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56Y1 -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56Y1
KR200481156Y1 KR2020160001923U KR20160001923U KR200481156Y1 KR 200481156 Y1 KR200481156 Y1 KR 200481156Y1 KR 2020160001923 U KR2020160001923 U KR 2020160001923U KR 20160001923 U KR20160001923 U KR 20160001923U KR 200481156 Y1 KR200481156 Y1 KR 200481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coupling
excavation
excavat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2020160001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compacting-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2Ri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을 구성함에 있어, 상하수도 공사나 지중 케이블 공사나 고랑 공사 등 폭이 좁은 굴착지의 굴착시 불필요한 지반에 대한 굴착을 방지함으로써, 지내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나아가 우천시 지반의 약화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며, 또한 굴착하고자 하는 지반의 주변에 또 다른 상하수도관이나 지중 케이블 등이 매설되어 있더라도 벗어난 범위에의 굴착이 용이하게 하는 등 정밀한 굴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for excavator}
본 고안은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 공사나 지중 케이블 공사시 비교적 폭이 좁은 공간의 굴착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정밀하게 굴착하면서도, 굴착지 주변 지반의 지내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 예를 들면 굴삭기는 도로공사, 상하수도 공사, 건축기초공사, 토지조성공사, 토사 등을 채취하는 공사 등 폭넓게 사용되는 건설장비로서, 작업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버킷(Bucket)을 이용한 땅파기 작업, 크러셔(Crusher)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물 파쇄 및 철근 절단작업,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한 암석 및 콘크리트 파괴 작업, 그랩(Grab)을 이용한 고철 및 암석 운반 작업, 크람셀 버킷(Clamshell bucket)을 이용한 수직갱 및 상하수도 건축 기초공사 작업 등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교체해가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통 어태치먼트는 작업의 용도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굴삭기의 암에 장착 및 탈거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최근에는 별도의 커플러를 굴삭기의 암에 장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퀵커플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어태치먼트 중 상하수도 공사나 지중 케이블 공사, 고랑 공사과 같은 지반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버킷을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버킷은 대략 그 폭이 1m 정도에 이르러 지반을 굴착시 최소환 그 버킷의 폭에 해당하게 굴착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킷은, 그 굴착폭이 최소한 1m를 이루는 것인바, 비교적 좁은 직경의 상하수도관이나 지중 케이블 공사 또는 고랑 공사시 불필요하게 주변 지반을 굴착하여야 하였으며, 이러한 불필요한 굴착은 추후 토사를 되메움시 되메움된 지반이 약하고 지내력이 떨어져 우천시 지반 침하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화된 폭을 이루는 버킷의 특성상 지반을 굴착시 그 굴착 정밀도가 떠어지며, 혹시 굴착하고자 하는 지반에 또 다른 상하수도관이나 케이블 등이 매설되어 있을시 그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9677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버킷을 구성함에 있어, 상하수도 공사나 지중 케이블 공사나 고랑 공사 등 폭이 좁은 굴착지의 굴착시 불필요한 지반에 대한 굴착을 방지함으로써, 지내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나아가 우천시 지반의 약화로 인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굴착하고자 하는 지반의 주변에 또 다른 상하수도관이나 지중 케이블 등이 매설되어 있더라도 벗어난 범위에의 굴착이 용이하게 하는 등 정밀한 굴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굴삭기의 퀵커플러에 결합되어 굴착을 수행하는 버킷; 및
굴삭기의 퀵커플러에 결합되어 파쇄를 수행하는 파쇄툴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버킷은,
외측 하단에 보강편이 형성된 양측 수용부 측판과, 후방에서 상부에 이르게 양측 수용부 측판을 연결하여 하부로 개방되는 제1 공간부를 이루게 하는 수용부 후방판과, 굴삭기의 퀵커플러가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갖는 수용부 후방판으로 된 단형의 토사 수용부;
토사 수용부와 "ㄱ" 형태를 이루도록 하방을 향하게 장형으로 직각 연장 형성되되, 수용부 측판과 연장되며 외측 전방에 보강편이 형성된 양측의 굴착부 측판과, 후방에서 수용부 후방판과 연결되는 한편 양측의 굴착부 측판을 연결하며 전방에는 제1 공간부와 연장되는 전방 개방형 제2 공간부를 이루게 하는 굴착부 후방판으로 된 굴착부; 및
굴착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반의 굴착 및 암반의 파쇄가 가능한 투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토사 수용부과 굴착부의 폭은 30~40Cm의 폭을 이루게 구성하며,
토사 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투스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는 2~2.2m의 길이를 이루게 구성하며,
파쇄툴은,
굴삭기의 퀵커플러의 어느 한 측의 측판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 핀홀이 형성된 투스 결합부;
일측에 투스 결합부를 감싸도록 개방되는 한편, 상기 결합부 핀홀과 연통되는 투스 핀홀이 형성된 어댑터와, 어댑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투스 포인트로 투스; 및
투스 핀홀과 결합부 핀홀을 관통하여 투스 결합부와 투스를 결합하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는, 굴삭기의 퀵커플러가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토사 수용부와, 그 토사 수용부와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단부에는 투스가 형성되는 굴착부로 구성되되, 그 좌,우 폭이 30~40Cm의 폭을 이루고 상,하 길이가 2~2.2m의 길이를 이루고 있어 비교적 좁은 직경의 상하수도 공사나 지중 케이블 공사 또는 고랑 공사와 같이 폭이 좁고 깊은 공간의 굴착이 용이하게 하면서도, 불필요하게 주변의 지반을 굴착할 필요가 없어 굴착지 주변 지반의 지내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굴착 시공으로 인한 우천시 지반 침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굴착하고자 하는 지반의 지중에 또 다른 상하수도관이나 전력선, 통신선 등의 케이블이 매설시 이들에 간섭받지 않고 안전하게 굴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굴착 정밀도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 배면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파쇄툴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파쇄툴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을 이용한 굴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을 이용한 굴착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을 이용한 굴착 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버킷 사용 상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파쇄툴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전체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는, 버킷(1)과 파쇄툴(2)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버킷(1)은,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토사 수용부(100)와, 굴착부(200)와 투스(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토사 수용부(100)는, 토사를 굴착하여 퍼내는 과정에서 토사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하기하는 굴착부(200)에 비해 짧은 단형 길이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토사 수용부(100)는, 먼저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의 외측 하부에는 보강편(111)이 형성된 수용부 측판(110)(110')을 이루게 구성되고, 그 양측의 수용부 측판(110)(110')은, 그 후방에서 상부에 이르게 연결하여 마감하는 수용부 후방판(1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수용부 측판(110)(110')과 수용부 후방판(120)을 통해 하부로 개방되는 제1 공간부(1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부 측판(110)(110')에는, 통상의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가 결합되는 결합수단(14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결합수단(14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퀵커플러(2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핀(141)을 갖는 양측 한 쌍의 브라켓(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굴착부(200)는, 지반을 굴착하는 과정에서 지반을 파고 들어가 굴착을 수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토사 수용부(100)보다 상다적으로 긴 장형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굴착부(200)는, 상기 토사 수용부(100)와 "ㄱ" 형태를 이루도록 토사 수용부(10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직각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수용부 측판(110)(110')과 연장되며 외측 전방에 보강편(211)이 형성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굴착부 측판(210)(210')이 구성되고, 그 양측의 굴착부 측판(210)(210')은, 그 후방에서 수용부 후방판(120)과 연결되는 한편 양측의 굴착부 측판(210)(210')을 연결하여 후방을 마감하는 굴착부 후방판(2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굴착부 측판(210)(210')과 굴착부 후방판(220)을 통해 전면으로 개방되며 제1 공간부(130)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230)가 구성된다.
이때 굴착부(200)은 그 굴착부 측판(210)(210')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버킷(1)은, 전체적으로 그 폭이 30~40Cm의 폭을 이루고 비교적 긴 굴착부(200)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비교적 좁은 폭으로 깊은 굴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굴착부(200)의 제2 공간부(230)에는 보강대(240)가 더 구성된 것으로, 이때 보강대(240)는, 굴착부 후방판(220)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편 굴착부(200)의 길이 방향 길이를 이루게 구성되어,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굴착부(200)의 보강이 가능하게 되며, 그 보강대(240)에는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241)가 형성된다.
상기 투스(300)는, 상기 굴착부(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반의 굴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굴착력의 향상과 암반의 파쇄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굴착부(200)에 구성함에 있어서는 착탈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굴착부(200)의 단부에는, 굴착부(20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부 핀홀(252)을 갖는 투스 결합부(25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때 투스 결합부(250)는 굴착부(200)의 굴착부 후방판(220) 외측으로 연장 및 그 굴착부 후방판(220)과 연결되어 보강력을 가지도록 보강부(251)가 구성된다.
그리고 투스(300)는, 상부에 상기 투스 결합부(250)를 감싸는 상부 개방형 어댑터(31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어댑터(310)에는 상기 결합부 핀홀(252)과 연통되는 투스 핀홀(311)이 구성된다.
또한 투스(300)는, 상기 어댑터(3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지반의 굴착이나 암반 등을 타격하여 파쇄하는 투스 포인트(320)가 구성된다.
즉, 투스(300)는, 어댑터(310)를 통해 굴착부(200)의 투스 결합부(250)를 감싸는 한편, 별도 구비되는 결합핀(330)을 이용하여 어댑터(310)의 투스 핀홀(311) 및 투스 결합부(250)의 결합부 핀홀(252)을 관통하여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착탈 결합은 투스(300)가 마모시 신속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토사 수용부(100)와 굴착부(200)와 투스(30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토사 수용부(100)과 굴착부(200)의 폭은, 30~40Cm의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토사 수용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투스(300)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는 2~2.2m의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파쇄툴(2)은,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퀵커플러(20)에는 그 퀵커플러(20)를 이루는 어느 한 측의 측판(21)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 핀홀(411)이 관통 형성된 투스 결합부(410)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파쇄툴(2)에는, 상기 투스 결합부(410)에 결합되는 투스(42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투스(420)는, 상기 투스 결합부(410)를 감싸는 일측 개방형 어댑터(421)가 구성된 것으로, 그 어댑터(421)에는 상기 결합부 핀홀(411)과 연통되는 투스 핀홀(422)이 구성된다.
또한 투스(420)는, 상기 어댑터(4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노면을 타격하여 파쇄하는 투스 포인트(320)가 구성된다.
그리고 파쇄툴(2)에는, 상기 결합부 핀홀(411)과 투스 핀홀(422)을 관통하여 투스(420)를 투스 결합부(4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430)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는, 통상의 굴삭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먼저 버킷(1)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굴삭기(10)의 붐대(11)의 단부에 형성된 퀵커플러(20)를 이용하여 토사 수용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수단(140)의 결합핀(141)에 결합하면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굴삭기(10)에 장착된 버킷(1)은, 통상의 버킷과는 달리 부득이 비교적 폭이 좁으면서 깊은 굴착을 수행시 사용되는 것으로, 일예로 상하수도 공사를 위한 배관의 설치시나 전력선이나 통신선 등의 지중 케이블 공사나 고랑 등의 굴착시 사용된다.
이때 버킷(1)은, 도 8을 참조하여 굴착부(200)를 이용하여 굴착을 수행하되 도 2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비교적 좁은 폭과 상당한 길이를 이루는 굴착부(200)의 단부에 형성된 투스(300) 즉 투스 포인트(320)를 통해 굴착 및 굴착부(200)가 지중으로 진입되어 좁은 폭을 이루면서 상당한 깊이로의 굴착이 가능하게 되며, 굴착후 굴착된 토사를 퍼내기 위해 버킷을 접게되면 굴착부(200)의 제2 공간부(230)와 연결된 토사 수용부(100)의 제1 공간부(130)로 토사가 이동 및 저장되어 용이하게 토사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버킷(1)은,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굴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주변의 굴착 없이 효율적인 굴착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굴착은 불필요한 굴착으로 인한 굴착 공사시 지반의 지내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며, 나아가 우천시 지반 침하를 방지 및 근래에 문제시되고 있는 싱크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요 부분에 대한 효율적인 굴착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부득이 굴착하고자 하는 굴착지의 주변 지중에 또다른 배관이나 케이블 등이 매설시 그 배관이나 케이블과 간섭없이 안전한 굴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버킷(1)은, 도 10을 참조하여 굴착부(200)의 단부에 투스(300)가 형성된 것인바, 굴착 작업중 암반 등이 발견시 간편하게 투스(300)를 이용하여 파쇄가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버킷(1)은, 필요에 따라 배관 등의 운반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굴착부(200)의 보강대(240)에 형성된 견인고리(241)를 통해 로프(20)를 연결 및 그 로프(20)를 이용하여 배관 등 자재의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를 사용함에 있어 파쇄툴(2)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에 형성된 투스 결합부(410)에 결합핀(430)을 이용하여 투스(420)를 결합하여 사용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파쇄툴(2)은, 도 12의 도시와 같이 투스(420)의 투스 포인트(423)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노면 등에 대하여 비교적 좁은 구간에 대하여 파쇄를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파쇄툴(2)은, 통상의 노면 등을 파쇄시 사용되는 브레이커(도면중 미도시함)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장착 및 파쇄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편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쇄툴(2)을 이용하여 파쇄 작업을 수행시에는 전술한 버킷(1)은 탈거한 상태에서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는, 상하수도 공사나 지중 케이블 공사 및 고랑 공사와 같은 폭이 좁은 굴착과 간단한 파쇄를 요할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 : 버킷 2 : 파쇄툴
100 : 토사 수용부 110,110' : 수용부 측판
111 : 보강편 120 : 수용부 후방판
130 : 제1 공간부 140 : 결합수단
200 : 굴착부 210,210' : 굴착부 측판
211 : 보강편 220 : 굴착부 후방판
230 : 제2 공간부 240 : 보강대
241 : 견인고리 250 : 투스 결합부
251 : 보강부 252 : 결합부 핀홀
300 : 투스 310 : 어댑터
311 : 투스 핀홀 320 : 투스 포인트
330 : 결합핀
410 : 투스 결합부 411 : 결합부 핀홀
420 : 투스 421 : 어댑터
422 : 투스 핀홀 423 : 투스 포인트
430 : 결합핀

Claims (5)

  1.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에 결합되어 굴착을 수행하는 버킷(1); 및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에 결합되어 파쇄를 수행하는 파쇄툴(2)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버킷(1)은, 외측 하단에 보강편(111)이 형성된 양측 수용부 측판(110)(110')과, 후방에서 상부에 이르게 양측 수용부 측판(110)(110')을 연결하여 하부로 개방되는 제1 공간부(130)를 이루게 하는 수용부 후방판(120)과,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가 결합되는 결합수단(140)을 갖는 수용부 후방판(120)으로 된 단형의 토사 수용부(100); 토사 수용부(100)와 "ㄱ" 형태를 이루도록 하방을 향하게 장형으로 직각 연장 형성되되, 수용부 측판(110)(110')과 연장되며 외측 전방에 보강편(211)이 형성된 양측의 굴착부 측판(210)(210')과, 후방에서 수용부 후방판(120)과 연결되는 한편 양측의 굴착부 측판(210)(210')을 연결하며 전방에는 제1 공간부(130)와 연장되는 전방 개방형 제2 공간부(230)를 이루게 하는 굴착부 후방판(220)으로 된 굴착부(200); 및 굴착부(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반의 굴착 및 암반의 파쇄가 가능한 투스(300)를 포함하는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토사 수용부(100)과 굴착부(200)의 폭은 30~40Cm의 폭을 이루게 구성하며,
    토사 수용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투스(300)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는 2~2.2m의 길이를 이루게 구성되고,
    굴착부(200)의 제2 공간부(230)에는,
    굴착부 후방판(220)의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편 굴착부(200)의 길이 방향을 이루며,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241)가 형성된 보강대(24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되며,
    투스(300)는, 굴착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굴착부(200)의 단부에는,
    굴착부(200)의 굴착수 후방판(220) 외측과 접하여 보강력을 가지는 보강부(251)를 가지며 굴착부(200)의 폭 방향으로 결합부 핀홀(252)이 형성된 투스 결합부(250)를 돌출 형성하고,
    투스(300)는,
    상부에 투스 결합부(250)를 감싸는 한편 상기 결합부 핀홀(252)과 연통되는 투스 핀홀(311)이 형성된 어댑터(310); 및
    어댑터(310)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투스 포인트(320)로 구성되며,
    투스 핀홀(311)과 결합부 핀홀(252)을 관통 연결하는 결합핀(330)을 통해 굴착부(200)의 투스 결합부(250)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파쇄툴(2)은,
    굴삭기(10)의 퀵커플러(20)의 어느 한 측의 측판(21)에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 핀홀(411)이 형성된 투스 결합부(410);
    일측에 투스 결합부(410)를 감싸도록 개방되는 한편, 상기 결합부 핀홀(411)과 연통되는 투스 핀홀(422)이 형성된 어댑터(421)와, 어댑터(4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투스 포인트(423)로 투스(420); 및
    투스 핀홀(422)과 결합부 핀홀(411)을 관통하여 투스 결합부(410)와 투스(420)를 결합하는 결합핀(4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1923U 2016-04-08 2016-04-08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200481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23U KR200481156Y1 (ko) 2016-04-08 2016-04-08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23U KR200481156Y1 (ko) 2016-04-08 2016-04-08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56Y1 true KR200481156Y1 (ko) 2016-08-23

Family

ID=5685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23U KR200481156Y1 (ko) 2016-04-08 2016-04-08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5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043U (ja) * 1991-05-24 1993-11-22 油谷重工株式会社 バケット
KR200196771Y1 (ko) 2000-04-10 2000-09-15 이기순 굴삭기용 버킷 귀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043U (ja) * 1991-05-24 1993-11-22 油谷重工株式会社 バケット
KR200196771Y1 (ko) 2000-04-10 2000-09-15 이기순 굴삭기용 버킷 귀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965B1 (ko)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US5918389A (en) Scraper blade for toothed buckets of earth working machines
US4038766A (en) Excavator bucket ripper tool
JP6661448B2 (ja) 地中連続壁の構築方法
KR100722665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0656194B1 (ko) 터널공법을 적용한 개착식 공법
JP2014118807A (ja) 新設杭造成工法及びそのためのカッターバケット。
KR20110019674A (ko) 지 더블유 기초보강공법
KR200481156Y1 (ko) 단폭 굴착 및 파쇄가 가능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CN110685292A (zh) 一种基坑排水系统及其施工方法
JP6735138B2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KR101502321B1 (ko) 곡선 경사형 철구에 다수의 초경팁이 형성된 천공스크류용 회전깍기식 굴삭헤드
CN210177564U (zh) 挖掘机平面挖掘装置
CN107059839B (zh) 一种钢筋混凝土波形板桩地下结构的施工方法
JP4251628B2 (ja) 境界杭の埋設具
US4365428A (en) Bucket mounted footing tool
KR100990430B1 (ko) 비개착식 지하구조물 공법
US20170314227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Earth-Working Bucket and Attachment Therefor
JP2985063B2 (ja) ケーソンプレハブ人孔およびその施工法
KR100374062B1 (ko) 전면판을 재사용하는 가설 보강토 공법
JP6009294B2 (ja) 鋼製円形ケーシングを用いたマンホール構築方法
CN208152128U (zh) 一种带松土功能的挖掘机挖斗及挖掘机
JP3896003B2 (ja) 立坑の連結方法および連結構造
CN205475399U (zh) 一种挖掘机中的铲斗
KR20200066412A (ko) 역순환 굴반기능을 구비한 케이싱 로테이터를 이용한 말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