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75Y1 -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 Google Patents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75Y1
KR200480475Y1 KR2020150008006U KR20150008006U KR200480475Y1 KR 200480475 Y1 KR200480475 Y1 KR 200480475Y1 KR 2020150008006 U KR2020150008006 U KR 2020150008006U KR 20150008006 U KR20150008006 U KR 20150008006U KR 200480475 Y1 KR200480475 Y1 KR 200480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heet
space
cloth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희
Original Assignee
장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희 filed Critical 장은희
Priority to KR2020150008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42B1/062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시트를 중첩시켜 내부공간이 확보된 부분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하여 모자챙을 형성하고, 이 모자챙을 캡부의 전방에 결합함으로써, 모자챙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CAP WITH HIGH DECORATIVENESS}
본 고안은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를 중첩시켜 내부공간이 확보된 부분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하여 모자챙을 형성하고, 이 모자챙을 캡부의 전방에 결합함으로써, 모자챙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는 주로 캡부과 모자챙으로 이루어지는데, 최근에는 단순 모자 구조에서 탈피하여 장식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모자들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20-0201501호의 '장식구가 구비되는 모자', 실용신안등록 제20-0185167호의 '나뭇잎 장식 모자'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97475호의 '레이스 장식을 갖는 차양 모자'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장식 모자는 모자에 장식구, 나뭇잎 장식, 레이스 장식 등이 일정하게 부가 및 부착되어 제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독창적이면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장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종래 장식 모자의 장식 기능은 무척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장식 모자의 장식은 대부분 평면적이었으므로 더욱 입체적이면서도 심미감을 주는 표현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를 중첩시켜 내부공간이 확보된 부분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하여 모자챙을 형성하고, 이 모자챙을 캡부의 전방에 결합함으로써, 모자챙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캡부와 상기 캡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가장자리를 결합시켜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에는 유액이 충전되고 장식물이 내장되어, 상기 유액의 유동에 따라 장식물이 이동되면서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캡부와 상기 캡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은 표면에 패턴공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공에는 바닥시트와 상부커버를 서로 결합시켜 바닥시트와 상부커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식용기가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장식용기의 공간부에는 유액이 충전되고 장식물이 내장되어, 상기 유액의 유동에 따라 장식물이 이동되면서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는 모자챙의 내부에 확보된 공간부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하여 이 모자챙을 캡부의 전방에 결합함으로써, 모자챙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는 모자챙 내부에서 장식물이 유액에 떠있는 상태에서 유액의 움직임에 따라서 공간부 내에서 유동되므로, 공간부에 내장된 장식물이 살아 움직이는 효과를 발생하여 장식물이 평면이 아닌 입체적으로 발현되어 장식효과가 향상되며, 다양한 디자인 표출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시선유도력이 향상되어 광고효과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평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2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시트를 중첩시켜 내부공간이 확보된 부분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하여 모자챙을 형성하여, 모자챙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캡부(100)와 상기 캡부(1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캡부(100)는 일명 크라운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모자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머리에 덮여 씌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캡부(100)는 통상적인 제조 방식인 다수개의 판넬(110)을 서로 봉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캡부(100)는 상술한 크라운 방식 뿐만 아니라, 핀캡 또는 썬캡에 적용되는 머리에 착용되는 머리띠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자챙(200)은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가장자리를 결합시켜 상기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모자챙(200) 내부의 공간부(S)는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가장자리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시트(210) 및 하부시트(220)는 내부에 확보된 공간부(S)에 후술하는 유액(L)을 충전시킬 경우 충전된 유액(L)에 의하여 쉽게 팽창되어 손상되지 않도록 강도가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S)에는 유액(L)이 충전되고 장식물(230)이 내장되어, 상기 유액(L)의 유동에 따라 장식물(230)이 이동되면서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액(L)은 상기 공간부(S)에서 유동 가능할 정도로만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액(L)에 색감을 가미하여 모자챙(200)이 더욱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액(L)은 공간부(S)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면 물, 글리세린을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액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식물(230)은 캐릭터, 반짝이 또는 별, 달, 동물얼굴, 곤충, 물고기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장식물(230)이 유액(L)에 떠있는 상태에서 유액(L)의 움직임에 따라서 공간부(S) 내에서 유동되므로, 공간부(S)에 내장된 장식물(230)이 살아 움직이는 효과를 발생하여 모자의 장식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물(230)은 모자의 제조사 또는 생산자를 식별할 수 있는 상표나 로고와 같은 광고문구로 마련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모자챙의 제조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또는 열성형을 통해 부착시켜 가장자리 접착면(240)을 형성하여 모자챙(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모자챙(240)은 모자챙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된 받침천(250)을 통해 캡부(100)의 전방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모자챙(200)은 상기 받침천(250)의 상면에 안착된 다음 상기 가장자리 접착면(240)과 받침천(250)의 테두리에 끼워져 봉제(N)되는 마감재(251)를 통해, 캡부(100)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시트(210)와 하부시트(220)는 투명의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시트(220)의 상면에는 표면에 무늬가 형성된 장식필름(221)이 부착되거나, 무늬가 형성되게 장식인쇄층(2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시트(220)에 형성된 장식필름(221)이나 장식인쇄층(22)이 투명의 상부시트(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모자의 장식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는 상부 및 하부시트를 중첩시켜 가장자리를 결합시켜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된 모자챙을 제조하기 때문에 모자챙의 제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모자챙의 내부에 확보된 공간부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하여 이 모자챙을 캡부의 전방에 결합함으로써, 모자챙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자챙 내부에서 장식물이 유액에 떠있는 상태에서 유액의 움직임에 따라서 공간부 내에서 유동되므로, 공간부에 내장된 장식물이 살아 움직이는 효과를 발생하여 장식물이 평면이 아닌 입체적으로 발현되어 장식효과가 향상되며, 다양한 디자인 표출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시선유도력이 향상되어 광고효과도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의 평면도이며,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에서 모자챙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모자챙의 전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모자챙의 일부분에 장식용기를 결합하고 장식용기 내부의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캡부(100)와 상기 캡부(1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캡부(100)는 일명 크라운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모자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해 착용자의 머리에 덮여 씌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캡부(100)는 통상적인 제조 방식인 다수개의 판넬(110)을 서로 봉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모자챙(200)은 상기 캡부(10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표면에 패턴공(2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자챙(200)에 형성된 패턴공(250)은 후술하는 장식용기(260)가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으로, 장식용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시키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공(250)에는 바닥시트(261)와 상부커버(262)를 서로 결합시켜 바닥시트(261)와 상부커버(262)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장식용기(260)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장식용기 내부의 공간부(S)는 바닥시트(261)와 상부커버(262)의 가장자리를 결합시킴으로써 바닥시트(261)와 상부커버(262)의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용기의 공간부(S)에는 유액(L)이 충전되고 장식물(263)이 내장되어, 상기 유액(L)의 유동에 따라 장식물(263)이 이동되면서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액(L)은 상기 공간부(S)에서 유동 가능할 정도로만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액(L)에 색감을 가미하여 모자챙(200)이 더욱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액(L)은 공간부(S)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면 물, 글리세린을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액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식물(263)은 캐릭터, 반짝이 또는 별, 달, 동물얼굴, 곤충, 물고기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장식물(263)이 유액(L)에 떠있는 상태에서 유액(L)의 움직임에 따라서 공간부(S) 내에서 유동되므로, 공간부(S)에 내장된 장식물(263)이 살아 움직이는 효과를 발생하여 모자의 장식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물(263)은 모자의 제조사 또는 생산자를 식별할 수 있는 상표나 로고와 같은 광고문구로 마련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용기의 상부커버(262)는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커버부(262a)와 상기 커버부(262a)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으로 확개 형성되는 부착면(262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시트(261)는 상기 부착면(262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부착면(262b)과 바닥시트(261)의 가장자리는 고주파 또는 열성형을 통해 부착되어 결합면(270)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자챙(200)의 하면에는 패턴공(250)의 측방으로 상기 결합면이 수용되는 수용홈(2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커버부(262a)가 상기 패턴공(250)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결합면(270)이 상기 수용홈(251)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면(270)과 모자챙(200)이 봉제(N1)를 통해 결합되어서 모장챙(200)에 장식용기(260)가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모자챙(200)의 상면은 상부마감천(280)이 덮어져 마감되고 상기 모자챙(200)의 하면은 하부마감천(290)이 덮어져 마감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자챙(200), 상부마감천(280) 및 하부마감천(290)의 테두리에는 마감재(291)가 끼워진 다음 봉제(N2)를 통해 서로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마감천(228)에는 상기 패턴공(2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감공(228a)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공(228a)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마감천(228')이 상기 패턴공(250)을 통해 수용홈(251)과 결합면(270)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면(270)과 모자챙(200)이 봉제(N1)될 때 결합면(270)과 모자챙(200)과 함께 마감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는 상기 모자챙의 패턴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확보된 공간부에 유액과 장식물을 내장한 장식용기를 결합하여, 장식용기 내부에 유액의 유동됨으로 인해 장식물이 유동되게 구성되어 모자의 장식효과를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자챙에 결합된 장식용기 내부에서 장식물이 유액에 떠있는 상태로 유액의 움직임에 따라서 공간부 내에서 유동되므로, 공간부에 내장된 장식물이 살아 움직이는 효과를 발생하여 장식물이 평면이 아닌 입체적으로 발현되어 장식효과가 향상되며, 다양한 디자인 표출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시선유도력이 향상되어 광고효과도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는 상술한 야구 모자 형태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캡, 썬캡 등 공지된 머리에 착용되고 모자챙이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모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캡부 200: 모자챙
210: 상부시트 220: 하부시트
230: 장식물 240: 접착면
250: 받침천 251: 마감재
260: 장식용기 270: 결합면
280: 상부마감천 290: 하부마감천
291: 마감재

Claims (4)

  1. 캡부와 상기 캡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가장자리를 결합시켜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에는 유액이 충전되고 장식물이 내장되어, 상기 유액의 유동에 따라 장식물이 이동되면서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또는 열성형을 통해 부착시켜 가장자리 접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캡부의 전방에는 모자챙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된 받침천이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모자챙은 상기 받침천의 상면에 안착된 다음 상기 가장자리 접착면과 받침천의 테두리에 끼워져 봉제되는 마감재를 통해, 캡부의 전방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투명의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시트의 상면에는 표면에 무늬가 형성된 장식필름이 부착되거나, 무늬가 형성되게 장식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3. 캡부와 상기 캡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모자챙으로 구성된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은 표면에 패턴공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공에는 바닥시트와 상부커버를 서로 결합시켜 바닥시트와 상부커버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식용기가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장식용기의 공간부에는 유액이 충전되고 장식물이 내장되어, 상기 유액의 유동에 따라 장식물이 이동되면서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으로 확개 형성되는 부착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시트는 상기 부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부착면과 바닥시트의 가장자리는 고주파 또는 열성형을 통해 부착되어 결합면이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모자챙의 하면에는 패턴공의 측방으로 상기 결합면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턴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결합면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면과 모자챙은 봉제를 통해 결합되어서 모장챙에 장식용기가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자챙의 상면은 상부마감천이 덮어져 마감되고 상기 모자챙의 하면은 하부마감천이 덮어져 마감되게 구성되되, 상기 모자챙, 상부마감천 및 하부마감천의 테두리에는 마감재가 끼워진 다음 봉제를 통해 서로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마감천에는 상기 패턴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감공이 형성되어 상기 마감공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마감천이 상기 패턴공을 통해 수용홈과 결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면과 모자챙이 봉제될 때 결합면과 모자챙과 함께 마감 결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KR2020150008006U 2015-12-07 2015-12-07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KR200480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06U KR200480475Y1 (ko) 2015-12-07 2015-12-07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06U KR200480475Y1 (ko) 2015-12-07 2015-12-07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75Y1 true KR200480475Y1 (ko) 2016-05-27

Family

ID=5609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06U KR200480475Y1 (ko) 2015-12-07 2015-12-07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678A (en) * 2017-03-05 2018-12-26 Qingdao Qianfeng Capart Intl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adless-sewed woven hat using ultrasonic sewing technology
KR20210131064A (ko) 2020-04-23 2021-11-02 김상근 패션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935Y1 (ko) 1997-09-12 1999-11-15 이금종 안경다리의 움직이는 장식구조
KR200210682Y1 (ko) 2000-07-22 2001-01-15 김상태 열쇠고리용 장식구
KR200426151Y1 (ko) 2006-06-21 2006-09-08 김승호 여성용 구둣굽
KR100752901B1 (ko) 2006-09-08 2007-08-28 김이열 장신구용 장식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935Y1 (ko) 1997-09-12 1999-11-15 이금종 안경다리의 움직이는 장식구조
KR200210682Y1 (ko) 2000-07-22 2001-01-15 김상태 열쇠고리용 장식구
KR200426151Y1 (ko) 2006-06-21 2006-09-08 김승호 여성용 구둣굽
KR100752901B1 (ko) 2006-09-08 2007-08-28 김이열 장신구용 장식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678A (en) * 2017-03-05 2018-12-26 Qingdao Qianfeng Capart Intl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adless-sewed woven hat using ultrasonic sewing technology
KR20210131064A (ko) 2020-04-23 2021-11-02 김상근 패션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55Y1 (ko) 화장품 용기 뚜껑
US6158055A (en) Cap with protrusive effect
KR200480475Y1 (ko) 장식성이 향상된 모자
US20110314583A1 (en) Self decorating swimsuit and method therefor
US20160037974A1 (en) Shower Curtain with Lace Fabric
CN205601262U (zh) 表面带凹凸立体花纹的复合材料
KR101032226B1 (ko) 승화전사 자수물이 부착된 모자와 그 제조 방법
RU78083U1 (ru) Кукла и ее основа
KR20140069809A (ko) 모자에 부착되는 색다른 자수물과 그 제조방법
CN205884714U (zh) 一种带有腰部按摩垫的珠绣外套
JP3237922U (ja) サングラス
CN206659219U (zh) 帽子
CN205884713U (zh) 一种方便穿脱的珠绣外套
KR200423949Y1 (ko) 투명 입체감을 가지는 원단
KR200304232Y1 (ko) 모자
KR200438826Y1 (ko) 문양이 형성된 모자
KR200380353Y1 (ko) 라벨
WO2017121375A1 (zh) 帽子
CN208676977U (zh) 一种激光雕刻镂空多层多色窗幔
CN107518456A (zh) 一种按摩腋下的珠绣外套
JP3155510U (ja) 室内鯉のぼりセット
KR20160025450A (ko) 로고 착탈식 모자
JP3200161U (ja) ボトル用装飾体
CN107510143A (zh) 一种有垂感的珠绣裙子
KR200430947Y1 (ko) 입체 질감을 가지는 스팡글직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