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55Y1 - 진열용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진열용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55Y1
KR200480755Y1 KR2020140007679U KR20140007679U KR200480755Y1 KR 200480755 Y1 KR200480755 Y1 KR 200480755Y1 KR 2020140007679 U KR2020140007679 U KR 2020140007679U KR 20140007679 U KR20140007679 U KR 20140007679U KR 200480755 Y1 KR200480755 Y1 KR 200480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ed
folding line
proj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15U (ko
Inventor
박은진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40007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55Y1/ko
Priority to US14/582,643 priority patent/US9434502B2/en
Priority to CA2876843A priority patent/CA2876843C/en
Publication of KR20160001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being formed with an aperture or re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through one or mor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용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품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하부로 접히는 상측 후판 및 상기 하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상부로 접히는 하측 후판이 상기 좌측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우측으로 접히는 제1후판접합면 및 상기 우측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좌측으로 접히는 제2후판접합면에 접합되어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후면이 폐쇄되고,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전면은 개방되고,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전면 개방부위 하단 양측에 좌측판과 하판 사이 및 우측판과 하판 사이로 이어지는 받침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판은 폭 방향 중간에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장홈이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진열용 포장 박스{ packing box for display }
본 고안은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前面)의 개방에 의해 내부 상품이 최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전면 하부에 마련되는 받침부에 의해 내부 상품의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판에 마련되는 장홈에 의해 내부 상품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진열용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소형 상품은 일정한 수량 단위로 포장된다.
이때, 소형 상품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포장하는 수단으로는 골판지 등으로 형성된 포장 박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상품을 포장 박스로 포장하게 되면 보관 및 이송 과정에서 적재가 용이할 뿐만 상품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품을 포장 박스로 포장하게 되면 상품의 노출이 이루어질 수 없어 소비자의 시선을 이끌기 곤란하므로 매장 등에서는 포장 박스를 해체하여 상품을 인출한 후 이를 매대, 진열장 또는 냉장고 등에 진열하고 있다.
이때, 포장 박스 해체 작업과, 포장 박스로부터 상품 인출 작업과, 상품 진열 작업은 하나 하나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매장 등에서 대량 또는 다품목의 상품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등록특허 제10-1258395호(공고일 2013. 04. 25)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일부 포장 박스의 경우 전판 또는 상판 등에 절개부위가 마련되고 있다.
포장 박스에 절개부위가 마련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위(60)를 절개함에 따라 포장 박스(A')가 부분 분리되며 개방되므로 이에 의해 내부 상품이 노출되는바, 포장 박스의 진열이 곧 상품의 진열이 될 수 있어 포장 박스를 해체하여 상품을 인출한 후 이를 진열하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절개부위가 마련된 포장 박스의 경우 절개부위 절개에 의해 개방부위가 형성되더라도 상품의 노출이 미흡한 문제가 있었고, 내부 상품의 지지가 불안정하여 내부 상품이 쉽게 쓰러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포장 박스 내면이 상품에 밀접하여 내부 상품의 인출에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내부 상품의 노출이 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 상품의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상품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포장 박스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포장 박스에서 내부 상품의 노출이 이루어질 수 없어 포장 박스를 해체한 후 상품을 인출하여 진열함에 따라 상당한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절개부위가 마련된 포장 박스에서 절개부위 절개에 의한 개방부위가 형성되더라도 상품의 노출이 미흡하고, 내부 상품의 지지가 불안정하여 내부 상품이 쉽게 쓰러지며, 포장 박스 내면이 상품에 밀접하여 내부 상품의 인출이 곤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하면서 포장된 상태 그대로 진열이 가능한 진열용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는,
상품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을 포함하는 진열용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하부로 접히는 상측 후판 및 상기 하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상부로 접히는 하측 후판이 상기 좌측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우측으로 접히는 제1후판접합면 및 상기 우측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좌측으로 접히는 제2후판접합면에 접합되어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후면이 폐쇄되고, 내측의 전면은 개방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내측에 수용된 상품이 인출되며, 상기 하판은 전방 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은 전방단부 일측에 상기 제1돌출편 각각에 인접하는 제2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편 및 상기 제2돌출편을 접어 고정함에 따라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전면 개방부위 하단 양측에 상기 좌측판과 상기 하판 사이 및 상기 우측판과 상기 하판 사이로 이어지는 접이식 받침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판은 폭 방향 중간에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장홈이 마련된다.
상기 상판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좌측판 접합면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1돌출편은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을 따라 상부로 접히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편은 사선 방향으로 이중 접힘선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돌출편은 그와 일체인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상기 접힘선 및 자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중 접힘선을 따라 접힘으로써 삼각형 형태로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받침부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편은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삽입편이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통공에 삽입됨에 따라 접힌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2돌출편은 삼각형 형태로 된 것이다.
삭제
상기 제2돌출편은, 상기 좌측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을 따라 우측으로 접히고, 상기 우측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을 따라 좌측으로 접혀 상기 제1돌출편 각각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는 전면이 개방된 것인바, 개방된 전면을 통해 내부 상품의 일면이 비교적 완전하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포장 박스 자체로 진열하더라도 상품의 노출이 최대로 이루어질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는 개방된 전면 내하부에 받침부가 마련된 것인바, 받침부에 의해 내부 상품이 지지되므로 내부 상품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는 상판에 장홈이 마련된 것인바, 장홈을 통해 상판 하부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품을 당길 수 있으므로 내부 상품의 인출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는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하면서 포장된 상태 그대로 진열이 가능하여 진열을 위해 포장 박스를 추가적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외면 노출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의 전면 개방을 통한 상품 노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에서 받침부를 통한 상품 지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에서 장홈을 통한 상품 인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에서 받침부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종래 절개부위가 마련된 포장 박스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A)는 상판(10), 하판(20), 좌측판(30), 우측판(4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0)은 상품(100)의 상면을 감싸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판(10)은 폭 방향 중간에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장홈(1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0)의 폭 방향 중간에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장홈(11)이 마련됨으로써 장홈(11)을 통해 상판(10) 하부로 손가락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상판(10) 하부에 위치하는 상품(100)의 인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중간'이라는 것은 상판(10)의 정확한 중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품(100) 인출을 위한 손가락 삽입이 가능하다면 장홈(11)의 위치는 제한받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좌측판 접합면(12)이 마련될 수 있다. 좌측판 접합면(12)에 좌측판(30)의 상측 단부 내면을 접합함에 따라 상판(10)과 좌측판(30)이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좌측판 접합면(12)을 통해 상판(10)과 좌측판(30)이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특성을 해하지 않는다면 상품(100)을 감싸기 위한 상판(10), 하판(20), 좌측판(30), 및 우측판(40)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합면은 상판(10), 하판(20), 좌측판(30), 및 우측판(40)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은 후방 단부에 상측 후판(13)이 마련된 것이다.
상판(10)의 후방 단부에 상측 후판(13)이 마련됨으로써 상측 후판(13)을 상판(10)의 하부로 접음으로써 상측 후판(13)에 의해 상판(10) 이하 부위의 후방 상부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하판(20)은 상품(100)의 저면을 감싸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판(20)은 전방 단부의 양측에 이중 접힘선(21a)이 형성된 제1돌출편(2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접힘선(21a)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20)의 전방 단부 양측에 제1돌출편(2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돌출편(21)을 접음에 따라 하판(20)으로부터 이어지는 접이식 받침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돌출편(21)은 이중 접힘선(21a)이 형성되고, 이중 접힘선(21a)을 따라 접음으로써 하판(20)으로부터 이어지는 접이식 받침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편(21)의 이중 접힘선(21a)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 접힘선(21a)을 따라 접힘으로써 삼각형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편(21)이 이중 접힘선(21a)을 따라 접혀 삼각형 형태로 되는 경우 제1돌출편(21)을 접음에 따라 형성되는 받침부(50)가 삼각형 형태가 되므로 받침부(50)의 형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받침부(50)에 의한 상품(100)의 노출 차단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편(21)은 하판(20)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21d)을 따라 상부로 접힐 수 있다.
제1돌출편(21)이 하판(20)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21d)을 따라 상부로 접힘으로써 제1돌출편(21)을 상부로 접음에 따라 받침부(50)가 하판(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편(21)은, 일측 단부에 삽입편(21b)이 마련되고, 하판(20)과의 사이에 통공(21c)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편(21)에서, 일측 단부에 삽입편(21b)이 마련되고, 하판(20)과의 사이에 통공(21c)이 마련됨으로써 삽입편(21b)을 통공(21c)에 삽입함에 따라 삼각형 형태로 접히는 제1돌출편(21)이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판(20)은 후방 단부에 하측 후판(22)이 마련된 것이다.
하판(20)의 후방 단부에 하측 후판(22)이 마련됨으로써 하측 후판(22)을 하판(20)의 상부로 접음으로써 하측 후판(22)에 의해 하판(20) 이커피상 부위의 후방 하부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좌측판(30)은 상품(100)의 좌측면을 감싸는 것이고, 상기 우측판(40)은 상품(100)의 우측면을 감싸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좌측판(30) 및 우측판(40)의 전방 단부 일측에는 제1돌출편(21)의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제2돌출편(31, 4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판(30) 및 우측판(40)의 전방 단부 일측에 제1돌출편(21)의 어느 하나와 인접하는 제2돌출편(31, 41)이 마련됨으로써 제2돌출편(31, 41)을 제1돌출편(21) 내에 삽입함에 따라 제2돌출편(31, 41)에 의해 제1돌출편(21)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편(31, 41)은 제1돌출편(2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편(31, 41)이 삼각형 형태로 됨으로써, 삼각형 형태로 접히는 제1돌출편(21) 내측으로 제2돌출편(31, 41)이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돌출편(31, 41)이 제1돌출편(21)과 긴밀히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편(31, 41)은 좌측판(30)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31a)을 따라 우측으로 접히고, 우측판(40)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41a)을 따라 좌측으로 접힘으로써 하판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돌출편(2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판(30)의 후방 단부에는 제1후판접합면(32)이 마련된 것이다.
좌측판(30)의 후방 단부에 제1후판 접합면(32)이 마련됨으로써 제1후판접합면(32)을 우측으로 접은 후 이에 상측 후판(13) 및 하측 후판(22)을 접합함으로써 상측 후판(13) 및 하측 후판(22)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판(40)의 후방 단부에는 제2후판 접합면(32)이 마련된 것이다.
우측판(40)의 후방 단부에 제2후판접합면(42)이 마련됨으로써 제2후판 접합면(32)을 좌측으로 접은 후 이에 상측 후판(13) 및 하측 후판(22)을 접합함으로써 상측 후판(13) 및 하측 후판(22)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A)(이하 '포장 박스')를 이용한 진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포장 박스(A)는 후면이 폐쇄된 것이나 전면은 개방된 것인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박스(A) 내부에 수용된 상품(100)은 전면 개방부위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박스(A) 자체를 매대, 진열장 또는 냉장고 등에 진열함으로써 상품(100)의 진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포장 박스(A)의 개방된 전면 하부에는 받침부(50)가 마련되어 있어 받침부(50)에 의한 상품(100)의 노출 간섭이 따를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 받침부(50)는 양측 하단에 최소 형태, 예를 들어 삼각형 형태로 되어 있어 그 형태적 특성상 상품(100) 노출 차단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받침부(50)가 마련되더라도 개방된 전면을 통해서 상품(100)의 일면이 비교적 완전하게 최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포장 박스(A)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품(10)이 노출될 때 높이에 비해 폭이 좁은 형태적 특성을 갖는 상품(100) 등은 자립이 불안정하여 개방된 전면을 통해 자칫 전방으로 쓰러질 수 있으므로 진열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포장 박스(A)의 개방된 전면 하부에는 받침부(50)가 마련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50)가 포장 박스(A) 내부 상품(100)의 전면 하단부 양측을 지지하므로 포장 박스(A)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상품(1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포장 박스(A)의 개방된 전면 하부 양측에 마련되는 받침부(50)가 취약하여 쉽게 유동하게 되면 받침부(50)를 통한 상품(10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받침부(50)는 하판(20)으로부터 이어지는 제1돌출편(21)과 좌측판(30) 및 우측판(40)으로부터 이어지는 제2돌출편(31, 41)을 접어 고정함에 따라 형성되는 것인바, 받침부(50)가 견고해질 수 있어 받침부(50)를 통한 상품(10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좌측판(30) 및 우측판(40)에 마련된 제2돌출편(31, 41)을 포장 박스(100) 내측으로 접은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0)에 마련된 제1돌출편(21)을 접어 제2돌출편(31, 41)을 감싸고 제1돌출편(21)의 삽입편(21b)을 통공(21c)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받침부(50)가 형성되는 것인바, 하판(20)과 이어지는 제1돌출편(21)이 제2돌출편(31, 41)의 삽입에 의해 좌측판(30) 및 우측판(40)에도 이어지므로 이에 의해 받침부(50)가 견고해져 유동이 방지되므로 받침부(50)를 통한 상품(10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포장 박스(A) 내면이 내부의 상품(100) 외면에 밀접함에 따라 포장 박스(A) 내의 상품(100) 인출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판(10)은 폭 방향 중간에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장홈(11)이 마련된 것인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11)을 통해 상판(10) 하부로 손가락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홈(11)을 통해 상판(10) 하부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품(100)을 당김으로써 포장 박스(A) 내의 상품(100) 인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열용 포장 박스(A)는 전면이 개방된 것이고, 개방된 전면 내하부에 받침부(50)가 마련된 것이며, 상판(10)에 장홈(11)이 마련된 것인바, 개방된 전면을 통해 내부 상품(100) 일면이 비교적 완전히 노출될 수 있으므로 진열 상태에서 상품(100)의 노출이 최대로 이루어질 있고, 받침부(50)에 의해 내부 상품(100)이 지지되므로 내부 상품(100)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홈(11)을 통해 상판(10) 하부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품(100)을 당길 수 있으므로 내부 상품(100)의 인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판 11 : 장홈
12 : 좌측판 접합면 13 : 상측 후판
20 : 하판 21 : 제1돌출편
21a : 이중 접힘선 21b : 삽입편
21c : 통공 21d : 접힘선
30 : 좌측판 31 : 제2돌출편
31a : 접힘선 32 : 제1후판접합면
40 : 우측판 41 : 제2돌출편
41a : 접힘선 42 : 제2후판접합면
50 : 받침부 60 : 절개부위
100 : 상품 A, A' : 포장 박스

Claims (10)

  1. 상품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을 포함하는 진열용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하부로 접히는 상측 후판 및 상기 하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상부로 접히는 하측 후판이 상기 좌측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우측으로 접히는 제1후판접합면 및 상기 우측판의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져 좌측으로 접히는 제2후판접합면에 접합되어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후면이 폐쇄되고,
    내측의 전면은 개방되어 개방된 전면을 통해 내측에 수용된 상품이 인출되며,
    상기 하판은 전방 단부 양측에 형성된 제1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판 및 상기 우측판은 전방단부 일측에 상기 제1돌출편 각각에 인접하는 제2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편 및 상기 제2돌출편을 접어 고정함에 따라 상기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내측의 전면 개방부위 하단 양측에 상기 좌측판과 상기 하판 사이 및 상기 우측판과 상기 하판 사이로 이어지는 접이식 받침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판은 폭 방향 중간에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지는 장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좌측판 접합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편은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을 따라 상부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편은 사선 방향으로 이중 접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편은 그와 일체인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상기 접힘선 및 자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중 접힘선을 따라 접힘으로써 삼각형 형태로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받침부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편은 일측 단부에 마련되는 삽입편이 상기 하판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통공에 삽입됨에 따라 접힌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편은 삼각형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편은, 상기 좌측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을 따라 우측으로 접히고, 상기 우측판과의 사이에 이어지는 접힘선을 따라 좌측으로 접혀 상기 제1돌출편 각각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용 포장 박스.
  10. 삭제
KR2020140007679U 2014-10-22 2014-10-22 진열용 포장 박스 KR200480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79U KR200480755Y1 (ko) 2014-10-22 2014-10-22 진열용 포장 박스
US14/582,643 US9434502B2 (en) 2014-10-22 2014-12-24 Packing box for display
CA2876843A CA2876843C (en) 2014-10-22 2014-12-29 Packing box for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79U KR200480755Y1 (ko) 2014-10-22 2014-10-22 진열용 포장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15U KR20160001415U (ko) 2016-05-02
KR200480755Y1 true KR200480755Y1 (ko) 2016-07-01

Family

ID=5575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679U KR200480755Y1 (ko) 2014-10-22 2014-10-22 진열용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34502B2 (ko)
KR (1) KR200480755Y1 (ko)
CA (1) CA2876843C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234U (ko) * 1977-03-04 1978-09-27
JPS5826891Y2 (ja) * 1978-04-14 1983-06-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立包装箱
JPH0223315U (ko) * 1988-07-27 1990-02-15
US20040089671A1 (en) * 2002-11-07 2004-05-13 The C.W. Zumbiel Company Carton with dispenser
US8517236B2 (en) 2003-11-12 2013-08-27 Robert Gerald Kushner Personal article holder with dispenser
US20050189405A1 (en) * 2004-02-27 2005-09-01 Jean-Manuel Gomes Three by four can package dispensing carton
US7431163B2 (en) * 2004-06-02 2008-10-07 Builder's Best, Inc. Combination shipping/display container
WO2006052536A1 (en) * 2004-11-03 2006-05-18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having opening features
US8434288B2 (en) 2009-07-29 2013-05-07 Target Brands, Inc. Product package with auxiliary compartments
US9162793B2 (en) * 2011-05-25 2015-10-20 The Coca-Cola Company Carton
GB2503677B (en) 2012-07-03 2016-05-11 Ds Smith Packaging Ltd Product pu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4932A1 (en) 2016-04-28
CA2876843C (en) 2017-08-01
KR20160001415U (ko) 2016-05-02
US9434502B2 (en) 2016-09-06
CA2876843A1 (en)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8048T3 (es) Contenedor de envío que puede pasar a una configuración de presentación
JP2013509338A (ja) ディスプレイコンテナのためのスプリットケースシステム
ES2923287T3 (es) Embalaje listo para la venta minorista para productos encartonados
US20140216981A1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foldable into display trays with anti-tip features
JP6712842B2 (ja) 商品展示方法および段ボール箱
KR200480755Y1 (ko) 진열용 포장 박스
KR20100109830A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JP5466069B2 (ja) 包装ケース
JP6071983B2 (ja) 陳列具、陳列具セット及び陳列具用包装箱
US20200270014A1 (en) Box container and display
JP7181739B2 (ja) 商品陳列用包装箱
US6935509B2 (en) Receptacle for tray display
JP2011042376A (ja) 包装箱
JP6561439B2 (ja) ディスプレイ箱
KR101582148B1 (ko) 포장용 수납상자
KR200476097Y1 (ko) 간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RU202038U1 (ru) Коробка с функцией шоу-бокса
KR20180000437U (ko) 포장상자
KR200435571Y1 (ko) 청과 포장용 상자
JP6919532B2 (ja) 花卉用包装箱
JP3190005U (ja) 傾斜底形成シート、包装資材セ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兼用箱
JP6085280B2 (ja) トレー用連結具
KR101707645B1 (ko) 튜브형 포장박스
JP2009241958A (ja) 包装展示兼用カートン
US20050258223A1 (en) Carton and a blank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