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37Y1 -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37Y1
KR200480737Y1 KR2020150005404U KR20150005404U KR200480737Y1 KR 200480737 Y1 KR200480737 Y1 KR 200480737Y1 KR 2020150005404 U KR2020150005404 U KR 2020150005404U KR 20150005404 U KR20150005404 U KR 20150005404U KR 200480737 Y1 KR200480737 Y1 KR 200480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height
fixed shaft
fastening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훈
이만휘
이민성
김윤선
Original Assignee
(주)아르디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르디온 filed Critical (주)아르디온
Priority to KR2020150005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7Arrangements for setting poles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목재 기둥과 바닥 베이스와의 결합 시 금속재의 나사 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고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하여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연 또는 중공의 내주연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축이 포함되어 지표 바닥면에 시공 설치되는 판상의 베이스와,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의 주축 역할을 하며 하단 내측으로 고정축을 포함하여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고정체결부가 마련되는 목재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HEIGHT-ADJUSTABLE STRUCTURE OF WOODEN BEAMS}
본 고안은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 아파트, 공공시설에 설치되는 놀이시설물의 목재 기둥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미관을 고려하여 나사 결합부가 드러나지 않게 한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원, 놀이터, 아파트 단지 내에서는 지역주민 특히,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은 철골 구조물 또는 목재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요즘에는 사용자의 건강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 대다수의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이 목재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시설물의 설치에 있어 목재 기둥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시설물 설치에 목재 기둥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에는 목재 기둥 하단을 지면 상부에 마련되는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하거나 직접 지중에 매립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목재 기둥 하단 자체를 콘크리트 기초 또는 지중에 매립하여 고정하는 경우 목재 하단부가 습기에 의해 쉽게 부식되므로 시설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고, 시설물 자체의 수명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콘크리트 기초에 매립하는 경우 콘크리트 기초 타설을 위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목재 시설물에 사용되는 목재 기둥의 고정은 그 하단에 별도 고정구를 결합하고, 그 고정구를 콘크리트 기초 또는 지중에 매립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목재 기둥과 고정구의 결합은 나사 결합 또는 걸림쇠 등의 치구를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의 설치 부 특성상 바닥면이 고르지 않는 곳이 대부분이여서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목재 기둥 각각의 높이 조절이 요구되며, 이 경우 나사 결합 시 높이 조절에 따라 나사산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의 원인이 되고, 걸림쇠 등의 고정구의 노출 역시 부식은 물론 미관이 좋지 않으며, 금속재가 노출되어 놀이시설물을 주로 이용하는 아이들이 다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과 관련하여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22780(공고일 2003. 08. 14)자 "조합놀이 시설물용 기둥의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목적은, 목재 기둥과 바닥 베이스와의 결합 시 금속재의 나사 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고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하여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연 또는 중공의 내주연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축이 포함되어 지표 바닥면에 시공 설치되는 판상의 베이스와,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의 주축 역할을 하며 하단 내측으로 고정축을 포함하여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고정체결부가 마련되는 목재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고정축의 외주연 상부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고정체결부의 내주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는 고정축의 중공의 내주연 상부측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고정체결부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체결볼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축의 중공의 내주연에 수직 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고정체결부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일부분에만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볼트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목재 기둥과 바닥 베이스와의 결합 시 금속재의 나사 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통하여 금속재인 나사 결합부의 부식이 방직되고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하여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놀이시설물 및 운동시설물의 지표면이 고르지 않더라고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기둥 설치의 제1실시예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기둥 설치의 제1실시예의 설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놀이시설물(1)의 주축 역할을 하는 목재 기둥(200)이 시설물 형태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고, 이 목재 기둥(200)은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콘크리트 타설물 일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물에 체결되는 금속재의 판상일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바닥면에 판상의 베이스(100)가 설치되고, 이 베이스(100)의 상면 중앙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고정축(11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축(110)은 원기둥 형태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외주연 중 상부측 즉, 전체 길이의 1/4의 길이 부위에만 수나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112)의 길이를 1/4의 부위로 한정하지는 않지만 전체 길이가 아닌 상부측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기둥(200)의 하단 내측으로 고정축(110)을 포함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고정체결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체결부(21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재가 목재 기둥(20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결부(210)의 내주연에는 수직 길이를 따라 전체 면적에 암나사(2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목재 기둥(20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고정축(110)의 수나사(112)부분이 고정체결부(210)의 암나사(212)에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르면,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바닥면에 판상의 베이스(100)가 설치되고, 이 베이스(100)의 상면 중앙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고정축(11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축(110)은 원기둥 형태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원기둥의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의 내측으로 전체 길이의 1/4의 길이 부위에만 암나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역시 암나사(114)의 길이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전체 길이가 아닌 상부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기둥(200)의 하단 내측으로 고정축(110)을 포함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고정체결부(210)가 설치되되, 고정체결부(21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재가 목재 기둥(20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고정체결부(210)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체결볼트(214)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214)는 고정축(110)의 암나사(114)와 대응되는 직경을 하지며, 목재 기둥(20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고정축(110)의 암나사(212)부분을 따라 고정체결부(210)의 체결볼트(214)가 체결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바닥면에 판상의 베이스(100)가 설치되고, 이 베이스(100)의 상면 중앙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고정축(11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축(110)은 원기둥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암나사(1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기둥(200)의 하단 내측으로 고정축(110)을 포함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고정체결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체결부(21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금속재가 목재 기둥(20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 고정체결부(210)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체결볼트(216)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216)는 고정축(110)의 암나사(116)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전체 길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를 않고 하부측 즉, 1/4의 길이 부위에만 수나사가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216)에 형성된 수나사의 길이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전체 길이가 아닌 하부측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목재 기둥(20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고정축(110)의 암나사(116)부분에 고정체결부(210)의 부분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볼트(216)가 체결되면서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서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의 설치는, 공원이나 놀이터의 바닥면을 일정 깊이로 파내서 고정축(110)이 상향되는 상태로 베이스(100)를 설치한 후에 다시 베이스(100)가 지표면 아래에 완전히 묻히는 상태로 흙을 복개하고, 지표면 위로 돌출된 고정축(110)을 포함하도록 목재 기둥(200)의 고정체결부(210)에 나사 체결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놀이시설물 또는 운동시설물의 설치 시 또는 고르지 못한 바닥면의 높이에 따라 수평을 맞출 필요가 있으면, 고정축(110)의 수나사(112)를 고정체결부(210)의 암나사(212)에 위치시킨 후, 목재 기둥(200)을 회전시키면서 나사 체결하게 되며,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고정축(110)의 수나사(112)가 고정체결부(210)의 해당 높이의 암나사(212)에 위치할 때 까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로 마찬가지로 놀이시설물 또는 운동시설물의 설치 시 또는 고르지 못한 바닥면의 높이에 따라 수평을 맞출 필요가 있으면, 고정축(110)의 암나사(114)에 고정체결부(210)의 체결볼트(214)를 위치시킨 후, 목재 기둥(200)을 회전시키면서 나사 체결하게 되며,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고정체결부(210)의 체결볼트(214)가 고정축(110)의 해당 높이의 암나사(114) 위치까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같이 놀이시설물 또는 운동시설물의 설치 시 또는 고르지 못한 바닥면의 높이에 따라 수평을 맞출 필요가 있으면, 고정축(110)의 암나사(116)에 고정체결부(210)의 수나사가 부분 형성된 체결볼트(216)를 위치시킨 후, 목재 기둥(200)을 회전시키면서 나사 체결하게 되며,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고정체결부(210)의 체결볼트(216)가 고정축(110)의 해당 높이의 암나사(116) 위치까지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110 : 고정축
200 : 목재 기둥 210 : 고정체결부

Claims (4)

  1. 중앙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연 또는 중공의 내주연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축(110)이 포함되어 지표 바닥면에 시공 설치되는 판상의 베이스(100)와,
    놀이시설물(1) 및 운동시설물의 주축 역할을 하며 하단 내측으로 상기 고정축(110)을 포함하여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고정체결부(210)가 마련되는 목재 기둥(2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110)의 중공의 내주연에 수직 방향을 따라 암나사(116)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결부(210)의 내부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일부분에만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볼트(21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5404U 2015-08-13 2015-08-13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480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04U KR200480737Y1 (ko) 2015-08-13 2015-08-13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04U KR200480737Y1 (ko) 2015-08-13 2015-08-13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37Y1 true KR200480737Y1 (ko) 2016-06-30

Family

ID=5634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04U KR200480737Y1 (ko) 2015-08-13 2015-08-13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3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96Y1 (ko) * 2001-07-24 2001-12-01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기둥
KR100797905B1 (ko) * 2007-02-23 2008-01-24 김오수 바닥판재 지주 각도조절장치
KR20100001200U (ko) * 2008-07-25 2010-02-03 장성민 안전난간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96Y1 (ko) * 2001-07-24 2001-12-01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기둥
KR100797905B1 (ko) * 2007-02-23 2008-01-24 김오수 바닥판재 지주 각도조절장치
KR20100001200U (ko) * 2008-07-25 2010-02-03 장성민 안전난간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4363A1 (en) Wood post anchoring base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083119B1 (ko)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US20170370103A1 (en) Reinforced covering material for bearing members of play structures
KR200480737Y1 (ko) 목재 기둥의 높이 조절 구조
US7975437B2 (en) Playground roof support
KR100867322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지주와 보 연결구조
JP6008821B2 (ja) プレハブ式階段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200462716Y1 (ko)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KR101516585B1 (ko) 기초석과 기둥의 고정구조체
JP647387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材
JP2018076684A (ja) プレハブ式階段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20120008956A (ko) 팬스용 관절형 브라켓 구조
KR101439789B1 (ko) 기둥 설치장치
KR101517418B1 (ko) 시설물 기초 구조
JP3184856U (ja) プレハブ式階段
JP2007177559A (ja) 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200322780Y1 (ko) 조합놀이 시설물용 기둥의 고정 장치
KR20060091930A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방법
JP2000204676A (ja) 柱脚金物及び柱脚と基礎との接合構造
KR200383860Y1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KR102247319B1 (ko) 인 주주에 아웃 주주가 결합된 울타리용 지주
KR101994679B1 (ko) 난간용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