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27Y1 - 기능이 확장된 책장 - Google Patents

기능이 확장된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27Y1
KR200481027Y1 KR2020150006909U KR20150006909U KR200481027Y1 KR 200481027 Y1 KR200481027 Y1 KR 200481027Y1 KR 2020150006909 U KR2020150006909 U KR 2020150006909U KR 20150006909 U KR20150006909 U KR 20150006909U KR 200481027 Y1 KR200481027 Y1 KR 200481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hole
plate portion
latch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억
Original Assignee
박현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억 filed Critical 박현억
Priority to KR2020150006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Abstract

본 고안의 기능이 확장된 책장은 복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에 의하여 구획된 수납공간에 책이 수용되는 책장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대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공 또는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가로지지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브라켓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구를 2개 이상 가지는 기능확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책장은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에 기능확장부재를 결합하는 구조를 더욱 구비함으로써 기능확장부재에 의하여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책장에서 기능확장부재는 책장에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어 확장기능이 필요할 때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책장에 설치된 경우에도 책장의 수납공간에 책을 꽂거나 빼낼때 기능확장부재를 책장으로부터 분리한 후 책장의 수납공간에 책을 꽂거나 빼내고 다시 기능확장부재를 책장에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상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이 확장된 책장{Function-Extended Bookshelf}
본 고안은 기능이 확장된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에 기능확장부재를 결합하는 구조를 더욱 구비함으로써 기능확장부재에 의하여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에 관한 것이다.
책장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책이나 진열품을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책장은 철재 및 목재와 같은 재료로 주로 제작되며, 일체형으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91211호(2002. 09. 24. 등록)는 책장을 개시한다. 이러한 책장은 전면 및 이면에 다수의 걸림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후크가 마련된 칸막이부재를 끼워넣어 결합하고, 칸막이부재에 마련된 걸림돌기에 선반을 얹어 고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특허공개 제10-2011-0054514호(2011. 05. 25. 공개)는 책장 수납함 선반을 개시한다. 개시된 책장 수납함 선반은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에서 측판의 외부면에 수평의 가로 판 형태로 외부로 돌출된 선반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책장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책이나 수납용품을 수납하고 외부의 선반은 책이나 수납용품을 수납할 뿐만 아니라 내부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나 크기의 진열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60691호(2012. 05. 24. 등록)는 보조선반이 설치된 다층 책장을 개시한다. 개시된 책장은 책 선반의 하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책 선반 하단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레일에 얹혀 전방으로 돌출 또는 복귀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보조선반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선반은 독자가 선반에서 빼낸 책을 그 위에 펼쳐놓고 편리하게 책 내용을 살펴 보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65616호(2013. 02. 22. 등록)는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조립식 책장형 가구는 체결홀이 구비된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그리고 체결홀을 통하여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다양한 위치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 간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책장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책장의 기본 기능에 더하여 확장적 기능을 부가하였지만, 그러한 확장적 기능을 위한 부가적 구성은 고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거나 책장 본연의 기능에 다소 장애요소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자는 책장 본연의 기능과 확장적 기능이 조화를 이루고 공간적 제약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확장적 구성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에 기능확장부재를 결합하는 구조를 더욱 구비함으로써 기능확장부재에 의하여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이 확장된 책장은 복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에 의하여 구획된 수납공간에 책 또는 진열품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세로지지대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공 또는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가로지지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브라켓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구를 2개 이상 가지는 기능확장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4개 이상의 걸림구를 가지고,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공에 끼워짐으로써 결합하고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빠짐으로써 결합이 해제되는 것으로서,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확장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걸림공에 끼워져서 상기 기능확장부재가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걸림공에서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기능확장부재가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전방판부, 후방판부, 좌측판부, 우측판부 및 밑판부로 이루어지고 그러한 판부들에 의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판부는 없어 상기 수납공간이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걸림구는 4개의 걸림구를 연결하면 직사각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후방판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수납부재일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에서 상기 전방판부의 높이는 상기 후방판부의 높이보다 작아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측으로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일부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복수개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장식판이고, 상기 장식판은 4개의 걸림구를 연결하면 직사각형이 형성되도록 그 후면에 4개의 상기 걸림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식판에 형성된 상기 구멍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상측으로부터 개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의 후방판부에 상기 장식판의 상기 구멍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구멍 및 상기 장식판의 상기 구멍에 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볼트는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장식판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식판에 형성된 상기 구멍은 길이가 긴 걸림장공을 포함하고,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상측으로부터 개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장식판에 접촉하는 하나의 장식판 접촉판부,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장식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장식판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걸림장공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 걸림장공이거나 중앙부가 높고 말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거나 중앙부가 낮고 말단부가 높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는 꺾쇄형 걸림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판에 형성되는 상기 구멍은 상기 걸림장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장공은 상기 걸림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함께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지지대에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공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세로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기능확장부재에 형성된 4개 이상의 걸림구는 한 쌍의 상기 세로지지대에 형성된 걸림공들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기능확장부재가 상기 세로지지대에 결합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가로지지대에 결합하는 결합판부 및 상기 결합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구멍형성판부를 포함하는 절곡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능확장부재의 4개 이상의 걸림구를 걸기 위하여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가로지지대에는 4개 이상의 상기 브라켓, 즉 상기 절곡편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공의 수직방향 길이는 상기 기능확장부재에 형성된 상기 걸림구의 상기 수직부의 길이보다 길어서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걸림공에 끼울때에는 상기 기능확장부재를 수평으로 밀면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공을 관통하게 되고, 그런 상태에서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스스로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걸림공에서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브라켓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걸려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책장은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에 기능확장부재를 결합하는 구조를 더욱 구비함으로써 기능확장부재에 의하여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책장에서 기능확장부재는 책장에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어 확장기능이 필요할 때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책장에 설치된 경우에도 책장의 수납공간에 책을 꽂거나 빼낼때 기능확장부재를 책장으로부터 분리한 후 책장의 수납공간에 책을 꽂거나 빼내고 다시 기능확장부재를 책장에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상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책장에서 책장 본체와 기능확장부재의 한 예(기능확장 수납부재) 일부를 분리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기능확장 수납부재에 적용되는 걸림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책장에 적용되는 기능확장부재의 다른 예(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능확장부재(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에 결합하는 수납부재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기능확장부재(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능확장부재(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 결합하는 수납부재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기능확장부재(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기능확장부재(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 결합하는 수납부재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장에서 복수개의 브라켓이 결합된 책장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브라켓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브라켓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이 확장된 책장은 복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에 의하여 구획된 수납공간에 책 또는 진열품이 수용되는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책장이라 함은 책을 꽂아 진열 및 보관하는 책장 이외에도 진열품을 진열 및 보관하는 진열장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책장이 통상적인 책장의 구조와 다른 점은 세로지지대에 직접적으로 복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되거나 세로지지대 또는 가로지지대에 걸림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이 설치된다는 점과 걸림구를 2개 이상 가지는 기능확장부재가 그러한 걸림공에 끼워져서 결합한다는 점이다.
도 1은 철재 프레임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제작되는 책장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에는 세로지지대에 복수개의 걸림공이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책장(10)은 책장 본체(100)와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를 가진다. 즉, 도 1의 실시예에서 기능확장부재는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로 구현된다.
책장 본체(100)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110)와 복수개의 가로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세로지지대(110)는 8개의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가로지지대(120)와 함께 구획되는 부분에 배면 칸막이부(11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배면 칸막이부(114)는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고, 부분적으로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세로지지대(110)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프레임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제1선에 4개의 프레임부가 배치되고, 제2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프레임부가 배치된다. 그리하여 적절하게 선택된 4개의 프레임부 사이를 면으로 형성한다면 직육면체 형상이 형성된다.
세로지지대(110)에는 걸림공(116)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걸림공(116)은 세로지지대(110)에 수직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걸림공(116)은 세로지지대(110)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가로지지대(120)는 세로지지대(110)를 연결하는 프레임부(122)와 그 프레임부(122)에 얹혀지는 선반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반부(124)는 프레임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로지지대(120)는 임의의 층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에는 6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로지지대(110) 및 가로지지대(120)의 결합에 의하여 책장 본체(100)는 책 또는 진열품을 수납하는 구획된 수납공간을 가지게 되는데, 그러한 수납공간은 도 1에 도시된 구조에 의하면, 중앙 수납공간부(102) 및 외곽 수납공간부(104 및 106)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판부(210), 후방판부(220), 좌측판부(230), 우측판부(240) 및 밑판부(250)로 이루어지고, 그러한 판부들에 의하여 수납공간(260)이 형성된다.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철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에서 상판부는 없으며, 그래서 수납공간(260)은 상측으로 개방된다.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에서 전방판부(210)의 높이는 후방판부(22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수납공간(260)은 상측으로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일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납공간(260)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후방판부(220)의 외면에는 걸림구(270)가 4개 결합되어 있다. 그러한 4개의 걸림구(270)는 그것들을 연결하면 직사각형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세로지지대(110)에 마련된 걸림공(116)에 각각 끼워지는 것이다. 4개의 걸림구(270)를 연결할 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후방판부(200)의 가로 길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즉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후방판부(200)의 가로 길이는 4개의 걸림구(270)를 연결할 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보다 크더라도 무방하다.
걸림구(270)는 수직부(272)와 수평부(274)로 이루어진 ┏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수직부(272)는 수직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세로지지대(110)에 마련된 걸림공(116)에 끼워져서 기능확장 수납부재(200)가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부(272)는 수직부(272)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후방판부(220)의 외면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걸림공(116)에서 세로지지대(110)에 지지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4개의 걸림구(270)가 한 쌍의 세로지지대(110)에 형성된 걸림공들(116)에 각각 끼워져서 세로지지대(110)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세로지지대(110)에 형성되는 걸림공(116)의 수직방향 길이는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에 형성된 걸림구(270)의 수직부(272)의 길이보다 길다. 그래서 걸림구(270)를 걸림공(116)에 끼울 때에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를 적절하게 위치시킨 후 수평으로 밀면 걸림구(270)는 걸림공(116)을 관통하게 된다. 그런 상태에서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를 놓으면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스스로의 자중에 의하여 걸림공(116)에서 세로지지대(11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면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걸려있게 된다.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를 세로지지대(110)로부터 분리하려면,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를 살짝 들어 걸림구(270)를 걸림공(116)에 일치시킨 후 그것을 수평으로 빼내면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즉,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는 세로지지대(110)에 대하여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책장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을 수 있어 책장 본연의 기능과 확장적 기능이 조화를 이루고 공간적 제약이 최소화되게 한다.
한편, 4개의 걸림구(270)를 연결할 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결합되어야 하는 한 쌍의 세로지지대(110)가 선택된다. 따라서, 층별로 길이가 다른 기능확장 수납부재(2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책장(10)에서 기능확장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이 적용될 수 있다.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은 철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은 복수개의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장식판으로서, 원형으로 타공된 구멍(310)을 가진다. 원형 타공(310)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더라도 무방하다.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배면에 4개의 걸림구(320)를 가진다. 따라서,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의 걸림구(320)는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걸림구(27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은 그 자체로는 수납기능이 없으나, 그 자체로 장식성을 가지며, 또한 수납부재(400)를 그것에 결합함으로써 수납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또한 더욱 향상된 장식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에 결합하는 수납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상측으로부터 개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납부재(400)의 후방판부에는 체결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공(410)은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에 형성된 원형 타공(31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거나 옆으로 길쭉한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공(410)이 타원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수납부재(400)의 결합 및 해체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그리하여, 수납부재(400)는 수납부재(400)의 체결공(410) 및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의 원형 타공(310)에 볼트(미도시)를 관통시키고 너트(미도시)를 결합함으로써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볼트의 머리가 수납부재(400)의 수납공간에 위치하고 너트가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300)의 배면에 위치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고, 그와 반대로 위치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책장(10)에서 기능확장부재로서 도 5에 도시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이 적용될 수 있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배면에 4개의 걸림구(530)를 가진다. 따라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의 걸림구(530)는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걸림구(270)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그 자체로는 수납기능이 없으나, 장식성을 가지며, 또한 수납부재(600)를 그것에 결합함으로써 수납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고 또한 더욱 향상된 장식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결합하는 수납부재(600)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수납부재(600)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510)을 가진다. 걸림장공(5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재(600)의 걸림구(640)가 끼워지는 것이다. 걸림장공(51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 걸림장공이다. 걸림장공(510)은 통상적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는 복수개의 수납부재(600)가 부착될 수 있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는 걸림장공(510)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5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장공(520)은 수납부재(600)의 걸림구(640)가 끼워지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걸림장공(5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장식장공(520)은 걸림장공(510)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걸림장공(510)과 함께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게 된다. 도 5에는 하나의 걸림장공(510)과 두개의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삼각형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기하학적 도형이 형성되는 대신에 각종 동물 문양, 식물 문양 등과 같은 문양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 그리고 장식장공(520) 간은 서로 인접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기하학적 도형 중에서 어떤 것이 걸림장공(510)에 해당하고 어떤 것이 장식장공(520)에 해당하는지는 수납부재(600)가 끼워지는지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도형 중에서 가장 상부에 형성된 장공이 걸림장공(510)이 된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의 폭 및 길이 그리고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 간의 간격 및 장식장공(520) 간의 간격은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의 장식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의 폭은 2~20 mm 정도로 선택할 수 있고, 길이는 50~500 mm 정도로 선택할 수 있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 간의 간격 및 장식장공(520) 간의 간격은 5~30 mm 정도로 선택할 수 있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서 걸림장공(510)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그 자체로 장식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장식장공(520)과 더불어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뚜렷한 장식성을 제공하게 된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는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러한 영역에는 포스트잇과 같은 접착성 메모지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이 철과 같은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러한 영역은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 상에 메모지를 올려놓은 후 그 메모지 상에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메모지를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이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배치를 적절하게 함으로써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그 자체로 장식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금속 이외에도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서 걸림장공(510) 및 장식장공(520)은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부재(6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접촉하는 하나의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2개 이상의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를 가진다. 수납부재(600)에서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납부재(600)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사출성형에 의하거나 각각의 판부를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장식판 비접촉판부(6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부재(600)는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이러한 수납공간(630)에는 자, 연필, 볼펜, 만년필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수납부재(600)를 화분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판 접촉판부(610)는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장식판 접촉판부(61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의 해당 모서리가 장식장공(520)과 거의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걸림구(640)가 장식판 접촉판부(6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장식판 접촉판부(610)의 해당 모서리가 걸림장공(510)에 일치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장식판 접촉판부(610)는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하학적 도형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각종 문양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장식판 접촉판부(610)는 그러한 문양 내부에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식판 접촉판부(610)는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문양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장식판 접촉판부(610)가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하학적 도형 또는 문양 내부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도형 또는 문양과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장식성과 수납성을 동시에 만족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적용되는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의하면,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에 의하여 장식성이 발휘되고 수납부재(600)에 의하여 수납성이 발휘된다. 뿐만 아니라 수납부재(600)가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구현된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그렇게 구현된 장식성에 더하여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서 장식성을 구현하는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수납부재(600)의 배치에 의하여 새로운 장식성을 구현한다.
도 5 및 도 6에는 하나의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2개의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를 가지는 수납부재(6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장식판 접촉판부(610) 및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는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장식판 비접촉판부(6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부재(600)는 상부로는 개구된 수납공간(630)을 가진다. 즉,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는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630)을 형성하도록 장식판 접촉판부(6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납부재(600)는 철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야 좋다. 수납부재(60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 및 장식판 비접촉판부(620)가 별도로 형성되고, 그것들이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납부재(600)는 또한 걸림구(440)를 가진다. 걸림구(64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구(640)는 특히 장식판 접촉판부(6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구(640)는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형성된 걸림장공(510)에 끼워짐으로써 수납부재(600)가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고정되게 한다.
걸림구(640)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부(641) 및 경사판부(6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구(640)에서 수직판부(241)는 장식판 접촉판부(610)로부터, 특히 장식판 접촉판부(6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장식판 접촉판부(610)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수직판부(641)는 장식판 접촉판부(610)에 대하여 수직한 판이다. 경사판부(643)는 수직판부(641)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장식판 접촉판부(61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걸림구(640)는 대안적으로, 수직판부(641)와 평행판부(6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직판부(64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평행판부(643')은 수직판부(641)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장식판 접촉판부(610)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구(64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구(640)에서 수직판부(641) 및 경사판부(643) 또는 평행판부(64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장식판 접촉판부(610)와 함께 사출성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640)는 경사판부(643) 또는 평행판부(643')가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형성된 걸림장공(510)에 끼워지고,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의 뒤쪽을 지지함으로써 수납부재(600)를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걸림구(640)에서, 수직판부(641)도 걸림장공(510)에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와 접촉하게 된다. 즉, 수납부재(60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 걸림구(640)의 수직판부(641)와 경사판부(643) 또는 평행판부(643')의 협동에 의하여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에 고정된다.
그러한 결과로 장식장공(520)은 장식판 접촉판부(610)에 의하여 덮히지 않으므로 완전한 형태로 보여지는데 반하여, 걸림장공(510)은 걸림구(640)가 끼워지기 때문에 걸림구(640)에 의하여 상당부분이 가려지게 되고 걸림장공(510)의 상부 및 측방 모서리 정도만이 외부에서 보여지게 된다.
걸림구(640)는 장식판 접촉판부(610) 전체에 걸쳐 한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걸림구(640)의 길이는 걸림장공(510)의 길이와 일치하게 된다. 한편, 걸림구(640)는 경우에 따라서는, 장식판 접촉판부(610)의 양 측면 모서리로부터 시작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구(640)가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2개로 형성되는 경우, 이 경우에도 하나의 걸림구(640)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다른 걸림구(640)의 끝지점까지의 길이는 걸림장공(510)의 길이와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이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것과 다른 점은 걸림장공(510)의 형상에 있다. 도 7에는 중앙부가 높고 말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 형상의 꺾쇄형 걸림장공(510)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호응하여 장식장공(520)도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하여, 하나의 걸림장공(510)과 두 개의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육각형의 도형이 형성된다.
도 7의 실시예의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500)은 도 8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장공(510)과 장식장공(5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형의 형상, 즉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장식판 접촉판부(610)를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장식장공(510)이 ∧ 형상을 가지는 것에 대응하여, 수납부재(600)의 장식판 비접촉판부(620)는 하나의 장식장공(520)에 대하여 두 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부재(600)는 삼각형 형상으로 된 4개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620)을 가진다.
한편, 별도의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걸림장공(510)은 중앙부가 낮고 말단부가 높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는 꺾쇠형 걸림장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세로지지대(110) 또는 가로지지대(120)에 걸림공(722)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700)이 설치되는 책장(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목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제작되는 책장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는 두개의 걸림공(722)이 마련된 브라켓(700)이 최소한 4개 세로지지대(110)에 설치됨으로써 세로지지대(110)에 간접적으로 걸림공이 형성되는 예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하나의 브라켓(700)에는 걸림공(722)이 두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걸림구와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브라켓(700)에 하나의 걸림공(722)이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브라켓(700)은 철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 본체(100)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110)와 복수개의 가로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세로지지대(110)는 책장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2개의 측면판으로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책장 본체(100) 하나의 후면판(130)이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130)도 세로로 세워져서 배치되고 결합하는 것이므로 세로지지대로 이해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세로지지대(110)라 함은 측면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가로지지대(120)는 세로지지대(110)를 연결하여 프레임을 이루고 또한 그것에 책이 얹혀지는 선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9에는 5개의 가로지지대(120)가 구비된 책장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브라켓(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부(710) 및 구멍형성판부(720)를 포함하는 절곡편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편에서, 결합판부(7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지지대(110)에 결합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도면에는 결합판부(710)가 세로지지대(110)에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지지대(120)에 결합할 수도 있다. 결합판부(710)는 예를 들어 세로지지대(110)에 결합하기 위하여 2개의 결합공(712)을 가지고, 그러한 결합공에는 못 또는 나사가 관통하여 세로지지대(110)에 결합하게 된다.
구멍형성판부(720)는 결합판부(710)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구멍형성판부(720)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7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브라켓(700)은 세로지지대(110) 또는 가로지지대(120)에 결합할 때, 4개의 브라켓(700)의 구멍형성판부(720)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더욱 특정적으로는 그러한 4개의 구멍형성판부(720)를 꼭지점으로 하여 서로 가상적으로 연결하면 직사각형이 형성되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브라켓(700)은 세로지지대(110) 및 가로지지대(120)의 안쪽면 및 바깥쪽면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그렇게 배치된 4개의 브라켓(700)의 구멍형성판부(720)에 마련된 4개 이상의 걸림공(722)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확장 수납부재(200)의 걸림구(270) 등이 끼워져서 결합하게 된다.
도9는 브라켓(700)에서 구멍형성판부(720)가 세로지지대(110)에 대하여 바깥쪽 방향으로 결합판부(7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멍형성판부(720)가 세로지지대(110)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은 브라켓(700)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브라켓(700)은 구멍형성판부(720)가 결합판부(710)로부터 세로지지대(110)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예에 해당한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브라켓은 구멍형성판부(720)으로부터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결합판부(710)와 수평하게 되는 보강판부(7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보강판부(730)는 결합판부(710)의 결합공(712)를 덮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는 것이다.
도 10의 브라켓(700)은 또한 하나의 브라켓(700)에 세로로 일렬로 형성된 걸림공(722)이 여러개, 예를 들어 9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책장(10)의 한 칸의 수납부분에는 단지 한 쌍의 브라켓(700)만이 설치되면 충분하다.
상기에서 걸림구를 2개 이상 가지는 기능확장부재에 관한 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설명하였지만, 그것들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어, 책상기능을 가지는 테이블 등 다양한 구조물이 기능확장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도어는 통상적인 도어의 뒷면 테두리부에 2개 또는 4개의 걸림구를 마련하고 그것들을 상기에서 설명한 책장 본체(100)의 걸림공(116)에 끼워 걸게 되면 책장에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책상기능을 가지는 테이블은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베이스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후면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부의 모서리와 결합하는 한 쌍의 측면판부, 상기 베이스판부와 평형하게 배치되고 상기 후면판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판부의 모서리와 결합되는 보조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판부는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판부와 동일하지만,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판부보다 충분히 작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판부는 책상의 판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판부의 외면에는 2개 또는 4개의 걸림구가 마련되어 있고, 그것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책장 본체(100)의 걸림공(116)에 끼워 걸게 되면 책장에 간이 책상이 형성되게 된다.
10: 책장 100: 책장 본체
102: 중앙 수납공간부 104,106: 외곽 수납공간부
110: 세로지지대 114: 배면 칸막이부
116: 걸림공 120: 가로지지대
122: 프레임부 124: 선반부
130: 후면판 200: 기능확장 수납부재
210: 전방판부 220: 후방판부
230: 좌측판부 240: 우측판부
250: 밑판부 260: 수납공간
270: 걸림구 272: 수직부
274: 수평부 300: 기능확장 원형타공 장식판
310: 원형 타공 320: 걸림구
400: 수납부재 410: 체결공
500: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 510: 걸림장공
520: 장식장공 530: 걸림구
532: 수직부 534: 수평부
600: 수납부재 610: 장식판 접촉판부
620: 장식판 비접촉판부 630: 수납공간
640: 걸림구 641: 수직판부
643: 경사판부 643': 평행판부
700: 브라켓 710: 결합판부
720: 구멍형성판부 722: 걸림공

Claims (14)

  1. 복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에 의하여 구획된 수납공간에 책 또는 진열품이 수용되는 책장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대는 수직으로 일렬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공을 가지고, 상기 책장은 상기 세로지지대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구를 2개 이상 가지는 기능확장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공에 끼워짐으로써 결합하고 상기 걸림공으로부터 빠짐으로써 결합이 해제되는 것으로서,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상기 세로지지대에 형성된 상기 걸림공에 끼워지는 상기 걸림구가 마련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 및 수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 및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장공은 상기 걸림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함께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 그리고 상기 장식장공 간은 서로 인접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으며,
    상기 수납부재는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상측으로부터 개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 접촉하는 하나의 장식판 접촉판부,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장식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장식판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는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장식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걸림장공에 일치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공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 걸림장공이거나 중앙부가 높고 말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거나 중앙부가 낮고 말단부가 높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는 꺾쇄형 걸림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의 상기 걸림구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걸림공에 끼워져서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이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걸림공에서 상기 세로지지대에 지지되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이 상기 세로지지대에 결합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대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공의 수직방향 길이는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구의 상기 수직부의 길이보다 길어서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의 상기 걸림구를 상기 걸림공에 끼울때에는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을 수평으로 밀면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의 상기 걸림구가 상기 걸림공을 관통하게 되고, 그런 상태에서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은 스스로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걸림공에서 상기 세로지지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은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걸려있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6. 복수개의 세로지지대 및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로지지대 및 상기 가로지지대에 의하여 구획된 수납공간에 책 또는 진열품이 수용되는 책장에 있어서,
    상기 책장은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상기 가로지지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브라켓 및 기능확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못 또는 나사가 관통하여 상기 세로지지대 또는 가로지지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가지는 결합판부 및 걸림공을 가지는 구멍형성판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편이고,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상기 걸림공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구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어, 상기 걸림구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에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기능확장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걸림공에 끼워지는 상기 걸림구가 마련된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 및 수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 및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장공은 상기 걸림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함께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 그리고 상기 장식장공 간은 서로 인접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으며,
    상기 수납부재는 상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상측으로부터 개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능확장 장공타공 장식판에 접촉하는 하나의 장식판 접촉판부,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장식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장식판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는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장식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걸림장공에 일치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공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 걸림장공이거나 중앙부가 높고 말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거나 중앙부가 낮고 말단부가 높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는 꺾쇄형 걸림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12. 삭제
  13. 삭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판부 및 상기 수직판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장식판 접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확장된 책장.
KR2020150006909U 2015-10-23 2015-10-23 기능이 확장된 책장 KR200481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09U KR200481027Y1 (ko) 2015-10-23 2015-10-23 기능이 확장된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09U KR200481027Y1 (ko) 2015-10-23 2015-10-23 기능이 확장된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27Y1 true KR200481027Y1 (ko) 2016-08-04

Family

ID=5671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09U KR200481027Y1 (ko) 2015-10-23 2015-10-23 기능이 확장된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654A (zh) * 2020-01-17 2020-06-09 河南职业技术学院 一种财务管理用票据分类保存装置
KR20230031613A (ko) * 2021-08-27 2023-03-07 오신재 책장용 책꽂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73Y1 (ko) * 2001-08-27 2001-12-20 주식회사 이펙스 책장이 부착된 책상
KR20050096344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07498A (ko) * 2008-07-14 2010-01-22 배상희 위치 변경과 다양한 보조 진열 수단을 갖는 조립식 진열대
KR20130005793U (ko) * 2012-03-27 2013-10-08 김재현 다용도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73Y1 (ko) * 2001-08-27 2001-12-20 주식회사 이펙스 책장이 부착된 책상
KR20050096344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07498A (ko) * 2008-07-14 2010-01-22 배상희 위치 변경과 다양한 보조 진열 수단을 갖는 조립식 진열대
KR20130005793U (ko) * 2012-03-27 2013-10-08 김재현 다용도 선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654A (zh) * 2020-01-17 2020-06-09 河南职业技术学院 一种财务管理用票据分类保存装置
KR20230031613A (ko) * 2021-08-27 2023-03-07 오신재 책장용 책꽂이
KR102553680B1 (ko) * 2021-08-27 2023-07-10 오신재 책장용 책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0241A (en) Modular furniture structure
US6877826B2 (en) Locker shelf assembly with slideable drawer
US20060243177A1 (en) Bookcase with sloping shelves
US20130146550A1 (en) Vertical display structure with bump out assembly
KR200481027Y1 (ko) 기능이 확장된 책장
CA2551353A1 (en) Folding shelf unit for a locker
US20170105553A1 (en)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US3872802A (en) Filing cabinet
JP2013031547A (ja) 収納箱兼用折り畳み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US4355585A (en) Shelf builders
TWM629829U (zh) 置物層架之掛鉤組裝結構
KR20090115376A (ko) 장식장
JP2018110790A (ja) 組立式収納家具及び組立式収納家具システム
JP3208174U (ja) ラック
KR101850399B1 (ko) 소파용 장식장
KR20100004036U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CN211748167U (zh) 一种具有悬挂功能的搁架及衣帽间
JPH0515785Y2 (ko)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JP2631819B2 (ja) 組立自在型ラック及びその部材
KR200331489Y1 (ko) 다단 확장 테이블
JP6634220B2 (ja) 収納家具
JP6595802B2 (ja) 収納家具
KR20110054514A (ko) 책장 수납함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