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24Y1 - 주차 표시등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표시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24Y1
KR200480424Y1 KR2020140006760U KR20140006760U KR200480424Y1 KR 200480424 Y1 KR200480424 Y1 KR 200480424Y1 KR 2020140006760 U KR2020140006760 U KR 2020140006760U KR 20140006760 U KR20140006760 U KR 20140006760U KR 200480424 Y1 KR200480424 Y1 KR 200480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hinge
slide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969U (ko
Inventor
정철호
최병도
박수한
홍문기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제이엔디
Priority to KR2020140006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2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차 표시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각 구성요소가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주차 표시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 표시등 장치{Parking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차 표시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각 구성요소가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주차 표시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유동인구가 밀집되는 시설에는 필연적으로 대형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대형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해 사람을 배치하여 주차 위치를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람이 모든 주차공간의 확보 여부를 파악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현재는 영상장치 또는 센서등을 이용하여 주차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주차가능한 공간을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주차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1237200호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2013.02.19.)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주차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주차관리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명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관리 시스템(1)은 관제서버가 주차공간에 설치된 영상장비 또는 센서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 된 정보를 주차공간에 설치된 조명장치로 전송하여, 조명장치(7)가 미리 지정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주차가능여부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대개 조명장치(7)는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주차공간을 안내하기 위해 주차장의 천장 또는 기둥의 상측 등에 설치되며, 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을 하여 주차가능 여부를 안내하거나, 조명장치(7)에 사용된 조명의 색깔을 변화하는 방법을 통해 주차가능 여부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조명장치(7)는 설치된 위치의 특성상 설치된 위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조명장치의 파손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을 지나가던 행인 또는 차량과 충돌하여 큰 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설치위치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주차관리 시스템(1)에 사용되는 조명장치의 경우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주차가능 장소를 안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한데, 종래의 조명장치(7)는 조명장치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설치 위치에서 조명장치를 분리하기는 어려우며, 조명장치 자체도 각 구성요소가 모두 분리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사다리 등의 기구를 올라타 불편한 상태로 각 구성요소를 점검 또는 수리를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구성요소 중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만을 교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7200호,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2013.02.19.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차 표시등 장치의 구성요소인 표시등과 본체가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본체의 수납부 및 커버를 탈착 가능한 힌지 결합으로 형성하여, 각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주차 표시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수납부(110),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측이 상기 수납부(110)와 힌지결합되는 커버(12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도광판(210),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 끝단부 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표시등;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LED부(310),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LED부(310)의 작동을 조절하는 기판모듈(320),을 포함하는 조명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120)의 상면에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홈(130)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가 상기 슬라이드홈(130)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30) 상에 조명홀(140)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LED부의 LED가 상기 조명홀(14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주차 표시등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홈(130)의 단차부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0) 및 상기 걸림돌기(10)와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0)가 삽입되는 걸림홈(2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등(200)은,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가 길이방향 상측 및 하측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이 형성된 한 쌍의 바(bar)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210)이 상기 한 쌍의 바(bar)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0)는, 상기 수납부(210)와 상기 커버(220)가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힌지결합부(4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는 표시등과 본체가 슬라라딩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 또한 탈착 가능한 힌지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경우 간단하게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분리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불안정한 자세로 점검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욱 안전한 자세로 점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주차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주차표시등
도 3은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표시등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표시등과 본체(100)의 결합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설치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가능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수납부(110),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측이 수납부(110)와 힌지결합되는 커버(12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도광판(210),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 끝단부 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표시등(200)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LED부(310),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LED부(310)의 작동을 조절하는 기판모듈(320)을 포함하는 조명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120)의 상면에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홈(130)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가 상기 슬라이드홈(130)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30) 상에 조명홀(140)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LED부의 LED가 상기 조명홀(14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는 상기 수납부(110)와 커버(120)가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4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커버(120)의 일측에 힌지돌기(41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120)의 일측에 힌지홈(420)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돌기(410)를 상기 힌지홈(420)에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돌기(410)는 상기 힌지홈(420)에 삽입시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힌지돌기(410)의 상측부는 상기 힌지홈(42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410)의 하측부는 상기 힌지홈(4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된다.
상기 힌지홈(420)은 삽입된 상기 힌지돌기(420)의 끝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400)의 탈착시 상기 힌지돌기(410)를 손쉽게 밀어 올려 탈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수납부(110)에 힌지돌기(410)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20)에 힌지홈(420)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130)은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를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21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리플렉터 시트의 양면에 투명하고 견고한 재질의 판을 접착하여 형성하되, 그 중에서도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값이 저렴한 아크릴 재질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후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도광판(210)은 상기 조명모듈(300)에서 발광된 빛을 전달하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210)과 상기 본체(100)의 결합부가 서로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조명장치로서 그 역할을 실시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는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 끝단부 면은 개방하면서 일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LED부(310)는 복수개의 LED가 구비된 플레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LED는 적색 및 녹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이루어지며, 본 고안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한 주차 표시등 장치(1000)이므로, 상기 기판모듈(320)은 주차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로부터 명령을 전달받는 수신기, 상기 LED부(31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기 등의 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LED부(310)는 상기 조명홀(140)에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120)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모듈(320)은 상기 수납부(110)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부(310)는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편리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홀(140)에 인접하게 복수개의 걸림후크(330)를 형성하고, 상기 LED부(310)가 상기 걸림후크(330)에 걸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모듈(320)은 작은 충격에도 각 구성요소가 오작동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야한다. 따라서 볼팅결합에 의해 상기 수납부(110)와 견고하게 고정하여 결합한다.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검사 또는 수리시 하나의 구성요소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주차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조명장치의 경우 모든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지 않아 점검 및 수리시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반면에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상기 표시등(200)과 상기 본체(100)가 슬라이딩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 또한 탈착 가능한 힌지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만을 분리하고 교환함으로써 간단하게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분리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다리에 올라탄 불안정한 자세로 점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사다리에 올라탄 상태로 수리 및 점검을 실시하더라도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여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표시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상기 표시등(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 끝단부면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를 한 쌍의 바(bar)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는 길이방향 상측 및 하측에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을 형성하고, 상기 바 사이에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을 배치하여 상기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와 상기 도광판(2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볼팅처리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표시등과 본체의 결합 실시예이다.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데,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등(200)을 상기 본체(100)에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의 폭을 상기 슬라이드홈(130)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홈(130)의 단차부에 돌출되는 걸림돌기(10)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0)와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 면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홈(20)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10)가 상기 걸림홈(20)에 삽입되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두 번의 끼움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등(200)과 상기 본체(100)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와 슬라이드홈(130)이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반드시 슬라이드홈(130)의 상측에서 끼워 넣는 것이 아닌 상기 슬라이드홈(130)의 전방에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를 상기 슬라이드홈(130)에 끼운 뒤 하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의 설치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된 배관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차량 검지기(500)가 주차장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며, 감지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고 이를 주차 표시등 장치(1000)로 전달하여 주차가능여부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가 주차구역 중 일부 구역의 주차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주차구역에 주차가능하다는 정보를 상기 기판모듈(320)이 전송받으면 상기 LED부(310)가 녹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되고,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주차구역에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상기 기판모듈(320)이 전송받으면 상기 LED부(310)는 적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되어 주차 가능 여부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주차장의 천장에 설치된 배관이 주차공간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 또한 주차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표시등을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이 주차공간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고정부재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즉 상기 고정부재가 'ㄱ'자 형태가 되도록 형성하여, 본 고안의 주차 표시등 장치(1000)가 찻길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상기 표시등(200)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주차관리 시스템
7 : 종래의 주차 표시등
10 : 걸림돌기 20 : 걸림홈
100 : 본체
110 : 수납부 120 : 커버
130 : 슬라이드홈 140 : 조명홀
200 : 표시등
210 : 도광판 220 : 슬라이드 결합부
230 : 결합돌기 240 : 결합홈
300 : 조명모듈
310 : LED부 320 : 기판모듈
330 : 걸림후크
400 : 힌지결합부
410 : 힌지돌기 420 : 힌지홈
500 : 차량 검지기
1000 : 주차 표시등 장치

Claims (4)

  1. 주차장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감지하는 차량검지기(500)에서 관리서버로 전달된 정보를 받아 빛의 발광 색으로 해당 주차구역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표시등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수납부(110),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일측이 상기 수납부(110)와 힌지결합되는 커버(120),
    를 포함하는 본체(100);
    도광판(210),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 끝단부 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광판(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0),
    를 포함하는 표시등; 및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녹색 또는 적색을 발광하는 LED부(310),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LED부(310)의 발광색을 조절하는 기판모듈(320),
    을 포함하는 조명모듈(300);
    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120)의 상면에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홈(130)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가 상기 슬라이드홈(130)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홈(130) 상에 조명홀(140)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LED부의 LED가 상기 조명홀(140)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납부(110)와 상기 커버(120)가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결합부(400)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결합부(400)는 상기 수납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돌기(410)와, 상기 커버(120)의 일측에 상기 힌지돌기(410)에 대응 형성된 힌지홈(4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돌기(410)는 단부에 상기 힌지홈(420)과 결합 시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120)와 상기 수납부(11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커버(120)와 결합하는 'ㄱ'자 형상의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표시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표시등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홈(130)의 단차부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0) 및
    상기 걸림돌기(10)와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 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0)가 삽입되는 걸림홈(20)
    을 더 포함하는 주차 표시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200)은,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20)가 길이방향 상측 및 하측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이 형성된 한 쌍의 바(bar)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210)이 상기 한 쌍의 바(bar)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230) 및 결합홈(240)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주차 표시등 장치.
  4. 삭제
KR2020140006760U 2014-09-17 2014-09-17 주차 표시등 장치 KR200480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60U KR200480424Y1 (ko) 2014-09-17 2014-09-17 주차 표시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60U KR200480424Y1 (ko) 2014-09-17 2014-09-17 주차 표시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69U KR20160000969U (ko) 2016-03-25
KR200480424Y1 true KR200480424Y1 (ko) 2016-05-24

Family

ID=5564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60U KR200480424Y1 (ko) 2014-09-17 2014-09-17 주차 표시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53A (ko) 2016-11-25 2018-06-04 류귀식 주차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주차장 led 조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4166A (zh) * 2017-06-13 2017-09-05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引导系统及方法
KR101994633B1 (ko) 2017-07-12 2019-07-02 오에이치시스템 주식회사 각 층의 음식물쓰레기봉투 공용 투입구용 계량 모듈
KR102255563B1 (ko) * 2019-02-15 2021-05-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상유도등 케이스
KR102238663B1 (ko) * 2019-11-14 2021-04-09 (주)제이엔디 주차공간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525B2 (ja) * 1992-09-08 2001-05-14 化薬アクゾ株式会社 ビニル系単量体の重合方法
JP2001272936A (ja) 2000-03-24 2001-10-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表示装置および誘導灯
KR100754799B1 (ko) * 2006-12-01 2007-09-03 유비링크(주) 유도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525B2 (ja) * 1992-09-08 2001-05-14 化薬アクゾ株式会社 ビニル系単量体の重合方法
JP2001272936A (ja) 2000-03-24 2001-10-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表示装置および誘導灯
KR100754799B1 (ko) * 2006-12-01 2007-09-03 유비링크(주) 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53A (ko) 2016-11-25 2018-06-04 류귀식 주차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주차장 led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69U (ko)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424Y1 (ko) 주차 표시등 장치
EP3336046A1 (en) Winch with integrated lighting
KR101615455B1 (ko) 공구 보관장치
KR101781754B1 (ko) 조명유도 주차 안내 시스템
JP5587557B2 (ja) 表示装置
KR101634368B1 (ko) 신호등 점등 센싱 장치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JP6458536B2 (ja) 照明装置
KR200462003Y1 (ko) 대피 정보 안내 장치
JP5818474B2 (ja) 指示計
KR101805151B1 (ko) 차량용 비상 신호장치
CN111308106A (zh) 样本分析装置的状态报知方法及样本分析系统
JP2009099376A (ja) 表示装置及び誘導灯
KR101564768B1 (ko) 안전진단을 위한 시설물 점검과 진단시 원거리에서 확인이 용이한 차량통제용 안전경광봉
JP2015026460A (ja) 照明装置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照明システム
KR101565754B1 (ko) 차일드시트 탈부착장치
KR20150098270A (ko) 주차 유도 및 관리시스템
KR20170115887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588453B1 (ko)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광섬유 시인장치
JP7464908B2 (ja) 誘導灯
KR20170138270A (ko) 알람시스템을 이용한 조명제어 장치
JP2014076874A (ja) エレベータの人数検知装置取り付け構造
KR101311618B1 (ko) 무대용 보더라이트
KR101208422B1 (ko) 차량 제원 표시 장치
CN215516228U (zh) 一种用于电梯运行状况监控的综合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