개의 광섬유 착탈식 모듈(93) 및 이와 대응되는 4개의 CPU 패널 착탈식 모듈(94) 만을 설치할 수 있었으며, 만약 이들의 수량을 배로 증가시켜 8개의 광섬유 착탈식 모듈(93) 및 8개의 CPU 패널 착탈식 모듈(94)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기기박스(90)의 공간상의 제약을 받아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다시 말해 종래의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 기술은 광섬유 착탈식 모듈(93)과 CPU 패널 착탈식 모듈(94) 수량을 확장시킬 수 없었으며, 그 결과 네트워크 모듈 응용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시스템 운영 효능을 향상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상적인 구조라고 할 수 없었으며, 계속 개선해 나가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 기술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결함을 해결하고자 업계 및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은 꾸준히 연구 개발에 임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본 고안인은 종래의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 기술의 사용상에서의 문제점과 그 구조상 개선해야 할 사항 등을 취합하여 다년간의 연구 개발을 통해 용량성, 효능성 및 경제적 효익성에 부합되는 본 고안인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를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 대중 서비스 및 업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이 기존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제약을 돌파함과 동시에 광섬유 모듈 및 CPU 패널 모듈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의 운영 효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기기박스 규격에서 어떠한 변형이나 변동을 하지 않고 모듈 기구의 설계를 통해 전체적인 모듈 용량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모듈 전송 속도에 맞춰 전체적인 효능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듈의 부품이 각각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어 조립 상에 간편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며 조립 효능을 적극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고 관리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는 모듈 케이스, CPU 패널 모듈, 광섬유 모듈, 전환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그 중 상기 모듈 케이스는 최소한 하나의 단 측면에 패널 및 모듈 설치 공간이 설치되며, 상기 CPU 패널 모듈은 모듈 설치 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또한 상기 CPU 패널 모듈은 CPU 메인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CPU 메인패널 상에는 프로세서가 설치되며, 상기 CPU 메인패널 상에는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광섬유 모듈은 모듈 설치 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 모듈은 광섬유 메인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에는 광섬유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박스의 한 끝은 돌출되어 뻗어나온 광섬유 연결받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 상에는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전환패널은 그 양 끝에 복수 개의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들은 각각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과 서로 대응되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인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는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공간적 제약을 돌파함과 동시에 광섬유 모듈 및 CPU 패널 모듈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의 운영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기존의 기기박스 규격에서 어떠한 변형이나 변동을 하지 않고 모듈 기구의 설계를 통해 전체적인 모듈 용량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모듈 전송 속도에 맞춰 전체적인 효능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착탈식 모듈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국부 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합 상태를 나타낸 입체 사시도 1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합 상태를 나타낸 입체 사시도 2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응용 상태를 나타낸 입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 2, 도 3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는 네트워크 모듈(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모듈(1)은 모듈 케이스(10), CPU 패널 모듈(20), 광섬유 모듈(30), 전환패널(40)을 포함하고 있고, 그 중 상기 모듈 케이스(10)는 단일 모듈을 사용한 받침대이며, 양측의 받침판(11)과 한 끝측의 패널(1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받침판(11) 사이에는 모듈 설치 공간(12)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11) 내측에는 복수 개의 위치고정부품(121)과 위치고정 홈구멍(122)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13)은 상측에 두 개의 광섬유 윈도우(131)와 하측에 복수 개의 냉각구멍(132)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패널(13) 양측에는 최소한 하나의 스프링 나사막대(133)와 두 개의 위치고정 나사구멍(134)이 설치되고, 그 중 상기 위치고정 나사구멍(134)은 상기 CPU 패널 모듈(20), 광섬유 모듈(30)과 서로 세트를 이루며 고정 설치된다.
상기 CPU 패널 모듈(20)은 CPU 메인패널(21)(프로세서)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CPU 메인패널(21)은 메인보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CPU 메인패널(21) 상에는 프로세서(CPU)[도면에는 미표시]와 상기 프로세서 상에 냉각팬(22)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팬(22)에는 복수 개의 냉각비늘판(23)이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CPU 메인패널(21) 상에는 일반 메인보드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설치되고, 또한 도전 연결 단자(골드 핑거)[도면에는 미표시]를 통해 전기 신호 연결 시스템을 완성하며 이러한 구조는 기존 기술 분야에 속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CPU 메인패널(21) 상에는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24)이 설치되고,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24)은 전기 연결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24)은 양측의 삽입홈단(24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광섬유 모듈(30)은 광섬유 메인패널(3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31)은 전기회로판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31) 한 끝 상측에는 광섬유 박스(32)가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박스(32)는 관련 광섬유 모듈 부품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광섬유 박스(32) 한 끝에는 돌출되어 뻗어나온 광섬유 연결받침(33)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연결받침(33)에는 또한 돌출되어 뻗어나온 광섬유 연결부(331)가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31) 상에는 관련 광섬유 모듈 전자 유닛들이 설치되고, 또한 도전 연결 단자(골드 핑거/도면에는 미표시) 를 통해 전기 신호 연결 시스템을 완성하며 이러한 구조는 기존 기술 분야에 속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31) 상에는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34)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34)은 전기 연결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환패널(40)의 상하 양끝에는 복수 개의 단자(41, 42)((골드 핑거)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41, 42)에는 각각 제1 오작동방지 갭(43), 제2 오작동방지 갭(44)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오작동방지 갭(43), 제2 오작동방지 갭(44)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단자(41, 42)와 대응하여 중간이 치우친 형태(즉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아님)로 설치되며, 상기 전환패널(40) 양측에는 각각 내측걸림부품(45)와 외측걸림부품(47)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걸림부품(45)은 아래를 향한 내측 오작동방지 갭(46)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측걸림부품(47)은 아래를 향한 외측 오작동방지 갭(48)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측걸림부품(47)은 상기 전환패널(40)에서 외부로 향한 측변 중앙의 지우친 곳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내측걸림부품(45)는 상기 전환패널(40) 내부로 향한 측변에 설치되며, 또한 외측걸림부품(47) 보다 더욱 아래 쪽에 위치한 곳에 설치된다.
도 3, 도 4, 도 5의 내용을 함께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를 조합하는 경우, 상기 CPU 패널 모듈(20)은 상기 모듈 케이스(10)의 모듈 설치 공간(12)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이어서 상기 전환패널(40) 하단의 복수 개의 단자(42)는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24) 상에 삽입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전환패널(40)과 CPU 패널 모듈(2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이뤄지게 한다. 이어서 상기 광섬유 모듈(30)을 상기 모듈 케이스(10)의 모듈 설치 공간(12) 상단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광섬유 모듈(30)의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34)이 상기 전환패널(40) 상단의 복수 개 단자(41)와 서로 대응 연결되게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전환패널(40)과 광섬유 모듈(30)에 전기적 연결이 이뤄지게 한다. 이를 바꿔 말하면, 상기 광섬유 모듈(30), CPU 패널 모듈(20)은 상기 전환패널(40)과 서로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모듈(30)과 CPU 패널 모듈(20)이 상기 모듈 케이스(10)의 모듈 설치 공간(12) 내에 설치될 때 전기적 신호 연결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을 마친 후, 상기 광섬유 모듈(30)의 광섬유 연결받침(33)[광섬유 연결부(331)]은 상기 모듈 케이스(10)의 광섬유 윈도우(131)가 돌출되어 뻗어나오는 형태가 되어 외부 부품이 연결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CPU 패널 모듈(20)은 복수 코어의 CPU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 Tilera 회사에서 제작된 TILE-GX 100 CPU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모듈(30)은 10G의 연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환패널(40)에는 제1 오작동방지 갭(43), 제2 오작동방지 갭(44), 내측 오작동방지 갭(46), 외측 오작동방지 갭(48), 내측걸림부품(45), 외측걸림부품(47) 등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광섬유 모듈(30), CPU 패널 모듈(20)이 상기 전환패널(40)과 서로 대응 연결될 때 어떠한 연결 방향의 오류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설치상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전환패널(40) 양측의 내측 오작동방지 갭(46), 외측 오작동방지 갭(48)은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24) 양측의 삽입홈단(241) 보다 낮게 설치되며, 그 결과 전체적인 조립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전환패널(40)의 상하가 서로 바뀔 경우, 이러한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이어서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34) 상의 제1 오작동방지 갭(43)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상에 걸림 장부[도면에는 미표시]가 설치되며, 또한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24) 상의 제2 오작동방지 갭(44)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도 또한 걸림 장부[도면에는 미표시]가 설치된다. 제1 오작동방지 갭(43)과 제2 오작동방지 갭(44)이 중앙에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만약 상기 전환패널(40) 좌우가 서로 반대로 연결될 경우, 상기 걸림 장부의 영향을 받아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며, 그 결과 전체적은 구조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걸림부품(45)은 상기 전환패널(40)에서 안으로 향하는 측변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걸림부품(47) 보다 더욱 치우친 하단에 설치된다. 그 결과 조립 후, 상기 광섬유 모듈(30)의 광섬유 박스(32)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만약 전환패널(40)의 좌우가 반대로 바뀌어 연결되면, 상기 광섬유 박스(32)가 상기 외측걸림부품(47)의 저지를 받아 침입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오작동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가 서로 바뀐 상태로 결합되면, 상기 내측걸림부품(45) 역시 상기 광섬유 박스의 침입을 저지하게 되어 오작동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종합해 설명하면, 상술된 구조는 전체적인 조립 과정에서 오작동 방지 기능을 실현하여 안전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작업 인원들이 조립하는 과정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조립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 도 7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을 실제 응용하는 경우, 업계 표준 규격인 2U의 기기박스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기기박스(100)는 상단에 4개의 모듈 공간 및 하단의 4개의 모듈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8개의 모듈 공간에는 각각 네트워크 모듈(1)이 설치되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1)은 패널(13)의 스프링 나사막대(133)를 통해 상기 기기박스(100)에 고정 설치되며, 이를 통해 편리하게 나사 방식으로 네트워크 모듈(1)을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1)이 광섬유 모듈(30)[도면에는 미표시]과 CPU 패널 모듈(20)[도면에는 미표시]을 구비하고 있고, 본 고안에서는 동시에 8개의 광섬유 모듈(30)[도면에는 미표시]과 8개의 CPU 패널 모듈(20)[도면에는 미표시]을 갖출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도 1 내용 참조) 표준 규격 2U 기기박스 시스템에서 갖춘 4개의 광섬유 착탈식 모듈(93)과 4개의 CPU 패널 착탈식 모듈(94)과 서로 비교해 봤을 때, 그 용량과 작동 효과가 두 배가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조 및 사용 상에 상당한 경제적 효익을 가져오게 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네트워크 모듈
10: 모듈 케이스
100: 기기박스
11: 받침판
12: 모듈 설치 공간
121: 위치고정부품
122: 위치고정 홈구멍
13: 패널
131: 광섬유 윈도우
132: 냉각구멍
133: 스프링 나사막대
134: 위치고정 나사구멍
20: CPU 패널 모듈
21: CPU 메인패널
22: 냉각팬
23: 냉각비늘판
24: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
241: 삽입홈단
30: 광섬유 모듈
31: 광섬유 메인패널
32: 광섬유 박스
33: 광섬유 연결받침
331: 광섬유 연결부
34: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
40: 전환패널
41: 단자
42: 단자
43: 제1 오작동방지 갭
44: 제2 오작동방지 갭
45: 내측걸림부품
46: 내측 오작동방지 갭
47: 외측걸림부품
48: 외측 오작동방지 갭

Claims (10)

  1.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로서,
    모듈 케이스, CPU 패널 모듈, 광섬유 모듈, 전환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는 최소한 하나의 단 측면에 패널 및 모듈 설치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CPU 패널 모듈은 상기 모듈 설치 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또한 상기 CPU 패널 모듈은 CPU 메인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CPU 메인패널 상에는 프로세서가 설치되며, 상기 CPU 메인패널 상에는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이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 모듈은 상기 모듈 설치 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광섬유 모듈은 광섬유 메인패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에는 광섬유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박스의 한 끝은 돌출되어 뻗어나온 광섬유 연결받침이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 메인패널 상에는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이 설치되며,
    상기 전환패널은 그 양 끝에 복수 개의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들은 각각 광섬유 전환연결 삽입홈, 상기 CPU 패널 전환연결 삽입홈과 서로 대응되어 연결 설치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모듈 설치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양측 받침판을 포함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내측에 복수 개의 위치고정부품과 위치고정 홈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은 상단에 최소한 하나의 광섬유 윈도우, 하단에 복수 개의 냉각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패널은 또한 양측에 최소한 하나의 스프링 나사막대와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나사구멍이 설치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상에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팬에는 복수 개의 냉각비늘판이 함께 설치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연결받침에는 돌출되어 뻗어나는 광섬유 연결부가 설치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듈은 10G의 연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패널의 양 끝의 복수 개 단자에는 각각 제1 오작동방지 갭과 제2 오작동방지 갭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오작동방지 갭과 상기 제2 오작동방지 갭은 가운데로 치우친 형태로 설치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패널의 양측에는 각각 내측걸림부품과 외측걸림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걸림부품은 상기 전환패널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측변 중앙의 치우친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걸림부품은 상기 전환패널의 안쪽으로 향하는 측변 중 상기 외측걸림부품보다 더욱 치우친 하단에 설치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걸림부품은 아래로 향하는 내측 오작동방지 갭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측걸림부품은 아래로 향하는 외측 오작동방지 갭을 구비하고 있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2U 규격의 기기박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박스는 상단에 4개의 모듈 공간 및 하단에 4개의 모듈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8개의 모듈 공간에는 각각 모듈 케이스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기기박스가 8개의 광섬유 모듈 및 8개의 CPU 패널 모듈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KR2020130004250U 2013-05-28 2013-05-28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KR200481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50U KR200481419Y1 (ko) 2013-05-28 2013-05-28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250U KR200481419Y1 (ko) 2013-05-28 2013-05-28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2U KR20140006132U (ko) 2014-12-08
KR200481419Y1 true KR200481419Y1 (ko) 2016-10-10

Family

ID=5245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250U KR200481419Y1 (ko) 2013-05-28 2013-05-28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53U (ko) * 2013-11-07 2015-05-15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탈착 가능한 모듈의 방열전도 조립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269A (ja) 2001-03-15 2002-11-15 Agilent Technol Inc 光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99315U (en) * 2006-04-03 2006-10-11 Accton Technology Corp Network apparatus
CN102197716B (zh) * 2008-08-21 2014-12-03 西门子工业公司 带有安装板的建筑物自动化系统的输入/输出模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269A (ja) 2001-03-15 2002-11-15 Agilent Technol Inc 光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53U (ko) * 2013-11-07 2015-05-15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탈착 가능한 모듈의 방열전도 조립구조
KR200485269Y1 (ko) 2013-11-07 2017-12-14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탈착 가능한 모듈의 방열전도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32U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6972B (zh) 电子装置
US8616902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server rack
US8472198B2 (en) Data center with cable management structure
US9999153B1 (en) Server
KR200485269Y1 (ko) 탈착 가능한 모듈의 방열전도 조립구조
CN104180212A (zh) 面板灯
KR200481419Y1 (ko) 착탈식 네트워크 모듈 개량구조
CN102221857A (zh) 具有扩展卡固定结构的主机箱
TWM459676U (zh) 伺服器裝置
US20150173168A1 (en) Dc/dc power module and dc/dc power system having the same
JP2017537447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用の壁ブッシング
US201303429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expansion card of the same
US8625285B2 (en) Data center with cable management structure
TWM550920U (zh) 電連接器組合座、電連接器組合結構用的連接座及電連接器組合裝置
CN209842460U (zh) 扩充型控制装置及扩充型控制装置的主机
EP3930434A1 (de) Baugruppe mit einem eine tragstruktur ausbildenden kühlkörperkernelement
US9059551B2 (en) Backplan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8867236B2 (en) Computer system with space for guiding cables
TWI522029B (zh) 伺服器
CN210491111U (zh) 一种多用途电子配线架
CN219496742U (zh) 一种便于组装的光模块组件
TWI798625B (zh) 電連接模組及其連接介面之電源整合結構
CN212783741U (zh) 一种集成有波导同轴转换器功能的波导功分器
KR200486256Y1 (ko) 다조식의 확장 모듈 신속 장착 구조
CN210074547U (zh) 模块化机架式不断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