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58Y1 - 휴대용 종이 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종이 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58Y1
KR200480958Y1 KR2020160003119U KR20160003119U KR200480958Y1 KR 200480958 Y1 KR200480958 Y1 KR 200480958Y1 KR 2020160003119 U KR2020160003119 U KR 2020160003119U KR 20160003119 U KR20160003119 U KR 20160003119U KR 200480958 Y1 KR200480958 Y1 KR 200480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resistor
output
temperature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연
Original Assignee
정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연 filed Critical 정세연
Priority to KR2020160003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입체 형상의 몸체와, 금속 재질의 판 형태로서 몸체 밑면에 장착되고 구겨진 종이를 누르는 다림판, 상기 다림판 내에 장착되어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열을 발생하여 다림판을 달구는 열선, 상기 다림판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열선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 모듈, 기역자 형태로서 몸체 윗면에 힌지(Hinge) 결합 되고 힌지에 의해 축 회전되어 선단이 승·하강 되고 선단에 물걸레가 설치된 승·하강 레버, 상기 승·하강 레버와 몸체 사이에 끼워져 하단이 몸체에 고정된 채 승·하강 레버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탄성 부재, 상기 승·하강 레버 선단에 장착되어 물걸레의 습도를 측정하는 물걸레 수분 측정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물걸레로 전달하는 물공급관,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물공급관을 통해 물걸레로 분사시키는 펌프, 및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열선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온도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열선의 온도에 따라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물걸레 수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물걸레의 습도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켜 물걸레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구겨진 종이를 편 다음 구겨진 종이 위를 다림판으로 누르고 승·하강 레버를 눌러 구겨진 종이와 물걸레가 맞닿게 한 다음, 몸체를 밀어 구겨진 종이에 물을 적신 다음 뜨거운 다림판으로 다려 구겨진 종이의 주름을 없앤다.

Description

휴대용 종이 폄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SPREADING PAPER}
본 고안은 휴대용 종이 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겨진 종이를 반듯이 펼칠 수 있는 휴대용 종이 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혹 살다 보면 중요 내용이 담긴 종이 문서가 구겨지거나 물에 젖어 난처한 상황에 빠질 때가 있다.
요즘 같이 문서 작성 프로그램과 인쇄기가 발달하여 문서를 아예 처음부터 작성할 수도 있으나, 손상된 문서에 계약자의 도장이나 상급자의 결재 싸인이 담겨져 있으면 문서를 새로 작성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 상태로 복구할 수도 없어 매우 난처한 상황에 빠질 때가 있다.
일례로 종이 문서가 구겨졌을 경우에는 구겨진 문서를 손으로 펼친 다음, 꾹꾹 눌러 판판하게 펼칠 수도 있으나 종이 문서에 잔주름이 남아 종이 문서를 확인하는 상급자나 계약인이 종이 문서를 확인하기에 불쾌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겨지거나 젖은 문서를 두꺼운 책 사이에 끼워넣어 얇게 펼칠 수도 있으나 이 방법 역시 종이 문서에 남겨 진 잔주름을 없앨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두꺼운 책 사이에 젖은 문서를 끼워넣게 되어 소중한 책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구겨지거나 젖은 문서를 다리미로 눌러 펼치는 방법도 있으나 구겨지거나 젖은 문서를 다리미로 지속적으로 눌렀을 때 중요 문서가 타거나 손상되어 일을 더 크게 벌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고안의 선행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67018호의 "스팀 다리미"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스팀 다리미는 발열 코일을 내장한 원통형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부를 형성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팀분사수단은 저장통으로부터 스팀액을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구를 형성한 노즐 부재, 및 상기 다수의 분사구를 개폐 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 부재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89242 (2011.12.0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67018 (2013.05.23)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겨지거나 젖은 문서를 송상시키지 않고 다시 반듯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휴대용 종이 폄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입체 형상의 몸체와, 금속 재질의 판 형태로서 몸체 밑면에 장착되고 구겨진 종이를 누르는 다림판, 상기 다림판 내에 장착되어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열을 발생하여 다림판을 달구는 열선, 상기 다림판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열선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 모듈, 기역자 형태로서 몸체 윗면에 힌지(Hinge) 결합 되고 힌지에 의해 축 회전되어 선단이 승·하강 되고 선단에 물걸레가 설치된 승·하강 레버, 상기 승·하강 레버와 몸체 사이에 끼워져 하단이 몸체에 고정된 채 승·하강 레버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탄성 부재, 상기 승·하강 레버 선단에 장착되어 물걸레의 습도를 측정하는 물걸레 수분 측정부,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물걸레로 전달하는 물공급관, 상기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물공급관을 통해 물걸레로 분사시키는 펌프, 및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열선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온도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열선의 온도에 따라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여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물걸레 수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물걸레의 습도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켜 물걸레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구겨진 종이를 편 다음 구겨진 종이 위를 다림판으로 누르고 승·하강 레버를 눌러 구겨진 종이와 물걸레가 맞닿게 한 다음, 몸체를 밀어 구겨진 종이에 물을 적신 다음 뜨거운 다림판으로 다려 구겨진 종이의 주름을 없앤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구겨진 종이를 1차적으로 물걸레로 문지른 다음, 2차적으로 다림판으로 다려 구겨진 종이의 주름을 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구겨지거나 젖은 문서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시 반듯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도면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면 2는 온도 측정 모듈의 제어 블록도,
도면 3은 1차 증폭부의 제어 회로도,
도면 4는 로우 패스 필터의 제어 회로도,
도면 5는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의 제어 회로도,
도면 6은 노치 필터의 제어 회로도,
도면 7은 물걸레 수분 측정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8은 수분 측정 모듈과, 2차 증폭부, 1차 노이즈 감쇄부, 및 신호 감쇄 방지부에 대한 회로도,
도면 9는 레벨 검출 및 디지털 변환부에 대한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 형상의 몸체(1)와, 금속 재질의 판 형태로서 몸체(1) 밑면에 장착되고 구겨진 종이를 누르는 다림판(3), 상기 다림판(3) 내에 장착되어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열을 발생하여 다림판(3)을 달구는 열선, 상기 다림판(3)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열선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 모듈(7), 기역자 형태로서 몸체(1) 윗면에 힌지(9)(Hinge) 결합 되고 힌지(9)에 의해 축 회전되어 선단이 승·하강 되고 선단에 물걸레(11)가 설치된 승·하강 레버(13), 상기 승·하강 레버(13)와 몸체(1) 사이에 끼워져 하단이 몸체(1)에 고정된 채 승·하강 레버(13)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탄성 부재(15), 상기 승·하강 레버(13) 선단에 장착되어 물걸레(11)의 습도를 측정하는 물걸레 수분 측정부(17), 상기 몸체(1) 내부에 장착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9), 상기 물탱크(19)의 물을 물걸레(11)로 전달하는 물공급관(21), 상기 물탱크(19)에 채워진 물을 물공급관(21)을 통해 물걸레(11)로 분사시키는 펌프, 및 스위치(25)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열선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온도 측정 모듈(7)에 의해 측정된 열선의 온도에 따라 스위치(25)를 온·오프 제어하여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물걸레 수분 측정부(17)에 의해 측정된 물걸레(11)의 습도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켜 물걸레(11)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부(27)로 이루어져, 구겨진 종이를 편 다음 구겨진 종이 위를 다림판(3)으로 누르고 승·하강 레버(13)를 눌러 구겨진 종이와 물걸레(11)가 맞닿게 한 다음, 몸체(1)를 밀어 구겨진 종이에 물을 적신 다음 뜨거운 다림판(3)으로 다려 구겨진 종이의 주름을 편다.
상기 온도 측정 모듈(7)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고 일단이 전원 연결된 온도 센서(29)와, 고정된 저항값을 갖으면서 일단이 온도 센서(29)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 고정 저항(30), 상기 온도 센서(29)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1차 증폭부(33), 상기 1차 증폭부(33)로부터 출력된 노이즈(Noise) 성분을 감쇄하는 로우 패스 필터(35), 상기 로우 패스 필터(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2차 증폭함과 더불어 로우 패스 필터(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에 포함된 직류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 및 상기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로부터 출력된 60Hz 신호를 감쇄하는 노치 필터(39)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노치 필터(39)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7)는 A/D 변환부(43)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값을 온도로 환산한 다음, 환산된 온도에 따라 스위치(25)를 온·오프시켜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1차 증폭부(33)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오피 앰프(45)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오피 앰프(45)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1차 게인 저항(47)과, 일단이 제1 오피 앰프(45)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1차 레퍼런스 저항(49), 및 비반전 입력 단자에 온도 센서(29)의 타단이 연결되어 온도 센서(29)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1
배만큼 증폭시키는 제1 오피 앰프(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35)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극(Single Pole) 저역 통과 필터로서 일단에 1차 증폭부(33)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타단이 제2 오피 앰프(49)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1 저항(51)과, 일단이 제1 저항(5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 커패시터(53), 및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1차 증폭부(3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2
이후의 신호를 감쇄하는 제2 오피 앰프(4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양단에 플러스 직류 전압(+V)과 마이너스 직류 전압(-V)이 공급되고 탭(Tap)의 위치에 따라 저항비가 바뀌는 제1 가변 저항(55)과, 일단이 제1 가변 저항(55)의 분압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저항(57), 일단이 제2 저항(57)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3 저항(59), 일단이 제3 저항(59)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오피 앰프(6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4 저항(63), 일단이 제3 오피 앰프(6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오피 앰프(6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5 저항(65), 및 비반전 입력 단자에 로우 패스 필터(35)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어 로우 패스 필터(35)의 출력 신호를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3
배만큼 증폭하며, 제1 가변 저항(55)의 탭(Tap)이 회전되었을 때 로우 패스 필터(35)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신호 레벨을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4
내지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5
의 범위 안에서 조절하는 제3 오피 앰프(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치 필터(39)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6 저항(67)과, 일단이 제6 저항(67)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4 오피 앰프(7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7 저항(69), 일단이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71), 일단이 제2 커패시터(7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4 오피 앰프(7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75), 일단이 제6 저항(67)의 타단에 연결된 제4 커패시터(77), 일단이 제4 커패시터(77)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커패시터(71)의 타단에 연결된 제8 저항(79),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된 제4 오피 앰프(73),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출력 단자가 제4 커패시터(77)의 타단에 연결된 제5 오피 앰프(81), 및 탭(Tap)의 위치에 따라 저항비가 달라지고 저항의 일단이 제4 오피 앰프(73)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며 저항의 타단이 접지되고 분압 출력단이 제5 오피 앰프(81)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2 가변 저항(83)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6 저항(67)과 제7 저항(69) 및 제8 저항(79)값이 같고, 제2 커패시터(71)와 제3 커패시터(75) 및 제4 커패시터(77)의 용량이 같을 때 제4 오피 앰프(7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6
의 교류 신호를 감쇄 후 출력하며 제2 가변 저항(83)의 탭 위치에 따라 Q Factor가 변화된다.
상기 물걸레 수분 측정부(17)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걸레(11)가 머금은 수분 함량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수분 측정 모듈(85)과, 상기 수분 측정 모듈(8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2차 증폭부(87), 상기 2차 증폭부(87)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소정 주파수 이상의 노이즈 성분을 1차적으로 감쇄하는 1차 노이즈 감쇄부(89), 상기 1차 노이즈 감쇄부(89)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감쇄시키기 않고 원래 신호 그대로 출력하는 신호 감쇄 방지부(91), 및 상기 신호 감쇄 방지부(9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의 레벨과 맞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검출 및 디지털 변환부(9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분 측정 모듈(85)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수건의 수분 함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고 일단이 전원 연결된 수분 측정 센서(95)와, 일단이 상기 수분 측정 센서(95)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고정 저항(97)으로 이루어져, 수분 측정 센서(95)의 타단으로부터 물수건의 수분 함량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수분 측정 센서(95)의 타단에는 제5 커패시터(99)의 플러스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제5 커패시터(99)의 마이너스 전극은 접지되어 수분 측정 센서(95)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Noise) 성분이 제5 커패시터(99)를 통해 접지로 빠져나간다.
상기 2차 증폭부(87)는 일단이 제6 오피 앰프(10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6 오피 앰프(10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2 게인 저항(103)과, 일단이 제6 오피 앰프(101)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2 레퍼런스 저항(105), 및 비반전 입력 단자에 수분 측정 모듈(85)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어 수분 측정 모듈(85)의 출력 신호를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7
배만큼 증폭하는 제6 오피 앰프(101)로 구성된다.
상기 1차 노이즈 감쇄부(89)는 일단으로 2차 증폭부(87)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9 저항(107)과, 한쪽 전극이 제9 저항(107)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6 커패시터(109)로 구성되어, 상기 2차 증폭부(8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Figure 112016055126088-utm00008
이후의 신호를 감쇄한다.
상기 신호 감쇄 방지부(91)는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1차 노이즈 감쇄부(89)의 출력 신호가 비반전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제7 오피 앰프(111)이다.
상기 신호 감쇄 방지부(91)는 1차 노이즈 감쇄부(89)의 출력 신호가 출력 임피던스 차에 의해 신호가 감쇄됨을 방지한다.
상기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단에는 제7 커패시터(113)의 한쪽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제7 커패시터(113)의 다른 한쪽 전극은 접지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성분이 제7 커패시터(113)를 통해 접지로 빠져나간다.
상기 레벨 검출 및 디지털 변환부(93)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전원 연결된 제1 기준 저항(115)과, 상기 제1 기준 저항(115)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일단이 제3 기준 저항(119)과 직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4 기준 저항(121), 비반전 입력 단자에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제1 기준 저항(115)과 제2 기준 저항(117) 사이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1 기준 저항(115)과 제2 기준 저항(117)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1 기준 저항(115)과 제2 기준 저항(117)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123), 비반전 입력 단자에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사이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125), 비반전 입력 단자에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제3 기준 저항(119)과 제4 기준 저항(121) 사이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3 기준 저항(119)과 제4 기준 저항(121)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3 기준 저항(119)과 제4 기준 저항(121)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비교기(127), 및 상기 제1 비교기(123)와 제2 비교기(125) 및 제3 비교기(127)의 출력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비교기(123)와 제2 비교기(125) 및 제3 비교기(127)의 출력 전압을 제어부(27)의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 레벨에 맞추는 버퍼(1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가 동작 되는 과정을 도면 1 내지 도면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겨진 종이를 평판에 얹혀놓고 편 상태에서 다림판(3)으로 누른다.
다음, 승·하강 레버(13)를 눌러 물걸레(11)가 구겨진 종이와 맞닿도록 한 다음, 몸체(1)를 앞으로 밀어 구겨진 종이를 물걸레(11)로 밀어냄과 동시에 다림판(3)으로 다린다.
이때, 상기 온도 측정 모듈(7)은 다림판(3)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27)는 다림판(3)의 온도에 따라 스위치(25)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다림판(3)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걸레 수분 측정부(17)는 물걸레(11)가 머금은 수분량을 체크하여 제어부(27)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7)는 물걸레(11)가 머금은 수분량에 따라 펌프를 동작시킨다.
상기 펌프는 물탱크(19)에 채워진 물을 물공급관(21)을 통해 물걸레(11)로 공급하여 물걸레(11)가 항상 적당량의 수분을 머금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구겨진 종이를 1차적으로 물걸레(11)로 문지른 다음, 2차적으로 다림판(3)으로 다려 구겨진 종이의 주름을 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종이 폄 장치는 구겨지거나 젖은 문서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시 반듯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1. 몸체 3. 다림판
7. 온도 측정 모듈 9. 힌지
11. 물걸레 13. 승·하강 레버
15. 탄성 부재 17. 물걸레 수분 측정부
19. 물탱크 21. 물공급관
25. 스위치 27. 제어부
29. 온도 센서 30. 제1 고정 저항
33. 1차 증폭부 35. 로우 패스 필터
37.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 39. 노치 필터
45. 제1 오피 앰프 47. 1차 게인 저항
49. 1차 레퍼런스 저항 49. 제2 오피 앰프
51. 제1 저항 53. 제1 커패시터
55. 제1 가변 저항 57. 제2 저항
59. 제3 저항 61. 제3 오피 앰프
63. 제4 저항 65. 제5 저항
67. 제6 저항 69. 제7 저항
71. 제2 커패시터 73. 제4 오피 앰프
75. 제3 커패시터 77. 제4 커패시터
79. 제8 저항 81. 제5 오피 앰프
83. 제2 가변 저항 85. 수분 측정 모듈
87. 2차 증폭부 89. 1차 노이즈 감쇄부
91. 신호 감쇄 방지부 93. 레벨 검출 및 디지털 변환부
95. 수분 측정 센서 97. 제2 고정 저항
99. 제5 커패시터 101. 제6 오피 앰프
103. 제2 게인 저항 105. 제2 레퍼런스 저항
107. 제9 저항 109. 제6 커패시터
111. 제7 오피 앰프 113. 제7 커패시터
115. 제1 기준 저항 117. 제2 기준 저항
119. 제3 기준 저항 121. 제4 기준 저항
123. 제1 비교기 125. 제2 비교기
127. 제3 비교기 129. 버퍼

Claims (2)

  1. 입체 형상의 몸체(1)와,
    금속 재질의 판 형태로서 몸체(1) 밑면에 장착되고 구겨진 종이를 누르는 다림판(3),
    상기 다림판(3) 내에 장착되어 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열을 발생하여 다림판(3)을 달구는 열선,
    상기 다림판(3)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열선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측정 모듈(7),
    기역자 형태로서 몸체(1) 윗면에 힌지(9)(Hinge) 결합 되고 힌지(9)에 의해 축 회전되어 선단이 승·하강 되고 선단에 물걸레(11)가 설치된 승·하강 레버(13),
    상기 승·하강 레버(13)와 몸체(1) 사이에 끼워져 하단이 몸체(1)에 고정된 채 승·하강 레버(13)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탄성 부재(15),
    상기 승·하강 레버(13) 선단에 장착되어 물걸레(11)의 습도를 측정하는 물걸레 수분 측정부(17),
    상기 몸체(1) 내부에 장착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9),
    상기 물탱크(19)의 물을 물걸레(11)로 전달하는 물공급관(21),
    상기 물탱크(19)에 채워진 물을 물공급관(21)을 통해 물걸레(11)로 분사시키는 펌프,
    및 스위치(25)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열선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온도 측정 모듈(7)에 의해 측정된 열선의 온도에 따라 스위치(25)를 온·오프 제어하여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물걸레 수분 측정부(17)에 의해 측정된 물걸레(11)의 습도에 따라 펌프를 작동시켜 물걸레(11)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어부(27)로 이루어져,
    구겨진 종이를 편 다음 구겨진 종이 위를 다림판(3)으로 누르고 승·하강 레버(13)를 눌러 구겨진 종이와 물걸레(11)가 맞닿게 한 다음, 몸체(1)를 밀어 구겨진 종이에 물을 적신 다음 뜨거운 다림판(3)으로 다려 구겨진 종이의 주름을 펴는 휴대용 종이 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모듈(7)은 주변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고 일단이 전원 연결된 온도 센서(29)와,
    고정된 저항값을 갖으면서 일단이 온도 센서(29)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1 고정 저항(30),
    상기 온도 센서(29)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1차 증폭부(33),
    상기 1차 증폭부(33)로부터 출력된 노이즈(Noise) 성분을 감쇄하는 로우 패스 필터(35),
    상기 로우 패스 필터(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2차 증폭함과 더불어 로우 패스 필터(3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에 포함된 직류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
    및 상기 2차 증폭 및 오프셋 조정부(37)로부터 출력된 60Hz 신호를 감쇄하는 노치 필터(39)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39)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7)는 A/D 변환부(43)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값을 온도로 환산한 다음, 환산된 온도에 따라 스위치(25)를 온·오프시켜 열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물걸레 수분 측정부(17)는 물걸레(11)가 머금은 수분 함량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수분 측정 모듈(85)과,
    상기 수분 측정 모듈(8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증폭하는 2차 증폭부(87),
    상기 2차 증폭부(87)로부터 출력된 신호 중 소정 주파수 이상의 노이즈 성분을 1차적으로 감쇄하는 1차 노이즈 감쇄부(89),
    상기 1차 노이즈 감쇄부(89)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감쇄시키기 않고 원래 신호 그대로 출력하는 신호 감쇄 방지부(91),
    및 상기 신호 감쇄 방지부(9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의 레벨과 맞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검출 및 디지털 변환부(93)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 검출 및 디지털 변환부(93)는 일단이 전원 연결된 제1 기준 저항(115)과,
    상기 제1 기준 저항(115)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일단이 제3 기준 저항(119)과 직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4 기준 저항(121),
    비반전 입력 단자에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제1 기준 저항(115)과 제2 기준 저항(117) 사이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1 기준 저항(115)과 제2 기준 저항(117)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1 기준 저항(115)과 제2 기준 저항(117)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123),
    비반전 입력 단자에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사이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2 기준 저항(117)과 제3 기준 저항(119)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기(125),
    비반전 입력 단자에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반전 입력 단자에 제3 기준 저항(119)과 제4 기준 저항(121) 사이의 출력 전압이 공급되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3 기준 저항(119)과 제4 기준 저항(121)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신호 감쇄 방지부(91)의 출력 전압이 제3 기준 저항(119)과 제4 기준 저항(121) 사이의 출력 전압보다 작을 경우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비교기(127),
    및 상기 제1 비교기(123)와 제2 비교기(125) 및 제3 비교기(127)의 출력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비교기(123)와 제2 비교기(125) 및 제3 비교기(127)의 출력 전압을 제어부(27)의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압 레벨에 맞추는 버퍼(12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종이 폄 장치.
KR2020160003119U 2016-06-08 2016-06-08 휴대용 종이 폄 장치 KR200480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19U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6-08 휴대용 종이 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19U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6-08 휴대용 종이 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58Y1 true KR200480958Y1 (ko) 2016-08-02

Family

ID=5671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19U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6-08 휴대용 종이 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5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759A (ja) * 1996-03-20 2000-06-06 ノヴァン,ソシエテ アノニム アイロンプレス
KR101089242B1 (ko) 2010-11-03 2011-12-05 정지호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KR200467018Y1 (ko) 2012-11-27 2013-05-23 이동진 스팀 다리미
JP5903275B2 (ja) * 2009-03-12 2016-04-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抗菌剤を含む家庭用電気製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759A (ja) * 1996-03-20 2000-06-06 ノヴァン,ソシエテ アノニム アイロンプレス
JP5903275B2 (ja) * 2009-03-12 2016-04-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抗菌剤を含む家庭用電気製品
KR101089242B1 (ko) 2010-11-03 2011-12-05 정지호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KR200467018Y1 (ko) 2012-11-27 2013-05-23 이동진 스팀 다리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36080A1 (ja) 増幅装置
KR200480958Y1 (ko) 휴대용 종이 폄 장치
MY156489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aper web, in particular a cigarette paper web
EP1761113A3 (en) Dual logarithmic phase-magnitude detector
NO20085177L (no) Arrangement for a bestemme operasjonskarakteristikken til en hoyfrekvent kraftforsterker
TW200601677A (en) 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use in DC-to-DC converter
WO2001056176A3 (en) Ingrated rf power sensor that compensates for bias changes
EP1928082A3 (en) Power system fault characterization using transformed values
EP3584926A3 (en) Active bias control circuit for an amplifier and method of power up sequencing the same
TW200643427A (en) Apparatus for current sensing
CN207639684U (zh) 一种具有流量传感器单元的新型电子烟装置
EP2482450A3 (en) Bias control for reducing amplifier power consumption and maintaining linearity
WO2008065635A3 (en) A plasma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EP1630952A3 (en) Signal determining apparatus including amplifier circuit with variable response speed
EP1170228A3 (fr) Dispositif d asservissement des organes délivrant des feuilles à une machine
TW200638662A (en) Harmonic suppressible AC/DC converter
US20230208373A1 (en) Fast amplitude detector and automatic gain control
KR101300769B1 (ko) 전극의 피부 접촉을 판별하고 피부의 부하 변동에도 일정 전력을 전달하는 rf 심열 발생기
US7800380B1 (en) High capacitance load testing
RU2013106905A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Murugadas et al. $(T, S) $-Intuitionistic fuzzy ideals in near-rings
CN205097689U (zh) 一种覆膜机电眼微调装置
CN207535461U (zh) 一种具有装订功能的印刷机
CN210752427U (zh) 一种恒温油漆远距离输送设备
Brisebois Low noise amplifiers for small and large area photodi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