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242B1 -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 Google Patents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242B1
KR101089242B1 KR1020100108814A KR20100108814A KR101089242B1 KR 101089242 B1 KR101089242 B1 KR 101089242B1 KR 1020100108814 A KR1020100108814 A KR 1020100108814A KR 20100108814 A KR20100108814 A KR 20100108814A KR 101089242 B1 KR101089242 B1 KR 10108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handle
planar heating
iron body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오영직
Original Assignee
정지호
(주) 사람과나눔
오영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호, (주) 사람과나눔, 오영직 filed Critical 정지호
Priority to KR102010010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4Arrangements of the heating means within the iron; 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conducting or storing th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6Temperature control or indic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8Arrangements for attaching, protecting or supporting the electric supply c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8Sol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손잡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는 면상 발열층이 포함된 투광성의 다리미 본체;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부착시 상기 다리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손잡이의 분리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하는 착탈 연결부;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IRON USING PLANE TYPE HEATER}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다리미는 열, 압력, 그리고 습기를 이용하여 의복의 구김살을 펴고 주름을 잡는다. 열원으로서 숯을 사용한 재래식 다리미는 밑바닥이 평평하고 손잡이가 있는 금속 그릇에 숯을 담아 사용하였으나 전기식 다리미가 도입되면서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전기 다리미의 일반적인 형태는 발열체가 바닥판과 중간판 사이에 끼워진 것으로서, 발열체가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여 바닥판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통적인 발열체는 부도체로서 내화성이 강한 운모판에 감겨진 니크롬선을 배치한 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열체는 전기의 소모가 많고, 불투광성에 의하여 다림질되고 있는 부위의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미에 면상 발열층를 적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서도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 손잡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는 면상 발열층이 포함된 투광성의 다리미 본체;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부착시 상기 다리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손잡이의 분리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하는 착탈 연결부;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미 본체는, 상기 면상 발열층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투광성 재질의 베이스층;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외층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미 본체는 온도감응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착탈 연결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부; 상기 손잡이가 상기 삽입홈부에 끼워져 걸림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가 장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고정된 제1자성체; 및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성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상기 손잡이에 상기 전자석을 스위칭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는,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된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미 본체에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는 지지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지지다리부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작용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록크바; 및 상기 다리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록크바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다리부의 하단에, 상기 록킹부 및 접촉단자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돌출지지부에 구비되는 탄성 접촉단자; 및 상기 삽입홈부의 바닥면에 상기 탄성 접촉단자가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접촉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미 본체의 일 가장자리부에 옷감의 단추 부위를 다릴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미 본체는 옷감 부위에 따라 선택하여 다림질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르게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면상 발열층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다리미 본체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에 의하면, 투광성이면서 박판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면상 발열층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슬림한 형태의 다리미 본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박판형의 다리미 본체와 분리시킬 수 있게 형성하고 손잡이에 전원공급부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활용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리미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다리미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착탈 연결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다리미를 이용하여 다림질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4에서 지지다리부가 다리미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착탈 연결부의 다른 구현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다리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다리미 본체에 온도 감응형 잉크를 적용한 것을 보인 다리미의 사시도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가 유선 형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 및 다리미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장치의 일 예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다리미가 충전중인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를 구성하는 다리미 본체가 복수 개로 마련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리미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리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리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착탈 연결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다리미를 이용하여 다림질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다리미(100)는, 다리미 본체(110)와, 다리미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120)를 포함하고 있다.
다리미 본체(110)는 상하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투광성이어서, 도 5와 같이, 다림질에 의하여 옷감의 주름이 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리미 본체(110)의 일 가장자리에는 옷감의 단추 주변을 한꺼번에 다림질하기 용이하도록 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홈(112)의 위치와 수, 크기 및 형상은 단추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홈(112)의 크기가 단추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다림질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르게 복수 개로 마련된 것을 보이고 있다.
다리미 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113), 면상 발열층(114) 및 코팅층(115)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층(113)은 면상 발열층(1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내열유리, 내열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113) 역시 옷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된다.
베이스층(113)의 표면에는 면상 발열층의 열이 상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투광성의 단열층이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113)의 상부에는 다림질시 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가습기는 투명한 물통, 노즐, 및 면상 발열층(114)에 의하여 국부 가열되는 증기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면상 발열층(114)은 투명한 베이스층(113)에 탄소, 특히, 탄소나노튜브(Cabon Nano Tube;CNT)가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는 구리 보다 100배에서 1000배 우수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발열성을 가진다. 탄소나노튜브를 베이스층(113)에 박막 형태로 부착한 면상 발열층(114)은 투광성으로 형성된다.
코팅층(115)은 면상 발열층(114)의 외층에 있어 면상 발열층(114)을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115)은 내열성과 투광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세라믹, 유리 등과 같은 일반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손잡이(120)는 그립부(121) 및 지지다리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그립부(121)는 사용자에 의하여 쥘 수 있는 원봉 형태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130)가 포함되어 있다. 마찰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립부(121)의 표면은 고무, 수지 등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립부(121)에는 입력부(124), 디스플레이부(125), 기판(127) 등이 배치된다.
입력부(124)는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다이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각에 의하여 면상 발열층(114)의 발열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만, 회전 조작 대신 푸시 또는 클릭 등에 의한 방법으로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5)는 다리미(100)의 상태, 설정온도 등을 출력한다. 그러한 경우로서, 디스플레이부(125)는 전원의 온/오프, 면상 발열층(114)의 온도 상태, 옷감의 설정 상태 등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5)에 의하여 출력되는 정보는 숫자, 문자, 기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5) 대신 점멸이 가능한 램프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127)은 온도센서, 입력부(124) 및 전원 공급부(130) 연결되어 있으며, 기능의 실행, 입출력 조작에 관한 부품 등을 포함한다.
지지다리부(122)는 그립부(12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다리미 본체(110)가 그립부(121)에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다리부(122)는 또한, 투광성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다리미 본체(110)에 대한 전기 신호가 통과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립부(121)와 지지다리부(122)를 갖는 손잡이(120) 및 다리미 본체(110)의 이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는 다리미(100)를 가지고 평평한 다림판 위를 왕복하여 조작하는 사용자의 힘을 덜 들이고, 작업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4에서 지지다리부가 다리미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미(100)는 손잡이(120)를 다리미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형성된 착탈 연결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착탈 연결부(140)는 또한, 손잡이(120)의 부착시 다리미 본체(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손잡이(120)의 분리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
착탈 연결부(140)는, 다리미 본체(110)에 형성된 삽입홈부(143)와, 손잡이(120)가 삽입홈부(143)에 끼워져 걸림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160)와, 손잡이(120)를 다리미 본체(110)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단자부(151,152)를 포함한다. 록킹부(160)는 손잡이(120)가 다리미 본체(110)에 대하여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6에 의하면, 다리미 본체(110)에 고정된 제1자성체(162)와, 손잡이(120)에 고정된 제2자성체(161)를 포함하고 있다. 제1자성체(162)와 제2자성체(161)는 그것들이 갖는 자기력에 의하여 손잡이(120)를 다리미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제1자성체(162)와 제2자성체(161)는 그 조합에 따라 어느 하나가 영구자석이고 다른 하나가 영구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거나, 양자 모두 영구자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다리미 본체(110)의 부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자성체(162) 및 제2자성체(161) 중 어느 하나가 전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석으로 구현된 제1자성체(162) 또는 제2자성체(161)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력에 의하여 손잡이(120)를 다리미 본체(110)에 고정시키며, 반대로 전원이 차단되면 손잡이(120)가 다리미 본체(110)로부터 분리된다. 전자석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발열된 다리미 본체(1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6에 의하면, 손잡이(120)의 일측에는 전자석으로 구현된 제1자성체(162) 또는 제2자성체(161)를 스위칭하는 버튼부(126)가 구비되어 있다. 버튼부(126)는 누름 또는 슬라이드 동작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다리부(122)의 하단에는 록킹부(160) 및 접촉 단자부(151,152)를 덮는 커버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부(141)의 내측 부위에는 삽입홈부(143)에 삽입되는 돌출지지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부(141) 및 돌출지지부(142)는 손잡이(120)가 다리미 본체(110)에 대하여 걸림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손잡이(120)에 횡방향의 힘을 가하더라도 손잡이(120)가 다리미 본체(110)에 대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자성체들로 이루어진 록킹부(160)의 걸림힘이 약한 것을 보완한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접촉 단자부는, 돌출지지부(142)에 구비되는 탄성 접촉단자(152)와, 삽입홈부(143)의 바닥면에 탄성 접촉단자(152)가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접촉패드(151)를 포함하고 있다. 록킹부(160)에 의하여 손잡이(120)가 다리미 본체(110)에 고정되면, 접촉 단자부에 의하여 손잡이(120)가 다리미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탄성 접촉단자(152) 및 접촉패드(151)는 면상 발열층(114)이 갖는 전극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착탈 연결부의 다른 구현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착탈 연결부(240)는 기계적인 작용에 의하여 구현된 록킹부(260)를 포함하고 있다. 록킹부(260)는 작동바(267), 록크바(261) 및 걸림턱부(262)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바(267)는 지지다리부(122)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바(267)는 앞서 설명한 그립부(121)에 노출되어 있는 버튼부(126)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바(267)의 하단에는 경사면(26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268)은 록크바(261)를 이동시키는 형상으로 작용한다.
록크바(261)는 작동바(267)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힘의 편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크바(261)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쌍에 의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록크바(261)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26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걸림턱부(262)는 록크바(261)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지지다리부(122)를 삽입홈부(243)를 향하여 삽입시키는 경우 록크바(261)는 걸림턱부(262)에 형성된 경사면(262-1)과 록크바(261)에 형성된 경사면(261-1)에 의하여 일정량 후퇴하였다가 스프링(266)에 의하여 다시 전진하여 걸림턱부(262)에 걸림된다. 이러한 작용은 지지지다리부(122)를 누르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편의성이 있다.
지지다리부(122)가 걸림된 상태에서 록크바(261)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작동바(267)가 하강하면, 작동바(267)의 경사면의 작용에 의하여 록크바(261)는 중심으로 모여지게 되고, 걸림턱부(262)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예에서도 커버부(241)는 록킹부(260)를 가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커버부(241)는 걸림턱부(262)의 외주연부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다리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다리미(300)에 의하면, 손잡이(320)는 다리미 본체(310)와 한 곳에서 부착되어 있으며, 착탈 연결부(340)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320)는 충분히 연장됨으로써 인두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다리미 본체에 온도 감응형 잉크를 적용한 것을 보인 다리미(400)의 사시도들이다.
투명한 다리미 본체(410)는 발열 여부의 확인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리미 본체(410)에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인쇄층(47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온도 감응형 잉크는 알려진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도 9(a)와 같이, 인쇄층(470)이 상온에서는 색을 띄지 않거나 초록색 등에 의하여 구현된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면상 발열층이 발열되면 일정한 변색에 의하여 화상 주의 등의 경고 정보가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470)은 문자 또는 심벌 등을 통하여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가 유선 형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는 직접 가정용 전원 등에 의해 연결되거나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충전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이들 중 전자의 예를 들고 있다. 즉, 손잡이(120)가 전원코드(170)에 연결되어 있으며, 손잡이(170)의 내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충전지 또는 면상 발열체의 작동을 위한 정격전압으로 변환하는 어댑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 및 다리미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장치의 일 예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다리미가 충전중인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미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20)가 구비된 것을 보인다. 충전기(20)는 손잡이(120)를 다리미 본체(110)로부터 분리시켜 거치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충전기(20)에는 손잡이(120)의 탈착 연결부(140)와 동일한 위치에 단자들(21)이 배치된다. 충전기(20)에는 분리된 다리미 본체(110)가 거치될 수 있게 거치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보인 분리충전 방식 외에 다리미는 충전 장치에 직접 거치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다리미를 구성하는 다리미 본체가 복수 개로 마련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즉, 다리미 본체(110,110')는 옷감 부위에 따라 선택하여 다림질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르게 복수 개로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120)의 하단에는 착탈 연결부(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다리미 본체(110,110')에는 손잡이(12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20)와 동일한 위치에 접촉패드(151,151')가 마련되어 있다.
상이한 크기를 갖는 다리미 본체(110,110')는 특히, 소매와 같이 좁은 부위의 다림질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미 본체(110,110')는 박판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적층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리미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미(500)는 전원공급부(587), 입력부(581), 면상발열체(582), 온도센서(583), 디스플레이부(585) 및 제어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미(500)의 동작을 위하여, 외부에는 무선전력공급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들 요소가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이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580)는 면상발열체(582)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므로 온열 제어부라 칭할 수 있다. 제어부(580)는 이외에도 그와 연결된 다양한 입출력 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 또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원공급부(587)는 가정용 전원을 직접 사용하는 어댑터이거나,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전원으로서 솔라셀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587)는 무선전력공급장치(600), 예를 들어 무접점 충전장치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581)는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다리미(500)의 조작에 관한 입력신호를 받아 제어부에 제공한다. 입력부(581)는 다이얼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터치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또는 클릭 방식으로 조작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해, 입력부(581)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585)와 직접 연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면상발열체(58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형의 CNT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580)의 제어를 통하여 발열되어 다림질을 위한 열을 제공한다.
온도센서(583)는 면상발열체(582)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면상발열체(582)의 과열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580)는 온도센서(583)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에 따라 면상발열체(582)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585)는 다리미(500)의 조작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585)는 다리미(500)의 일측에 액정화면 또는 LCD형태, 전자종이(e-Paper)가 면상발열체(582)와 적층된 형태, 또는 하우징(14)의 전면부에 위치되는 일군의 발광수단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다리미 110: 다리미 본체
113: 베이스층 114: 면상발열층
115: 코팅층 120: 손잡이
121: 그립 122: 지지다리부
140: 착탈 연결부 160: 록킹부
151: 접촉패드 152: 탄성 접촉단자

Claims (14)

  1.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는 면상 발열층이 포함된 투광성의 다리미 본체;
    바 형태로 형성되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된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다리미 본체에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는 지지다리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부착시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손잡이의 분리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하는 착탈 연결부;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 본체는,
    상기 면상 발열층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 투광성 재질의 베이스층;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외층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 본체는 온도감응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4. 삭제
  5. 손잡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는 면상 발열층이 포함된 투광성의 다리미 본체;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부착시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손잡이의 분리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하는 착탈 연결부;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 연결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부;
    상기 손잡이가 상기 삽입홈부에 끼워져 걸림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가 장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고정된 제1자성체; 및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성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상기 손잡이에 상기 전자석을 스위칭하는 버튼부가 구비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연결부는,
    상기 다리미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부;
    상기 손잡이가 상기 삽입홈부에 끼워져 걸림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가 장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접촉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지지다리부 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작용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록크바; 및
    상기 다리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록크바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부의 하단에, 상기 록킹부 및 접촉단자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돌출지지부가 더 포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돌출지지부에 구비되는 탄성 접촉단자; 및
    상기 삽입홈부의 바닥면에 상기 탄성 접촉단자가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접촉패드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 본체의 일 가장자리부에 옷감의 단추 부위를 다릴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13. 손잡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는 면상 발열층이 포함된 투광성의 다리미 본체;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부착시 상기 손잡이를 상기 다리미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손잡이의 분리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하는 착탈 연결부;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 본체의 일 가장자리부에 옷감의 단추 부위를 다릴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단추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다림질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다르게 복수 개로 마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상기 면상 발열층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입력부; 및
    상기 다리미 본체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KR1020100108814A 2010-11-03 2010-11-03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KR10108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14A KR101089242B1 (ko) 2010-11-03 2010-11-03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814A KR101089242B1 (ko) 2010-11-03 2010-11-03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242B1 true KR101089242B1 (ko) 2011-12-05

Family

ID=4550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814A KR101089242B1 (ko) 2010-11-03 2010-11-03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2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8-02 정세연 휴대용 종이 폄 장치
CN109722872A (zh) * 2019-02-19 2019-05-07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线电熨斗
CN110130082A (zh) * 2019-06-13 2019-08-16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线熨烫类设备
CN110176693A (zh) * 2019-06-13 2019-08-27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手持式设备的连接结构
KR102070751B1 (ko) * 2018-11-07 2020-01-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탁상시계 겸용 다리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8-02 정세연 휴대용 종이 폄 장치
KR102070751B1 (ko) * 2018-11-07 2020-01-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탁상시계 겸용 다리미
CN109722872A (zh) * 2019-02-19 2019-05-07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线电熨斗
CN110130082A (zh) * 2019-06-13 2019-08-16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无线熨烫类设备
CN110176693A (zh) * 2019-06-13 2019-08-27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手持式设备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242B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다리미
CN101858032B (zh) 带有同步温度显示器的电熨斗
KR101279547B1 (ko) 자체 발열 용기
Wang et al. High-performance flexible heater with command-responding function attained by direct laser writing on nomex paper
CN106283583A (zh) 一种基于石墨烯技术的电熨斗
KR101065281B1 (ko) 휴대용 레인지
CN202445228U (zh) 整体发热鞋
CN103132301B (zh) 非接触供电式无绳电熨斗及用于非接触供电的熨衣板
CN201447604U (zh) 电熨斗
CN208405062U (zh) 一种石墨烯发热暖贴片
CN108859890A (zh) 座椅加热片及汽车座椅
CN201365596Y (zh) 一种带电加热装置的鞋垫
CN212912580U (zh) 一种石墨烯除螨电热毯
CN209136255U (zh) 一种低电压智能热菜板
CN201175259Y (zh) 一种保温电水杯
CN101597858B (zh) 一种电熨斗
CN210506906U (zh) 一种新型无线熨烫类设备
CN214070184U (zh) 石墨烯编织发热膜片
CN217118921U (zh) 柔性发热器及应用其的奶瓶保温加热套
CN212649727U (zh) 一种石墨烯加热垫
CN220904371U (zh) 一种热转印机
CN212814926U (zh) 一种交直流造型器
KR101442100B1 (ko) 근적외선 다리미
CN202492743U (zh) 带声音的电熨斗
CN103422333A (zh) 能直观显示熨烫效果的电熨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