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422B1 - 차량 제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제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422B1
KR101208422B1 KR1020120070101A KR20120070101A KR101208422B1 KR 101208422 B1 KR101208422 B1 KR 101208422B1 KR 1020120070101 A KR1020120070101 A KR 1020120070101A KR 20120070101 A KR20120070101 A KR 20120070101A KR 101208422 B1 KR101208422 B1 KR 10120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hicle
display panel
control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주) 디오티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오티컴퍼니 filed Critical (주) 디오티컴퍼니
Priority to KR102012007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Signs, boards or panels mounted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09F2013/1877Stand-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7Electroluminescent display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직접 설치되어 차량 판매장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콤팩트화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사람의 동작 감지로 작동됨에 따라 시인성과 광고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전력의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표시 장치는 내측에 격벽을 가지고, 전면에 절곡된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고, 배면에 차량의 제원이 문양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문양부를 가지는 투명표시판과;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엘이디를 가지는 엘이디 모듈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설치되는 전원제어 회로기판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차량의 배터리에 분리 가능하게 타단이 연결되는 집게형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통공에 끼워져 상기 커버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는 동작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원 표시 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SPECIFICATIONS OF A VEHICLE}
본 발명은 판매장에 전시된 차량의 제원을 표시하기 위한 차량 제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직접 설치되어 차량 판매장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콤팩트화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사람의 동작 감지로 작동됨에 따라 시인성과 광고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전력의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와 같은 차량을 판매하는 판매장에는 각종 신형 차량들이 전시되며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판매장에 전시되는 차량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체 길이, 높이, 폭, 휠 직경 등의 치수와, 중량, 및 가속시간, 최대 토크, 최대 출력, 주행성능, 연비의 성능과, 연료탱크의 크기, 에어백, 변속기 종류 등의 설치된 장비 및 특장점에 대해서 팸플릿이나 소책자 등으로 설명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량의 제원은 보다 손쉽게 게시하기 위해 별도로 스탠드형 광고판을 만들어 차량의 전방이나 일측에 세워두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팸플릿은 구매자가 일일이 차량의 제원을 확인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아울러, 스탠드형 광고판 드의 광고물은 차량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시인성이 떨어지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 및 취급상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차량 판매장에 손쉽게 설치하여 전시되는 차량의 제원은 원활히 게시할 수 있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개발이 당업계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직접 설치되어 차량 판매장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콤팩트화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사람의 동작 감지로 작동됨에 따라 시인성과 광고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전력의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의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하면서 전원공급의 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고, 배면에 슬립방지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시에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에 의한 전면 유리창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립방지판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져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투명표시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반복 사용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는, 내측에 격벽을 가지고, 전면에 절곡된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배면에 차량의 제원이 문양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문양부를 가지는 투명표시판과;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과 상기 격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를 가지는 엘이디 모듈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 회로기판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차량의 배터리에 분리 가능하게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에 연결시키는 집게형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통공에 끼워져 상기 커버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에 입력하는 동작 감지센서와;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표시기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상기 슬립방지판은, 상기 투명표시판의 상단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상기 슬립방지판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배면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슬립방지판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방지판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상기 투명표시판은, 상기 본체와 격벽의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와 격벽 사이로 끼워지는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투명표시판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격벽과 상기 본체의 배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나선체결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체결공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투명표시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상기 엘이디 모듈은, 각각의 상기 엘이디의 점등시의 색상이 적색, 청색, 백색을 포함하는 다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은, 상기 엘이디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동일한 색상의 상기 엘이디를 동시에 점등하면서 각각의 색상에 따라 상기 엘이디를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엘이디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직접 설치되어 차량 판매장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간편해지고,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콤팩트화가 가능해지며, 사람의 동작 감지로 작동됨에 따라 시인성과 광고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전력의 소비가 최소화되며, 사용자가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의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이 보다 원활해지고, 전원공급의 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며, 배면에 슬립방지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시에 슬립이 방지되고, 설치에 의한 전면 유리창의 손상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슬립방지판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져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보다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투명표시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반복 사용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분해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투명표시판(2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3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3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제어 회로기판(40)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과 연결되는 전원커넥터(5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동작 감지센서(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측에 격벽(11)을 가지고 전면에 절곡된 커버(12)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12)의 하부측에 통공(13)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벽(11)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엘이디 모듈(30)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동작 감지센서(6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공(13)은 상기 동작 감지센서(60)가 상기 커버(12)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투명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의 배면과 상기 격벽(11) 사이에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배면에 차량의 제원이 문양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문양부(21)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엘이디 모듈(30)에 의해 조명을 받아 상기 투명표시판(20) 자체가 발광되면서 상기 문양부(21)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은 광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판이나 유리판과 같은 것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양부(21)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의 배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전시되는 차량의 제원을 문자나 기호 또는 모양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문양부(21)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의 배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문자나 기호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30)은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배면과 상기 격벽(1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31)를 가진다.
상기 엘이디 모듈(30)은 다수의 엘이디(31)를 일체로 하나의 케이스에 배열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서 각각의 상기 엘이디(31)로 전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엘이디(31)는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ed Diode)로서 작은 전력으로 높은 광을 조사하는 공지의 소형 조명등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엘이디(31)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광이 발생되고, 그에 의해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투명표시판(20)을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엘이디(31)로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광을 조사하면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광이 전달되면서 상기 문양부(21)에 의해 광이 반사되어 상기 투명표시판(20)이 발광되면서 동시에 상기 문양부(21)에 대한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상기 엘이디 모듈(30)은 각각의 상기 엘이디(31)의 점등시의 색상이 적색, 청색, 백색을 포함하는 다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엘이디(31)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됨으로써,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을 통해 상기 엘이디(31)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변하게 하여 상기 투명표시판(20)에 대한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색상의 상기 엘이디(31)가 설치되고, 같은 색상의 상기 엘이디(31)가 동시에 켜지는 것이 각각의 색상마다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투명표시판(20)의 색상이 다양하게 순차적으로 변하여 전시되는 차량의 제원에 대한 시인성과 광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된다.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제반 전기부품의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은 상기 엘이디(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엘이디(31)가 그 색상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하게 된다. 즉,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의 제어에 의해 같은 색상의 상기 엘이디(31)가 동시에 점등되면서 각각의 색상에 따라 상기 엘이디(31)가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상기 전원커넥터(50)는 집게형으로 형성되는 공지의 전원 연결 단자이며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일단이 연결되고 차량의 배터리에 분리 가능하게 타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전원커넥터(50)는 집게를 벌여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배터리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전력을 본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본 표시 장치가 차량 판매장에 전시된 차량의 전면 유리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동작 감지센서(60)는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연결되고 상기 통공(13)에 끼워져 상기 커버(12)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동작 감지센서(60)는 전시된 차량의 앞으로 고객이나 안내자가 있을 때만 자동으로 상기 엘이디(31)가 켜지면서 상기 투명표시판(20)이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표시 장치는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배터리 잔량표시기(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기(70)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판매장에 전시되는 차량은 시동이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자나 판매자의 각종 등이나 전자기기의 조작으로 쉽게 소진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기(70)를 통해 전시되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인지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통해 본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차량 제원 표시 장치는 차량에 직접 설치되어 차량 판매장에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간편해지고,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콤팩트화가 가능해지며, 사람의 동작 감지로 작동됨에 따라 시인성과 광고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동작 감지에 의해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됨으로써 전력의 소비가 최소화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B)에 상기 전원커넥터(50)를 연결한 후에 차량의 전면 유리창(FW)에 본 표시 장치를 배치하면 본 표시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판매자나 구매자가 접근하면 상기 동작 감지센서(60)가 이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동작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입력 받은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은 상기 엘이디 모듈(30)을 제어하여 점등을 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투명표시판(20)이 발광되면서 상기 투명표시판(20)을 통해 차량의 제원이 표시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배터리 잔량표시기(70)를 통해 상기 배터리(B)의 전원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상기 배터리(B)의 교체 시기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판매자나 구매자 등의 사람이 차량의 전방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사람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동작 감지센서(60)에 의한 감지 정보가 입력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은 상기 엘이디 모듈(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투명표시판(20)의 발광을 중지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판(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실리콘이나 합성 고무와 같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을 슬립이 방지되는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상기 본체(10)에 의한 차량의 전면 유리창의 손상을 방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상기 투명표시판(20)의 상단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구(8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립방지구(81)는 상기 슬립방지판(80)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상기 본체(10)의 배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0)의 배면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슬립방지판(80)에 장착되는 금속 재질의 각도조절부재(8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82)는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방지판(8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82)는 사용자가 상기 슬립방지판(80)을 일측이나 타측으로 기울이며 그 기울인 위치에 상기 슬립방지판(8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82)에 의해 상기 슬립방지판(80)의 배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나 선택에 따라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대한 상기 본체(1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원 표시 장치의 상기 투명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와 격벽(11)의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투명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와 격벽(11) 사이로 끼워지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격벽(11)과 상기 본체(10)의 배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14)과, 상기 고정홈(22)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나선체결공(15)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본 표시 장치는 상기 나선체결공(15)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홈(22)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에 상기 투명표시판(20)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볼트(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투명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명표시판(20)이 상기 본체(1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홈(22)은 상기 고정볼트(90)가 상기 나선체결공(15)을 통해 체결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투명표시판(20)을 상기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9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나선체결공(15)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고정홈(22)에서 이탈되어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투명표시판(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턱(14)은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상기 투명표시판(20)이 삽입될 때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이 걸려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선체결공(15)은 상기 고정볼트(90)가 나사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고정볼트(90)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체결공(15)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홈(22)에 그 끝단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본체(10)에 상기 투명표시판(20)을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본체
11 : 격벽 12 : 커버
13 : 통공 14 : 단턱
15 : 나선체결공
20 : 투명표시판
21 : 문양부 22 : 고정홈
30 : 엘이디 모듈
31 : 엘이디
40 : 전원제어 회로기판
50 : 전원커넥터
60 : 동작 감지센서
70 : 배터리 잔량표시기
80 : 슬립방지판
81 : 슬립방지구 82 : 각도조절부재
90 : 고정볼트

Claims (7)

  1. 내측에 격벽(11)을 가지고, 전면에 절곡된 커버(12)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12)의 하부측에 통공(13)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배면과 상기 격벽(11) 사이에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배면에 차량의 제원이 문양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문양부(21)를 가지는 투명표시판(20)과;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배면과 상기 격벽(1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설치되고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31)를 가지는 엘이디 모듈(3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제어 회로기판(40)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일단이 연결되고 차량의 배터리에 분리 가능하게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연결시키는 집게형 전원커넥터(50)와;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연결되고, 상기 통공(13)에 끼워져 상기 커버(12)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에 입력하는 동작 감지센서(60)와;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표시기(70)와;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판(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상기 투명표시판(20)의 상단 배면에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부착되는 고무재질의 슬립방지구(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판(80)은,
    상기 본체(10)의 하면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0)의 배면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슬립방지판(8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방지판(8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각도조절부재(8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판(20)은,
    상기 본체(10)와 격벽(11)의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와 격벽(11) 사이로 끼워지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투명표시판(2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격벽(11)과 상기 본체(10)의 배면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14)과,
    상기 고정홈(22)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나선체결공(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체결공(15)에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홈(22)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에 상기 투명표시판(20)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볼트(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30)은,
    각각의 상기 엘이디(31)의 점등시의 색상이 적색, 청색, 백색을 포함하는 다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제어 회로기판(40)은,
    상기 엘이디(31)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동일한 색상의 상기 엘이디(31)를 동시에 점등하면서 각각의 색상에 따라 상기 엘이디(31)를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상기 엘이디(31)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원 표시 장치.
KR1020120070101A 2012-06-28 2012-06-28 차량 제원 표시 장치 KR10120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01A KR101208422B1 (ko) 2012-06-28 2012-06-28 차량 제원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01A KR101208422B1 (ko) 2012-06-28 2012-06-28 차량 제원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422B1 true KR101208422B1 (ko) 2012-12-11

Family

ID=4790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101A KR101208422B1 (ko) 2012-06-28 2012-06-28 차량 제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7771A (zh) * 2013-12-10 2014-03-05 宁波长青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音乐光纤旗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7771A (zh) * 2013-12-10 2014-03-05 宁波长青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音乐光纤旗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254B1 (ko) 주간 및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한 교통표지판.
US10098198B2 (en) Interior ambient and task light bars
US20120024159A1 (en) Coffee Preparation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reparation Material Container with a Level Indicator
JP4239177B2 (ja) 計量機の給油量表示器
KR101208422B1 (ko) 차량 제원 표시 장치
JP2013241035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415905Y1 (ko) 차량용 발광 삼각 표시판
KR101026880B1 (ko) 이동식 교통안전 표지물
KR100640692B1 (ko) 바닥 조명 광고장치
KR200415033Y1 (ko) 고휘도 엘이디 주차유도 전광판
KR20090079445A (ko) 엘이디를 이용한 이발관용 표시등
JP2009043198A (ja) 自動販売機
JP3105156U (ja) 電光表示器
KR200417463Y1 (ko) 발광 소자를 이용한 버스 행선지 표시 장치
KR20190078190A (ko) 소형 태양광 구동형 건물정보표시장치
KR101056118B1 (ko) 채널 변환 방식의 el 시트를 채택한 조명 도로표지판
KR200286516Y1 (ko) 택시 빈차 표시장치
TWM406238U (en) Advertising display device
KR200438736Y1 (ko) 신호 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 커버
KR200411684Y1 (ko) 차량용 발광 표시장치
JP5666950B2 (ja) 見本体の照明装置およびその照明装置を備えた自動販売機
KR200455625Y1 (ko) 쇼케이스용 가격표 조명장치
KR980008847U (ko) 다기능 전자신호봉
JP2006123911A (ja) 給油装置
IT202100016142A1 (it) Dispositivo retroilluminato per visualizzare contenu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