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56Y1 -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56Y1
KR200480156Y1 KR2020150005374U KR20150005374U KR200480156Y1 KR 200480156 Y1 KR200480156 Y1 KR 200480156Y1 KR 2020150005374 U KR2020150005374 U KR 2020150005374U KR 20150005374 U KR20150005374 U KR 20150005374U KR 200480156 Y1 KR200480156 Y1 KR 200480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bracket
fixed
pressure sens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오
Original Assignee
문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오 filed Critical 문성오
Priority to KR2020150005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2210/0086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장과 벽체 사이에 연결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서랍장의 서랍을 열고 올라탈 경우 서랍장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는 서랍장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는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브래킷에 힌지결합된 지지부; 및 일측이 벽체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DRAWER CHEST FALLING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장과 벽체 사이에 연결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서랍장의 서랍을 열고 올라탈 경우 서랍장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배치되는 생활 및 작업 등에 쓰이는 모든 용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좀 더 안락한 삶을 누리기 위하여 사용에 편한 갖가지 생활도구들이 이에 해당 된다.
이러한 가구는 어느 정도 항구적이어야 하므로, 소재는 주로 목재 또는 돌, 금속,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사용목적에 따라 기능과 더불어 미적요소가 추구되어 사용자의 취미나 취향에 맞게 다양한 종류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한 가구는 기능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작업대나 싱크대 책상 등의 작업용 가구와 휴식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파, 침대, 의자 등의 인체지지용 가구, 정보 및 취미생활을 위해 만들어진 TV, 전축, 피아노 등의 정보, 정조가구 및 물건을 정리하고 넣어두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서랍장, 장농, 캐비닛, 책장, 선반 등의 수납용 가구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가구 중에서도 서랍장 가구는 가정에서 다양한 물건들을 보관하여 지지하고 보호하도록 비치함으로써, 물건들이 훼손되거나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서랍장은 서랍이 모두 열린 상태가 되면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기 때문에 유아 또는 어린이 등 서랍을 잡고 당기거나 서랍장 위로 올라가게 되면 서랍장이 넘어져 유아 또는 어린이가 다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헌 1) : 국내공개특허 제10-2002-0073802호(2002년 09월 28일 공개)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0631892호(2006년 08월 11일 등록) (문헌 3) :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25095호(2012년 03월 15일 공개) (문헌 4)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56052호(2014년 05월 28일 등록)
본 고안은 서랍장과 벽체 사이에 연결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서랍장의 서랍을 열고 올라탈 경우 서랍장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서랍장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압력센서가 작동되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는 서랍장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는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브래킷에 힌지결합된 지지부; 및 일측이 벽체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벽체에 체결 고정되는 제2브래킷; 상기 제2브래킷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랍장 후방에 체결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 제3브래킷이 체결되며, 상기 제3브래킷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브래킷은, 상기 고정바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 체결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당겨지면 작동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작동되면 경고음이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피커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는 서랍장과 벽체 사이에 연결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서랍장의 서랍을 열고 올라탈 경우 서랍장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는 연결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서랍장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압력센서가 작동되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리도록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서랍장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서랍장에 설치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서 서랍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서랍장에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는 이러한 서랍장에만 한정되어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장농, 옷장 또는 서랍이 구비된 모든 가구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서랍장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서랍장에 설치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에서 서랍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는 제1브래킷(100), 지지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래킷(100)은 사각 형태의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고, 서랍장(10)의 후방에 볼트 또는 피스 등으로 체결 고정되며, 지지부(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브래킷(100)은 일측에 힌지부(110)가 형성되어 지지부(200)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1브래킷(100)은 서랍장(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판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일단 일부가 서랍장(10)의 후면판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거나 또는 서랍장(10)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랍장(10)에 설치된 제1브래킷(100)은 중간 및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브래킷(100)의 위치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따라 가구에 맞게 위치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브래킷(100)을 서랍장(10)의 중간 및 양측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서랍이 연린 상태에서 서랍장(10)에 올라타 서랍장(10)이 넘어질 때 서랍장(10)의 하중을 분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힌지부(110)에 연결되어 힌지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연결부(300)와 연결되어 서랍장(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연결부(300)가 고정되도록 중앙에 구멍(210)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지지부(200)를 제1브래킷(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서랍장(10)이 넘어질 때, 제1브래킷(100)은 서랍장(10)과 같이 넘어지고, 제1브래킷(100)에 힌지결합된 지지부(200)는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랍장(10)이 급격하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서랍장(10)이 급격하게 넘어지게 되면 서랍장(10)에 체결 고정된 제1브래킷(100)이 파손되거나 연결부(300)가 서랍장(10)을 지지하는 힘에 견디지 못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벽체(20)에 볼트 또는 피스 등으로 체결 고정되는 제2브래킷(310)과, 제1브래킷(100)과 지지부(200)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래킷(310)은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외부로 돌출된 고리부(33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벽체(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삽입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320)는 양단에 각각 고정클립(321)이 구비되고, 일단에 형성된 고정클립(321)은 지지부(200)에 형성된 구멍(210)에 고정되고, 타단에 형성된 고정클립(321)은 제2브래킷(310)에 형성된 고리부(33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와이어(320)는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되어 형성된 체인, 여러 가닥의 철사를 꼬아 만든 밧줄 또는 합성수지로 만든 끈 등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클립(321)은 링의 일부를 절단하여 만든 고리 또는 외력에 의해 일측이 개방되는 형태의 고리로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브래킷(100), 지지부(200) 및 연결부(300)의 구성을 이용하여 서랍장(10)을 고정하게 되면,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이 서랍을 꺼내 위로 올라가는 도중 서랍장(10)이 넘어져 유아 또는 어린이가 다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특히, 고정클립(321)과 같은 탈착이 용이한 고리를 이용하여 사용함으로써, 가구의 재배치 또는 가구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은 압력센서(600), 스피커(700) 및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600)는 와이어(320)의 중간에 설치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인장된 와이어(320)의 당기는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320)의 압력이 측정되면 측정값을 제어부(800)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600)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피커(700)는 제2브래킷(310)이 고정된 벽체(20)에 설치 고정되고, 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800)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랍장(10)이 외부 충격 또는 유아 어린이 등의 부주의로 넘어질 경우 와이어(320)가 인장 되면서 압력센서(600)에서 신호가 발생하고, 압력센서(600)에서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800)로 보낸다. 다시 제어부(800)에서 압력센서(600)의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스피커(700)로 경고음이 출력되게 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서랍장(10)이 기울어진 상태임을 알리도록 한다.
또한, 서랍장(10)에 연결된 와이어(320)를 팽팽하게 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서랍장(10)을 잡고 흔들거나 서랍장(10)이 미세하게 움직이면 압력센서(600)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서랍장 20; 벽체
100; 제1브래킷 110; 힌지부
200; 지지부 210; 구멍
300; 연결부 310; 제2브래킷
320; 와이어 321; 고정클립
330; 고리부 600; 압력센서
700; 스피커 800; 제어부

Claims (5)

  1. 사각 형태의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서랍장의 후방에 체결 고정되는 제1브래킷(100)과, 상기 제1브래킷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브래킷에 형성된 힌지부에 결합된 지지부(200) 및 일측이 벽체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서랍장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는,
    벽체에 체결 고정되는 제2브래킷(310)과;
    상기 제2브래킷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320)와;
    상기 와이어(320)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 고리부(330)와;
    상기 와이어(320)에 체결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320)가 당겨지면 작동하는 압력센서(600)와;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작동되면 경고음이 출력되는 스피커(700);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피커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5374U 2015-08-12 2015-08-12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KR200480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74U KR200480156Y1 (ko) 2015-08-12 2015-08-12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74U KR200480156Y1 (ko) 2015-08-12 2015-08-12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56Y1 true KR200480156Y1 (ko) 2016-04-19

Family

ID=5591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74U KR200480156Y1 (ko) 2015-08-12 2015-08-12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5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37Y1 (ko) * 2016-05-19 2016-10-12 문성오 가구 고정장치
KR101905323B1 (ko) * 2017-05-19 2018-11-21 김준상 서랍장용 안전 장치
KR102007118B1 (ko) 2018-02-12 2019-08-02 김진국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가구
KR20200058046A (ko) 2018-11-19 2020-05-27 김예림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장
KR102152302B1 (ko) 2020-01-21 2020-09-04 서성철 안전 서랍장
KR102503792B1 (ko) * 2022-06-14 2023-02-23 나미숙 서랍장 전도 방지용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270A (ja) 2006-12-27 2008-07-17 Takanori Sato 家具転倒防止器具
JP2011005193A (ja) 2009-06-29 2011-01-13 Sumitomo Forestry Co Ltd 家具の転倒滑り防止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270A (ja) 2006-12-27 2008-07-17 Takanori Sato 家具転倒防止器具
JP2011005193A (ja) 2009-06-29 2011-01-13 Sumitomo Forestry Co Ltd 家具の転倒滑り防止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37Y1 (ko) * 2016-05-19 2016-10-12 문성오 가구 고정장치
KR101905323B1 (ko) * 2017-05-19 2018-11-21 김준상 서랍장용 안전 장치
KR102007118B1 (ko) 2018-02-12 2019-08-02 김진국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가구
KR20200058046A (ko) 2018-11-19 2020-05-27 김예림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장
KR102152302B1 (ko) 2020-01-21 2020-09-04 서성철 안전 서랍장
KR102503792B1 (ko) * 2022-06-14 2023-02-23 나미숙 서랍장 전도 방지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156Y1 (ko)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
USD630637S1 (en) Support arm attachment for a table leg
USD522260S1 (en) Suspended chair frame
USD584073S1 (en) Sofa table
USD794969S1 (en) Furniture and storage set
USD580258S1 (en) Hang rod mounting bracket
USD681973S1 (en) Wall mount peg-board cabinet with desk
USD844125S1 (en) Fire pit with height-adjustable legs
USD587941S1 (en) Furniture support
KR101298851B1 (ko) 도어 및 서랍용 닫힘 방지부재
USD584072S1 (en) Sofa table
KR200460213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USD744251S1 (en) Chair
KR200448107Y1 (ko) 책상일체형 침대
WO2006102127A3 (en) Garment hanger caddy and storage rack therefor
USD588705S1 (en) Support for arms via hands
USD668076S1 (en) Magnetic quilt hanger
JP2008079678A (ja) ワゴン型スツール
USD737585S1 (en) Chair
KR101423637B1 (ko) 플렉서블 조명이 구비된 책상
CN106419207B (zh) 一种可一拆为四的多用途家具
JP2012143304A (ja) 机用幕板及び幕板付き机
CN206150937U (zh) 一种可一拆为四的多用途家具
USD581175S1 (en) Chair swing
JP5336120B2 (ja) ワゴン、およびワゴン付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