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45Y1 - 서류철 피스 - Google Patents

서류철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45Y1
KR200481345Y1 KR2020160002295U KR20160002295U KR200481345Y1 KR 200481345 Y1 KR200481345 Y1 KR 200481345Y1 KR 2020160002295 U KR2020160002295 U KR 2020160002295U KR 20160002295 U KR20160002295 U KR 20160002295U KR 200481345 Y1 KR200481345 Y1 KR 200481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ember
tie
hole
cap
ca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영 양
진 영 양
Original Assignee
양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영 filed Critical 양진영
Priority to KR2020160002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캡부와 타이부로 구성되어 풀고 조이기 쉬우며 체결력이 우수한 간단한 구조의 서류철 피스에 관한 것으로,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의 제1 헤드부재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재와 몸체를 상하로 관통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캡부; 및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의 제2 헤드부재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캡부와 회전 체결되는 제2 몸체로 이루어지는 타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류철 피스{DOCUMENT FILE PIECE}
본 고안은 서류철 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부와 타이부로 구성되어 풀고 조이기 쉬우며 체결력이 우수한 간단한 구조의 서류철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류철 피스는 서류, 문서 등과 같이 적어도 한장 이상으로 이루어진 용지를 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유연하게 절곡될 수 있는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는 것과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서류철 피스는 얇은 금속 판재로 가공되기 때문에, 예리하게 형성된 날에 의해 손을 베이거나 긁히게 되는 경우기 빈번히 발생하고, 용지의 부피가 증가되면 쉽게 체결상태가 해지되는 문제가 있으며, 결합되는 결속편을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또한, 흑색 철끈은 비용이 저렴하고 상처 등의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도중 진동이나 충격 그리고 마찰만으로도 묶음부가 스스로 풀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편, 기존의 제본기를 사용하여 제본하는 경우에는 제본후 서류 추가/삭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장비 구입 비용 등의 부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누구나 쉽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서류를 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서류철 피스가 제공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6413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60789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캡부와 타이부로 구성되어 풀고 조이기 쉬우며 체결력이 우수한 간단한 구조의 서류철 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서류철 피스는 원형상의 제1 헤드부재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재와 몸체를 상하로 관통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캡부; 및 원형상의 제2 헤드부재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캡부와 회전 체결되는 제2 몸체로 이루어지는 타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헤드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형성되는 한쌍의 기구 삽입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헤드부재는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부재의 일단은 잉여 부분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절편은 다수의 분리편에 의해 상하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부와 타이부재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진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캡부와 타이부로 구성되어 풀고 조이기 쉬우며 체결력이 우수한 간단한 구조의 서류철 피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서류철 피스는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서류철 피스는 결속력의 증가로 인하여 서류철이 보다 견고해지고, 서류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서류철 피스는 서류철을 하고 남는 부분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서류철 피스는 관공서와 은행 및 학교, 학원, 종교단체, 회사, 병원 ,복사점 등 서류 제본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사용가능하므로 경제성이 있으며, 철 바인더의 대체용으로서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캡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류철 피스의 체결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캡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류철 피스의 체결상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피스는 크게 캡부(10)와 타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부(10)와 타이부(20)는 개별구성되어 적층된 용지의 천공된 구멍을 통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로 나사선에 의해 회전체결되고, 체결후 풀고 조이는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캡부(10)는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의 제1 헤드부재(12)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제1 몸체(14)로 이루어지고, 제1 헤드부재(12)와 제1 몸체(14)를 상하로 관통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1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헤드부재(12)는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 이외에도,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몸체(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관통홀(18)은 체결을 위해 이후에 설명될 타이부(20)가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타이부(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제1 헤드부재(12)와 제1 몸체(14)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1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헤드부재(12)의 상면에는 관통홀(18)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형성되는 한쌍의 기구 삽입홈(16a, 16b)이 추가로 형성된다. 기구 삽입홈(16a, 16b)은 볼펜심 등과 같은 기구를 삽입하여 캡부(10)를 타이부(20)에 대해서 조이거나 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이부(20)는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의 제2 헤드부재(22)와, 외주면에 나사선(24a)이 형성되어 캡부(10)의 관통홀(18)을 통해 캡부(10)와 회전 체결되는 제2 몸체(24)로 이루어진다.
제2 헤드부재(22)는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 이외에도,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몸체(24)는 기본적으로 그 내부에 공동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캡부(10)의 관통공(18)을 통과한후에 타이부(20)의 잉여부분이 절단됨을 고려한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2 몸체(24)는 속이 채워진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타이부(20)는 용지의 부피가 증가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타이부(20)는 150㎜ 내지 250㎜의 길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5φ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부(10)와 타이부(20)는 나이론 또는 기타 플라스틱 재질이나, 합성수지제를 가지고 사출 성형 방식을 통해 대량 생산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서류철 피스의 사용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이부(20)가 적층된 용지(30)의 천공된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캡부(10)가 타이부(20)와 회전체결된다. 이때, 사용자는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의 제1 헤드부재(12)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기구 삽입홈(16a, 16b)에 볼펜심과 같은 기구를 삽입하여 캡부(10)를 타이부(20)에 대해서 체결할 수 있다.
타이부(20)는 캡부(10)의 관통홀(18)을 통과하며, 타이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a)과 관통홀(18)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4a)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진다.
타이부(20)는 용지(30)의 부피가 증가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므로, 체결시 캡부(10)의 외부로 잉여 부분이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 완료시 불필요한 타이부(20)의 잉여 부분을 칼이나 니퍼 등을 이용하여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절단된 잉여 부분은 재활용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부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이부(20)의 일단은 잉여 부분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편(26a, 26b, 26c)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때, 다수의 절편(26a, 26b, 26c)은 다수의 분리편(28a, 28b)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이부(20)의 잉여 부분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 분리편(28a, 28b)을 가볍게 손으로 돌려서 떼어내면 되므로, 칼이나 니퍼와 같은 별도의 도구없이 타이부(20)의 잉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분리구성되는 캡부와 타이부가 서로 체결가능하며, 체결 이후에도 풀고 조이는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사결합 구조에 의해서 체결력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캡부 12 : 제1 헤드부재
14 : 제1 몸체 14a : 나사산
16a, 16b : 기구 삽입홈 18 : 관통홀
20 : 타이부 22 : 제2 헤드부재
24 : 제2 몸체 24a : 나사산

Claims (5)

  1. 서류철 피스에 있어서,
    원형상의 제1 헤드부재와,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헤드부재와 제1 몸체를 상하로 관통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캡부; 및
    원형상의 제2 헤드부재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캡부와 회전 체결되는 제2 몸체로 이루어지는 타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부의 일단은 잉여 부분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절편은 다수의 분리편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형성되는 한쌍의 기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피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헤드부재는 각각 확장된 얇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피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와 타이부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피스.
KR2020160002295U 2016-04-27 2016-04-27 서류철 피스 KR200481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295U KR200481345Y1 (ko) 2016-04-27 2016-04-27 서류철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295U KR200481345Y1 (ko) 2016-04-27 2016-04-27 서류철 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45Y1 true KR200481345Y1 (ko) 2016-09-30

Family

ID=5704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295U KR200481345Y1 (ko) 2016-04-27 2016-04-27 서류철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4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191A (ja) * 1990-01-05 1994-02-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写真アルバム
JPH0737656A (ja) * 1993-07-21 1995-02-07 Hitachi Ltd Ic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実装方式及びic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H0747793A (ja) * 1993-06-26 1995-02-21 Kurt Lorber 集積された有孔紙を綴じ込む装置
KR200167686Y1 (ko) * 1999-08-20 2000-02-15 유영종 유아용 안정 싸게
KR200164133Y1 (ko) 1999-07-14 2000-02-15 안경석 밸크로 매직 테이프를 이용한 서류철
KR200260789Y1 (ko) 2001-10-04 2002-01-17 주식회사 후렌드 코리아 지철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191A (ja) * 1990-01-05 1994-02-1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写真アルバム
JPH0747793A (ja) * 1993-06-26 1995-02-21 Kurt Lorber 集積された有孔紙を綴じ込む装置
JPH0737656A (ja) * 1993-07-21 1995-02-07 Hitachi Ltd Ic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実装方式及びic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KR200164133Y1 (ko) 1999-07-14 2000-02-15 안경석 밸크로 매직 테이프를 이용한 서류철
KR200167686Y1 (ko) * 1999-08-20 2000-02-15 유영종 유아용 안정 싸게
KR200260789Y1 (ko) 2001-10-04 2002-01-17 주식회사 후렌드 코리아 지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345Y1 (ko) 서류철 피스
US20190358991A1 (en) File, and filing mechanism
US20090047057A1 (en) Extendable elastic document fastener
KR101404483B1 (ko) 천공용 펀치
US20180215024A1 (en) Nail Driving Assembly
US20180360223A1 (en) Coupling Assembly
JP3133645U (ja) 付箋クリップ
CN204196478U (zh) 一种活页笔记本
KR20120003677U (ko) 펀치 기능을 구비한 송곳
US20170321997A1 (en) Target Holding Assembly
DE4315954C2 (de) Teebeutelhalter
JP3157127U (ja) バインダー金具およびバインダー
US816691A (en) Paper-binder.
US3039471A (en) Binding device
US1568403A (en) Loose-leaf binder
US604522A (en) Blank-book
US1965546A (en) Combination tool for loose leaf binders
JP2009066910A (ja) ファイルブック
DE202006000259U1 (de) Clip mit Verbindungsstück zum Zusammenheften von Papier
US1374594A (en) Paper-binder
JP5368607B1 (ja) 綴じ部を有するシート及び該シートの綴じ方法
US627484A (en) Temporary binder
US911049A (en) Loose-leaf binder.
JP3605238B2 (ja) 綴じ具
KR200479626Y1 (ko) 범용 바인더 속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