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30Y1 -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30Y1
KR200481330Y1 KR2020160003502U KR20160003502U KR200481330Y1 KR 200481330 Y1 KR200481330 Y1 KR 200481330Y1 KR 2020160003502 U KR2020160003502 U KR 2020160003502U KR 20160003502 U KR20160003502 U KR 20160003502U KR 200481330 Y1 KR200481330 Y1 KR 200481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yringe
hole
prese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정
Original Assignee
황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정 filed Critical 황윤정
Priority to KR202016000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7Materials having sensing or indicating function, e.g. indicating a pressure incr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몸체인 제1 배럴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출입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홀부를 포함하는 제1 주사기부, 몸체인 제2 배럴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출입부, 상기 제2 출입부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침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2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럴부에 상기 제1 주사기부가 삽입되는 제2 주사기부, 및 상기 제1 주사기부 및 상기 제2 주사기부의 사이공간에 위치하는 침수라벨을 포함하여 상기 침수라벨의 변색을 통해 재사용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재사용을 억제하여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방지하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DISPOSABLE SYRINGES FOR CONFIRMATION OF USE}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회용 주사기의 내부에 침수라벨을 부착하여 상기 침수라벨의 변색을 통해 사용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재사용을 억제하여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방지하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계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주사기는 환자의 체내에 약물을 주사한 후 바이러스 감염이나 세균 전파를 억제하기 위해 일회 사용한 후 바로 폐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칙에 따라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에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최근 들어 사용자의 부도덕으로 인해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함으로써, 집단감염사태와 같은 인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특수 질병이나 난치병 환자들이 사용한 주사기를 폐기 후 수거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으며, 약물 중독자들이 주사기를 나누어 쓰는 등의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일회용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50065' 는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피스톤 역할을 하는 가스켓에 인접한 부분에 상판과 하판을 배치시키고 상기 상판과 하판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대신 장방형 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럴(barrel) 선단의 팁(tip)부분 내측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플런저 선단에 쐐기 형태의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주사기 내의 약액이 주사 바늘로 완전히 배출된 후 플런저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연결부가 간단히 절단되게 하여 주사기의 재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주사액을 환자에게 주사하는 과정에서 플런저 선단에 배치되는 돌기부가 걸림부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사액을 주사한 후에 주사기를 뽑아낼 경우 상기 주사기의 재사용 구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의 내부에 주사액을 주입시 배럴 내부에 외기를 비롯한 타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배럴 내부에 주사액을 흡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플런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를 배럴의 끝단까지 진행시켜 내부에 에어 포켓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기술에서 플런저가 배럴 내에 삽입될 경우, 끝단까지 플런저를 진행시키게 되면 플런저와 개스킷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절단됨으로 인해 주사액의 주입이 곤란하고, 연결부가 절단되지 않는 시점까지 플런저를 진행시키게 되면 내부에 에어포켓이 발생할 수 있어 배럴 내부의 밀폐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공기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5006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 확인이 가능한 주사기는 주사기의 사용 전과 사용 후를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어, 사용자 및 환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몸체인 제1 배럴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출입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홀부를 포함하는 제1 주사기부, 몸체인 제2 배럴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출입부, 상기 제2 출입부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침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2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럴부에 상기 제1 주사기부가 삽입되는 제2 주사기부, 및 상기 제1 주사기부 및 상기 제2 주사기부의 사이공간에 위치하는 침수라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부는 상기 제1 배럴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1 홀부, 및 상기 제1 배럴부의 내면에 위치하는 제2 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부는, 중심선이 동일하고 외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제2 홀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재사용 확인이 가능한 주사기는 주사기 재사용으로 인한 세균 감염 피해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재사용 여부를 눈으로 손쉽게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인해 쉽게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홀부의 단면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홀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주사기를 사용하는 의료인, 환자 및 기타 주사기를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을 지칭하며, 어느 한 분야의 인력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약물이 주입되는 제1 주사기부, 상기 제1 주사기부가 삽입되는 제2 주사기부, 및 상기 제1 주사기부 내부에 삽입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주사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고분자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주사기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측방은 제1 주사기부가 부분 폐쇄되는 방향을 지칭하고, 제2 측방은 제1 주사기부가 개방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 제1 주사기부(10)는 몸체에 해당하는 제1 배럴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제2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출입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홀부를 포함한다.
제1 배럴부(21)는 원통의 배럴(barrel)형상을 가지고, 외면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주사액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새겨질 수 있다. 제1 주사기부(20)의 몸체에 해당되는 제1 배럴부(21)는 길이 방향으로 제2 측방은 개방되고, 제1 측방은 부분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방에 인접하여 제1 출입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럴부(21)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출입부는 테이퍼 배럴의 형상일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제2 측방은 부분 폐쇄된 제1 배럴부(21)와 인접하여 연결되고, 제1 측방은 개방될 수 있으며, 제2 측방에서부터 제1 측방으로 갈수록 개방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럴부(21)의 제2 측방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주사기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5)는 제1 주사기부(20)가 제2 주사기부(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배럴부(21)의 외면에는 홀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부(24)는 플런저부(30)을 통해 제1 배럴부(21)의 내부에 주사액이 유입될 경우 주사액의 일부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각을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술한 눈금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부(24)의 제1 측방으로 이웃하게는 침수라벨(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침수라벨(23)은 상기 제1 배럴부(21)의 외주면을 감싸는 띠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침수라벨(23)에 상기 홀부(24)를 통해 배출된 주사액이 닿을 경우, 주사액을 흡수한 침수라벨(23)은 변색될 수 있으며, 변색된 침수라벨(23)을 통해 사용자가 주사기의 사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사기부(20)의 내부에는 플런저부(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부(30)는 상기 제1 배럴부(21)내부에 삽입되어 주사액을 주사침부(12)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제1 측방에 배치되는 개스킷(gasket), 상기 개스킷과 연결되어 개스킷을 고정하는 개스킷하판, 상기 개스킷 및 상기 개스킷하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구성요소인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배럴부(21)내부에 삽입되는 개스킷(31)은 수지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어 주사액에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주사액이 제1 배럴부(21)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오염물질이 제1 배럴부(2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배럴부(21)의 내경을 채우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의 제2 측방으로는 개스킷 하판(3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 하판(32)는 지지대(33)와 연결되어 상기 개스킷(31)이 배럴 내부에 균등한 압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개스킷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대(33)는 플런저부(30) 몸체를 구성하고 플런저부의 제1 측방 끝단에 위치하는 개스킷(31), 상기 개스킷(31)의 균형을 유지하고 고정하는 개스킷하판(32), 및 사용자가 압력을 부가하는 부분인 손잡이(35)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사용자의 악력을 통해 손쉽게 압력을 부가하여 주사액을 손쉽게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판의 형상은 원의 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하게 쥘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 주사기부(20)는 내부에 플런저부(30)가 삽입되어 주사액을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으며, 제2 주사기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사기부(10)는 몸체에 해당하는 제2 배럴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2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출입부, 상기 제2 출입부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침부, 및 상기 제2 배럴부의 제2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주사기부(10)는 내경이 상기 제1 주사기부(20)에 비해 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크기 비율은 일정하다.
상기 제2 주사기부(10)의 제2 배럴부(11) 및 제2 출입부(13)는 상기 제1 주사기부(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기능 또한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출입부(13)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주사침부(12)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주사기부(20)의 내부에 유입된 주사액을 배출하는 구성요소로 그 끝단이 예리하게 절삭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럴부(11)의 제2 측방 끝단에는 홀더(15)가 위치한다. 상기 홀더(15)는 사용자가 플런저부(30)를 통해 주사액을 제1 주사기부에 유입 또는 배출시 주사기 몸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붙잡을 수 있는 구성요소로, 타원형으로 상기 제2 주사기부의 내경이 확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형상에 제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붙잡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플런저부(30)는 제1 주사기부(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측방 내지 제2 측방으로 사용자의 악력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사기부(20)는 제2 주사기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출구(13) 및 상기 제2 배출구(22)는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5)도 상기 제2 배럴부(11)의 제2 측방 끝단의 내경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배럴부(21)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하여 주사액을 흡입하기 위한 대기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는 홀더(15)를 통해 제2 주사기부(10)를 붙잡고 플런저부(30)의 손잡이(35)를 밀어 상기 제1 배럴부(21) 내부에 삽입된 플런저부(30)에 미는 힘이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부(30)가 받는 힘이 개스킷(31)에 전달되어 제1 배럴부(21) 내부에 혼재하는 공기를 주사침부(12)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주사기부(20)는 상기 제2 주사기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된 구성요소는 제1 출입부(22) 및 지지부(2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주사기부(20)의 내경은 상기 제2 주사기부(10)보다 작게 되므로 상기 제1 배럴부(21)의 외면과 상기 제2 배럴부(11)의 내면간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상으로 상기 제1 배럴부(21)에 위치하는 홀부(24)를 통해 제1 배럴부(21)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홀부(24)는 상기 제1 배럴부(21)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럴부(21)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1 홀부(24a), 및 상기 제1 배럴부(21)의 내면에 위치하는 제2 홀부(24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부(24)는 플런저부(30)가 이동함에 따라 제1 배럴부(21)내부에 주사액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주사액의 일부가 상기 홀부(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홀부(24)의 형상은 원형의 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부(24)를 통해 배출된 주사액이 제1 배럴부(21)내부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홀부(24a) 및 상기 제2 홀부(24b)를 가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홀부(24a) 는, 중심선이 동일하고 외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제2 홀부(24b)와 연결 될 수 있으며, 상기 홀부(24)는 상기 제1 홀부(24a)의 면적에 비해 제2 홀부(24b)의 면적이 클 수 있다. 이때 내부의 주사액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주사액이 고압으로 배출되게 되므로 배출된 주사액이 상기 제1 배럴부(21) 내부로의 재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홀부(24a)의 직경은 주사액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0.3 mm 내지 1 mm 일 수 있다. 상기 제1 홀부(24)의 직경이 0.3 mm 미만일 경우 일정량의 주사액이 배출되지 못해 주사액이 묻음으로써 변색되는 침수라벨(23)을 통해 주사기 사용유무의 판단이 어려우며, 직경이 1 mm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홀부(24)를 통해 주사액이 다량으로 분출되어 정량의 주사액의 주입이 어려울 수 있으며, 배출된 주사액이 제1 배럴부(21)내부로 재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홀부(24)의 직경은 상술한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부(24)와 이웃하게는 침수라벨(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침수라벨(23)은 상기 제1 배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홀부(24)를 통해 배출된 주사액과 닿으면 변색되어 사용자에게 주사기의 사용유무를 알려줄 수 있다.
도면상에서 상기 침수라벨(24)이 부착되는 위치는 홀부(24)의 제1 측방이웃하게 부착될 수 있으나, 제2 측방으로 이웃하게 부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홀부(24)와의 간격은 5mm 내지 15 mm 일 수 있다. 이는 15 mm 를 초과하여 이격될 경우 상기 홀부(24)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이 침수라벨(23)에 묻을 가능성이 희박하고, 극소량의 주사액이 침수라벨(23)에 묻음으로 인해 변색 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이를 식별하기 어려우며, 5 mm 미만으로 이격될 경우 주사액이 침수라벨(23)과의 반응으로 생성된 불순물이 상기 홀부(24)를 통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주사액 용기(미도시)에 주사침부(12)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손잡이(35)를 당김으로 인해 주사액이 제1 배럴부(21)내부로 유입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홀부(24)를 통해 유입된 주사액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홀부(24)를 통과하는 주사액은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홀부(24)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침수라벨(24)에 주사액이 닿아 주사기의 사용유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배럴부(21)의 내부에 유입된 주사액을 주사하는 과정에서도 홀부(24)의 구조로 인해 공간상의 공기 및 주사액이 제1 배럴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사용자가 주사기 내부에 주사액이 배출되는 홀부(24)까지 주사액을 주입시키지 않고 사용하여 주사기 사용 유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을 억제하기 위해 각 지정된 용량에 알맞은 크기로 주사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주사기부에 복수개의 홀부(24)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홀부(24)의 위치는 상기 제1 주사기부의 어떠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사용자가 주사기의 재사용 유무를 침수라벨(23)의 변색을 통해 확인하게 되므로, 홀부(24)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이 침수라벨(23)에 쉽게 묻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홀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를 참조하면, 제1 배럴부(21)의 내부에 채워진 주사액을 개스킷(31)이 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홀부(24)에 주사액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홀부(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홀부(24a)의 면적은 상기 제2 홀부(24b)의 면적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홀부를 통과한 주사액이 침수라벨(23)에 쉽게 묻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홀부(24a) 및 상기 제2 홀부(24b)를 가공하여 따라 주사액의 배출분포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홀부(24a)는, 제2 홀부(24b)와 면적은 상이하나 중심이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가짐으로 인해 배출된 주사액의 재유입을 억제하고, 고압의 주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부(24)가 배출하는 주사액이 침수라벨(23)에 쉽게 묻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홀부(24a)의 중심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보다 침수라벨(23)에 이웃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홀부(24)는 중심을 이동한 상기 제1 홀부(24a)의 제1 측방으로 주사액을 배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침수라벨(23)에 주사액이 묻을 확률을 높일 수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홀부(23a)의 중심은 상기 침수라벨(23)이 위치하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변동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홀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 를 참조하면, 제1 배럴부(21)의 내부에 채워진 주사액을 개스킷(31)이 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홀부(24)를 통해 주사액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부(24)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이 침수라벨(23)에 쉽게 묻을 수 있도록 상기 침수라벨(23)을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구성된 홀부(24)를 통해 배출되는 주사액은 홀부(24)를 통과하면서 방사형으로 배출되고,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배럴부(21)의 외면에 분포하는 주사액보다 상기 제2 배럴부(11)의 내면에 분포하는 주사액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수라벨(23)을 상기 제2 배럴부(11)의 내주면에 부착시켜 주사액이 배출됨과 동시에 침수라벨(23)에 묻을 수 있어 주사기의 재사용 판단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제2 주사기부 11 : 제2 배럴부
12 : 주사침부 13 : 제2 출입부
15 : 홀더 20 : 제1 주사기부
21 : 제1 배럴부 22 : 제1 출입부
23 : 침수라벨 24 : 홀부
25 : 지지부 30 : 플랜저부
31 : 개스킷 32 : 개스킷하판
33 : 지지대 35 : 손잡이

Claims (3)

  1. 몸체인 제1 배럴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 출입부, 상기 제1 배럴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홀부를 포함하는 제1 주사기부;
    몸체인 제2 배럴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1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2 출입부, 상기 제2 출입부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침부, 상기 제2 배럴부의 제2 측방의 끝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럴부에 상기 제1 주사기부가 삽입되는 제2 주사기부; 및
    상기 제1 주사기부 및 상기 제2 주사기부의 사이공간에 위치하는 침수라벨을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부는, 상기 제1 배럴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1 홀부, 및 상기 제1 배럴부의 내면에 위치하는 제2 홀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부는, 중심선이 동일하고 외면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상기 제2 홀부와 연결되는 일회용 주사기.
KR2020160003502U 2016-06-21 2016-06-21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KR200481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502U KR200481330Y1 (ko) 2016-06-21 2016-06-21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502U KR200481330Y1 (ko) 2016-06-21 2016-06-21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30Y1 true KR200481330Y1 (ko) 2016-09-22

Family

ID=5704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502U KR200481330Y1 (ko) 2016-06-21 2016-06-21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58A (ko) * 2017-08-24 2019-03-0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사용 여부가 표시되는 일회용 주사기
KR20220116748A (ko) 2021-02-15 2022-08-2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도 구별이 가능한 주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65Y1 (ko) 2009-06-23 2010-09-02 김기원 재사용방지 일회용 주사기
US8128605B2 (en) * 2007-12-24 2012-03-06 Mentor Worldwide Llc Syringe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US20130150785A1 (en) * 2011-12-09 2013-06-13 Gregory Lee Heacock Color Changeable Dyes for Indicating Exposure,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Dyes, and Apparatuses Incorporating Such Dyes
KR101415305B1 (ko) * 2014-02-14 2014-07-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주사기
US8983579B2 (en) * 2009-02-04 2015-03-17 Mallinckrodt Llc Syringe with visual use indic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8605B2 (en) * 2007-12-24 2012-03-06 Mentor Worldwide Llc Syringe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US8983579B2 (en) * 2009-02-04 2015-03-17 Mallinckrodt Llc Syringe with visual use indicator
KR200450065Y1 (ko) 2009-06-23 2010-09-02 김기원 재사용방지 일회용 주사기
US20130150785A1 (en) * 2011-12-09 2013-06-13 Gregory Lee Heacock Color Changeable Dyes for Indicating Exposure,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Dyes, and Apparatuses Incorporating Such Dyes
KR101415305B1 (ko) * 2014-02-14 2014-07-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 주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858A (ko) * 2017-08-24 2019-03-0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사용 여부가 표시되는 일회용 주사기
KR101976357B1 (ko) 2017-08-24 2019-05-0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사용 여부가 표시되는 일회용 주사기
KR20220116748A (ko) 2021-02-15 2022-08-2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도 구별이 가능한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6670B2 (en) Pen needle removal device for a drug delivery device
CN106964013B (zh) 成角度的注射器修补注入器
US9174004B2 (en) Pen needle assembly outer cover having a breakaway flange
NO334598B1 (no) Instrument med tilbaketrekkbar nål for intravenøs kateter-innføring, samt fremgangsmåte til montering av samme.
KR200481330Y1 (ko) 사용 확인이 가능한 일회용 주사기
KR101532413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CN113613695B (zh) 喷嘴组件、注射器主体及包括其的无针注射器
KR20160096405A (ko)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KR0172454B1 (ko) 캐뉼러가 두개있는 투약기
KR20160078299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101891223B1 (ko)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KR101479258B1 (ko) 일회용 주사기
CN211751769U (zh) 多针管阵列及具有其的注射针头和注射器
KR20180056821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RU2752601C1 (ru) Система сбора и стабилиза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JP4191371B2 (ja) 導液具
KR101711090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US20170189623A1 (en) Syringe and safety cap assembly for syringe
CN213190321U (zh) 一种角膜移植推注器
CN210873429U (zh) 一种输液器针头容置盘
KR101742803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US20130079714A1 (en) Single use syringe
KR101641078B1 (ko) 주사기팁
CN110339475A (zh) 多针管阵列及具有其的注射针头和注射器
JP2002263188A (ja) 導液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