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18Y1 - 스팀 다리미 - Google Patents

스팀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18Y1
KR200467018Y1 KR2020120010941U KR20120010941U KR200467018Y1 KR 200467018 Y1 KR200467018 Y1 KR 200467018Y1 KR 2020120010941 U KR2020120010941 U KR 2020120010941U KR 20120010941 U KR20120010941 U KR 20120010941U KR 200467018 Y1 KR200467018 Y1 KR 200467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opening
supply pip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2020120010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supplied to the iron from an external sour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article being ir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발열 코일을 내장한 원통형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부를 형성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팀분사수단은 저장통으로부터 스팀액을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구를 형성한 노즐부재와, 상기 다수의 분사구를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옷감의 구겨진 영역에 맞추어 스팀의 분사범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어 스팀을 여러번 분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팀 다리미{A BOOKCASE}
본 고안은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옷감의 다림질 영역에 맞추어 스팀의 분사범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미는 의류의 직물에 발생하는 주름을 펼치는 기구로서 금속의 다리미판을 가열하여 다리미판을 직물에 마찰시키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리미는 별도의 다리미판 위에 옷감 놓고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이므로 옷감이 상하거나 다리미판과 접한 부분의 옷감은 번질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옷감에 가해지는 열을 줄임과 동시에 스팀에 의해 옷감의 주름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롤러형 스팀 다리미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롤러형 스팀 다리미는 열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내장한 원통형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롤러의 앞쪽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형 스팀 다리미는 상기 스팀분사노즐의 분사 방향이 한 방향으로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옷감의 구겨진 영역이 넓으면 그에 맞추어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이동시켜가면 스팀을 여러번 분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45835호(1999.06.25)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스팀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옷감의 다림질 영역에 맞추어 스팀의 분사범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는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는,
발열 코일을 내장한 원통형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부를 형성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팀분사수단은
저장통으로부터 스팀액을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구를 형성한 노즐부재와,
상기 다수의 분사구를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공급관과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으로부터 분사구로 스팀액을 분기 안내하는 노즐안내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노즐안내관은 연통공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용 조작부재는 연통공을 크기에 대응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관의 외주 둘레에는 실링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에는 발열 코일 및 스팀분사스위치를 각각 제어하는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에는 다수의 분사구를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옷감의 구겨진 영역에 맞추어 스팀의 분사범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어 스팀을 여러번 분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리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팀분사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폐용 조작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는 발열 코일(110)을 내장한 원통형 회전롤러(100)와, 상기 회전롤러(1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부(210)를 형성한 지지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200)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회전롤러(1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부재로서 내부에는 전기 통전으로부터 발열하는 발열 코일(1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롤러(100)는 발열 코일(11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 상태에서 구겨진 옷감을 롤링방식으로 가압하여 주름을 효과적으로 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롤러(100)는 옷감에 대하여 일정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열 전도율이 좋은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회전롤러(100) 양측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롤러(1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는 손잡이부(2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200)는 대략 'T'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팀분사수단(300)은 상기 지지부재(200)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스팀을 분사하는 것으로, 가열된 상태의 상기 회전롤러(100)가 직접 옷감에 닿을 경우 옷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팀의 수분이 옷감을 미리 적신 후 상기 회전롤러(100)의 가열작용에 따른 증기발생으로부터 옷감을 용이하게 다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스팀분사수단(300)은 저장통(미도시)으로부터 스팀액을 공급받는 공급관(310)과, 상기 공급관(31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구(320a)를 형성한 노즐부재(320)와, 상기 다수의 분사구(320a)를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310)은 저장통의 스팀액을 공급받는 파이프관으로서, 'ㄱ'자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관(310)의 일단에는 상기 노즐부재(32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는 연결호스(H)와 결합된다(도 1참조).
상기 노즐부재(320)는 상기 공급관(3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310)과 연통하는 연통공(321)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321)으로부터 분사구(320a)로 스팀액을 분기 안내하는 노즐안내관(322)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부재(32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즐안내관(322)은 연통공(321)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급관(310)을 거쳐 노즐부재(320)의 연통공(321)으로 유입된 스팀액은 다수의 노즐안내관(322)을 따라 이동한 후 분사구(320a)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상기 개폐용 조작부재(330)는 상기 연통공(321)에 설치되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 옷감의 다림질 영역에 따라 스팀액의 분사범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구를 개폐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옷감의 주름진 영역이 넓으면 상기 개폐용 조작부재(3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노즐안내관(322)을 모두 개방시키고, 주름진 영역이 좁으면 상기 노즐안내관(322)을 모두 닫거나 일부만 개방시켜 분사범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용 조작부재(330)는 연통공(321) 크기에 대응하는 연통관(331)과, 상기 연통관(331)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재(332)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재(332)는 상기 연통관(331)을 용이하게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연통관(331)의 외주에는 실링부재(333)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통공(321)과 연통관(331)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긴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개폐용 조작부재(330)는 구겨짐 옷감의 넓이에 맞추어 스팀액의 분사범의를 용이하게 가변조절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10)에는 발열 코일(110) 및 스팀분사수단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조작스위치(220,2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에는 다수의 분사구를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옷감의 구겨진 영역이 넓으면 그에 맞추어 상기 스팀분사노즐을 이동시켜가며 스팀을 여러번 분사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회전롤러
110 : 발열 코일
220 : 지지부재
210 : 손잡이부
300 : 스팀분사수단
310 : 공급관
320 : 노즐부재
320a : 분사구
330 : 개폐용 조작부재
331 :연통관
332 : 조작부재

Claims (6)

  1. 발열 코일을 내장한 원통형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손잡이부를 형성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스팀액을 분사하는 스팀분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팀분사수단은
    저장통으로부터 스팀액을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분사구를 형성한 노즐부재와,
    상기 다수의 분사구를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개폐용 조작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공급관과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으로부터 분사구로 스팀액을 분기 안내하는 노즐안내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안내관은 연통공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조작부재는 연통공을 크기에 대응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외주 둘레에는 실링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발열 코일 및 스팀분사스위치를 각각 제어하는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KR2020120010941U 2012-11-27 2012-11-27 스팀 다리미 KR200467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41U KR200467018Y1 (ko) 2012-11-27 2012-11-27 스팀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941U KR200467018Y1 (ko) 2012-11-27 2012-11-27 스팀 다리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18Y1 true KR200467018Y1 (ko) 2013-05-23

Family

ID=5371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941U KR200467018Y1 (ko) 2012-11-27 2012-11-27 스팀 다리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8-02 정세연 휴대용 종이 폄 장치
KR102321213B1 (ko) * 2021-08-19 2021-11-02 강동호 차량용 스팀 다리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143Y1 (ko) 2004-01-08 2004-03-31 김재천 스팀 다리미의 물흘림 방지장치
US20090178308A1 (en) 2008-01-16 2009-07-16 Big Ideas And Solutions, Inc. Roller iron steamer accessory kit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143Y1 (ko) 2004-01-08 2004-03-31 김재천 스팀 다리미의 물흘림 방지장치
US20090178308A1 (en) 2008-01-16 2009-07-16 Big Ideas And Solutions, Inc. Roller iron steamer accessory kit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58Y1 (ko) 2016-06-08 2016-08-02 정세연 휴대용 종이 폄 장치
KR102321213B1 (ko) * 2021-08-19 2021-11-02 강동호 차량용 스팀 다리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297B2 (en) Clothes steam ironing apparatus
US9845568B2 (en) Portable handheld steamer apparatus
KR101430457B1 (ko) 의류처리장치
CN202830586U (zh) 一种用于挂烫机的烫夹及挂烫机
JP2009524446A (ja) 衣類用スチーマ
KR200467018Y1 (ko) 스팀 다리미
AU2012288484A1 (en) Fabric ironing apparatus
AU2017279791A1 (en) Appliance for Treating a Textile and Method of Treating a Textile
CN103306118B (zh) 一种微波绒布整形装置
US20110271564A1 (en) Portable Iron
KR101492080B1 (ko) 스팀 다리미용 스팀노즐
KR101425557B1 (ko)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
CN107780146A (zh) 一种具有护衣装置的洗衣机
CN208440883U (zh) 一种熨烫均匀的蒸汽电熨斗
CN211395096U (zh) 一种可以快速出蒸汽的熨烫机
CN204023262U (zh) 熨斗装置
KR101217016B1 (ko) 롤러가 구비된 스팀 다리미
CN201952663U (zh) 夹板式蒸汽熨斗
JPH0232236Y2 (ko)
CN204000367U (zh) 一种吸附式挂烫机
CN107558134B (zh) 一种褶皱衣物整平机
KR200434616Y1 (ko) 스팀다리미의 조절파이프 어셈블리
CN207176337U (zh) 一种可快速更换喷头的挂烫机
KR20210072904A (ko) 다리미 겸용 고데기
CN104018330A (zh) 一种吸附式挂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